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ereum Expected Analysis Chart for Day 1📊 Chart component analysis
1. Fib Channel
The parallel diagonal bands (green/red) shown in the chart are Fibonacci channels.
Rising channel (green): an expansion path to follow if prices rise.
Down channel (red): expected turnaround/adjustment interval in the event of a fall.
In general, the centerline (0 to 1 section) acts as a key support/resistance, and the extension lines (1.618, 2.618…)…) is used as an extreme target.
2. Box area (horizontal stand box)
White/Gray Box = Key sales stand (supply/demand zone).
Displays the short-term adjustment interval or strong support/resistance interval expected by chart writers.
This box is usually interpreted as "the section where prices are likely to return".
3. Elliott Wave Structure (WXYXZ)
(W), (X), (Y), (Z) labels are visible.
This is not a simple 1-5 wave, but a complex adjustment wave (WXYXZ).
Interpretation:
Waves: First adjustment interval
X Wave: Rebound Section
Wave Y: Next Decline Adjustment
Z Wave: Possible further expansion adjustments
In other words, this analyst is simulating a composite pattern in which adjustments are repeated, not just straight rebounds.
4. Price Targets
Right red lines: Target at the drop (2,093 / 1,619 / 1,153 / 651 USD).
Right green lines: Target at rise (over 5,370 USD).
These lines are the target level based on the channel + Fibonacci expansion ratio.
📌 How to view from a professional perspective
Check your current location
ETH near $4,300 → rising channel break, near Fibonacci 0.618 to 1.0.
This means "neutral point", so both up and down possibilities are open.
Scenario A (rising)
Target to expand to → 6,000 to 7,000 at the top of the channel ($5,370).
In this case, the WXYXZ adjustment pattern is invalid.
Scenario B (adjusted/declined)
4,100 Collapse → Enter the block for sale, 3,115 (Major Support) Testable.
If the box is subsequently broken, 2,093 → 1,619 → 1,153 → 651 stepwise support is possible.
Trading Strategy Implications
LONG STRATEGY: Enter after confirming 4,100 retention → Target for liquidation above 5,370.
SHORT STRATEGY: Short term short → 3,115 / 2,093 split liquidation when confirming 4,100 collapse.
For mid- to long-term investors, the 3,100-2,000 section can be interpreted as a buying opportunity zone.
✅ Conclusion
This metric is not just a prediction, it is a tool for presenting composite scenarios.
Green Channel = Rise Path
Red channel = path down
Box = Key support/resistance interval
WXYXZ = Composite Adjustment Wave Scenario
In other words, the chart is a conditional visualization of "where to get a buy/sell advantage",
In actual trading, the key is to check which box the → price protects or breaks down before responding.
차트 패턴
페페 PEPE 느리지만 조만간 상승 나온다페페 1000PEPE (현물관점도 동일)
PEPE LONG +247% ⬆️
PEPE SHORT +385% ⬆️
해외는 1000PEPE로 차트로 봐드리겠습니다.
단위는 PEPE 단위 X 1000 하시면됩니다.
이번주는 남은 주봉 마감까지는 횡보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단타보다는 눌림에 물량을 늘려가는 방향으로 잡아가세요
0.00920 - 0.00925달러 (업비트 기준 0.013원 부근) 구간의 지지를 충분히 받으면서 하락쒜기를 위로 돌파해주면 충분히 0.01349달러 (업비트기준 0.02원)까지도 뚫어줄 수 있다고 판단
지지라인을 지켜주고 있으니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존에 0.0058달러에 잡은 롱포지션에서 비중을 하락추세선을 돌파시 추가할 예정
숏 포지션은 현시점 50% 분할 종료 후 SL 본절셋팅 해두었습니다.
이제는 이번주 횡보를 지나고 다음주부터 사고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0.01달러 돌파를 하였고 안착만 해준다면 충분히 상승흐름이 좋을 것으로 보임
지금까지 트레이딩 피로도가 쌓여있으신분들 또한, 고점에 물려있으신분들은 비중추가해서 탈출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아직까지는 느리지만 충분히 긍정적이다
하이퍼리퀴드는 얼마나 더 높이 올라갈 수 있을까?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하이퍼리퀴드는 얼마나더 높이 올라갈 수 있을까?
