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9월 150K? 숫자·유동성·수급으로 다시 그려보니 시나리오가 이렇게 바뀐다“비트코인, 9월 150K? 숫자·유동성·수급으로 다시 그려보니 시나리오가 이렇게 바뀐다”
주말 급등으로 추세선이 흔들리고, CME 갭이 열리고, 글로벌 M2가 또다시 화두야. 그냥 ‘오른다’가 아니라, 어디서 어떻게, 무엇 때문에 오를(혹은 꺾일)지를 숫자로 쫘악 깔아볼게.
(이어서 계속👇)
1️⃣ 📌 오늘 판의 기준점부터: 당일 고가 122,242 / 저가 118,355 / 현가 118,9K 부근. 변동성 확 커졌고, 단기 박스는 118K(갭 하단) ~123K(ATH 경계)가 핵심 축이야.
2️⃣ 🏁 ATH 체크: 7월 14 ~15일 기록한 123,153달러가 확실한 맨 위 경계선. 이걸 종가로 뚫는 순간 모멘텀 가속이 통계적으로 자주 발생해. “123K 상단 탈출→속도전” 시나리오에 힘이 실리는 이유.
3️⃣ 📉 추세선 돌파의 진짜 ‘확정’은 일봉 종가야: 윗꼬리로 넘었다고 끝난 게 아니고, 재테스트에서 지지로 바뀌는지까지 봐야 해. 확인 없이 쫓으면 슬리피지 크게 맞기 쉬움.
4️⃣ 🕳 CME 갭(약 118.4 ~119K) 열린 상황: 주말 급등으로 선물 마감가와 개장가 사이에 빈 구간이 생겼고, 시장은 보통 이 ‘빈칸’을 다시 테스트하곤 해. 다만 항상 100% 채우는 법칙은 아니고, 강한 추세에서는 ‘런어웨이 갭’으로 오래 열려있기도 한다.
5️⃣ 🧲 전형적 전개 하나: 갭 부근(또는 살짝 하회)까지 눌림→추세선 재확인→123K 재도전. 이 루트가 깔끔하면 위쪽 ‘저유동 구간’을 빠르게 통과하는 경우가 많아.
6️⃣ 🎯 첫 목표 130K의 논리: 123K 돌파 순간 대기 매도 얇은 구간이 열리면 피보나치 확장(-0.236/0.236) 대략 130K 테스트가 자연스러워. 피보는 보조지표일 뿐 정답은 아니지만, 레벨·리스크 관리용으로 유용해.
7️⃣ 📅 9월 시즌성은 평균 –4.5%로 약세지만, ‘항상 하락’은 아님: 2024년 9월은 플러스 마감했지. 그러니까 9월=하락은 기대값이지 숙명은 아니야. 이벤트(예: CPI/FOMC)와 포지션이 더 세게 작동할 때가 많다.
8️⃣ 💵 글로벌 M2와 BTC의 ‘동행·시차’ 프레임: 유동성 팽창 국면에서 BTC가 강세를 보이는 경향은 다년간 관찰돼 왔어. 다만 ‘시차 90일=정답’은 아니고, 지표 구성/국가가중/샘플링에 따라 오차가 커진다. 방향성 잣대지 날짜·숫자 고정 예언이 아냐.
9️⃣ 📈 최근 내러티브(“9월=150K”)는 ‘M2 래그 모델’의 가능한 산출치 중 하나일 뿐: 유동성·정책·달러 인덱스가 함께 맞물려야 확률이 높아져. 그래서 나는 날짜+숫자는 “밴드”로 보지 “정확값”으로 보지 않아.
🔟 🧮 ETF 현금흐름은 당장 체감 가능한 수급: 8/7 +277.4m, 8/8 +403.9m, 8/11 +138.2m(달러 기준)처럼 최근 재유입이 붙고 있어. 다만 8/5엔 –196.2m처럼 역유입도 있었지. 이 축이 살아있으면 눌림 매수 탄성이 커진다.
1️⃣1️⃣ 💱 달러·금리 축: CPI가 컨센서스 아래면 9월 조기 금리인하 베팅이 세지고 달러가 약해질 가능성, 반대로 상회면 달러 강세·리스크오프로 기울기 쉬워. 이번 주 CPI가 빅 이벤트인 이유.
1️⃣2️⃣ 🧪 온체인 ‘상단’ 지표들은 아직 여유: 대표적으로 Pi-Cycle Top이 미발동. 이런 류의 과열 신호가 바스켓로 동시 점화되기 전까지는 “사이클 상단”을 단정하긴 이르다.
1️⃣3️⃣ 🧱 장기 보유자(LTH) 비중은 역사적으로 높은 구간 유지: 공급 탄력성이 낮아지면, ETF·현물 수요가 충격적으로 들어올 때 가격 탄력이 커짐. (정확 수치보다 흐름 자체가 포인트)
1️⃣4️⃣ 🏗 마이크로구조 포인트: 123K 위는 체결 공백(저체결대)이 산재. 한 번 관통하면 ‘가격이 가격을 부르는’ 속도전이 자주 나온다. 그래서 알림은 122.5K/123.2K/125K 이렇게 계단식으로 걸어두는 걸 선호.
1️⃣5️⃣ ⚠️ 리스크 첫째, 갭 하회 스파이크: 갭만 메우고 튀는 게 아니라, 관성으로 0.5 ~1.0% 더 미끄러졌다가 잡히는 패턴 빈번. 손절 위치에 여유를 둬야 ‘낚시 바늘’에 안 걸린다.
1️⃣6️⃣ ⚠️ 리스크 둘째, ETF 흐름 급반전: 앞서 본 것처럼 –196.2m 같은 하루 역유입이 누적되면, 현물 매도압이 의외의 타이밍에 터질 수 있어. 그래서 유입/유출 ‘연속성’을 본다.
1️⃣7️⃣ ⚠️ 리스크 셋째, 매크로 헤드라인: 관세·환율·정책 가이던스 같은 거시 트리거는 차트의 시나리오를 하루 만에 바꿀 수 있어. 숫자만 보지 말고 뉴스도 병행 모니터.
1️⃣8️⃣ 🎯 내 시나리오 맵(단기): 119K 부근(±0.5%) 테스트→반등 성공 시 122.5K 재돌파 체크→종가 기준 123K 위 안착→130K 피보 확장값 탐색. 실패 시 118K 재하방 열림, 손절·재진입 분리.
