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 끝나자마자 불붙은 시장 — 지금은 ‘랠리’가 아니라 ‘리셋’이다”🔥 “셧다운 끝나자마자 불붙은 시장 — 지금은 ‘랠리’가 아니라 ‘리셋’이다”
40일 멈췄던 미국 정부가 다시 돈을 돌리자 시장이 바로 반응했다.
비트코인은 $106,197, XRP는 $2.53, 코인베이스는 7년 만에 ICO 플랫폼을 열었다.
이건 단순 반등이 아니라 자금 회로의 복구야. (이어서 계속👇)
1️⃣💥 40일 셧다운 종료 신호 = 비트코인 $106,197 복귀
40일간의 셧다운이 끝난다는 트럼프 한마디에 BTC가 단숨에 $106k 회복. 정치 리스크 프리미엄이 빠지자 유동성이 되돌아왔다. 이건 ‘공포의 끝’이 아니라 ‘자금 재가동’의 첫 단계다.
2️⃣🚀 빗썸 157,138,000(+1.08%) → 한국이 먼저 반응했다
원화 시장이 미국보다 한발 빨랐다. 빗썸 기준 1억 5,713만 원 돌파. 한국 리테일은 글로벌 헤드라인보다 ‘감(체결 속도)’으로 움직인다. 이번에도 유동성은 아시아에서 먼저 깨어났다.
3️⃣📊 폴리마켓 85% → 가격보다 확률이 먼저 움직였다
“11/12~15 종료” 확률이 85%로 치솟자 숏 포지션이 순식간에 녹았다. 시장은 뉴스보다 ‘확률의 변화율’에 반응한다. 정보보다 베팅이 빠르고, 이게 지금 랠리의 구조야.
4️⃣🏛️ 상원 절차 통과 + 트럼프 수락 발언 = 불확실성 제거
11/9 상원 통과, 11/10 “아주 빠르게 나라를 연다” 코멘트. 연방정부 재개로 행정·지표·예산이 동시에 돌아가면 ‘데이터 공백’이 해소된다. 시장은 이걸 ‘리스크온 트리거’로 본다.
5️⃣💰 코인베이스 7년 만의 공개판매 복귀, 첫 주자는 Monad
11/17~22 판매, USDC 결제 + KYC 필수 + 6개월 락업. 여기에 ‘빠른 매도 시 향후 배분량 감소’ 알고리즘까지. 2018년식 투기판이 아니라 ‘합리적 자본 배분 플랫폼’으로 진화했다.
6️⃣🧩 11/24 Monad 메인넷 = 이벤트 체인 완성
판매 끝나자마자 메인넷 런칭. 즉, 자금 유입(세일) → 온체인 활동(런칭) → 거래량 확산의 3단 연쇄. 이건 단순 이벤트가 아니라 ‘유동성 체인 재점화 장치’다.
7️⃣🏦 Strategy, BTC 487개 추가 매수 → 총 641,692 BTC 보유
평단 $102,557, 약 $49.9M. 이젠 기업이 시장의 ‘현물 마켓메이커’ 역할을 한다. 총 보유액 약 $68B(한화 98조 원). 이 정도면 코퍼레이트 중앙은행이다. 조정이 나와도 이런 손은 바닥을 받친다.
8️⃣⚙️ CME 갭 $102k~$103k = 단기 조정 신호지만 방향은 위다
주말 펌핑으로 생긴 갭이 남아 있지만, 갭 메우고 가는 건 추세 강화 패턴이다. $103~104k는 리스크 리셋 구간. 오히려 단기 하락은 체결 기회다.
9️⃣📈 XRP $2.53(+7.18%) = ETF 기대감 폭발, DTCC 5개 등록 확인
21Shares, Franklin, Bitwise, CoinShares, Canary까지 모두 DTCC 백엔드 등록. 하지만 DTCC 등재 ≠ SEC 승인. 지금은 ‘루머 매매’ 구간이다. 진짜 상승은 승인 공문 뜨는 순간부터다.
🔟🔥 107k 돌파 = 박스에서 추세로 넘어가는 관문
$107k는 기술적·심리적 분기점. 위로 일봉 마감이면 110k, 심리적 12만 달러까지 열려 있다. 밑으로 밀려도 $103~104k 구간이 다시 매수세를 받는다. 박스권이 아니라 ‘유동성 박스 리셋’이다.
1️⃣1️⃣🧠 정리: 셧다운 해제 + 제도권 복귀 + 기관 매수 = 리셋의 3단 엔진
정치 리스크 해소로 ‘신뢰’ 회복, 코인베이스 공개판매로 ‘유입경로’ 복구, Strategy 매수로 ‘현물 수요’ 확보. 이 세 축이 맞물리면 시장은 구조적으로 리셋된다.