지금 이 순간, 디파이 판도가 ‘현물’에서 ‘영구선물’로 갈아타는 중
수요는 가속, 점유율은 우상향, 프리미엄은 이유가 있어
끝까지 보면 왜 이번 사이클의 스포트라이트가 여기로 쏠리는지 납득될 거야
시총 ~$16B (출시 이후 알트 대비 +417% 상대초과 수익 구간 경험)
TVL ~$2B vs 경쟁 DEX ~$6B 대비 시총 프리미엄 ~ 3배
디파이 파생 거래량 내 점유율 급증, CEX(바이낸스) 대비 ~16% 수준까지 추격
성장 엔진(수요 측)
Perp(영구선물) 거래량 구조적 확대 → 낮은 수수료·롱/숏 양방향·고빈도 친화
일간 거래액 ~$30B, 오픈이자(OI) ~$15B 카이네틱스 축적
슬리피지 하락·펀딩 안정화 → 기관/퀀트 참여 유인 ↑
일간 고유 트레이더 수 증가 추세(활성도 모멘텀)
토크노믹스(공급 측)
유통량 ~373M → 최대 1B(상한) 확장 경로
스테이킹 수수료 할인 : 10개 스테이크 5%↓, 100개 10%↓ … 거래량↑ → 스테이킹 수요↑ → 유통 축소 압력
수요 성장률 > 공급 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나?
밸류에이션 시그널
TVL·수수료 기준 전통 DEX 대비 고평가(프리미엄)처럼 보이나, 마켓 구조 전환(현물→파생) + 점유율 탈취(중앙화→탈중앙)가 프리미엄의 논리
상대강도 : 런칭(24.12) 이후 알트 바스켓 대비 누적 +417%, 최근 레인지 상단 재도전 → 상단 돌파 시 가격발견(Price Discovery) 2막
HYPE LONG +140% ⬆️
(현물기준 +16% 상승)
단기눌림 자리에서 말씀드린뒤 +16% 상승
단기 저항 라인은 돌파했고 메인저항라인 까지 돌파했습니다.
이번상승이 페이크 상승인지는 더 지켜보면서 대응하시면 되겠습니다.
49달러 위에만 안착해주면 54달러 / 58달러까지 가능합니다
페이스 상승일경우 33달러까지 열려있습니다.
만약 박스 중단부를 이탈하게 되면 43달러 까지도 볼 수 있으며, 추가로 하단부까지 41달러 부근에서 매수물량을 받으면됩니다.
에이브 AAVE 29조 잠식한 디파이 절대강자 얼마에서 강한반등 시작될까?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AAVE 에이브 (업비트 분석자료 동일)
29B TVL, 디파이 전체의 1/4 차지
5년간 해킹 無, 담보 초과 구조로 안정성 최고
크로스체인 기능으로 유동성 파편화 해결
스테이블코인·플래시론 등 혁신 기능으로 생태계 확장
바이백 프로그램 → 단순 거버넌스 토큰을 가치 환원 토큰으로 변신
경쟁사 대비 저평가 + 상승장 베타 수혜 가능성
하지만, 에이브는 소수 고액 사용자에 좌우되고 있어 디파이 생태계의 불균형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만약 사용자 경험개선 + 접근성 제고 등 온보딩 전략이 나온다면 +50% 상승이 기대
차트상으로 보면 간단합니다.
컵앤핸들 + 주요 매물대 지지
노란색박스를 지켜준다면 상승의 가능성은 크게 보고 있습니다.
(278 - 300달러 // 😇39만원 - 41.8만원)
단, 해당 매물대는 여러차례 반등이 나왔던 구간 + 9월의 하락장 + 박스권형성 이 잦았기 때문에 이번에도 동일하게 하방으로 휩쏘를 한차례 줄 수 있습니다.
미리 준비해 두시면 됩니다.
위 저항라인 $360 / $395 / $430
(47만원 / 54만원)
아래 지지라인 $270 - $285 / $245 - $255(휩쏘가능한 자리)
노란색박스를 이탈하면서 244달러 부근에서 휩쏘까지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결국 중요한건 315달러 + 하락추세선의 돌파흐름 아닐까 생각
에테나 ENA 1달러 이상도 가능한이유ENA 에테나 (현물관점도 동일)
ENA DAT 기업인 스테이블X가 USDE 티커로 나스닥 4Q에 상장 예정입니다.
현재 ENA의 수익은 대부분 USDe의 보상으로 나눠주고 있습니다.
연간 10억달러의 Fee가 발생할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부분에서 만약 10%만 ENA의 바이백이나 홀더에게 나눠주기만 해도 년 1억달러의 매수압력이 생기는것입니다.
Fee switch가 실행되기 위한 조건
1. USDe 유통 공급량 : > 6b$
➡️ 현재 12.3b
2. 누적 프로토콜 수익 : > 250m$
➡️ 현재 누적 수익 545m
3. Top5 거래소중 4개 USDe 상장 (binance or okx) 남음
차트상으로 이쁘게 조정이 나와주고 9월초에 하락추세 돌파하는 위치에 이미 도달해있습니다
에테나는 하락삼각수렴 + 382 되돌림 + 기간조정 4파
조건으로 상승할 이유는 충분하다 판단
아래 0.549 - 0.5895 이탈 롱 스퀴징이 나오더라도 이 매물대를 지켜준다면 최대 기대치 1달러까지도 가능하다고 보고있습니다.