1️⃣9️⃣ 🧭 중기(4~~8주): 시즌성은 경계하되, 유동성·ETF 흐름이 유지되면 ATH 상방 확장 유효. 반대로 CPI 상회+달러강세+ETF 역유입이 겹치면 113~~115K대 중간 지지 확인 라운드가 필요할 수 있음.
2️⃣0️⃣ 🪜 사이클 상단 밴드: 보수 1.618(≈173K), 공격 2.0(≈306K). 이건 ‘언제·어떻게 도달할지’가 관건이라 온체인 과열, 유동성 둔화, 정책 변곡을 함께 본다.
2️⃣1️⃣ 🧰 실행 팁: 알림은 118.4K/119.0K(갭), 121.8K/123.2K(브레이크), 127.8K/129.8K(익절·분할)로 쪼개고, 레버리지는 CPI 직전엔 줄이는 게 보통 유리.
2️⃣2️⃣ 🧷 헤지 아이디어: 갭 메우기 전까지는 짧은 만기 풋/커버드콜로 프리미엄 회수, 123K 돌파 확인되면 델타를 다시 늘리는 식으로 ‘상승 참여+낙상 방지’의 균형.
2️⃣3️⃣ 🧭 체크리스트 4종 세트: (1) CME 갭 채움 여부, (2) 123K 상단 종가 안착, (3) Farside ETF 일간 플로우의 연속성, (4) 달러 인덱스·실질금리 방향. 이 4개가 그림을 결정한다.
2️⃣4️⃣ 🔁 내 결론: “날짜+숫자 예언”보다, 유동성(글로벌 M2·달러)과 수급(ETF)·트리거(CPI/FOMC)·차트(123K·130K)를 함께 맞춰가는 게 승률이 높다. 9월 150K도 ‘가능한 경로’ 중 하나지만, 지금 당장은 119K 갭·123K 탈출이 진짜 분기점이야.
차트 패턴
“ETF·세제·연금·원자재…XRP가 글로벌 머니플로의 중심에 선다” 🔥 “ETF·세제·연금·원자재…XRP가 글로벌 머니플로의 중심에 선다” 🔥
단순 ‘ETF 승인 뉴스’ 정도로는 이 시장의 방향을 다 설명 못 해. 지금은 ETF, 세제, 퇴직연금, 원자재(리튬)까지 여러 축이 동시에 맞물려서 움직이고 있고, 여기서 XRP는 ‘결제 네트워크+투자 자산’이라는 이중 포지션으로 중심에 서 있는 상황이야. (이어서 계속👇)
1️⃣ 💰 43조 달러 – 미국 401(k) 퇴직연금 시장의 총 자산 규모.
2025년 8월 7일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이 거대한 연금자금이 향후 암호자산에 일부라도 편입될 수 있는 길이 열림. 다만 당장 자금이 들어오는 게 아니라, 노동부(DOL)·SEC·재무부의 규정 재검토 → 사업자 채택 → 상품 설계까지 거쳐야 함. 업계 예상은 최소 9~15개월 소요지만, 승인 후 자금 유입 속도는 폭발적일 수 있음.
2️⃣ ⚖️ 1.25억 달러 – SEC와 리플 소송 최종 합의금.
10년 가까이 이어진 불확실성이 2025년 8월 8일부로 완전히 해소됨. 이게 중요한 이유? ETF 심사에서 가장 큰 리스크가 사라졌기 때문. 이제 미국 내 XRP ETF는 ‘규제 리스크’보다 ‘정책 의지’ 단계로 진입.
3️⃣ 🇧🇷 2025년 4월 25일 – 브라질 세계 최초 XRP 현물 ETF ‘XRPH11’ 상장일.
브라질은 이미 XRP를 제도권 투자상품으로 편입 완료. 거래량과 유동성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최초 타이틀’을 확보하면서 글로벌 ETF 경쟁 구도에 불을 붙였음.
4️⃣ 🇯🇵 51% 금 + 49% 암호자산 – 일본 SBI의 ETF 구조 구상.
안전자산(금)과 고위험자산(암호화폐)을 혼합해 변동성을 줄이는 전략. 아직 일본 금융청(FSA) 승인 전이지만, 2025년 4월 발표된 ‘암호자산 금융상품 재분류 법 개정’ 검토와 맞물리면, 내년 ETF 출시 가능성 있음.
5️⃣ 📉 최대 55% → 20% – 일본의 암호자산 세율 개편안(LDP).
현행 개인 암호자산 이익 과세는 최고 55% 누진세(지방세 포함)인데, 이를 주식과 동일한 20% 분리과세로 전환 추진 중. 통과 시 일본 내 크립토 투자 매력도 급상승 → 해외 자본 유입 가속.
6️⃣ 🏭 +8~9% – CATL 장시성 리튬 광산 생산 중단 직후 중국 리튬 선물가격 급등폭.
리튬 가격 반등은 단순 원재료 상승이 아니라, 양극재(에코프로BM·포스코퓨처엠) → 셀(삼성SDI·LG엔솔) → 완성차까지 전방위 마진 개선 기대를 자극. 이차전지주가 리튬 가격과 동반 움직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음.
7️⃣ 🕒 단기 이벤트 vs. 추세 전환 – 이번 리튬 가격 급등이 일시적 공급 차질인지, 환경·허가 이슈 장기화로 인한 추세 전환인지가 핵심. 장기화되면 EV 수요 회복과 맞물려 2차전지 사이클 반등 본격화.
8️⃣ 📈 미국 선물형 XRP ETF – ProShares 등 다수 상장·거래 중.
현물 ETF 전 단계에서 유동성과 가격발견 기능을 담당. SEC가 선물형을 먼저 허용하는 이유는 시장 변동성을 컨트롤하며 ‘파일럿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임.
9️⃣ ⚙️ 정책 동력 변수 – 한국은 하반기 현물 ETF 도입 예고가 있었지만, 금융위 해체 논의 등으로 정책 추진력이 떨어질 위험. 일본·브라질이 속도 내는 동안 뒤처질 가능성 존재.
🔟 🌍 다국가 동시 전선 – 브라질(현물 상장), 미국(401k+선물형 ETF), 일본(법 개정+세제), 한국(정책 불확실성).
이처럼 ETF·세제·연금·원자재가 동시에 얽힌 판은 크립토 역사상 전례 없음. 이 구조 속에서 XRP는 결제·투자 양쪽에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가장 큼.
이더리움은 기관이 맞는다, 털지 않는이상 4천달러 안깨진다단기로 진입한 숏 포지션은 더블 탑
넥라인을 돌파해준다면, 추가 하락분은 나올수 있다 보고 있습니다.