1️⃣2️⃣📅 내가 보는 타임라인 (KST 기준)
11/12~15 셧다운 공식 종료 → 11/17~22 코인베이스 세일 → 11/24 Monad 메인넷 → XRP ETF 승인 기대(11월 말).
이건 단순한 뉴스 캘린더가 아니라 “돈의 흐름이 복귀하는 스케줄표”다.
〽️ 결론 — 지금의 $100k대는 ‘고점’이 아니라 ‘기준점’이다.
셧다운이 끝났다는 건 단순히 정부가 열린 게 아니라, 자금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ETF, ICO, 기관 매수가 한꺼번에 돌아온다.
이건 반등이 아니라, 2026년 슈퍼사이클의 예고편이다.
차트 패턴
FIL 파일코인 이번에 한번더 상승이 나올까?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FIL 파일코인
업비트 현물 분석
파일코인은 DePIN 열풍에 최근에 급등세가 나왔던 코인입니다.
DePIN = 데이터 저장 인프라
간단하게 실제 물리적 인프라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분산 운영한다 더 쉽게 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대규모 데이터 저장 수요가 늘어나면 파일코인의 실질적 활용가치가 조명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저항라인 3.237 / 5.092
(업비트 기준 5000원 / 7400원)
주요지지라인 2.373
(업비트 기준 3133원)
한번 이슈받았던 코인들은 한차례 반등이 나오는 경우 or 반등나왔던 자리까지 빠지는경우 두가지입니다
리스크관리 꼭하세요
🔍🔍🔍 보유포지션
LONG 순환매로 포지션 잡고 있습니다
11월 10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지금 자리에서 버틴다면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1월 10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10일 월요일 비트코인에서는 저번주 주봉차트 지지선 및 3주봉차트 중앙선을
터치 한 비트코인이 현재 구간에서 어떤 움직임을 주느냐가 관건 입니다.
저번주 금요일 07일 남겨 드린구간에서 캔들들이 생성 되기 전 움직임에서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자리들을 설명 드렸고 이 후 움직임에서
상승하면서 마무리가 되었지만 아직까지 음운들이 두꺼운 자리들 이기 때문에
조심하셔야 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현재 구간에서 주요 내용 정리 해보겠습니다.
1. 각 시간대 음운의 저항구간 및 저항선이 살아 있는 자리들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비트코인이 현재 구간에서 상승한다면 상단에 106,651 자리의 8시간 저항선
및 전고점의 저항구간이며 4시간차트 음운이 양운으로 바뀌는 중요한 자리 입니다.
2. 상단에 저항구간 109,013 자리는 각 시간대 음운이 집합 되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강하게 올린다면 조정에 주의 하셔야 하는 자리 입니다.
3. 비트코인이 103,682 구간을 이탈한다면 각 시간대 MACD 눌림구간 및 음운의 지지라인을
이탈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이 구간은 꼭 지지 해줘야 합니다.
####종합####
현재 비트코인은 각 시간대 MACD 골든크로스가 각인이 되었으며 6시간 저항선까지
터치 하였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음운의 저항구간이 아직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따리 이 구간들을 양운으로 바꾸어 주는 작업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상단에 저항구간에서 강하게 올린다면 강하게 조정이 나올 수 있는 자리들이니
강하게 올린다면 저항을 강하게 맞을 수 있습니다.
다음주 3주봉캔들이 새로 생성될 때 까지는 어느정도의 받쳐주는 힘이 있는 자리이지만
이 구간이 무너진다면 다시 하락추세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이 구간 주의 하시길 바랍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ETF 전쟁의 끝판왕 — XRP가 진짜로 ‘제도권’을 먹는 순간”🔥 “ETF 전쟁의 끝판왕 — XRP가 진짜로 ‘제도권’을 먹는 순간”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면, XRP는 이제 ‘디지털 금융망’으로 판을 통째로 바꾸려 하고 있어.
이번 11월, 숫자 하나하나가 단순한 뉴스가 아니라 새로운 금융 질서의 신호로 읽혀.
(이어서 계속👇)
1️⃣💥 ETF 5개, 동시 출격 준비 완료 — 11월 27일 ‘자동 승인 D-Day’
지금 DTCC에 등록된 XRP 현물 ETF만 5개야. 21Shares, Franklin, Bitwise, CoinShares, Canary. SEC가 ‘이의 없음’으로 넘기면 11월 27일 자동 효력, 역사상 첫 비트·이더·리플 3파 ETF 체제가 열려. 이건 단순 코인 ETF가 아니라, 제도권 자금이 XRP 레저 위로 흘러드는 첫 관문이야.
2️⃣💰 초기 유입 예상금 12억~20억 달러 — 단기 목표가는 3.8달러
BTC 현물 ETF 초기에 55억 달러가 들어왔고, 그중 30%만 XRP로 유입돼도 약 15억 달러야. 단순 유입 비율만 계산해도 2.5달러에서 3.8달러, 52% 상승이 현실적인 수치야. 문제는 유입 시점이 아니라 ‘승인 공시 시각’이야. 시장은 이미 타이머 켜놨어.