업비트기준으로는 820원 - 850원 자리를 준다면 충분히 진입가능하며 현재가 부근 860원 - 900원 사이도 1차 진입가능
빨간색 예상 시나리오 참고
좀 더 상승추세를 확인하려면 빨간색 하락추세선을 돌파후 리테스트시 진입하면, 좀 더 확실한 타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부근에서 Fee switch가 작동한다면, 차트상으로도 1달러까지 충분히 가능하다 판단
9월 8일 이더리움 (기술적) 분석 관점뷰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제로입니다
매일 오후 1시에서 2시사이 CMC(Coinmarketcap) 기준 상위 시총 15위에 포함된 종목들에대해
데이뷰 , 중기 , 중장기뷰를 올릴예정입니다
오늘은 그중 근래 변동성이 높고 변칙적인 리플에대해서 관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종목들의 기술적 분석은 바이낸스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현재시간 9월 8일 PM 12:39 기점으로 이더리움 선물차트(ETHUSDT.P) 1시간봉 분석 뷰 입니다
일단 추세 분석 및 상단 하단 현재 이더리움의 가격 밴드등을 분석하기위한 축(T.L)을 긋기위한 가격선정은 이렇게 보시는것처럼 T1, T2 라인으로 잡았습니다
(가격을 기반으로 축을 잡은 상태) , 대부분 저는 여기서 축을 잡을때 단순 추세라인을 잡는것이아닌 빗각을 기준으로 라인을 잡습니다
이후 기울기가 상승추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채널리은 저점을 기반으로 그어줍니다
그후 채널을 연결지어 밴드라인을 구축하면 이렇게 현재 이더리움의 추세흐름고 동시에 상하단 밴드라인 그리고 현시점 매수 유리일지 매도유리일지 볼 수 있습니다
현재는 몇일간 지속적으로 추세 중심축과 함께 밴드상단안에서 변동폭을 보이고있으며
가격적인 측면으로는 4400선에대한 안착이매우어려운 흐름을 이어갑니다
단추세 밴드축과 중심추세선쪽에서 변동폭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횡보성 추세흐름을이어가는 이더리움은 현재 추세 중심선 밑으로 다시 이탈할지 반대로 다시한번 단 추세 중심축을 돌파할지 여부로 추세흐름 보고있습니다
상단 돌파 여부는 4360 , 하단 이탈 여부는 4264 구간으로보고 있습니다
현시점 단기성 매수 타점 : 4292
현시점 단기성 매도 타점 : 4360
주요 저항대 : 4392 ~4388
비트코인이 why? 9월 폭락 이후 강세장 폭발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1) 메인 시나리오 — 20주선 지키고 10월 가속
조건 : 9월 내내 20주선 위에서 버텨야 돼
트리거 : 주봉에서 20주선 재확인 후 양봉 전환, 월봉은 윗꼬리 짧고 실몸통 회복
그다음 그림 : 지배도 U턴 상승 → 알트/BTC 페어 추가 하락(알트는 USD 기준으론 횡보~약세 섞임) → Q4 신고점 시도까지 열림
숫자 포인트 : 지배도 66% 뚫으면 다음 파동 68~70%도 볼 수 있음(과거 0 618 · 0 786 돌파 패턴 근거)
2) 보조 시나리오 — 20주선 이탈 → 50주선 터치 후 재상승
조건 : 일단 20주선 이탈, 대신 주봉 50주선에서 반등 시도
트리거 : 50주선 터치 후 주봉 반전 + 거래량 회복
그다음 그림 : 10월 랠리 가능성은 유지, 다만 3~6주 컨솔 거치면서 속도는 둔화
지배도 방향 : 내려가는 게 아니라 상승 유지 쪽(시장 자금이 알트보다 메이저 선호)
경로가 달라도 결론은 비슷해 9월에 지배도 바닥 찍고 → 10월 상승 확률이 높다 즉, 자금은 결국 메이저로 회귀한다는 얘기
✅ 시즌 데이터 한 번에 정리
6월 알트 시동 : 2022 · 2023 · 2024 · 2025 공통 패턴(알트가 BTC 대비 잘 뛰던 시기)
8월 고점 → 9월 저점 : 2017 · 2020 · 2021에 반복
예외(톱 전환) : 2018 · 2019 → 그래서 9월은 항상 주의
올해(2025) : 8월 월봉 -6~12%로 마감했지만 장중 신고점 갱신 → 패턴상 이상 없음
숫자 체크 : 9/1 저점 107 3K(8월 저점보다 더 낮음) → ‘9월 저점’ 성립 가능성 열려 있음
✅ 체크리스트
주봉 · 월봉 지배도 : 9월에 저점 신호 나오는지(아랫꼬리 길이, 몸통 전환)
20주선/50주선 거리 : 20주선 지지 유지인지, 아니면 50주선 근접 · 터치 반응 나오는지
알트/BTC 페어 : 저점 이탈하거나 반등 실패면 메이저 회귀 가속
현 · 선물 베이시스/펀딩 : 레버리지 과열 · 역전 체크(스퀴즈 대비)
현물 · ETF 흐름 : 유입 전환이면 리스크온 강도↑
거시 캘린더 : CPI · FOMC · 고용 같은 변동성 트리거 동행 체크
운용 팁 : 알트/BTC 추세 하락이면 대형 · 실적형 위주, 테마 단타는 빠른 손절 · 회전
필요한 포인트만 딱 보면서 가자 9월은 방향을 정하는 달, 10월은 속도 싸움
비트코인 올해 9월 하락장보다 강세장이 먼저 올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1번차트로 먼저 간단하게 금일 시황을 보고 있는건 상승채널 안으로 진입할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POC + 109.5K 위 매물대 위에있음)
일봉기준으로 지겨줘야 할 자리로는 110,500달러 위에서 마감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단기 상승의 힘은 남아있다고 보고있습니다.