(관점 유지중)
위에 말씀드린 것 처럼 CME GAP 4,098.5 - 4,185.5 구간이 하방에 존재
이번에 비트코인 주요 지지 구간과도 겹쳐서 의미가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4000달러 부근 부터는 다시 롱 포지션을 늘려갈 계획 입니다.
주요저항 라인 4280 - 4300
4400 - 4500
(메인저항이라 매도세가 강할겁니다.)
주요지지 라인 4000 - 4100
1️⃣ 3880 - 3916 이자리 위에 있으면 상승추세는 여전할것이다.
ETH LONG 2413 5천달러
ETH LONG 3431 1만달러
ETH SHORT 4288 2.5만달러
50% 분할 종료 후 포지션 유지중
체인링크(LINK), ‘데이터×결제×토큰화’ 3축이 동시에 잠금해제…다음 랠리는 ‘기관 파이프라인’이 견인한다🔥 “체인링크(LINK), ‘데이터×결제×토큰화’ 3축이 동시에 잠금해제…다음 랠리는 ‘기관 파이프라인’이 견인한다” 🔥
지금 LINK는 그냥 알트코인 섹터 베타가 아니야. ICE 실시간 시세, DTCC 펀드 NAV, SWIFT 결제 브릿지까지—전통 금융의 핵심 배관이 한 줄로 이어지고 있어. 이건 유동성 ‘유입 경로’가 명확해진다는 뜻이고, 네트워크 수요가 LINK 토크노믹스로 귀결되는 구조가 깔렸다는 뜻이지. (이어서 계속👇)
1️⃣ 📊 가격·규모 스냅샷: $21대 / 시총 약 $145억 / 유통량 ≈ 6.78억 개 — 숫자 자체보다 ‘기관 파이프’ 연결이 시작됐다는 점이 더 큼. (CMC 실시간·히스토리 기준)
2️⃣ 🌍 ICE(뉴욕증권거래소 모회사) 데이터 온체인화 — ICE Consolidated Feed의 FX·귀금속 시세가 Chainlink Data Streams 파생 레이트 산출에 투입, 온체인 앱이 ‘은행급’ 데이터를 저지연으로 호출 가능.
3️⃣ ⚡ Data Streams = 저지연·풀(Pull)형 오라클 — 고빈도 데이터를 오프체인에서 집계하고 온체인에서 검증, 프런트러닝 억제·업데이트 지연 축소. 파생/옵션/퍼프 프로토콜에 최적.
4️⃣ 🏦 DTCC ‘Smart NAV’ 파일럿 완주 — JPM·BNY·프랭클린 템플턴 등이 참여, 펀드 NAV 멀티체인 배포를 실증. 펀드 ‘구독·환매’ 자동화까지 시야가 열림.
5️⃣ 💳 SWIFT–UBS AM–Chainlink 결제 브릿지 — MAS 프로젝트 가디언 맥락에서 토큰화 펀드의 오프체인 현금결제 연계를 공식 시연(2024-11-05). “기존 SWIFT 인프라로 토큰화 자산 결제 연결 가능”이 포인트.
6️⃣ 🧱 Chainlink Reserve 가동(2025-08-07) — 온·오프체인 서비스 수익을 자동으로 LINK 전환·축적 하는 ‘전략적 준비금’ 메커니즘 도입 → 구조적 순매수 압력. 전용 페이지 공개.
7️⃣ 🛡 스테이킹 v0.2(확장형 풀) — 참여·보안 유인을 강화, 대규모 언스테이킹 없이 네트워크 인센티브 구조를 안정화(초기 4,500만 LINK 풀에서 확장). (공식 개요 기준)
8️⃣ 📉 거래소 내 LINK 재고 하락 트렌드 — 2024 ~2025 동안 거래소 보유량 저점 갱신 이슈가 반복 공유됨(장기 매도압 축소 신호로 해석 가능). (온체인 애널리틱스 인용 보수적 해석 권장)
9️⃣ 🔗 CCIP(크로스체인 인터옵) — 퍼블릭/프라이빗 모두 연결, 메시지·토큰 이동을 보안 DON으로 처리 → 기관 프라이빗체인 × 퍼블릭체인 교차 업무가 실무화되는 길.
🔟 🧮 Data Streams 실전 채택 시그널 — 저지연·커밋-리빌(프런트런 방어) 설계를 프로토콜 제안서들이 채택하며 검토(예: Synthetix V3 SIP-398).
1️⃣1️⃣ 🧰 Products 풀스택 — CCIP(상호운용), Data Streams(저지연 시세), VRF(검증가능 난수), Proof of Reserve(준비금 검증), Functions/Automation(웹2 API·주기 실행)로 엔터프라이즈-온체인 브릿지 완성형.
1️⃣2️⃣ 🧾 RWA·펀드 토큰화 TAM — 2030년 토큰화 자산 $4 ~5조 (Citi) to $16조 (BCG/ADDX)까지 전망 분포. 상단 가정이 모두 이뤄지지 않더라도 ‘저점 시나리오’만으로도 대형 시장.
1️⃣3️⃣ 🧮 거래·결제 스택 비용 절감 — BCG·DTCC 자료: DLT 도입 시 결제주기 단축·담보 관리 효율화로 연 $100B+ 자원 해방 추산, 인프라 비용 절감 $150 ~200억 규모 기대.
1️⃣4️⃣ 🛠 전통 금융 ‘연결성’의 핵심 부품 — 시세(ICE), 펀드데이터(DTCC), 결제(SWIFT) 각각의 ‘관문’에서 체인링크가 실사용 파일럿을 통과 → 파일럿→한정 롤아웃→상용화 루프 기대.
1️⃣5️⃣ 🧭 규제·감사 친화: Proof of Reserve — 스테이블·브릿지·RWA 준비금 검증 표준을 선점, 전통기관의 컴플라이언스 체크리스트를 체인링크로 채우는 흐름.
1️⃣6️⃣ ⚖️ 거시 리스크는 상수 — CPI·금리·DXY 변화에 암호자산 전반 변동성 ↑. 특히 현물 유동성 얇을 땐 이벤트 드리븐 스파이크 후 반납 가능성 유의.
1️⃣7️⃣ 🧪 파일럿→프로덕션 전이 관찰법 — (a) ICE 레이트를 실제 채택하는 파생/옵션 프로토콜 수, (b) Smart NAV의 정규 서비스화 발표, (c) Reserve 잔액·유입 소스 투명성 업데이트.