3️⃣🏦 리플 기업가치 400억 달러 — 이미 중형 금융기관급 몸집
11월 초 Fortress·Citadel 주도의 6억 6,600만 달러 투자 유치. 밸류는 400억 달러로 평가됐어. 이건 웬만한 나스닥 상장사보다 커. S&P500 250위권 수준이지. 블록체인 회사가 아니라, “비상장 결제은행”에 가까운 형태로 진화 중이야.
4️⃣⚙️ 총 20억 달러 M&A — ‘결제 인프라 완전체’로 진화 중
히든로드 12.5억 달러, GTreasury 10억 달러. 하나는 기관 트레이딩 백엔드, 하나는 글로벌 기업 자금 관리. 합치면 XRP가 은행을 대체하는 결제 백본을 깔고 있는 거야. 여기에 스테이블코인 RLUSD가 붙으면, 중앙은행 없이 글로벌 송금 가능.
5️⃣💳 Mastercard·WebBank·Gemini — RLUSD 실결제 테스트 중
11월 5일, 리플이 발표했어. RLUSD 기반으로 카드 결제가 2~3초 내 정산되는 파일럿. 기존 카드 정산은 2~3일 걸리거든. 이게 되면 ‘송금’은 없어지고, ‘즉시정산’만 남아. Mastercard가 이걸 테스트한다는 게 핵심이야 — XRP가 제도권 정산의 백엔드로 침투 중.
6️⃣📊 기업 XRP 보유 증가 — “현금보다 유동성 빠른 자산”으로 전환
Trident Digital(5억), Webus(3억), VivoPower(1억), Wellgistics까지 최소 9억 달러 규모가 XRP로 편입. 공식 보도 기준 총합은 약 10억 달러 안팎이지만, XRP 채택 기업 수는 8곳 이상으로 늘었어. 기업이 XRP를 ‘재무자산’으로 보는 순간, 코인은 화폐가 아니라 대체결제 인프라가 돼.
7️⃣🪙 RWA 시장 2033년 18.9조 달러 — XRP가 연결할 1% = 1,800억 달러
BCG 보고서 기준 RWA(실물자산 토큰화) 시장은 2025년 0.6조 → 2033년 18.9조 달러. 이 중 1%만 XRPL이 담당해도 연간 1,800억 달러 결제량. 그게 바로 XRP의 ‘실사용 기반’이야. ETF는 입구, RWA는 목적지야.
8️⃣📉 Chris Larsen의 6천만 XRP 매도 — 나쁜 뉴스가 아닌 구조조정 신호
3분기 중 6천만 개 매도, 잔여 보유량은 23.5억 개. 표면적으로는 ‘매도 악재’지만 실제론 IPO 전 자사주 매입 준비야. XRP 토큰과 무관한 회사 주식 정리 단계. 즉, 상장 대비 자본 구조 재정비로 해석하는 게 맞아.
9️⃣📈 단기 밴드 2.3~3.0달러, 변동성 61% — ‘심리전’보다 ‘일정전’
ETF 일정 하나로 +30%, 지연 뉴스 하나로 -15%. 변동성이 아니라 일정이 가격을 좌우하는 국면이야. 지금은 기술적 분석이 아니라 달력 분석의 구간. 2.3달러는 강한 매집 라인, 3달러 돌파 시 거래량 폭증 예상.
🔟🚀 633배? 현실적으론 불가능하지만 ‘10~20달러’는 계산 나와
633배면 시총 90조 달러야. 그건 전 세계 GDP의 3배. 하지만 ETF 승인 + 은행 인가 + RWA 진입이 단계적으로 완성되면, 2030년 10~20달러 구간은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 그게 현실적인 “XRP 슈퍼사이클”이지.
결론은 간단해.
이건 투기가 아니라 제도권 편입 레이스야.
ETF 승인 → RLUSD 결제 → 은행 인가 → RWA 연결,
이 4단계가 완성되면 XRP는 단순 알트코인이 아니라 글로벌 결제 인프라의 신경망이 된다.
[koreaStock] 11월7일 정규장 조정 상황에 대한 고찰 및 다음주 예상 시나리오 -코스피 2-------------------------------------------------------
개인적인 분석 및 매수 매도 일지입니다 .
참고 만 하시고 따라서 투자는 하지 마세요.
-------------------------------------------------------
안녕하세요. 행님들 헤일로입니다. 좋은하루 보내셧는지요?
11월 7일 정규장이 마감되엇습니다.
이렇게 한주에 마무리네요 갑작스런 조정 진행 국면에
오늘도 손실 없이 잘 마무리 하셧는지 모르겟습니다.