아직은 박스권안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큰 흐름의 관점은 특별하게 변동되지 않았습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단기저항 111.9K - 113.2K
(이 구간을 돌파 못하면? )
단기지지 109.8K - 110K
주요지지 108.6K - 109.2K
⭐️⭐️⭐️ 트레이딩 포인트
상승채널안으로 안착하지 못하고, 추가적인 하락이 나온다?지지라인을 체크 하시면 됩니다.
급하게 추격으로 매매를 할 필요없이 주요 매물대를 기다려보시는게 지금은 최우선
이번주 수요일 PPI 목요일 CPI 발표를 앞두고있어 혼조세로 방향이 확실하게 나오지않을 수 있습니다.
BTC 포지션 공유
LONG 110,452 1만달러
SHORT 112,762 3천달러
(분할종료 SL 본절셋팅)
차트무당 마코 9월 5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9월 5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4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남겨 드렸던 자리를 복기 해보겠습니다.
4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에서는 MACD 4시간 골크가 꺽이면서 하락 우위로
바뀔 수 있는 구간에서 110,160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상승우위 패턴이 깨지면서
6시간 차트 중앙선까지 빠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설명 드렸습니다.
이 후 움직임에서도 마찬가지로 6시간 중앙선까지 터치 후 현재 반등이 나와 주었으나
4시간 차트 MACD 데드크로스 각인이 완료가 된 상태에서
상승 패턴의 힘이 많이 줄어 들어 있는 구간 입니다.
현재 자리에서 중요한 자리를 설명 드리자면
1. 110,268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를 체크 하셔야 합니다.
4시간차트 MACD 데드크로스까지 각인이 완료가 되었고 6시간 중앙선까지
터치 한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110,268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하단에 지지구간인 108,342 구간까지 밀릴 수 있고 이 구간이
4시간 6시간 지지선 구간 입니다.
최대 바텀까지 꼬리 밀릴 수 있는 조건도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2. 110,268 구간에서 지지 받는 다면 상단에 전고점 자리인 111,713 구간 저항구간
최대 112,634 자리의 각 시간대 저항선 및 일봉차트 중앙선 각 시간대 음운의 저항이
자리 잡고 있는 구간에서의 저항구간을 조심 하셔야 합니다.
현재 3주 차트 MACD 데드크로스는 유지가 되고 있는 중이며 양운의 눌림이
차트를 강하게 상승 시키기에는 힘이 부족할 수 있는 구간들 입니다.
이 구간들을 우상향 횡보하면서 상방의 차트를 만들어야 강하게 상승 할 수 있는 자리들이니
한방에 상승을 보지 마시고 천천히 우상향의 차트를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라이트코인 LTC 목표하는 가격은 130달러 라이트코인은 결국 중요한 포인트에서 상승이 나오고있음 의미있는 지지라인 POC + 일봉기준 이전 고점 매물대에서 지지받고있음
LTC +159%⬆️
라이트코인
이전 분석에서 대칭 삼각형 패턴을 만들면서 돌파 이후 되돌림이 나온뒤에 차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114.26 - 116.5 구간을 지켜주지 못했고,
주요 지지구간 + 넥라인에서 지켜주고 상승의 힘을 받고있습니다.
물론 한파동이 빠지더라도 체크한 자리들에서 잡으실분들은 매수하셔도 됩니다.
