XRP, 10월이 역사적 전환점 될 수 있는 이유🚀🔥 “XRP, 10월이 역사적 전환점 될 수 있는 이유” 🔥🚀
요즘 XRP 얘기 많죠? 👀
이번엔 단순 루머가 아니라 📊 숫자랑 흐름이 전부 같은 방향을 가리켜요.
솔직히 10월은 XRP에게 진짜 폭발의 달이 될 확률이 커요. (이어서 계속👇)
1️⃣ 🇺🇸 미국 정부 개입설 → 리플 지분 5~10% 인수 가능성, 심지어 에스크로 물량 청구 얘기까지 나와요. 트럼프가 3월에 “정부 보유 코인 중 XRP 있다”라고 언급한 것도 큰 떡밥이죠.
2️⃣ 📊 설문조사 결과: 29.6% “2026년 전 움직인다”, 27.3% “2026년에 가능”, 30.9% “말도 안 돼” 👉 이렇게 갈렸다는 건 불확실성 자체가 이미 시장의 기회라는 뜻이에요.
3️⃣ 🏦 ETF 승인 확률 → 블룸버그 애널리스트들이 무려 95% 예상. SEC 최종 데드라인은 10월 10일~25일. 비트코인 ETF처럼 승인 나자마자 거래 시작될 가능성도 있어요.
4️⃣ 💸 기관 돈 움직임 뚜렷해요 → 새로 나온 REX-Osprey XRP ETF, 첫날 거래량만 3,770만 달러 👉 2025년 신규 ETF 중 최고 기록.
5️⃣ 📈 파생상품 쪽도 커져요 → CME XRP 선물 미결제약정이 이미 10억 달러 돌파 👉 현물 ETF 열리면 단 몇 주 만에 50억 달러 유입도 가능하다는 분석.
6️⃣ 💹 가격 상황도 흥미로워요 → 지금 $3 근처에서 차분히 통합 중 👉 한 번 불 붙으면 🔥 단기간에 엄청난 상승 압력 터질 수 있어요.
7️⃣ 🔄 온체인 데이터 → 유통량 647억 중 1년 이상 안 움직인 건 15.8%, 2년 이상은 고작 4.1% 👉 반대로 최근 90일 동안 317억(=절반) 이 거래됨 👉 유동성이 상상을 초월해요.
8️⃣ 🐳 고래들도 초활성 → 100만 XRP 이상 보유한 지갑 2,693개 중 98.6% 가 최근 1년 내 활동 👉 장기 잠든 지갑은 37개뿐 👉 고래들 보유량은 390억 XRP.
9️⃣ 🌐 네트워크 활동 → 하루 평균 거래 170만 건, 신규 계정 하루 4,000개 증가 👉 가격 급등기엔 활성 주소가 4만 개까지 치솟은 적도 있어요.
🔟 🚀 결론 → XRP는 단순 ‘테마 코인’이 아니라 이미 기관 인프라 자산으로 자리 잡았어요. 10월은 ETF 승인 + 정부 개입설 + 유동성 폭발이 겹치는 달 👉 그래서 다들 “돌파의 달”이라고 부르는 거예요.
차트 패턴
달러, 다시 모인다… 1,076.4억달러가 말해주는 ‘Q4 비트코인 위험자산 시나리오’ 폭발 포인트달러, 다시 모인다… 1,076.4억달러가 말해주는 ‘Q4 비트코인 위험자산 시나리오’ 폭발 포인트
달러 예금이 역대급으로 불어나고, 기업 돈이 총알처럼 쌓이고 있다… 이건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Q4 위험자산 폭발의 시그널이야.
특히 미주식, 비트코인 같은 데로 흘러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 그냥 ‘예금 늘었네?’ 하고 넘기면 안 된다.
(이어서 계속👇)
1️⃣ 📈 1,076.4억달러, 무려 32개월 만에 최대치 — 전월 대비 +24.9억달러 늘어난 건 ‘안전하게 모은 현금’이 아니라 ‘언제든지 투자로 튀어나올 수 있는 대기 자금’이라는 거야.
2️⃣ 💵 미달러 예금 909.6억달러, 비중 84.5% — 달러만 다시 900억 달러 위로 올라섰다는 건, 한국 내 투자 심리도 ‘달러 중심 위험자산’ 쪽으로 확실히 쏠리고 있다는 뜻이지.
3️⃣ 🏢 기업 예금 929.6억달러(+25.4억) vs 👤 개인 예금 146.9억달러(–0.4억) — 이번 판을 키운 주체는 기업이야. 규모로 들어오면, 한 번 움직일 때 증시나 환율에 주는 파급력이 개인보다 훨씬 커.
4️⃣ 🏦 국내은행 예금 920.2억(+27.3억), 외은지점 예금 156.2억(–2.4억) — 국내 은행 안에 돈이 쌓였다는 건 곧장 증권사, 파생상품 시장으로 연결될 속도가 빨라진다는 얘기.
5️⃣ 💱 엔화 +2.9억, 유로 +0.6억, 위안화 –0.6억 — 위안화 빠지고 달러·엔·유로로 쏠린 흐름은 ‘리스크 회피 → 안정적 통화 선호’ 공식이 그대로 드러난 사례야.
6️⃣ 📊 S&P500이 6,400선 넘겼다는 것도 중요해 — 글로벌 증시가 이렇게 올라가면, 서학개미 자금은 더 빠르게 ‘달러 예금 → 미국 주식 → 크립토’ 순서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져.
7️⃣ 🟩 10월은 전통적으로 ‘업토버’ — 평균 20%대 수익률, 12년 중 10년은 플러스였어. 하지만 이건 평균이고, 실제로는 급등-급락이 섞여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해.
8️⃣ 🟨 11월은 함정 — 평균 43%라고들 하지만, 사실상 2013년 +449%라는 초대형 이벤트가 왜곡한 숫자야. 현실적으로는 한 자릿수에 그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얘기.