1️⃣8️⃣ 🧮 가격 레벨링 로직 — $16 ~17 지지 유지 + $22 ~25 박스 상단 안착 시 단기 고점 갱신 가능성. 데이터 스택 뉴스플로우가 견인하면 ‘뉴스-가격’ 피드백 루프 형성.
1️⃣9️⃣ 🧠 ‘오픈 데이터’에서 ‘프리미엄 데이터’로 — 단순 공짜 피드 시대에서, 검증가능·저지연·책임소재 있는 시세 로 업그레이드. 데이터에 금리가 붙는 구간.
2️⃣0️⃣ 🔌 웹2 API-온체인 자동화 — 결제지시·정산·리밸런싱 같은 백오피스 업무를 Functions/Automation으로 이전하면, 운영비 절감→온체인 활용 증가→LINK 수요 전이.
2️⃣1️⃣ 🧭 SWIFT의 로드맵 자체가 촉진제 — SWIFT가 2025년 라이브 트랜잭션 시험을 예고, 전통 결제망의 ‘토큰화/디지털통화’ 실전 단계 진입은 CCIP·Data Streams 수요를 자극.
# 내가 보는 결론(핵심 정리)
서사 : “알트 랠리”가 아니라 전통금융 파이프의 상용화 시나리오. ICE(데이터) × DTCC(NAV데이터) × SWIFT(결제)가 한 줄로 묶이면, DeFi가 아니라 Onchain Finance 의 메인스트림이 열린다.
토크노믹스 : Chainlink Reserve 로 서비스 수익→LINK 자동 전환(순매수), 스테이킹 v0.2 로 네트워크 보안·참여 인센티브 안정화, 거래소 재고 하락 은 구조적 매도압 완화.
TAM : 2030년 $4 ~5조(Citi)↔ $16조(BCG) 분포—상단 가정이 다 안 나와도 시장은 충분히 큼. 체인링크는 그 표준화된 데이터·결제·상호운용 레이어 에 가장 먼저 앉아 있다.
“XRP, 족쇄 풀린 날부터 게임 체인저 모드 ON… 진짜 변수는 ‘ETF’가 아니라 ‘공급+기관수요’다”🔥 “XRP, 족쇄 풀린 날부터 게임 체인저 모드 ON… 진짜 변수는 ‘ETF’가 아니라 ‘공급+기관수요’다” 🔥
소송 끝, 자금조달 부활, ETF 심사 줄세움. 그런데 가격은 아직 ATH -17.7% 구간. 이건 ‘기대’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야.
내 결론? 다음 2 ~4주, 에스크로·심사 문서·기관 트레저리 3박자 확인하면 방향 결정난다. (이어서 계속👇)
1️⃣ 소송 클로징 확정⚖️ + 벌금 $125M 유지
8/7(현지) 양측이 항소·반항소 동시 취하 로 사건 종결. 2024년 토레스 판사가 부과한 $125M 벌금 과 기관향 판매 금지 는 그대로 남아. “끝났다”는 공식 헤드라인이 바로 이 포인트.
2️⃣ Reg D ‘불량행위자’ 해제 = 사모 조달 재가동💵
SEC가 Rule 506(d) 해제 명령(Release No. 33-11383) 을 공개. 리플 입장에선 적격투자자 대상 사모모집(Reg D) 루트가 정상화됐다는 뜻. 향후 지분·전략 자금 유치 가속 트리거.
3️⃣ ETF는 ‘승인’이 아니라 ‘심사’ 단계📑
Cboe BZX에 XRP 현물 ETP 4건 이 2/6 동시 접수: WisdomTree(19b-4: SR-CboeBZX-2025-019) , Bitwise(-020) , 21Shares(-021) , Canary(-022) . 모두 BZX Rule 14.11(e)(4) 기준의 Commodity-Based Trust Shares 상장 규정 변경안. “심사 중”이지 “승인” 아님.
4️⃣ SEC 절차의 ‘길이’ 이해해야 해⏱️
19b-4는 ‘제출 → 공고(연방관보) → 의견수렴/연장 → 승인·불승인’ 로 굴러간다. 비트와 이더 때처럼 OIP·연장 이 반복될 수 있고, 따라서 “예비투표 가결” 같은 표현은 오해 소지 100%. 실제로 Bitwise XRP 건은 연방관보 ‘Notice of Filing’ 노출로 수순 밟는 중.
5️⃣ 블랙록? “지금은 안 달린다” 대기 전략🧊
미국 내 블랙록은 XRP 현물 ETF ‘당장 계획 없음’ 기조. 빅하우스가 관망이면, 비(非)메가하우스 파일링 중심으로 일정이 굴러간다고 보면 돼. 심사 자체는 의미 있지만, 승인 컨센서스 는 아직 형성 전.
6️⃣ 일본 SBI ‘제출’ 헤드라인은 사실 정정📵
“SBI, 비트코인·XRP 듀얼 ETF 제출” 보도 있었지만 SBI가 부인 . 혼선성 기사였고, 실제로는 계획 단계 톤. 해외 헤드라인 과장 주의.
7️⃣ 에스크로: ‘월 10억 XRP’는 구조, 매달 재예치 관행🔁
XRPL 설계상 월 최대 10억 XRP 언락(2017년 55개월 에스크로 시퀀스 시작). 남은 물량은 재에스크로 가 기본 메커니즘이라 매달 ‘실질 유통순증’은 따로 계산해야 함. 공급 쇼크를 피하려 만든 장치라는 점, 명확.
8️⃣ 8월 언락 디테일: ‘1B 언락(약 $3.28B)’ + 레벨맵🧩
이번 달 1B XRP 언락 으로 $3.28B 규모 가 헤드라인에 찍힘. 기술적으로는 저항 $3.4687 , 지지 $2.9611 ~ $2.7354 구간이 단기 체크포인트. ‘전량 매도’ 시나리오는 과장이고, 재예치/OTC/내부배분 등 흐름이 매번 달라.
9️⃣ 거래소 예치↑ + 단기보유자 이익실현 시그널📉
온체인 기사 기준, 최근 거래소 예치 증가 + 단기 HODL 감소 조합이 포착. 보통 이 패턴은 단기 조정 을 부른 적이 많았고, 실제로 3.55→3.17 급락 세션 사례도 확인됨. 그래서 난 “추세는 위지만, 단기 상단 소화 필요” 쪽.