위 저항 117.44 / 118.58 / 120.09 / 121.25 / 122.42 / 123.59
아직은 노란색박스 위에 있기때문에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0.382 까지는 충분히 반등이 나올 수 있다 라고 판단은 가지고 있습니다.
도지코인 아직 한발 더 남아있습니다현재 그레이스케일, 비트와이즈 같은 대형
운용사들이 이미 DOGE ETF 신청을 완료했음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DOGE를
증권으로 안 본다는 신호를 줬기 때문에
ETF 승인 가능성이 높아짐
DOGE +300%⬆️
신규 포지션은 단기로 공략이 가능해보입니다.
아직까지는 눌림시 매수하는 관점은 동일하게 있습니다.
눌림 자리로 보고있는곳은 가틀리 패턴의 D + 816되돌림 + POC 중첩
업비트 기준으로 280원 해당 자리를 준다면 충분히 매집해볼만 합니다.
위 저항라인 0.22885 / 0.23616 / 0.25262 / 0.28760 돌파흐름이 중요
메인 매집구간은 0.2달러 부근입니다.
XRP, 드디어 ‘유동성 3단 로켓’ 점화: ETF·RLUSD·아프리카가 돈길을 연다🚨 “XRP, 드디어 ‘유동성 3단 로켓’ 점화: ETF·RLUSD·아프리카가 돈길을 연다”
사람들은 아직도 XRP를 ‘스테이블 같은 코인’이라고 놀리지만, 난 숫자를 놓고 보면 얘기가 완전히 달라진다고 본다.
소송은 2025-08에 1.25억 달러 벌금으로 정리, 남은 건 유동성 통로를 얼마나 넓히느냐다.
이어서 계속👇
1️⃣ 📜 규제 리스크는 얇아졌다: 2025-08 최종 정리로 리플 벌금 $125M 납부, 공개시장 거래의 XRP 자체는 증권 아님 취지 유지, 다만 기관판매(계약형 판매) 엔 규제 잔존—즉, “불확실성 프리미엄”은 크게 걷혔고 밸류에이션의 초점이 수요·유입 으로 이동했다.
2️⃣ 🧾 ETF 파이프라인이 실체화: 프랭클린 XRP 현물 ETF 가 Cboe BZX에 19b-4 로 올라 있고(파일 SR-CboeBZX-2025-040 ), 그레이스케일 XRP 트러스트 의 NYSE Arca 전환안도 심사 중—아직 ‘승인’은 아니지만, 절차가 공식화 됐다는 게 핵심이다. ETF는 “내러티브”가 아니라 정기적 현물매수 수요 를 만드는 기계다.
3️⃣ 🇪🇺 유럽은 ‘패스포팅’으로 폭 넓다: 리플은 아일랜드 VASP 등록 으로 EU 내부에서의 합법적 서비스 기반을 확보했고, 포르투갈 Unicâmbio 같은 PSP와 결제 네트워크를 확장 중. MiCAR 체계 하에 한 번 발판을 만들면, 서비스 확장은 행정적으로 한결 빠르게 굴러간다.
4️⃣ 🌍 아프리카는 ‘결제-송금’ 볼륨의 기회의 땅: Onafriq(舊 MFS Africa) , Chipper Cash 등과의 연결로 역외 송금·리테일 결제 로 실사용 트래픽을 키울 조건이 마련됐다. 이 지역은 모바일 머니 인프라가 촘촘하고, 전통 금융의 빈틈이 커서 체감 효용→빠른 채택 이 나오는 구조다.
5️⃣ 💵 RLUSD가 게임 체인저: 리플 달러 스테이블코인 RLUSD 는 XRPL+이더리움 양체인 발행, 유통규모 $700M+ 까지 확대 보도가 이어졌다. 결제·보험·무역금융 담보에서 단기채 유사 수요 를 흡수할 수 있고, 무엇보다 온체인 달러 결제 가 XRPL 파이프를 타게 만든다—이건 XRP 자체의 결제 레이어 네트워크 효과 로 번진다.
6️⃣ 🔥 공급 구조의 ‘수학’: 유통량 ≈ 59B XRP , 누적 소각 ≈ 14.1M XRP (수수료가 워낙 낮아 소각 속도는 완만), 월 1B 에스크로 해제→대부분 재에스크로 가 관례. 즉, 공급은 급격히 줄지 않지만 예측 가능 하고, 수요만 터지면 플로팅 공급 대비 가격 탄력성 이 커진다.
7️⃣ 🧮 가격 상단의 현실 체크: $100 = 약 $5.9T 시총 , $200 = 약 $11.8T (유통량 59B 가정). 이건 애플(약 $3T대)·금 ETF 총합 일부를 합친 급의 거대한 숫자다. 결론? $100 ~ $200은 ‘오늘 당장’의 예측이 아니라 ‘조건부 상한’ 이다—ETF 승인+기관 배분+결제 실사용 볼륨이 동시에 커져야 비로소 접근 가능한 영역.