9️⃣ 🟥 12월은 반반 — 평균 6%대, 메디안은 고작 1%대. 연말 세금 처리, 포지션 정리 때문에 등락이 심해져서 ‘상승 마무리’라기보단 ‘변동성 장세’로 보는 게 맞아.
🔟 ⚡ 비트코인 가격 시나리오 — 현재 $112k 기준으로 10월 $136k(+21%), 11월 $141k(+3.6%), 12월 $147k(+1.3%), 보수적으로도 Q4 누적 +27~30% 가능성이야. 낙관적으로 보면 $225k까지도 갈 수 있지만, 그 사이에 강제청산 파동은 피할 수 없지.
⓫ 🧨 중요한 건 청산 타이밍 — 롱 레버리지가 몰리면 한 방에 털리고, 그게 오히려 ‘저점 신호’가 될 수 있어. 하락이 끝이 아니라 ‘정리 과정’이라는 걸 아는 게 생존법이지.
⓬ 🛠️ 투자 체크리스트 — (1) 달러 예금 증가가 계속 이어지는지, (2) 달러 인덱스랑 미채 금리, (3) ETF 순유입과 강제청산 규모, (4) 11~12월 세금 수급 일정. 이걸 같이 봐야 한다.
⓭ 🧭 결론 — 달러 예금 급증은 ‘대기실’에서 투자 총알이 준비되는 과정이야. 결국 Q4는 유동성이 어디로 흐를지 시험하는 무대고, 살아남는 자가 복리를 가져가는 계절이 될 거다.
나스닥, 버블인가? 기술적 조정 가능성CME_MINI:NQ1!
나스닥 선물(NQ1!) 차트로 알아보는 현시점 나스닥 조정 시나리오를 정리해 봤습니다.
단기 채널 1.5 하프 자리에서 고점이 형성됐고
장기 채널에 닿을 때마다 조정이 나왔었습니다.
월봉 기준으로 보면, 관세 하락 이후 6개월 연속 양봉 마감했고, 볼린저밴드 상단을 돌파하면서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4분기에 산타랠리를 기대할 수는 있겠지만, 10월에는 조정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합니다.
조정 시나리오는 신고가 경신 시 관점 폐기입니다.
팔로잉과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피보나치 0.886에서 롱 트라이가 우선1안:직전 아이디어에서는 0.618~0.786 조정 이후 수렴 패턴을 보았으나
현재 위치에서 하루 이상의 횡보를 보여주는 것이 현 위치에서 바로 올려주기 보단
한 번의 스탑 헌팅이 더 있을 것으로 보이나 깊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어서
직전 상승 파동에 대한 0.886 조정 위치까지 꼬리로 스윕 이후 수렴 패턴을 보여줄 것
따라서 108407에 롱 걸어둠
다음 수렴 타점에서 롱 숏 대응
2안:깊게 빠진다면 1연장 터미널로 채널 하단 까지 우선 열어놔야하며
3안:93k까지도 열어놔야 하는 관점도 추후 상황을 보고 공유 예정
3-3-5 지그재그 조정 완료, "떨어지면 롱" 이더리움의 조정 파동 해석
W 파동이 임펄스파동이 아님
즉, 찐 하락장이 아닐 가능성이 커졌으며 지금 마지막 파동Y 파동이 임펄스로 끝났다.
이렇게 되서 3-3-5 ABC 지그재그 조정이 끝났으며
전체 메이저 파동대비 618구간의 지지를 받았고,
비트코인 또한 4시간, 1시간 상승다이버전스의 확인, 이더리움 또한 마찬가지.
현물진입하기에 더할나위 없는 구간이다.
앞으로 떨어지면 롱 준비해볼 시간이다.
물론 여기서 딱 한파동 더 빠져도 나쁘지는 않다.
어쨌든 슬슬 바닥에 다 왔다는건 변함이 없다.
만약 이대로 오르게 되면.. 이전 파동은 3-3-5 ABC가 아닌 임펄스 파동으로 해석해야하며
전고점 돌파를 하며 비트는 3억을 찍게된다.
과연!
단,, 첫 파동이 임펄스로 나와야한다.
개인적으로 괜찮아서 담아본 알트
ONDO, ENA
금은 안전자산? 비트코인은 위험자산?비트코인은 ETF가 출시 된 후로 과거 글로벌 M2 통화량을 10주(70일~107일)의 시차를 두고 추종하는 모습을 보여왔으나, 지난 5월 이후 이러한 상관관계가 약화되었습니다. 반면 금은 여전히 글로벌 M2와 거의 일대일의 비율로 긴밀하게 연동되고 있습니다.
이미지1. 비트코인 vs 글로벌 M2
이미지2. 금 vs 글로벌 M2
이러한 변화는 달러 약세와 지정학적 긴장이 심화되는 가운데, 자산별 성격과 투자자들의 선호가 달라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금은 전통적으로 위기 국면에서 선호되는 안전자산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반면, 비트코인은 위험 선호 환경에서 보다 높은 수익성과 변동성을 보이는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 가격의 상승은 시장이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리스크를 축소하고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반영합니다. 동시에 금의 강세는 통화정책 완화 기대와 달러 약세 기조가 결합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3. 비트코인 vs 금 (100일 선행)
향후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위험 선호 심리가 회복될 경우, 비트코인이 뒤따라 강하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4분기는 과거 통계적으로 비트코인의 상승 확률이 높은 시기로, 추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BTC, 유동성 흡수 후 반등? vs 장기 사이클 종료?BINANCE:BTCUSDT
최근 비트코인(BTC)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큰 프레임에서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어제의 하락으로 단기적으로는 추세선을 이탈한 상태이며, 계단식 하락이 이어진다면 1차 EMA 200, 2차 FVG 구간에서 반등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특히 103k~104k 부근은 매물대가 많아 유동성을 흡수할 수 있는 중요한 구간입니다.