🔟 가격 포지션: $3.16 & ATH -17.7%📍
현재가 $3.16 (H: $3.32 / L: $3.12). ATH $3.84(2018-01-04, CMC 집계) 대비 -17.7% 구간. 절대 레벨로 보면 $3.5 ~3.8 박스 상단 돌파 여부가 ‘신고가 컴백’의 분기점.
1️⃣1️⃣ 기업 트레저리 수요: VivoPower·Worksport·QNTM🏦
VivoPower : 리플 지분 $1억 매입으로 ‘기초 2.11억 XRP(추정 $6.96억) 익스포저’ 노린다는 공식 PR. Worksport : BTC·XRP 트레저리 전략(최대 $5M 한도) 공시. Quantum BioPharma : BitGo 수탁으로 XRP 포함 암호자산 보유 명시. 중소형 위주라 집중·지속 리스크 는 별도 판단 필요.
1️⃣2️⃣ 매크로 바람: 401(k) 대체투자 허용→자금 유입 레일🚀
미국 정책 변화(401k 대체자산 허용)와 SEC-리플 종결 조합 이후, 크립토 전반에 리스크 프리미엄 축소 기대가 유입. “돈이 들어올 레일”이 깔리면, 알트에도 심리 개선 이 확산되는 법.
요약 한 줄 : ETF ‘희망회로’보다 Reg D(자금조달) 현실화 + 에스크로(공급) 관리 + 기업 트레저리(수요) 가 가격의 진짜 축 이야. 이 3개 숫자 데이터가 좋아지면, 헤드라인은 뒤따라온다.
비트코인 하락에 대비 2025.08.12 분석안녕하세요?
코인 트레이더 구독자님들 방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프로필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스쿨 빅맨 멘토입니다.
119K - 119.8K 이 구간은 과거 주요 매물대이자 마지막 저항 라인이어서, 돌파 여부가 향후 신고가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포인트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하락추세선을 6번 넘게 맞고 돌파한 뒤라 하더라도 추세상승으로 직결된다고 확신하기는 이르다는 겁니다.
불장 속에서도 단기 눌림이 크게 나올 수 있다는 걸 잊으면 안 됩니다.
또한, 주요 저항이었던 117.5K - 118K 구간이 현재는 지지는 POC 구간과 결국 중첩이 되는 구간
해당구간에서 방어가 된다면 결국 신고가 돌파 가능하다는 판단
주요저항 라인 119K - 119.8K
120K - 120.5K
121.5K
주요지지 라인 117.5K - 118K
POC와 중첩 지지가 정말 중요
116.6K - 116.9K
이제는 주요지지라인이 이탈하게되면 다시 올라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 됩니다.
BTC LONG 113,900 5천달러
(소량남기고 포지션 종료)
BTC LONG 109,380 3.5만달러
BTC SHORT 120,848 1.3만달러
비트코인 CME GAP
17750 - 119180
숏 포지션은 일부 차익실현챙겨 두었고,
해당자리는 한번더 117.5K 정도까지는 한번 트라이 해주었다 상승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상승추세선과 하락추세선에서는 그래도 일부 반등이 나오고 있다
여유를 가지고 지켜봅시다.
“비트코인, 123K 문턱…이번 주가 진짜 판 뒤집는 주간 될 수 있다” 🚀“비트코인, 123K 문턱…이번 주가 진짜 판 뒤집는 주간 될 수 있다”
아침 시세 보는데 등골이 오싹하더라. 하루 고점이 122,242달러, 저점이 118,355달러. 이제 불과 1,000달러 조금 넘게만 오르면 전고점 123,166달러 뚫는다. 그 자리가 바로 숏 물량이 잔뜩 쌓여있는 ‘브레이크아웃 존’. 여기 깨면 쇼트 스퀴즈로 위가 ‘텅’ 비는 장면 나올 수 있다. 이번 주는 CPI·PPI 같은 매크로 변수에, ETF 자금 유입, 기관 매집, 그리고 지정학 변수까지 겹쳐서, 한 번에 판을 뒤집을 수 있는 ‘풀 패키지’ 장세가 열린다.
이어서 계속👇
1️⃣ 📈 전고점까지 단 0.76% — 현재가 118,886달러, 전고점 123,166달러까지 4,280달러(약 570만원) 남았다. 하루 변동폭이 3 ~5%인 시장에서 이 정도 거리는 단 하루, 심지어 몇 시간 안에도 갈 수 있는 구간이다.
2️⃣ 📊 CPI 발표 오늘 밤 21:30 KST — 헤드라인 예상치 2.8% YoY, 코어는 3.0 ~3.1%. 예상보다 높으면 매도 압력 강해지고, 낮으면 금리인하 베팅 급증. 이번 CPI 결과는 단순 물가 데이터가 아니라 9월 FOMC 금리인하 여부와 직결된다.
3️⃣ 💵 ETF 순유입 재개 — 지난 금요일 하루에만 BTC ETF +4억 390만 달러, ETH ETF +4억 6,100만 달러 순유입. 4일 연속 순유출을 끊고 강하게 전환한 흐름이라 시장 심리를 단숨에 바꿨다. 특히 ETH가 BTC보다 더 많은 유입을 기록한 점이 의미 있다.
4️⃣ 🏛 하버드 1,600억 매수 — 하버드대가 블랙록 IBIT ETF에 약 1억 1,600만 달러 보유를 13F 보고서에 공개. 미국 아이비리그 최초 대규모 공식 편입이라 기관 투자 심리에 불을 붙일 가능성이 높다.
5️⃣ 🏢 MicroStrategy 628,946 BTC 보유 — 이번에 155 BTC 추가 매수. 총 매입 원가 460억 9백만 달러, 현 시가 기준 평가차익만 약 280억 달러 이상. 5년 전 2억 5천만 달러로 시작한 비트코인 전략이 기업가치와 주가를 26배 넘게 키웠다.
6️⃣ 🌏 트럼프–푸틴 회담 이번 주 금요일 — 알래스카에서 예정.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돌발 합의·결렬 모두 가능. 동시에 중국과의 관세 유예·연장 이슈가 함께 대기하고 있어 위험자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
7️⃣ ⚙️ 반도체 ‘15% 납부’ 빅딜 — 엔비디아·AMD가 중국 판매 AI칩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기로 합의. 미·중 무역협상에서 트럼프의 ‘협상 카드’로 활용될 수 있고, AI 인프라·반도체·크립토 자금 흐름에 간접 영향 줄 수 있다.