8️⃣ 🧲 수요 엔진을 수치로 쪼개 본 내 기준: (a) ETF 정규매수 —미국 RIA·브로커딜러 파이프에서 수십억 ~수백억 달러/연 유입 가능, (b) RLUSD 결제 —유통 $1B→ $3B→ $5B 단계로 확대 시 XRPL 수수료·유동성 풀 동시 성장, (c) Cross-border 결제 —아프리카/유럽 페이아웃 국가 수 90+ 레벨에서 월간 처리액 수십억 달러 가 잡히면, “이건 내러티브가 아니라 숫자”가 된다.
9️⃣ 🛣️ 내가 보는 ‘현실적 로드맵’(12~~24개월): ① ETF 승인 (감시공유·커스터디 명확화) → ② RLUSD 유통 $3B+ & 주요 PSP 5곳 이상 상용화 → ③ XRPL 월간 결제액 두 자릿수 억 달러→십억 달러대 안착 → ④ 유럽 패스포팅 국가 5~~7개 실서비스 . 이 4단계가 데이터로 체크 되면, 멀티플 재평가가 온다.
🔟 🎯 가격 시나리오를 숫자로 솔직히: 보수(ETF 지연·RLUSD $1B 미만) $0.6 ~ $1.2 , 기준(ETF 승인·RLUSD $2~~3B) $1.5 ~ $3.0 , 공격(ETF+유럽 패스포팅 확장·아프리카 결제 급증·RLUSD $5~~10B) $5 ~ $10 . $100 ~ $200은 ‘조건 충족형 장기 상단’ 으로 남겨둔다—그게 수학적으로 정직하다.
➕ 한 줄 결론: 내 포지션은 간단하다— 소송 불확실성은 역사 속으로, 이제는 RLUSD·ETF·아프리카/유럽 실사용 데이터가 가격을 끌어올릴 차례 다. 숫자가 쌓이면 내러티브는 따라온다.
트럼프는 이미 계산 끝냈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달러 철도’다🚨 “트럼프는 이미 계산 끝냈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달러 철도’다”
한 줄 요약? 현금흐름·정산·국채 수요·AI 에이전트까지, 모든 길이 스테이블코인으로 수렴 중.
시총은 이미 약 $2,846억, 온체인 결제는 사상 최대—이건 내러티브가 아니라 데이터의 방향성.
이어서 계속👇
1️⃣ 🇺🇸 2025-07-18 GENIUS Act 통과 ✅ — 발행사는 1:1 전액 준비금(현금·단기 T-Bill 등), 월별 공시·감사, 발행사 이자지급 금지, BSA/AML 준수 의무까지 정리됨; 핵심은 “규제 명확성→기관 돈 유입”이고, 준비금의 단기 국채 편입이 허용되며 스테이블코인 성장 = T-Bill 고정 수요가 된다는 점이 포인트. 💵📈
2️⃣ 🇪🇺 MiCA는 더 빡셈 🔒 — 비유로 EMT/ART가 EU 내 하루 100만건 또는 €2억 초과 시 발행 억제·감축 플랜 요구, 발행사와 서비스사 모두 이자·보상 금지. 미국은 성장을 설계했고, 유럽은 안정과 통화영역 보호를 최우선으로 깔았다. ⚖️
3️⃣ 🌏 아시아는 각개전투 🎌🇸🇬🇭🇰🇰🇷 — 일본: 은행·신탁·자금이체업자만 발행 가능(보수적 안정모델). 싱가포르: 단일통화 SCS(USD/SGD) 1:1 상환·감사·거버넌스 완비(샌드박스형 성장모델). 홍콩: 2025-08-01 라이선스 발효(국제허브형). 한국: 2025-06 법안(안) 발의 + 2024-07 이용자보호법 체계, 한은은 “은행 중심·점진 도입” 기조로 통화주권 리스크 관리 중. 🧭
4️⃣ 💵 국채수요의 자동화 스위치 — 준비금 구성이 단기 미 국채 중심이면, 발행잔액↑ = T-Bill 매입↑. 금리가 0에 수렴해도 “사업하려면 사야 하는” 구조가 생김. 이게 트럼프식 “달러 패권을 디지털로 연장”의 실무적 핵. 🧲
5️⃣ 🛒 실제 결제의 변화: Visa·Mastercard·Stripe·Shopify — USDC 등으로 가맹점 정산을 붙이니 D+일 정산이 실시간에 가까워지고, 수수료·환전·차지백 리스크가 눌린다. 전자상거래·구독·크로스보더 B2B가 먼저 체감, 온·오프램프 UX가 붙으면 소비자 측도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