이 구간에서 유동성을 흡수하고 상승하여 준다면 이번 상승 사이클의 랠리를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반대로 EMA 50과 200이 데드크로스 되거나, 장기 추세선을 돌파하고 EMA 400 아래에 있는 92k CME 갭을 메운다면 상승 사이클 종료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번 상승 사이클에서 EMA 400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팔로잉과 부스트는 큰 힘이 됩니다.🚀
비트코인 주봉 헤드앤숄더완성?23년도 부터 이어져온 녹색 추세선을 따라 상승쐐기를 형성하던 비트코인이 주봉상 헤드엔숄더 모양이 나오고있습니다 현재 상승쐐기선 하단을 돌파시도중이고 거래량과 RSI도 지속적으로 감소중입니다.
헤드앤숄더는 상승장에서 하락장으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하락반전 패턴인만큼 장대음봉으로 상승쐐기 이탈시 96K까지의 하락을 염두에 두고있습니다. 또한 테더 도미넌스가 4.6 이상 올랐기때문에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이고요 테더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시장의 조정을 뜻하기때문에 비트코인 도미넌스도 계속 상승하면서 59를 돌파하면 알트코인들은 더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입니다.
차트외적으로는 미국 셧다운이나, 레포자금유동성이슈등 비트코인을 크게 흔들만한 이슈들이 몇가지 남아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현재는 115K에서 잡은 숏포지션을 제외한 모든 알트포지션들은 현금화후 관망중입니다.
모든분들이 성투하시기를 빕니다.
FIBO MATRIX 거래 계획 | 주요 반응 구역 활성화📊 시장 상황
금은 비둘기파 연준 기대가 USD 상승을 3주 최고치로 제한하면서 새로운 매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연준 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 트럼프 관세 우려 및 증가하는 지정학적 위험이 안전 자산 수요를 계속 자극하고 있습니다.
모든 시선은 이번 주 미국 PCE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집중 – 다음 움직임의 주요 동인입니다.
📍 중요한 가격 수준 (M30 차트)
🔴 매도 반응 구역
3767 – 377x → 주요 조정파 저항 (0.786 Fibo).
3810 – 3817 → 주요 매도 구역 (Fibo 1.5 – 1.618).
🟢 매수 지원 구역
3725 → 단기 강세파 지원.
3690 – 3695 → 깊은 되돌림 합류 (Fibo 1.5 – 1.618).
🎯 거래 시나리오
1️⃣ 매도 설정
진입: 3767 – 377x (거부 확인 시).
TP: 3750 → 3725.
SL: 3778 이상.
2️⃣ 매수 설정
진입: 3725 구역에서 강세 확인.
TP: 3760 → 377x.
SL: 3715 이하.
3️⃣ 깊은 조정 매수
진입: 3690 – 3695 합류 구역.
TP: 3725 → 3760.
SL: 3685 이하.
⚡ 거래 팁
진입을 위한 명확한 Fibo 반응 구역에 집중하세요.
거래당 리스크: 6–8 USD로 스톱헌트 변동성을 피하세요.
최적의 RR 관리를 위해 1R → 2R → 3R 단계로 수익 목표를 설정하세요.
💬 커뮤니티 토론
금이 3770을 돌파하여 더 깊은 지지선을 테스트하기 전에 매도자들이 일찍 통제권을 잡을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아래에 차트와 설정을 공유하세요 👇
9월 26일 이더리움의 급 하락 그럼 매수존은 정해져 있습니다 이제 서핑 탑승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이더리움 과연 진짜로 꺾였나?
최근에 ETF 매수세가 3주째 둔화 + ETF 보유량 소폭증가 후 정체 그러면서 이더리움 도미넌스가 밀리고 있습니다
보유하고 있는 이더리움은 SL 터치하여 손실 마감이 되었고, 이더리움이 녹색시나리오처럼 흘러간다면 3930 / 4060 달러부근에서 포지션을 오픈 할 예정입니다
마지막 지지라인인 3820 -3880 해당자리에서 반등세가 나왔고 추가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려면 이전에 저점이였던 보라색 라인 4060달러 에 올라 타야 됩니다.
이번 이더리움과 비트코인도 하락을 봤을 때 강세장의 종료 X 단기조정에 가깝다 손익비 좋은자리에서는 꼭 매수
2024년 부터 이어져오던 상승채널의 미드라인을 하향 이탈하게되면 다음 지지라인을 주요 체크
주요저항 4060 - 4100
4060 해당자리는 돌파해야합니다.⭐️⭐️⭐️
해당자리 돌파전 까지는 짧게
주요지지 3820 - 3880 ⭐️⭐️⭐️
주요매물대 3630 - 3680
3335 - 3380 이 두구간은 아랫꼬리 달리기 좋은자리
⭐️⭐️⭐️ 트레이딩 포인트
이미 조정파동은 시작되었고 3820달러 에서 마무리가 되는지 추가로 3420달러 까지 내려가는지 싸움이 됨
숏 포지션을 고점을 노리는 것보다 롱 포지션을 손익비 좋은자리를 찾는게 쉽습니다.
이제는 미리미리 현금화 했던 자금을 쓰실준비를 하세요
이더리움의 방향성을 같이 타실 준비되셨습니까??🎮
🔍🔍🔍 ETH 포지션 공유
LONG SL 터치하여 무 포지션
9월 26일 비트코인 불장 끝? 데이터는 상승 이라 말한다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여기저기서 불장끝났다 97k 74k 간다 이런말이 많이나오네요
당연히 불장끝나면 가겠죠? 지금당장 안갑니다.
저는 이제 상승이라고 말할게요
일단 간단하게 117K에서 108K 까지 빠지니까 불장 끝 소리가 많이 나오네요
과한 롱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레버리지 과열이 제거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리스크오프(안전자산) 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 = 리스크 온 + 오프 성격이 혼재하고 있습니다.
즉, 쉽게말해 롱포지션이 대거 청산되는 구간에서는 회복 속도가 더 빠릅니다.
저점을 갱신한 자리 + 108K 마지막 방어될 수 있는 자리가 반등할 수 있는 자리이니 대비 하라고 말씀드리고 해당구간에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근거는 이미 전일 시나리오때 말씀드렸구요
여기에 + 금리인하 + 옵션 델타헤지 수급 + ETF 유입이 재증가 되면 상승속도는 생각보다 빠를겁니다.