8️⃣ 📉 BTC 도미넌스 60% 안팎 — 최근 59.5%까지 하락했다가 반등. 알트 강세 전환의 전형적 전조. 특히 ETH 강세와 맞물리면 알트코인 시장 자금 순환이 가속될 수 있다.
9️⃣ 💡 ETH 투자자 97% 수익 구간 진입 — 현재가 4,300달러, 전고점 4,860달러까지 약 13% 남음. 온체인 수익 주소 비율이 97%라는 건 심리적 매도 압박이 거의 없는 상태라는 뜻. 단기 5,000달러 돌파 가능성 열려 있다.
🔟 📆 단기 매매 전략 — CPI 발표 전까지 레버리지 노출 줄이고 현금·스테이블 비중 확보. 발표 후 123K 돌파 + 거래대금 동반 시 확정 브레이크아웃 판단. 실패 시 118 ~120K 박스권 재진입 가능성 열어둬야 한다.
1️⃣1️⃣ 🎯 연말 시나리오 — 글로벌 M2 유동성 확대, ETF·401(k) 편입, 금리인하 조합 시 연말 170K 가능. 다만 이는 조건부 시나리오이며, CPI·지정학·정책 이벤트를 모두 통과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이번 주는 단순한 주간이 아니라, ‘연말 가격 궤적’을 결정지을 수도 있는 분기점이다.
123K를 강하게 돌파한 첫 일봉 마감이 나오는 순간, 시장은 완전히 다른 국면에 들어설 거다.
25.08.11 나스닥 분석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트레이딩뷰에 글을 남깁니다.
나스닥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차트는 4시간봉을 가져왔습니다.
현재 보면 저항추세선을 보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 됩니다.
지금 봐야할 것은 신고점이 갱신되느냐 마느냐 입니다.
신고점 가격은 23875입니다.
재밌는 것은 신고점이 미장에서 나온것이 아닌 유럽장에서 나왔습니다.
지금 나스닥은 당일 08.11 월요일 일본이 휴장이면서 아시아장이 끌어올릴 때 추가 상승이 가능해보이는 것 마냥 올렸지만 유럽장에서부터 조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차트의 흐름만 봤을 떄 계단식 상승이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뚜렷한 지지와 저항이 보이고 있습니다.
문제는 현재 구간인데 30시간동안 약 4% 가량 빠진 전적이 있기에 이번에도 가능성은 열어두고 시장이 현 구간을 고점이라고 보고 있다는 점은 참고하면서매매하시면 좋겠습니다.
보고있는 전략입니다.
지금 당장 섣부른 매수는 안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1000P 내리고 다시 800P 올린게 이상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시점에서는 매도 관점만을 보고 있습니다.
단기 상승 추세 이탈 + 매물대 이탈을 보고 있습니다.
구간은 대략 23508 정도로 보고 있으며 매도 진행이 될 경우 파랑색 원형들이 구간 entry가 될 듯 합니다.
목표가는 수평선들로 확인하고 있으며 22775가 깨질 경우 시장의 변곡을 보고 있습니다.
결론
꾸준한 업로드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BTC 저항 에상구간안녕하세요 비토끼입니다.
글에 흥미가 있으셨다면 부스팅 및 팔로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비트코인 주봉차트로 최근 상승을 하며 세점이 닿는 추세선을
만들어 낸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추세선을 기반으로 피보나치를 작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4시간봉입니다.
이전 고점을 찍고 내려온 파동의 피보나치 0.5되돌림과
이전 상승 파동의 피보나치 확장 되돌림 1.13이 빨간색 추세선과 닿는 구간
$124.7K~$125K부근인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피보나치의 경우 터치를 하고 저항을 보여주는 모습이 많기 때문에
피보나치를 터치한 이후 빨간색 추세선에서 저항을 보여주지 않을까 기대중입니다.
마지막으로 한시간봉으로 크게 확대한 사진 올려드립니다.
비트코인과 헤어질 결심 - "사이클 리스크"안녕하세요 링컨입니다.
오늘은 지난 분석글 (상승장답지 않은 상승장) 에서 이어가기로 했던 '사이클 기간'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09년 10월' 암호화폐가 탄생한 뒤 비트코인은 '4번째 상승 사이클'을 만났으며 우리는 현재 이 4번째 사이클 속에서 '투자'와 '트레이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사이클들의 기간'을 보시면 저점을 기준으로 '각 24개월, 28개월 35개월'로 조금씩 길어지고 있는 것을 차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33개월'째 진행 중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상승 사이클의 끝자락에 와 있다." 라는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미 첫번째와 두번째 사이클 보다 길게 이어지고 있어 만약 지난 사이클만큼 상승장이 진행된다면 '약 2개월 뒤 상승 사이클이 종료'되며 조금 더 길어진다 하더라도 '연말 혹은 연초'를 넘기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해야할까요? 당연히 "이번 상승에 매도하고 떠난다" 라는 계획을 세우고 '실행'해야겠죠.
조금 더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사이클 기간 연장 관점'으로 접근하여 이번 사이클이 '40개월' 진행된다고 가정하고 차트를 보겠습니다.
'큰 시계열'로 봤을 때 아직 약간의 시간은 남았지만 우리는 현 구간 '수확의 시기'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말인즉슨 "거두어 들여야 하는 시즌에 인생을 걸어서는 안된다."는 얘기이며
'인생 역전'을 꿈꾸고 "지금 부터 슈퍼 싸이클이 시작된다." 라는 태도로 접근하기 보다는 '헤어질 결심' 을 하고 어느 정도의 수익으로 마무리 짓는 것이 좋으며 아쉽지만 '다음 사이클'에 승부를 보는 편이 현명합니다.
그리고 현재 시장에서 가장 기대를 모으는 요인은 금리 인하인데.. 인하가 시행되더라도 지난 글에서 말씀드렸듯 '구조적 저금리' 환경으로 들어가기에는 '성장률이 여전히 견조하다는 점', '물가가 저금리 정책을 펼치기에 부담스럽다는 점' 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최근 잠잠한 '관세'가 물가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오히려 "인하가 사이클의 종료를 불러올 수 있다."고 생각하며 '연준 의장 교체'에 따른 '통화정책 변화 리스크도' 우리는 고민해봐야 합니다.