당일 장초 급등 후 일목 구름 저항을 맞고
계단식 하락 으로 정규장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어제 장마감 상승흐름을 이어서 돌파해주길 바랫거만..
역시 갭상승시에는 갭을 매우기 위한 하락을 부르는건가..)
저번에 올렸던 11월5일 코스피 과대 낙폭으로 인한 고찰 -1 메모
(C)시나리오 진행의 완성 후 다행히 재차 반등을 시작햇습니다.
더 밑으로 빠지지 않고 반등해줌으로서
다음은 조정이 끝난후 상승 국면으로 접어들기를 바라고있는데
일단 다음주 세워볼수 있는 코스피 예상흐름은
긍정적인 시나리오로 진행시
상승 시나리오 (A)-파동
상단에 있는 차트 흐름대로 진행될 경우
(개인적으로 희망하는 차트 흐름입니다. 이대로 진행 된다는게 아님)
상승 흐름을 강하게 이어갈수 있을듯 하구요.
개인적으로는 패턴적으로도 하방 더블 바텀으로 진행되었기때문에
상승흐름으로 진행될가능성이
하락할 가능성보다는 조금이라도 높을거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음주 발생시 상승 트리거가 될수있는 이슈는
1.미장도 현재 조정 진행중인데 조정 흐름이 끝나고 강한 상승 흐름을
보여줄경우(Ai 버블관련 악재 해소)
2.미국 관세관련 대법원 판결이나오고 관세 폐지등의 결과가 나올시
3.미국 정부 셧다운 종료시
(뉴스/미하원의장=정부셧다운 종료 가능성에대하낙관적이지 않다)
4.금리인하의 추가적인 발표 및 긍정적인 시그널이 나올시
(뉴스/굴스비총재=금리인하 신중할 필요가 있다.)
5.트럼프 리딩방을 개장하고 긍정적 인터뷰를 남발할경우 (?!)
(뉴스/트럼프-주식시장 앞으로도 신고가 경신할것)
정도가 있을듯합니다 .
이번 조정국면에 트리거가된 AI버블관련 이슈및 외인 차익실현(원화약세 등) 의경우 연관된 새로은 뉴스가 나왓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뉴스/유럽연합-인공지능 규제법인 AI법안 일부 유예또는 완화 검토중 )
아무래도 미장에 영향을 강하게 받는 국장 이기 때문에
미장의 흐름을 잘 파악 하셔야 국장에 흐름을 예측하고
손익비 좋은 기술적 타점을 잡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사실 전에 잡주 타다가 계좌 녹아본 경험 다수임ㅠ)
지금 강한 탄력을 받고 꾸준히 코스피가 하락 없이 급등을하고있는데
아무래도 정부가 제시한 목표로 보고있는
코스피 5000대를 향해 가려면
오늘까지 단기 조정의 끝으로
다음 주 부터는 강한 상승 흐름을 보여주길 희망하고 잇습니다.
당일 매동은
코스피 -개인 +5218 /외인 -4970 /기관 -484
코스닥- 개인+646/ 외인+771 /기관 -974
입니다. 역시나 오늘도 개인 매수세가 강하게 들어오고잇으며
외인 기관의 쌍끌이 매도는 부정적 시그널로 해석 되긴 합니다만
선물의 경우 개인 -2072 매도 /외인 1676 매수/기관 788 매수로
긍정적 시그널을 보이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라며.
이번 조정이 마무리 되지 않았을 경우 예상 해볼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다음 하단 OB인 3800대 후반 저항라인까지
하방으로 빠질 가능성도있으므로
다음주 월요일 화요일 흐름을 잘 체크후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조정 국면의 방향성이 확실하게 나온게 아니기때문에
가능하다면 종가배팅 및 비중 배팅은 주의하시고
꼭 30프로 이상의 현금 비중은 남겨두시고 배팅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하락진행시 반등으로 본절탈출 또는 과매도인 좋은 주식을 매수하기위해서)
코스피의 상승은 대형 종목들이 주로 이끌어가는데
현재 몇몇 종목을 체크해보면
상승 흐름으로 진행시
손익비가 좋은 긍정적 시그널을 보여주는 종목들은
두산 에너빌리티 -채널하단 더블 바텀후 상승전환
삼성전자-OB 트리플바텀 터치후 상승전환
에코프로-헤드엔 숄더 진행 횡보 추세 진행 이후
하방 OB 터치후 상승 전환시(횡보 -하락 -돌파 )
SK하이닉스-채널 하단 밟고 반등
이외 네이버(채널 하단위치)/현대차(채널하단위치) 종목들은
반등시 지지후에나 체크 해보면 될듯하고
코스피의 강한상승흐름은 대형 탑10 종목들의 강항상승이
있어야 가능하므로 해당 종목들 이 다같이 동시에 강하게 반등해준다면
상승 추세 강하게 이어갈수 있을듯 합니다.