⚠️4시간봉 하락 추세선에 재진입
➡️ 비트코인들이 횡보 OR 반등 ➡️ 알트코인들의 하락세는 멈추고 상승세로 전환 되지 않을까? 기대
드디어 사람들이 아이고~ 아이고 소리와 함께 "불장 끝났습니다" 유튜브에 올라올겁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주요저항 109.9K - 110K⭐️⭐️⭐️
111.2K - 111.8K ⭐️
위 두구간 중 하나 맞고 떨어지면 추가하방 있으니 롱 포지션잡으신 분들은 분할로 챙길자리
주요지지 108K - 108.6K
(여기서 하락이 추가 나오면 더 딥한 하락이 있음)
방어선 107.1K / 105.1K - 105.8K
⭐️⭐️⭐️ 트레이딩 포인트
메이저 알트 위주로 매집은 진행중이다🌺
무리한 비중추가만 없다면 충분히 큰 수익으로 마감할 수 있다
🔍🔍🔍 보유포지션
LONG SL 본절 터치 이후 롱 포지션 진입 중 ING..
SHORT 117,200 3천달러
(114,400달러 돌파시 추가 비중종료 할 예정)
(추가20% 분할 종료 sl 본절셋팅)
하락에도 두려워하지마시고 본격적으로 반등할 기회가 옵니다 라고 말씀드리고싶네요 힘내세요
110k 라인 방어전, 고래 매도 vs 기관 매수, ETF·규제 모멘텀까지… 숫자로 보는 코인판🔥 “110k 라인 방어전, 고래 매도 vs 기관 매수, ETF·규제 모멘텀까지… 숫자로 보는 코인판” 🔥
1️⃣ OG 고래들, 11~13년 전 1BTC를 1천 원~1만 원대에 매수했던 지갑들이 지금 수천억~조 단위 물량을 내놓고 있다.
2️⃣ 이들이 비트코인을 팔면서도 계좌에는 여전히 수천억 원대 평가액이 남아 있음 → 단순 현금흐름 문제지, 시장 불신은 아니다.
3️⃣ 반대로 기관·기업·일부 국부펀드가 물량을 흡수 중. 최근 MSTR 보유량은 약 65만 BTC(현 시가 700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
4️⃣ 110k(11만 달러)는 단기·중기 모두 핵심 지지선. 단기 홀더 평균 매입가(SRH Realized Price)가 109.5k로 바로 밑에 붙어 있다.
5️⃣ 오더북 상 110k에 대형 매수벽이 깔려 있고, 반대로 114~118k 구간엔 숏 청산 물량이 대량 쌓여 있다.
6️⃣ BTC 현물 ETF 자금 흐름: 이틀 유출(-3억 달러 수준) 후 세 자릿수 순유입(+1억 달러대)로 복귀.
7️⃣ ETH 현물 ETF는 3일 연속 유출(총 -1억 달러 규모). 향후 유입 전환 여부가 알트 랠리 촉발 포인트.
8️⃣ 규제 이벤트: 9/29 SEC·CFTC 원탁회의(CME·Nasdaq 등 대형 거래소 참가), 10/1 상원 청문회에서 디지털 자산 과세 논의 예정.
9️⃣ 글로벌 확산: 현재 32개국이 비트코인 관련 법안 마련 중, 인도·동남아는 채택 속도가 가파르다.
🔟 스테이블 코인 시총은 최근 한 달 새 1,800억 달러 → 1,950억 달러로 약 8% 증가. 가격 조정과 무관하게 총알은 늘고 있다.
1️⃣1️⃣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는 여전히 +0.5~+1.2% 수준 → 기관 매수가 글로벌 평균가보다 높게 체결되고 있음을 의미.
1️⃣2️⃣ 마이클 세일러는 장기적으로 BTC 연평균 수익률이 ~21%, 공격적 시나리오에선 ~30%까지 가능하다고 전망.
1️⃣3️⃣ 비교: 워런 버핏의 평생 연평균 수익률은 20.1%, 피터 린치(29%). 비트코인만 사도 전설적 투자자 수익률을 넘본다.
1️⃣4️⃣ MSTR 주가는 BTC 대비 레버리지 베타 2~3배 움직임. 비트 1% 오르면 MSTR은 약 6% 상승 사례 다수.
1️⃣5️⃣ 상단 청산 존은 114~118k. 과거에도 이 구간 돌파 시 숏 포지션 강제 청산으로 단기 5~10% 급등이 나왔다.
1️⃣6️⃣ 알트 모멘텀: Hashdex 나스닥 크립토 인덱스 ETF에 BTC·ETH·XRP·SOL·XLM이 포함됨. 이는 미국 제도권 ETF 담보 종목이라는 뜻.
1️⃣7️⃣ XRP 현물 ETF, SEC 서류 수정안 제출 루머가 돌고 있음 → 실제 승인 시 XRP 시총 300억 달러 → 500억 달러 급등 가능성.
1️⃣8️⃣ 체인 데이터: BNB 활성 주소 2주간 30% 증가, AVAX DEX 거래량은 9월 들어 5억 달러 → 9억 달러로 폭증.
1️⃣9️⃣ 공포탐욕지수는 지난주 Neutral 52 → Fear 39로 하락. 과거에도 공포 구간 진입 때마다 단기 저점 포착 사례가 많았다.
2️⃣0️⃣ 결론: 110k 지지 + ETF 순유입 + 규제 명확화 + 스테이블 시총 확대 → 단기 변동성은 소음이고, 중장기 그림은 성숙한 우상향이다.
리플, ETF 편입 + 공급 부족 + 제도권 입성… 드디어 폭발 직전🔥 “리플, ETF 편입 + 공급 부족 + 제도권 입성… 드디어 폭발 직전” 🔥
ETF에 리플이 들어갔고, 유통량은 점점 조여지고 있어. 이제 기관들이 뛰어들면 진짜 판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어서계속)
1️⃣ ETF 바스켓에 XRP 합류 🧺 — 미국 최초 멀티자산 ETF NCIQ가 비트코인·이더리움만 담다가 XRP·솔라나·스텔라까지 추가했어. 이제 한 종목만 사도 리플에 자동으로 투자되는 구조라, 자금이 들어올 때 리플도 자연스럽게 흡수되는 거지.