6️⃣ 🧾 기업 재무팀의 계산기 — 무역대금 T+2→분·초 정산, 환변동 노출시간 축소, 미수금 회전일 단축, 현금등가물 관리 가시성↑. 회계정책(상환권, 커스터디, 보험)만 잡으면 “현금흐름 최적화 → WACC 하방압력” 경로가 열린다. 📊
7️⃣ 🏦 CBDC vs 민간: 경쟁이 아니라 역할분담 — 전세계 중앙은행의 90%+가 CBDC를 파일럿 중(공공목적·보조금·정책수단), 민간 스테이블은 글로벌 상업결제·플랫폼 내 소액결제에 최적. 초기 균형은 “CBDC(공공) + 민간(S2B2C)” 공존으로 수렴. 🧩
8️⃣ ⚠️ 리스크의 본질과 체크리스트 — (1) 준비금 품질·듀레이션 (2) 법적 상환권 (3) 일일/월간 리포팅과 실사 (4) 커스터디 분리·보험 (5) 발행·유통 상한(런 방지). BIS가 경고하는 “런/통화단일성 훼손”은 설계로 줄일 수 있다. ✅
9️⃣ 🤖 AI 에이전트 경제권의 결제층 — API 호출·데이터 구매·미세작업이 폭증하면, 은행계좌 없는 에이전트에게 필요한 건 프로그래머블 머니. HTTP 402·온체인 서명·소액결제는 스테이블코인이 딱 맞다. 한국이 원화형을 못 깔면, 에이전트 경제의 화폐층은 달러 스테이블이 차지한다. 🧠💳
🔟 📅 12~18개월 로드맵(내 뷰) — 미국: 은행·빅테크·네트워크의 상용사례 급증 → 시총 $4,000억대 가시권. EU: 유로 EMT 위주 ‘역내 결제’ 최적화. 아시아: 홍콩 라이선스 1세대 출현, 한국은 은행발행+민간참여 혼합모델 시동. 투자·사업 포지션은 “결제스택(게이트웨이·오프램프) + B2B 세틀먼트 + 리스크관리 레이어(준비금·감사·보험)” 3중축이 유리하다. 🚀
달러가 터지면 비트코인은 날아간다 – 이번 사이클은 진짜 세대교체급이다🚨 “달러가 터지면 비트코인은 날아간다 – 이번 사이클은 진짜 세대교체급이다”
미국 정부가 지금 겪는 건 단순한 경기침체가 아니라 재정 지배(Fiscal Dominance) 국면이야. 금리를 낮추지 않으면 나라가 굴러가지 않고, 낮추면 돈이 홍수처럼 풀려. 이 유동성이 흘러갈 최종 종착지가 어디냐? 바로 스테이블코인 → 비트코인 루트라는 거지.
이어서 계속👇
1️⃣ 💵 유로달러 규모: 10~13조 달러
미국 은행권 밖에 쌓여 있는 달러가 이 정도야. 문제는 이 돈이 미국 국채를 안 사. 안전자산으로 못 흘러가고 막혀 있는 거야.
2️⃣ 🪙 해결책 = 스테이블코인
워싱턴이 찾은 묘수는 단순해. 이 달러들을 스테이블코인으로 끌어들이는 거지. 발행되는 스테이블코인 1개마다 사실상 T-빌 구매가 발생하는 구조. 미국에 ‘울며 겨자 먹기’로 돈을 빌려주는 통로가 되는 셈.
3️⃣ 🔄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의 피드백 루프
스테이블코인이 커지면 비트코인이 커지고, 비트코인이 커지면 스테이블코인이 다시 커진다. 이미 글로벌 거래쌍 1위가 BTC/USDT라는 사실이 증명해.
4️⃣ 🚀 가격 시나리오: 25만~100만 달러
Jack Mallers가 말했듯이, 이 돈이 본격적으로 디지털 레일을 타면 비트코인은 단순 ‘랠리’가 아니라 ‘발사’다. 수치만 봐도 황당하게 들리지만, 유동성 규모 생각하면 오히려 보수적일 수 있음.
5️⃣ 📉 금리 = 수학 공식
2008년 미국 부채/ GDP는 64%였는데 2025년엔 130% 넘김. 이자비용만 GDP의 3%까지 치솟음. 해결책은 뻔해. 지출을 반토막 내거나 금리를 제로 근처로 박아버리거나. 답은 후자.
6️⃣ 🏛️ 트럼프 행정부와 Fed 장악 시도
트럼프 진영은 이미 Fed 이사 교체, 감사, 인플레이션 타깃 변경까지 밀어붙이고 있음. 이유는 단순: 금리 인하 없이는 재정이 버틸 수 없음.