다음주 부정적 흐름으로 조정의 마무리가 끝이 나지 않은경우는
(B) 시나리오로 진행될수도 있습니다.
(A)시나리오로 진행됬으면 하는 마음이 크네요. 아직 좀더 먹고싶습니다.
차트의 흐름은 당장 다음 1분봉도 확실하게 알수없습니다.
분석은 분석일뿐투자하시는데 참고만하시고 흐름을 잘파악하시어
손실 없이 큰 수익을 얻는 다음주가 되시길 ~!!!
이상 헤일로엿습니다. 충성충성 ~!
-------------------------------------
세줄정리
1.코스피 과연 2보전진을위한 1보 후퇴인가? 그냥 후퇴인가?
2.코스피가 왕창 커져서 미장이랑 커플링좀 그만햇음 좋겟음
3.나는 아직 배고프다 제발 AAAAA!!! 상승장 외쳐~!상승장 !!!
-끝-
XRP 드디어 상승채널 상단 터치하러가나?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XRP 엑스알피
현물 포함 분석
실제로 연기금이나 대형 펀드에서 비트코인 다음 투자 대상으로 이더리움 + XRP 가 언급 되기 시작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55% 이하로 하락하는 추세가 이어지면 XRP 의 독주는 더 가속화 될 겁니다.
XRP LONG +436%⬆️
707 되돌림 구간에서 손익비가 좋았고 손절가를 터치 하지 않고 상승 흐름이 나왔습니다.
저항라인 2.55달러
(돌파후 안착이 중요)
주요지지 2.3970 / 2.23 달러
(단기눌림이 나와도 지지를 받아야하는 구간)
구간 별로 저항이 있지만 긍저적인건 2.3971달러 + 중요 EMA 돌파해준흐름은 긍정적입니다.
물론 하락이 나오면 손익비 좋은자리가 되겠습니다.
해외거래소 2.3971달러 / 업비트 3500원 부근
XRP 2.50 상단 재도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박스 상단에서 거래량 동반 시 2.70 달러 돌파 열림
🔍🔍🔍 보유포지션
XRP LONG 2.1569 1만달러 진입
11월10일 이더리움 분석 고래들은 비트코인 매도 이더리움 매수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일부 기관들은 비트코인의 자금을 빼고 이더리움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SNS 소셜 등등 관심도는 약세입니다 단 기관과 고래는 이더리움을 394K 달러 매수해주는 바닥에서 의미있는 유동성을 만들어주고 있다는겁니다.
결국에는 개미 or 단기투자자들은 포기를 외칠때 바닥에서 매집을 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대중들의 열광보다 기관 / 고래들에 매수세가 중요하다
👍 트레이딩 관점 + 심리
#1시간 프레임
예상했던 시나리오 그대로 3656달러 까지 상승하는 흐름이 나왔습니다.
해당저항은 약하지만 의미있는 저항구간이니 하락이 나오더라도 3420달러 부근을 지지받고 상승흐름이 나오는게 좋습니다.
( 넥라인 + 0.382 되돌림 + 의미있는 저점 )
3340달러 위로 4시간 프레임 기준 캔들 몸통이 위에서 마감이 되었으니 긍정적으로 보려고 해석중입니다.
단기적으로 3420 - 3480 달러 지지를 체크해야합니다. 이탈시 리스크관리가 필요
단기저항 3672 / 3920 / 4060
주요저항 3672 ⭐️⭐️⭐️
(단기 눌림 나올 수 있음)
주요지지 3420-3480⭐️⭐️
해당자리 이탈시
2900 - 2950 아랫꼬리 포함
🔍🔍🔍 ETH 포지션 공유
LONG 3,245.60 3만달러
(순환매로 평단가 작업 진행중)
셧다운 40일, $2,000 스티미, 그리고 50년 모기지 — 미국 경제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 “셧다운 40일, $2,000 스티미, 그리고 50년 모기지 — 미국 경제가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
솔직히 요즘 미국 돌아가는 꼴 보면 이상하지 않냐?
정부는 40일째 문 닫았고, 트럼프는 국민한테 2천 달러씩 뿌린다 하고, 심지어 집 대출을 50년짜리로 바꾸겠대.
이건 단순한 경기부양이 아니라 “돈의 판이 바뀌고 있는 신호” 야.
(이어서 계속👇)
1️⃣ 💥 40일째 셧다운, 하루에 30억 달러씩 증발 중 — 미국 정부가 멈춘 지 40일이야. 그동안 연방 직원 85만 명이 월급을 못 받고, 항공편의 10~20%가 취소됐어. 경제 손실만 1,200억 달러(약 160조 원) . 그냥 한 나라의 경제가 하루 단위로 피를 쏟는 중이야.