2️⃣ SEC 규칙 변경 → 상장 속도전 ⏱️ — 예전엔 ETF 하나 승인받으려면 오래 걸렸는데, 이제는 조건만 맞으면 최대 75일 안에 자동 상장이 가능해졌어. 10월 초에 리플 ETF가 등장할 수 있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냐.
3️⃣ “리플은 증권 아니다” 확정 ⚖️ — SEC와 몇 년을 싸우다가 결국 법원에서 “리플은 증권 아님” 판결을 받아냈어. 이게 없었으면 ETF 편입은 꿈도 못 꿨을 거야. 규제 불확실성이 풀렸다는 게 제일 큰 포인트야.
4️⃣ 에스크로 353억 XRP 묶여 있음 🔒 — 리플사가 매달 시장에 풀 수 있는 XRP가 정해져 있는데, 이게 전부 풀리는 게 아니라 다시 잠가버리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유통되는 양은 생각보다 훨씬 적다는 얘기.
5️⃣ 기관·창립자 물량 40% 통제 🏦 — 회사랑 초창기 기관들이 전체 공급량의 40% 이상을 들고 있는데, 이들은 팔 생각이 별로 없어 보여. 사실상 잠긴 물량이야. 그러면 시장에 돌아다니는 코인은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지.
6️⃣ 거래소 보유량 ‘확’ 줄었다 📉 — 코인베이스가 갖고 있던 콜드월렛이 2020년엔 9억7천만 XRP였는데 지금은 3천만 개 남짓밖에 안 돼. 물론 주소 이동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거래소에 풀려 있는 물량은 확 줄어든 건 사실.
7️⃣ 새 프로젝트들이 물량 흡수 🚄 — 액셀러(mXRP)랑 플레어(FXRP)가 각각 5%·8% 목표로 XRP를 묶으려 하고 있어. 만약 이게 다 성공하면 전체 공급의 13%가 추가로 잠기는 셈이야. 그럼 남는 물량은 더 줄어들고.
8️⃣ 소액 투자자 물량은 20%도 안 됨 👤 — 개인들이 실제로 들고 있는 건 전체의 15~20% 정도라 하거든. 근데 기관들이 본격적으로 사들이기 시작하면, 이 남은 물량은 그냥 바로 말라버릴 수 있어.
9️⃣ 가격 시나리오: 22달러~50달러 전망 💸 — 전문가들은 ETF 승인되면 리플 가격이 최소 22달러, 많게는 50달러까지 갈 수 있다고 얘기해. 왜냐면 시총이 비트코인보다 작아서, 조금만 돈 들어와도 가격이 훨씬 더 잘 튀거든.
🔟 하지만 경계할 점도 있음 ⚠️ — 캐나다에서 XRP ETF 나왔을 땐 초반에 급등했다가 금방 조정 받았어.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라는 말처럼 단기 급등 뒤에 조정은 언제든 올 수 있다는 거.
👉 내 결론: ETF 편입 + 공급 축소 + 기관 진입 이 세 가지가 동시에 겹치는 순간, 리플은 지금까지랑은 완전히 다른 게임이 될 수 있어. 다만 단기적으론 변동성이 엄청 클 거라서, 구간 나눠서 전략 세우는 게 진짜 중요해.
증시 3일 연속 하락 + 비트코인 흔들림… 진짜 강세장 끝? 아니, ‘코일 스프링’ 직전 같아🔥 “증시 3일 연속 하락 + 비트코인 흔들림… 진짜 강세장 끝? 아니, ‘코일 스프링’ 직전 같아” 🔥
미국 GDP가 연율 3.8%까지 튀었는데, 주가는 3일 연속 밀렸고, 비트코인은 $118k에서 $112k로 훅 빠졌지. 숫자만 보면 공포인데, 내 눈엔 오히려 ‘변동성 분출 전 숨 고르기’로 보여.
이럴 때일수록 숫자로 프레임 다시 잡아보자. (이어서 계속👇)
1️⃣ 3.8% 성장률 vs 낮아진 완화 기대📈
Q2 GDP 확정치 3.8%(컨센 3.3%)—2023년 3분기 4.7% 이후 최고. ‘경기 탄탄’ 신호라서 금리 인하 속도는 늦춰질 확률↑. 성장주는 밸류에이션 압력 받고, 지수는 3일 연속 하락으로 반응.
2️⃣ 설비투자 기지개: 내구재 수주 $3,121억(+2.9%)🛠️
캡엑스 선행지표가 확실히 살아났어. “침체 공포”보단 “성장 피크→정책 완화 지연”이 시장의 즉각적 해석. 단기론 주가에 부담, 중기론 이익 추정치 상향 여지.
3️⃣ 고용도 버팀목: 실업수당 21.8만 건(예상 23.5만↓)💼
노동 수요가 꺾이지 않았다는 시그널. 연준이 “서둘러 자이언트 컷” 갈 상황이 아님 → 듀레이션·고밸류 섹터엔 변동성 확대.
4️⃣ AI 거품 논란 재점화🤖
오라클은 초대형 AI 계약 의구심으로 3일 약세, 고점 대비 -16%대. 테슬라도 -4.38% 조정. ‘AI=무적’ 서사가 처음으로 테스트받는 구간. 펀더멘털-현금흐름-가격의 괴리를 시장이 다시 디스카운트 중.
5️⃣ 비트코인: $2B 롱 청산→$118k→$112k 급락💥
올해 손꼽히는 청산 강도. 하지만 이런 플러시아웃은 과거 강세장 중반에도 반복됐어. 포지션 레버리지 줄이는 ‘필요악’ 역할을 할 때가 많음.