차트 또한 "고점이 다가오고 있다." 라고 시사하고 있으며 말 그대로 '파멸적 상승'으로 이 쐐기 리스크를 해소하지 못한다면 우리가 여태 겪었던 '기간 조정'이 아닌 주봉상의 '가격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지난 사이클에서도 '시즌 종료 지점'은 아니였으나 고점에서의 쐐기는 '약 55% 조정'을 불러왔음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현재는 '더 큰 프레임에서의 쐐기'임을 반드시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그렇다고 "지금 다 팔고 튀어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아직은 기간이 남아있고 일봉 프레임에서 아직 '상승 채널'이 진행되고 있으며 약 한 달간 이어졌던 '하락 채널'을 돌파해 현재 'ATH까지 저항이 없는 상태'이므로 이 상승 채널이 깨지기 전 까지는 현재의 추세를 믿고 '라스트 댄스'를 즐기되 채널을 이탈한다면 이 때는 "이별이 다가왔구나.." "거두어 들이자.." 라는 마음으로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요약
1. 비트코인은 '사이클 끝자락'에 진입했다.
2. '큰 시계열'로 봤을 때 현재는 '수확의 시기'이다.
3. 차트 또한 쐐기 구조를 형성하여 '대형 리스크'가 존재한다.
4. 이 고점에서의 쐐기는 과거 '큰 조정'을 불러온 사례가 있다.
5. 하지만 일봉 프레임에서 '상승 채널이 유지'되고 있기에 이탈 전 까지는 '라스트 댄스'를 즐기자.
다음 글은 '시황'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TC 하모닉 박쥐패턴 형성 가능안녕하세요 비토끼입니다.
글에 흥미가 있으셨다면 부스팅 및 팔로우, 댓글 부탁드립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반등을 하는 과정에서 하모닉
박쥐패턴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쥐패턴의 D점 $118.9K는 이전에 FOMC연설때 급하락이후
반등을 보여줬던 지점과 겹치는 것이 확인되고,
물론 시간프레임이 낮은 프레임이므로
강한 저항 자리는 아니지만,
저항이 한번 나와준다면 숏포지션 진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손절가는 $121K로 하모닉패턴의 영향력을 아예
벗어나는 구간을 설정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조금 더 손절가를 타이트하게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소 익절가는 $116.3K로 AD의 0.382되돌림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요약
진입가 - $118.9K
손절가 - $121K
익절가 - $116.3K
추후에도 계속 가격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개인적인 전략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리플 강세, 3파 진행 시나리오 정밀버전(업데이트 버전)안녕하세요
리플 상승시나리오
정밀도를 높인 버전으로
물론 사람이 하는 일이라
틀릴수 있지만
논리체계를 공유 드릴게요
앞선 큰 상승이 3의 시작점인 3의1파 2파
동그라미 1파 2파에 해당한다면
지금 가격이 있는 매물대는
(3)의 내부파동 1-2파 안에서
하위파 5파연장의 1~4파가 됩니다
5파연장은 내부하위파동 1-4파의
1.618입니다
이후 아직 중장기 동그라미 3파와 (5)파의 상승파동이 마무리 되지않았기 때문에
중장기 동그라미 3파안의 내부파동
(3)파(4)파는 고점갱신상태에서
직전고점을 테스트하며 매물대를 만들겁니다(예상)
이후 러닝플랫을 만들수 있으며(내부파동 (3)과(4)를 만들고
동그라미3과(5)로 가야하기 때문에 매물대가 위쪽으로 당겨진 형태가 될수있으며,
이후엔 두 방향으로 나뉩니다
동그라미 1파의 고점을 테스트하는
다이아고날 형태(미달형 5파) 1.382~1.618하락
매물대안에서 강한 반작용파를만드며
더 큰 상승의 B파의 박스간 이동 (상위 구간 상승)
예상할수있는 시나리오를 공유 해봣습니다
부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bailable을 이용한 추가 매수는 1번만 할 예정인데 (1)과(2)사이의 1.13-1.272부근에서
아마도 추가매수를 할수도 있습니다)
*업데이트내용
보시는분과 제가
보기 편하도록
안보는 피보나치 삭제,정렬
채널 정렬
보기편한색으로변경
주요 목표가 박스
정리 정렬
논리체계설명 내용중
약간의 오류 수정과
더욱 상세한 설명 추가
강세형 5파 표기
[8.6 비트코인] 눌림 롱 기회 .. 이제는 $115.7k 돌파 여부가 핵심7.29 분석에서 제시했던
👉 $113.2~$115.2k 눌림 진입 구간은 성공적으로 작동했습니다.
비트코인은 이후 반등을 보이며 상승 채널 상단 돌파를 다시 시도하려 하고 있습니다.
⸻
🔍 Key Levels (1D 기준):
• 저항 돌파 필요 구간: $115.7k
→ 해당 구간은 현재의 구조를 Double Bottom 구조로 본다면, Neckline 에 해당하는 주요 레벨에 해당합니다.
→ 강한 돌파 시 패턴을 기반으로 한 추가 상승 여력 확보
• 다음 저항 구간 : $116.8k
→ PD Array의 Mid - level에 해당.
⸻
📐 구조적 흐름 요약:
1. 조정 후 약한 반등 → 눌림 롱 제시 구간은 유효
2. 현재는 $115.7k 저항 돌파 여부가 핵심 변수
3. 돌파 시 → 구조적으로 Double Bottom 완성 → 상승 모멘텀 가능
4. 반등 실패 시 → 하락 채널을 계속해서 따라가며 PD Array 하단을 하방돌파할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
⸻
📚 분석 근거:
• ICT Premium & Discount + PD Array 적용
• 상승 간 하락채널 돌파 및 Double Bottom 구조 성립 가능성
• 저항 구간 돌파 못할 시 계속해서 하락 움직임 나타날 가능성 고려.
반복되는 BTC/USDT 사이클과 알트코인 (6)
DEAR, 제 글을 처음 읽는 사람들
단순한 일기같은 글을 읽어주시는건 감사하지만
의견을 나누고 싶으시다면 앞선 스토리를 다 읽고 오기를 바란다
아니면 최소한 시리즈 (4)라도?
해외 출장을 다녀오느랴고 업로드가 조금 늦었다,
딱 1달 트뷰만 결제하고 모든 관점을 다 미리 정리해두고 싶었는데
시간이 가능하려나 모르겠다...!