2️⃣ 💰 재무부 금고(TGA)에 갇힌 돈만 8,500억 달러 — 정부 계좌에 묶인 현금이야. 셧다운이 끝나면 이 돈이 시장으로 풀리는데, 규모가 한국 GDP의 절반이야.
즉, 버튼 하나만 누르면 시장에 돈이 폭포처럼 쏟아진다 는 뜻이지.
3️⃣ 💸 트럼프의 ‘2천 달러 스티미’, 돈의 근원이 안 보여 — 미국 성인 약 2.8억 명이니까 총 5,600억 달러 야. 그런데 연간 관세 수입이 고작 1,950억 달러. 결국 부족분은 인쇄기로 찍어내야 돼.
즉, 이번 스티미는 ‘재정정책’이 아니라 ‘인플레이션 폭탄 예고장’ 이야.
4️⃣ 🏠 50년 모기지? 이건 부채의 늪이야 — 30년에서 50년으로 늘리면 월 납입은 400달러 줄지만, 총이자는 2배로 뛰어.
지금 40세에 대출받으면 90세에야 완납 이야. 즉 “평생 빚” 시스템이지.
결국 집값은 더 오르고, 진짜 부자는 은행이 되는 구조야.
5️⃣ 📈 연준, 12월 1일부터 QT 종료 — QT(유동성 축소)를 멈춘다는 건 쉽게 말해 “돈을 다시 안 거둬들이겠다” 는 뜻이야.
시장은 즉시 반응하지. 왜냐면 이건 반(半) 양적완화(QE) 와 같거든.
6️⃣ 🏦 ETF 자금, 10월 한 달에 32억 달러 유입 — 기관들은 이미 움직이고 있어.
BlackRock, Fidelity 같은 대형 ETF가 하루에 평균 1.4억 달러씩 비트코인 매수 중이야.
정치가 결론을 내리기 전에 돈은 이미 방향을 정했어.
7️⃣ 🔥 비트코인, 셧다운 시작 때 $112K → 지금 $108.5K (-3%) — 살짝 쉬고 있지만, 셧다운 끝나면 TGA 자금이 풀려서 반등 확률이 80%.
2019년에도 셧다운 끝난 직후 BTC 폭등이 시작 됐었지.
8️⃣ 🧠 2019년 셧다운 이후 BTC 1,635% 상승 — 그때는 35일 멈췄다가 끝났고, 비트코인이 $3,800 → $69,000.
이번엔 더 길고, Fed가 돈줄까지 푸는 타이밍이 겹쳐. 그때보다 더 강한 유동성 세트업 이야.
9️⃣ 🧱 이제 자본주의조차 ‘관리되는 사회주의 모델’로 간다 — 뉴욕 시장은 “건물 안 고치면 시가 가져간다”고 하고,
머스크는 “주식시장 절반이 좌파에 장악됐다”고 말했어.
결국 자본이 시장에서 정부로 옮겨가는 중이야.
즉, ‘소유’가 아닌 ‘통제’ 중심의 경제로 변하고 있다는 거야.
🔟 🚀 12월~2월, 유동성의 물꼬가 다시 ‘위로’ 튄다 — QT 종료 + TGA 해제 + 스티미 논의 = ‘돈의 3단 점화’
이건 단순한 경기부양이 아니라 “시장에 산소 재주입” 이야.
비트코인은 이 흐름의 가장 순수한 수혜주야. 왜냐면 정부가 손댈 수 없는 유일한 자산 이니까.
그래서 $200K는 예언이 아니라 ‘시간의 문제’ 로 보는 거야.
💬 핵심은 하나야. “정책이 아니라, 돈이 어디로 흐르느냐.”
정치는 말이고, 유동성은 현실이야.
이제 세상을 움직이는 건 정부가 아니라, 돈의 방향 이야.
그리고 그 물줄기는 이미 움직이고 있어 — 위로. 🚀
DOGE 도지 과연 신고가를 갱신할 수 있을까?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DOGE 도지
도지 현물 분석 포함
도지는 새롭게 더블바텀을 만들어주면서 넥라인 리테스트 후 긍정적인 상승 흐름이 나오고 있습니다.
만약 눌림이 나오더라도 0.1775 달러 업비트 기준 257원을 지켜주고 상승흐름이 나온다면 단기 상승기대로 0.21205 까지 볼 수 있습니다.
업비트기준 325원
리스크관리는 전저점으로 고정
DOGE LONG +161%⬆️
저항라인 0.185 / 0.2 / 0.212
주요지지 0.177 / 0.165
🔍🔍🔍 보유포지션
DOGE LONG 0.17184
$100K, 무너질까 지켜낼까 — 지금 비트코인판은 ‘지루함 속의 폭풍 전야’다🔥 “$100K, 무너질까 지켜낼까 — 지금 비트코인판은 ‘지루함 속의 폭풍 전야’다”
시장 너무 조용하다고 느끼지?