6️⃣ CME 옵션 OI 사상 최고치(약 $6B)📊
겉으론 조용한데 파생 쪽에선 에너지가 꽉 찼다는 뜻. IV도 저 30대 → 중후반대로 점프. 방향성은 모르지만, “크게 움직일 준비는 끝났다”는 해석이 합리적.
7️⃣ 핵심 레벨 4개: $110k·$107k·$118k·$130~140k🎯
– $110k: 단기 추세선 하단(지지 1차)
– $107k: 무효화 경계(깨지면 조정 심화)
– $118k: 단기 공급대(저항 1차)
– $130~140k: 10~11월 회복 시 도달 가능한 상단 밴드(채널 상단/확장 목표)
8️⃣ CME 갭 $92k—저확률 테일리스크⚠️
갭은 늘 ‘가능성 리스트’에 올려둬야 함. 다만 도달 시 -26% 추가 하락이라 공포가 과도해지기 쉬움. 역사적으로 이런 급락 레벨은 현금 가진 쪽의 매수세가 “잔인하게” 들어온다.
9️⃣ 골드 과열→BTC 순환 논리♻️
금은 최근 36일 +15% 급등, 월봉 RSI가 1980년 이후 최고권. 과열은 결국 식는다. 과거 사이클에서 “금 쉬는 구간=BTC 가속 구간”인 경우가 잦았고, 이번에도 같은 패턴으로 수렴할 여지 충분.
🔟 주식 동조화: S&P500 -1.5% → BTC 단기 압박📉
이번 주 S&P 조정(-1.5%)이 비트코인에도 그늘. ‘리스크자산 묶음’으로 보는 패시브/퀀트 흐름이 여전해서, 주식 변동성 확대는 단기 BTC에도 마이너스.
1️⃣1️⃣ 연준 커뮤니케이션 포인트🗣️
파월은 “첫 인하=리스크 관리” 톤. ‘사이클 개시’ 선언이 아님. 동시에 노동의 ‘질(업스킬)’을 강조—전통 지표의 해석력 약화 시사. 시장은 매 회견·연설마다 단어 선택 하나하나를 프라이싱할 거라, 헤드라인 변동성은 계속.
👉 결론(내 뷰): 지금은 “끝났다” 구간이 아니라 “에너지 충전 완료” 구간. 골드가 쉬는 순간, BTC는 $118k를 다시 뚫고 $130~140k 테스트로 갈 확률이 높아 보여. 다만 $107k 이탈 땐 감정 끼우지 말고 기계적으로 줄여—그게 다음 상방 파동을 잡을 탄약이 된다.
DS의 공부하는 차트 분석! 혁신의 아이콘! 애플(AAPL)!형들 하이이잇!!!
공부하는 차트분석 DS야~
글 올리고 싶어서 짜투리시간 내서 하는중이여!
오늘은 애플 주를 가지고 왔어!
나의 분석을 통해 공부를 또 해보자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애플 주봉!
빠질 수 없는 채널만들기!
항상 먼저 채널부터 그려봐!
채널부터 그리면 분석이 쉬워지니까!
채널을 만들때 왜 주봉으로 하냐 왜 일봉으로 하냐 등 묻는 질문이 있더라고~
빗각이든 추세선이든 주봉, 일봉, 시간봉, 분봉에서 다 그릴 수는 있어!
하지만 주봉에서와 일봉에서 그리는 추세선은 다르겠지?
그리고 일봉으로 했을때 차트가 너무 짧아서 어디서 어딜 그거야 할지 모를때!
(상장한지 얼마 안된 종목 경우)
이런건 차트를 키워서 봐야하기 때문에 시간봉이나 분봉으로 바꿔서 파악을 해야해!
이것도 아니라고 한다면 분석할 수가 없는거지!
(단! 주봉 일봉 시간봉 등 개념은 말했듯이 정확도! 기간이 긴봉일수록 정확도는 높다!)
※ 결론은 새로 상장한 코인이나 주식은 분석률 정확도가 낮기때문에 피하는게 좋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복습을 해보자!
그림을 보면 노란원의 주황수평선이 있는데 이건 고점과 저점 기준으로 이은 수평선이야!
이 시점에서의 고점들은 저항을 맞고 하락했기때문에 저 위치에 저항이 있다라는걸 파악할 수 있어야해!
그럼 반대로 저점은 지지겠지? 지지를 터치 후 다시 상승을 한 모습이 보이니 지지대가 있다고 파악이 된다는거지!
이렇게 저항과 지지를 찾는거야~! 오키?!
근데 너무 지저분하자나? 정리를 하는거야!
고점과 고점끼리 저점과 저점끼리 간격이 좁은 선들을 하나로 묶어서 정리를 하게되면!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를 하고 보는거야!
이 네모박스들은 저항 or 지지대 역할을 하는것으로 표시가 되는거지! 그럼 여기 터치하면 지지한다? 저항한다? 그럼 매매타점도 파악되면서 이미 매매를 했다면 익절이나 손절타점으로도 볼 수 있겠지? 이런 방식으로 매매를 해야해!
다음 차트로 넘겨서 고점을 돌파 한 후에도 매물대를 정리를 해볼께!
이런식으로 그려질 수 있겠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전 차트와 겹치는 저항,지지대를 볼 수 있을꺼야!
여기 위치는 4번만에 저항을 돌파를 하고 올라온 자리라서 강한 저항이 있는 자리라고 볼 수 있고 이 자리는 지지대로 바뀌게 되는거야! 여기 오면 타점으로 잡고 들어가도 나쁘지 않겠지!?
이런식으로 분석해서 타점을 잡고 하는거야!
다음 차트를 보면!
전에 잡아놓은 매물대(저항,지지)라인으로 놀고 있는 모습이 보여질꺼야!
현재 최근 위치는 매물 저항을 돌파 후 리테중인걸 파악할 수 있지!
여기서 타점을 잡고 저항이 지지로 변하니 이 지지를 이탈하게 된다면 다음 지지대까지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 그러니 이탈하게 될 시! 손절! 자신 있는 사람은 여기서 숏을 타는방향도 생각할 수 있겠지?! 이런방식으로 매매를 할 수 있다!