우선 BTC를 조금 더 추가로 작성해보쟈
시리즈 (5)에서 얘기하는건 우선 최고점을 1파 고점으로 하는
큰파동이 현재 진행중이며 3파가 다 끝나고 5파 피날레일지
아직 3파안에 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그러나 3파거나 5파거나 관계없이 우선 세부 상승 파동을 정리해두려고한다
자 그럼 둘중에 어떤 음식으로 조리를 해볼거냐면
개인적으로 3파가 진행중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이걸 기준으로 해보겠다
왜냐면, 지금 4파조정이 안나왔다고 보기엔 너무 조정폭들이 약하다
분명히 모든사람들이 울고불고 난리칠 상황은 아직 단한번도 오지 않았다,
이전 비트 사이클에 비해서 이번엔 조정폭은 작지만 그 기간을 질질 끄는
경향이 있는거 같다, 그러니 폭풍이 한번 오는걸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카운팅 하겠다
이정도 공포에 질릴 단기 30%정도 조정은 있어줘야, 그게 비트코인이지..
지금은 뭐 어디 우량주 수준이다
모쪼록 가봅시다
우선 이번 사이클의 최저점을 찍은 2022년도 말을 기준으로 하고 약 25000불을
1파 고점으로 하는 첫번째 파동 사이클
필자는 개인적으로 이 때, 반감기 전에 ATH근처를 가는것을 보고 이번엔
다르게 가려나보다 싶었다, 하지만
노란 타원부분을 고점으로 하고
abc 조정파를 무려 5달이나 질질 끌며 30%를 받았다,
결국 기존 반감기 사이클과 큰 차이가 없이 진행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반감기 패턴이 끝났다고 그래서 이 지점을 많이 얘기한다
그러나 나는 반박할 수 있다, 그런건 없다 다만 조금 더 빨리 올랐을 뿐
가격의 흐름은 결국 반감기를 기점으로 비슷하게 진행되었다,
그 후 그럼 다시 흰색 파동을 1파 고점으로 하는 연두색 파동을 아래와 같이 그려볼 수 있다
이렇게 이또한 3파 진행중이거나
또는 4파가 끝났고 5파가 가고 있거나
앞선 경우랑 비슷하게 3,4파를 정확히 볼 수는 없지만
초록파동의 타겟점도 20~25만불 정도로 나온다.
향후 어떻게 갈런지는 지켜보도록하자
타겟지점을 맞추고자 하는건 아니지만 최대한 고점 부분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켜보기 위한 시나리오 정리를 위함인것을
다시한번 밝힌다
리플 상승 시나리오, 정밀도를 높인 버전안녕하세요
리플 상승시나리오
정밀도를 높인 버전으로
물론 사람이 하는 일이라
틀릴수 있지만
논리체계를 공유 드릴게요
앞선 큰 상승이 3의 시작점인 3의1파
동그라미1파에 해당한다면
지금 가격이 있는 매물대는
3의내부파동 1-2파 안에서
5파연장의 1~4파가 됩니다
5파연장은 내부하위파동 1-4파의
1.618입니다
이후 아직 중장기 3파의 상승파동이 마무리 되지않았기 때문에
중장기 3파안의 내부파동 동그라미1파는 고점갱신상태에서
직전고점을 테스트하며 매물대를 만들겁니다(예상)
이후 상승한다면 러닝플랫을 만들수 있으며(내부파동 (3)을만들고
(5)로 가야하기 때문에 매물대가 위쪽으로 당겨진 형태가 될수있습닏다
이후엔 두 방향으로 나뉩니다
동그라미 1파의 고점을 테스트하는
다이아고날 형태
더 큰 상승의 B파의 박스간 이동 (상위 구간 상승)
예상할수있는 시나리오를 공유 해봣습니다
부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리플 상승한다면 어디까지???
안녕하세요 트뷰여러분
현재 리플은 만약 상승한다면
저항받을만한 구간을 찾아보았습니다
하늘색 연장채널( 리플 초기 매물대의 연장)
하늘색 채널안의
주황색 피보나치와 흰색피보나치가 겹치는
구간과1.13이 겹치는 구간
그리고 1.272가 겹치는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초기 매물대의 영향을 받아서
새로운 고점을 갱신하며
매물대를 1.13과 1.272구간 사이에서 만들것으로
예상됩니다(하늘색 채널 안에서)
이후 고 저점을 테스트 한후
추가로 상승한다면
흰색채널 상단과
주황색 피보나치 1.678이 겹치는 하늘색 박스에서
저항받을수 있습니다
이후 같은 방식으로 매물대를 만들며
고저점을 테스트를 거쳐 흰색채널 상단을 돌파한다면
동그라미 구간 까지 도달할수는 있지만
아직 채널을 넘어서 새로운 매물대를 만들어 주지않았기 떄문에
예상할수있는 구간은 녹색박스 2곳
그리고 최대 하늘색 박스까지입니다
차트무당 마코 8월 8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8월 8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7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에서는 114,772 구간이 깨지게 된다면 하락의 위험성이 있는 자리이며
최대 114,180 자리는 지켜줘야 상승할 수 있는 조건들이 유지가 될 수 있다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 후 움직임을 보시면 114,772 구간에서 최저점 114,241 자리까지 말씀 드린
지지구간은 터치 하지 않았지만 4시간 중앙선까지 지지선을 터치 한 후 반등이 나와 주었고
탑구간인 116,757 에서 한번 조정 후 다시 최고점 117,623 자리까지 터치 하였습니다.
패턴 상 이렇게 마무리가 된다면 비트코인은 과매수 구간으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간단하게 정리 해보겠습니다.
1. 상승하기에는 12시간차트의 음운이 유지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 구간 주의 하셔야 합니다.
12시간차트 음운은 양운으로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음운 지지구간을 이탈한다면
비트코인은 강하게 조정이 나올 수 있는 자리입니다.
최대한 지금 현재 자리에서 버텨줘야 상승할 수 있습니다.
2. 116,033 구간은 각 시간대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이며 이 후 움직임이 중요 합니다.
각 시간대 구멍을 메워주는 116,033 구간은 8시간 6시간의 양운의 지지구간이기도 합니다.
이 구간이 음운으로 바뀌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하락우위 패턴으로 변경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각 시간대 중앙선 자리인 114,759 구간의 각 시간대 중앙선이 무너지게 된다면
비트코인 하락우위로 패턴이 바뀌는 구간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4. 중앙선 구간인 114,759 자리에서 지지받지 못한다면 최대 바텀구간까지 하락 할 수 있습니다.
바텀구간은 각 시간대 지지선이 모여 있는 구간으로 지지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구간입니다.
하지만 이 구간을 터치하고 이번 주 캔들이 마무리가 된다면 다음 주
MACD 눌림구간이 주봉차트까지 강하게 작용 할 수 있는 자리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