그게 바로 이상 신호야. 큰돈은 ‘떠들썩할 때’가 아니라 ‘지루할 때’ 움직이거든.
숫자들만 보면 지금 시장은 단순 조정이 아니라, 세력의 주도권이 리테일(개인)에서 기관으로 완전히 넘어가는 중 이야.
(이어서 계속👇)
1️⃣💣 현재 비트코인 가격 약 $101,500 — 2주 동안 약 -15% 조정 후 ‘박스권’ 정착
10월 고점 $126,000에서 밀리며 약 15% 빠졌지. 하지만 이건 단순한 하락이 아니야. 지금은 리테일이 털리고 기관이 물량을 재정비하는 ‘정리 구간’ 이야.
특히 $98,000 아래에는 롱 청산 물량이 약 13억 달러(약 1.8조 원) 쌓여 있어서, 만약 살짝 깨고 나면 한순간에 대량 청산이 터질 수 있어.
이런 ‘스윕’은 단기적으로 무섭게 보이지만, 오히려 그게 진짜 바닥을 만드는 과정 이야. ⚙️📉
2️⃣🧱 $98,000 지지선 — 시장의 ‘마지노선’ 역할
지금 시장에서 이 숫자는 거의 신성한 선이야.
여기서 반등하면 분위기 다시 살아나지만, 이걸 깔끔히 뚫리면 중기 조정장 전환 가능성 커져.
그런데 과거에도 이런 구간에서는 세력들이 의도적으로 ‘스윕(의미 없는 하락)’을 만들어 청산 유도한 뒤 바로 반등을 시켰지.
그래서 난 $98K 깨지는 걸 오히려 기회로 본다 . 🧱🧩
3️⃣📈 $103,000 저항선 — 박스 상단 돌파 시 ‘확실한 반전 신호’
이 선 위에서 일봉이 마감되면 시장은 다음 목표를 $115K로 본다.
반대로 $103K를 넘지 못하고 밀리면 다시 $98K까지 조정이 반복되는 거고.
즉, 지금 시장은 “누가 먼저 $103K를 돌파하느냐”의 게임이야.
이게 깨지면 새로운 강세 구간이 확정 돼. 🧭🚀
4️⃣💸 ETF 자금 흐름: +$240M → -$558M — ‘방향’보다 ‘연속성’이 핵심
11월 6일엔 2억4천만 달러가 유입됐는데, 8일엔 5억5천8백만 달러가 유출됐어.
이게 중요한 건 ‘한 번 들어오고 한 번 나갔다’가 아니라, 자금 흐름이 어디로 지속되느냐 야.
만약 앞으로 3거래일 중 2일 이상 유입(+)이 유지 된다면, 상방 확률이 확 올라가.
ETF는 단순 가격보다 기관의 심리와 유입속도 를 보여주는 거울이야. 🔁📊
5️⃣🇺🇸 Coinbase Premium -0.8% — 미국 시장만 유독 약한 이유
이건 미국 거래소(코인베이스)에서의 BTC 가격이 다른 글로벌 거래소보다 싸다는 뜻이야.
즉, 미국 기관이 매도 중이거나 리테일 매수가 줄었다는 거지.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 지표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바뀔 때마다 바닥 이 만들어졌어.
이건 일종의 ‘리스크 오프 → 리스크 온’ 스위치 야. 🧊🧲
6️⃣🧮 MVRV Z-Score 1.2~1.5 — 과열 해소, ‘다시 살만한’ 밴드로 진입
MVRV는 시장 전체 평균 매입가 대비 현재 가격이 얼마나 이익인지 보는 지표야.
3.5 이상이면 과열, 0 이하면 저평가야. 지금은 1.3 정도로, ‘과열 식은 안정 구간’ 이야.
이건 과거 2021년 고점 대비 ‘열기 빠짐’ 구간과 동일하고, 역사적으로 이 지점에서 3~6개월 후 상승 랠리 가 자주 나왔어. 📐🔍
7️⃣🐳 Bitfinex 롱 포지션 주간 +18% — 고래들이 다시 시장에 진입 중
최근 일주일 동안 약 1.4만 BTC가 롱 포지션으로 추가됐어.
보통 롱이 많으면 청산 우려라고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고래들은 숏 포지션 유도용 ‘가짜 압박’ 을 걸면서 시장을 흔들어.
지금 이 움직임은 ‘진짜 하락’보다 롱 포지션 재정비 구간 으로 해석하는 게 맞아. 🐋⚖️
8️⃣😶🌫️ 시장 심리 — Fear & Greed Index 약 30대 중반, ‘무관심 구간’ 도달
공포(20 이하)도, 탐욕(60 이상)도 아닌 완전 중립 상태.