초반부터 너무 많은걸 하려고 하면 이도저도 아니게 돼!
하나라도 마스터한다는 생각으로 한개만 일단 쭉 파!
어려운것보단 쉬운걸 먼저 한다는식!
추세선, 매물대 찾는것만으로도 충분히 매매를 할 수 있다는것!
더욱 높은 정확도와 많은 경우의 수를 두고 수익창출이 더 많아 지려면 공부를 해야하는것!
화이팅하자구!!
오늘은 여기까지여~! 도움이 됬다면 부스터 한 번씩 부탁혀~~ ㅎㅎ
긴글 읽어줘서 너무 고마워~!
매수타점 249 ~ 251
손절 245
※ 절대 매수 강요가 없으며, 선택은 본인의 몫 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갼락 정리
차트가 짧으면 분석이 불가능하다!
일봉 기준일때는 시간봉과 분봉으로 넓혀서 분석을 해본다!
하지만, 기간이 짧은 분석은 정확도가 낮다!
여러가지 한 번에 하려고 하지마라!
하나만 마스터 한다는 방식으로 하나만 쭉 파도 매매법은 만들 수 있다!
어려운것보단 쉬운거라도 택해서 마스터를 해보도록 하자!
감사합니다.
마지막 상승의 호흡 남았다? (feat. 이더리움 6K)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요새 매매횟수도 적어서 트뷰 잘 오지도 않는데 온 김에 보고있는 관점 가볍게 들고 왔습니다
3줄 요약
1. 상승 아직 남았을 수 있다
2. 하지만 인내의 시간 필요
3. 이더리움 6000달러
------
-삼각 수렴 시나리오 (보라선)
먼저 현재 삼각수렴의 초반이라는 가정입니다. 고점 근처에서 수렴 횡보 후 애간장 태우다가 도미 빨아먹으면서 고갱하러 가는 시나리오. -> 수렴 도중에는 이더가 잠시 대장자리 맡아서 6K 가는 느낌의 시나리오
----
- ABC 가격 조정 후 상승 시나리오(빨강선)
100K 깰까 말까 스킬을 쓰며 개미들을 겁준 뒤 상승 랠리
-----
- 번외편 (하락장 시작)
하락의 호흡 제 1형을 쓰며 금리인하는 훼이크였다며 하락장이 시작됨
----
P.S 요새 귀멸의 칼날 재밌게 봐서 느낌적인 느낌으로 썼습니다. 양해바랍니다
다들 건강하시고 예측도 좋지만 대응! 잘하셔서 부자되십쇼
XRPfi, 이제는 ‘개인+기관’ 동시에 먹는 글로벌 수익 인프라다🔥 “XRPfi, 이제는 ‘개인+기관’ 동시에 먹는 글로벌 수익 인프라다” 🔥
어제까지만 해도 6,700만 달러였던 예치 담보가, 오늘 아침 새로고침하니까 8,000만 달러를 훌쩍 넘었어. 📈 단 하루 만에 1,300만 달러가 늘어난 거지. 이건 단순한 TVL 숫자가 아니라, 시장 참여자들이 XRPL을 ‘진짜 인프라’로 보기 시작했다는 강력한 신호야. (이어서계속👇)
1️⃣ 📊 6,700만 → 8,000만 달러, 단 하루 증가
→ 불과 24시간 사이 19% 가까이 성장. 이 정도 속도로 담보가 늘어나는 프로젝트는 DeFi 전성기 이후에도 흔치 않아.
2️⃣ 🏦 기관 트레저리 직접 진입
→ 비보파워(VivoPower) CFO 데이비드 맨스필드 같은 글로벌 경영진이 세션에 등장했다는 건, 단순 투자자 관심이 아니라 기업 자산 운용의 옵션으로 XRPL을 본다는 얘기.
3️⃣ ⚡ 결제확정 3~5초, 수수료 거의 제로
→ 이건 그냥 편의성 문제가 아니야. 기관 입장에선 수백억·수천억 단위 자금이 ‘딜레이 없이, 리스크 없이’ 움직이는 게 곧 비용 절감 + 리스크 헤지.
4️⃣ 🔐 온체인 담보 100%
→ 발표에서 “collateral is all on XRPL”이라고 못 박았지. 즉, 중앙화 거래소처럼 ‘우리가 담보 있다니까 믿어’가 아니라, 블록체인 상에서 실시간 검증 가능하다는 거. 회계감사·투명성 측면에서 차원이 다름.
5️⃣ 📱 CEX 없는 직접 온보딩
→ 이제는 모바일 지갑이나 온램프 통해 바로 접속 가능. 개인 투자자도 브릿지 리스크 없이 수익형 프로토콜에 참여할 수 있음.
6️⃣ 🌍 ‘네이티브 우선’ 전략
→ XRPL 자체가 예치·담보·예측 서비스의 중심. 외부 보조가 아니라 레저 자체가 인프라로 자리 잡는 그림.
7️⃣ 📈 기관 관심 가속화
→ 글로벌 자산운용사·투자사들이 “XRPL은 보조레일이 아니라 전략적 옵션”으로 보기 시작. 이게 바로 시장이 초기 도입기 → 본격 성장기로 넘어가는 시점의 특징.
8️⃣ 💰 수수료 리스크 제로화
→ 금융기관에서 가장 민감한 건 비용과 리스크. XRPfi 인프라는 결제·정산 수수료를 사실상 0에 가깝게 낮추면서도 확정성을 보장. 이는 곧 ‘안전하게 큰 돈 움직일 수 있다’는 의미.
9️⃣ ⏱ 1ms·실시간 결제 지향
→ 발표 키워드에서 나온 “1ms”는 허언이 아니라, 향후 초저지연 결제 네트워크로 가겠다는 비전. 글로벌 기업·기관에게는 ‘리얼타임 재무관리’가 현실이 되는 길.
🔟 🔮 결국 XRPfi = 글로벌 트레저리 표준
→ 개인에게는 ‘빠르고 싼 수익형 투자’, 기관에는 ‘투명하고 안전한 자산 운용’. 이 두 축이 결국 같은 네트워크 위에서 만나는 게 미래 그림.