7️⃣ 🏠 부동산 긴급사태 카드
“가을에 주택 긴급사태를 선포할 수 있다”는 베서트의 발언도 결국 금리 인하 명분 만들기. 부동산을 핑계 삼아 유동성 폭발을 정당화하겠다는 수순.
8️⃣ 🌍 34조 달러 기회
유로달러(10~13조) + 글로벌 사우스 예치금(21조) = 34조 달러. 이 중 일부만 스테이블코인에 흘러들어도 비트코인은 역사적 상승을 맞게 돼.
9️⃣ 🪙 글로벌 패권 게임
ECB·중국 PBOC가 경계하는 이유도 여기 있어. 스테이블코인이 퍼지면 달러 패권은 더 단단해지고, 그 레일 위에서 비트코인이 서사를 독식해버리거든.
🔟 🔥 결론: 이번 사이클은 ‘슈퍼사이클’
이건 단순히 다음 불장이 아니라, 달러 시스템 자체가 비트코인을 키우는 ‘정책적 구조’로 진입하는 구간이야. 앞으로 남은 건 언제 폭발하느냐뿐이지, 폭발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냐.
[BTC & Gold] 금이 선행지표가 될 수 있을까? – 비트코인 사이클 해석📖 본문
비트코인이 어느 정도 인지도를 가지게 된 2017년 이후의 차트를 같은 기간의 금의 차트와 비교해보겠습니다.
차트를 비교해보면, 금(Gold)이 먼저 방향을 잡고 디지털 골드라 불리는 비트코인(BTC)이 뒤따라가는 패턴이 여러 번 관찰됩니다.
1️⃣ 2018년 말 – 골드 반등 → 비트코인 상승
금은 2018년 하락을 마무리하고 먼저 반등 시작.
비트코인은 그보다 늦게 바닥을 찍고 2019년 반등.
👉 골드가 선행 지표 역할.
2️⃣ 2020년 코로나 – 골드 리스크온 신호
팬데믹 직후, 금은 급락 후 빠르게 V자 반등.
비트코인은 더 늦게 바닥을 찍고 급등.
👉 안전자산이 먼저 반응, 신흥 위험자산이 뒤따름.
3️⃣ 2022년 금리 인상기 – 골드 약세 → BTC 폭락
인플레이션 피크 기대감으로 금 약세 전환.
그 이후 BTC는 루나·FTX 사태와 맞물려 대폭락.
👉 골드가 방향 전환을 미리 보여줌.
🔑 왜 골드가 선행할까?
자금 성격 차이
골드 = 기관·중앙은행이 매매하는 안전자산
BTC = 개인·고위험 자금이 뒤따르는 자산
달러 & 유동성 지표
골드 상승 → 달러 약세·유동성 확대 기대
비트코인에 긍정적 파급
심리 확산 속도 차이
골드가 먼저 움직이고, BTC가 더 늦게 더 크게 반응
📊 현재 금 가격 상황
3,500달러 이상에서 거래되며 사상 최고치 부근 유지.
중장기 추세: 2018년 저점을 찍은 뒤 7년간 꾸준히 우상향.
최근 상승 배경:
달러 약세 전환 기대감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지속
차트상으로는 단기 과열 구간이지만, 여전히 강한 매수세가 유지되고 있음.
✅ 비트코인 관점
👉 과거 패턴대로라면, 금의 강세는 비트코인에도 중기적 상승 압력을 줄 수 있음.
현재 BTC는 단기적으로 조정 구간에 있지만, 골드가 보여주는 강세 흐름을 고려하면 추세적 상방 재도전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관점대로 진행중주황색 박스 라인 수차례 지지를 해주던 라인을 결국 어제 기회가 왔지만 탈환하지 못했습니다.
이로써 올라온 파동을 반등파동이라고 개인적으론 확신하는 자리가 되었고
포지션 유지는 깔끔하게 해냈습니다.
차트는 유동적이라 어떻게 분위기 반전을 이뤄낼지 모르겠지만
현재까진 그렇습니다.
103.5~104.5K 유의미한 차트 반전 기대구간
( 상승장으로 가는 자리라는 확신은 감히 하지 못합니다 아랫구간도 존재하기에 시장분위기에 따라 달라질듯)
비트와 알트 (솔라나, 이더리움) 배율 낮춰 강하게 비중실어 진입예정
하루종일 분석하며 수백번 수천번 백테스팅해서 내가 수익보는데 여러분들도 열심히 시장참여 하셔서
좋은 인사이트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올라가면 알빠노 추매를 하던 던지고 눌림에 롱을타던 저는 무당이 아니기에 대응하나는 끝내주게 잘합니다. 곧 트뷰 분들만 모실수있는 소통창구 하나 만들려고 하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