이런 시점이 무섭게 중요한 이유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심심하니까 잠깐 쉬자” 할 때 진짜 세력들이 자리 잡는다 는 거야.
이건 매번 그랬다. 2020년, 2022년, 2023년… 모두 ‘지루함 끝에 폭등’ 으로 시작됐지. ⚖️💎
9️⃣💵 스테이블코인 시총 약 3,000억 달러 — 유동성의 방향이 바뀌고 있다
캐시 우드는 “스테이블코인이 BTC를 대체한다”고 말했지만, 난 다르게 본다.
스테이블코인이 많아진다는 건, 달러 유동성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올 준비가 됐다는 뜻 이야.
지금처럼 시총이 역대 최고(ATH)에 근접한 건, ‘쓸 돈’이 대기 중 이라는 뜻.
즉, 시장이 마른 게 아니라 물이 찰랑이는 중 이야. 🌊👑
🔟🧭 50주 이동평균선 $94,500 — 진짜 ‘베어마켓’인지 아닌지를 가르는 선
이 선을 3주째 버티고 있어.
이게 무너지면 중기 하락 가능성이 커지지만, 지금은 매주 저점 매수세가 강하게 들어오고 있어 .
이건 시장이 아직 ‘하락장’이라기보단, 균형을 유지한 성숙장 이라는 증거야. 📏🧱
1️⃣1️⃣🧲 히트맵 유동성 구조 — 하단 $100K 아래 청산 클러스터, 상단 체결대기층 두껍다
지금 히트맵을 보면 하단에 롱 청산이 몰려 있고, 상단에는 매도 대기 물량이 쌓여 있어.
즉, ‘스윕(한 번 아래 툭) → 리퀴디티 그랩(상단 유동성 흡수)’ 패턴이 가장 자연스러워.
그래서 단기 전략으론 $98K 근처 스윕 후 반등 구간 매수 , 목표는 $103K~$106K 야. 🎯📊
1️⃣2️⃣🌕 11월의 통계적 패턴 — 역사적으로 11월은 ‘회복의 달’이었다
2013년 이후 11월의 평균 상승률은 약 +42% ,
특히 10월이 마이너스였던 해엔 다음 달 평균 상승률이 +39% 였어.
단, 이건 절대적 법칙이 아니라 시즌성(Seasonality) 이야.
하지만 지금처럼 기술·심리·자금 모두 바닥에 가까운 구간에서 계절적 흐름까지 겹치면, 상승 확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다. 📅📈
💡 내 결론:
지금 시장은 하락장이 아니라 ‘성숙장’으로 가는 통과의례 야.
리테일은 빠지고, 기관은 조용히 들어오고, 변동성은 낮아졌지만 유입은 끊이지 않아.
지금은 ‘끝’이 아니라, 다음 큰 물결의 준비 단계 다.
세 개 숫자만 기억해.
$98K (지지선), $103K (돌파선), $115K (확정선) —
이 셋이 깨지고, 지켜지고, 돌파되는 순서가 네 수익의 곡선을 바꿀 거야. 🚀
11월10일 비트코인 분석 이제 숏 타야해???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비트코인 대알약 시나리오
최근들어서 비트코인이 지지부진하면서 시장투자자들이 많이 떠나가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하지만, 2019년도 2029년도 과거 패턴을 본다면 장기 횡보가 이어지다가 6배 이상 상승폭이 나왔었습니다.
( 비트코인은 늘 항상 늦게 상승이 나왔습니다 )
근거로 본다면 화폐가치는 떨어지고 있고 결국엔 사람들은 진짜 가치있는 자산을 찾게 되고 있습니다 98k가 최저점이라 생각하지 않지만 1-6개월 안에는 결국 비트코인으로 거래량이 몰릴 수 밖에 없습니다
트레이딩 관점 + 심리
CRYPTOCAP:BTC 1시간봉
102300 돌파가 핵심이 라고 말씀드렸고 강하게 상승 흐름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중요저항부근에서 일부 저항을 받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당부근에서는 단기 눌림이 나올 수 있다고 판단 하고 있고, 분할로 수익을 챙겨둔 상태입니다.
눌림이 나오더라도 넥라인 + 의미있는 저점 + 0.382 이런자리에서 반등이 나올 수 있는자리로 보고있습니다.
긍정적으로 봐야하는건 하락추세선돌파
심리적으로는 박수를 치고 싶지만, 아직은 위에 저항이 많아서 단기적으로 대응할 생각으로 있음
오늘 봐야하는 구간⁉️⁉️
중요저항 106.7K - 107.4K
돌파 후 지지받는게 포인트⭐️⭐️
주요지지 103.2K - 103.7K
🔍🔍🔍 보유포지션
LONG 99,165 2.5만달러
(비중정리 후 sl 진입가 셋팅)
+추가비중받을 구간 나오면 비중추가 할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