📌 정리하면, XRPL 위의 XRPfi 인프라는 단순히 새로운 코인 프로젝트가 아니라, “개인 투자 + 기관 자산 운용이 동시에 올라탈 수 있는 글로벌 수익 인프라” 로 진화 중이라는 거야.
담보는 100% 네이티브, 속도는 초저지연, 수수료는 제로, 기관은 이미 움직이고 있고, 개인도 참여 문턱이 낮아지고 있어. 🚀
체인링크 LINK 상승 할 수 밖에없는 완벽함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LINK 체인링크
비트 분석자료 포함
체인링크는 이미 추세가 깨졌기 때문에 긍정적이기보다 단기 눌림 나온다
체인링크는 차트로 보기전에 이번 선행지표와 로드맵 토크노믹스가 동시에 맞물린 몇 안되는 코인입니다.
거래소에서는 잔고가 빠지면서 고래들이 매집하는 모습을 모이고 있습니다.
결국에는 체인링크는 블록체인과 현실과를 이어주는 역활을 한다
매집 할 수 있는 좋은자리들은 1, 2번 자리가 된다.
21.5달러 / 18.6달러 모두 근거있고 2번자리같은경우는 더블바텀 넥라인으로 충분히 해당자리는 POC + 0.5되돌림 + 넥라인으로 근거있게볼 수 있다.
지금당장 무슨포지션을 잡으면될까요???
11.4달러 이탈 후 리테스트시 숏 포지션이 유리하게 됩니다.
업비트 기준으로 매집할 자리로 보이는건 22600 - 24000원 입니다. 시장가 30000원 부근도 1차로 진입 해볼만한 자리라 판단
위 저항라인 25 / 27 / 33 / 40 체크
(저항라인은 분할로 수익을 챙길 구간)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이제는 ‘보유’가 아니라 글로벌 기업 생존전략의 한복판이다🔥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이제는 ‘보유’가 아니라 글로벌 기업 생존전략의 한복판이다” 🔥
기업들이 지금 가장 무서워하는 건 변동성이 아니라 안전하게 굴릴 수 있는가야.
은행 예금만으로는 답이 안 나오고, 현금만 들고 있자니 기회가 날아가고, 그래서 다들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에 눈독을 들이고 있지.
(이어서 계속👇)
1️⃣ 💰 16조 달러 – 글로벌 기업들이 들고 있는 현금성 자산 규모야. 근데 이 돈의 0.5%만 비트코인·이더리움 같은 디지털 자산으로 옮겨와도 시장에 800억 달러가 유입돼. 기업 트레저리의 작은 조정이 곧 시장 판도 뒤집는 파급력이 된다는 거지.
2️⃣ 🏦 한국 기업의 평균 현금성 자산 비율은 총자산의 약 14% 수준. 이 중 1%만 디지털 자산으로 배분해도 수조 원 규모의 시장이 열려. 그냥 ‘투자’가 아니라 밸런스시트 전략이 돼버리는 거야.
3️⃣ 🔐 커스터디(수탁) 시장만 해도 2028년까지 130억 달러 규모로 커진다고 전망돼. 단순 보관이 아니라 다중승인·MPC·규제 준수까지 기업 맞춤형으로 진화하는 중. “보관=안전”이라는 등식은 옛날 얘기라는 거지.
4️⃣ 📊 기업 재무팀이 원하는 건 변동성 극복보다 회계처리·세무 기준의 명확성이야. 실제로 한국 상장사 CFO 10명 중 7명이 “회계 기준 불확실성 때문에 도입 망설인다”고 답했어. 제도화가 ‘도입 버튼’이라는 얘기.
5️⃣ ⚖️ 글로벌 규제도 움직여. 미국 SEC·유럽 MiCA·한국 가상자산법이 줄줄이 정비되면서, 기업들은 “이제 법적 울타리 안에서 굴릴 수 있겠다”는 확신을 얻고 있어. 규제가 리스크가 아니라 도입 촉진제가 되고 있다는 거지.
6️⃣ 🚀 MicroStrategy 사례가 대표적이지. 기업 자산의 80%를 비트코인에 박아서 지금 평가액이 100억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야. 한 회사의 선택이 글로벌 CFO들에게 “우리도 늦으면 바보다”라는 압박으로 번지고 있어.
7️⃣ 🌐 한국 디지털 자산 수탁사들도 이미 움직이고 있어. 금융권 출신 보안·내부통제 모델을 가져와서 기관·기업 맞춤형 서비스 구축 중. 해외에선 Fireblocks, Anchorage가 치고 나갔다면, 한국에선 이들이 시장을 연다는 거지.
8️⃣ 🏗️ 앞으로 RWA(실물자산 토큰화) 와 연결된 트레저리가 핵심이야. 단순히 BTC·ETH 보관이 아니라, 달러채·부동산·탄소배출권까지 온체인 자산으로 담는 구조. 기업 자산구성이 완전히 토큰 기반 포트폴리오로 바뀔 수 있다는 거야.
9️⃣ ⚡️ 기업 입장에선 디지털 자산은 단순한 리스크가 아니라 헤지 수단이야. 예를 들어 원·달러 환율 리스크를 BTC 일부로 흡수하면, 환노출을 분산할 수 있거든. 실제로 IMF 보고서에서도 “BTC가 일부 신흥국 통화와 음(-)상관”이라고 지적했어.
🔟 🔮 결론은 간단해. 5년 내 글로벌 상위 500대 기업 중 최소 절반 이상은 트레저리에 디지털 자산을 포함할 거야. “가지고 있냐 없냐”가 아니라 “어떤 비율로, 어떤 구조로”라는 질문으로 바뀌고 있다는 거지.
👉 결국 포인트는 이거야.
“디지털 자산 트레저리, 더 이상 옵션이 아니라 필수다.”
기업의 생존·성장·혁신을 동시에 건드리는 새로운 기본 전략이라는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