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패턴
BTCUSD 9월 3일 비트코인 Bybit 차트분석입니다.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워"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제 분석글이 도움되는경우
하단에 부스터 버튼 하나씩 부탁드릴게요.
비트코인 30분차트입니다.
11시 나스닥 지표발표있구요.
좌측하단에는 1일에 진입했던 롱포지션 진입구간 108.032불이고
그 위로 110,762.5불 보라색 손가락
롱포지션 재진입구간 그대로 전략을 연결했습니다.
*빨간색 손가락 이동경로시
원웨이 롱포지션 전략
1. 111,276.6불 롱포지션 진입구간 / 초록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현위치부터 강하게 떨어지는경우
최대 2번구간까지 롱포지션 대기구간이며
초록색지지선을 터치 또는 이탈하는경우
단기 패턴이 깨지기때문에 롱포지션 입장에서 좋지않습니다.
2. 112,974.1불 롱포지션 1차타겟 -> Top구간 2차타겟
112.9K 도달시 상단에 1번구간은 롱포지션 재진입 활용구간이구요.
상승추세선으로는 초록색지지선 -> 진파랑 지지선인데
2번구간 이탈부터는 Bottom -> 3번 -> 108K까지 밀릴수있습니다.
진파랑 지지선 이탈부터는
중장기적인 조정 및 횡보장이 연결될수있으니
참고해주시구요.
오늘 나스닥에서 폭락만 나오지않으면됩니다.
여기까지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 및 활용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이더리움 앞으로의 방향성은 빅숏이니? 빅롱이니?안녕하세요 pablo입니다.
이더리움 시황 및 관점 분석입니다.
현재 이더리움은 21년 고점을 찍고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횡보상태로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월 13일 고점 트라이 이후 급락이 나오면서 cme gap을 채워준 이후 다시 고신고점 랠리 시도를 위해 올라가다가 4800-4060 파동 되돌림 스탑 헌팅 레벨 1.13을 찍고 날봉 도지를 띄운 이후에 큰 음봉이 나오고 계속 횡보중에 있는 모습입니다.
이더리움 시나리오는 세가지 정도로 나누어 보고 있는 중인데
하나하나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1. 모두가 보는 3900 4000까지 눌림 이후에 상승파동 진행
초록색 장기 빗각 추세선의 돌파 이후 눌림 롱, 1400-4900 상승파동의 피보나치 되돌림 0.236 자리입니다
2. 3600부근 리테스트 이후 불장
피보나치 되돌림 0.382 구간이며, 픽스트 레인지 볼륨 프로파일을 상승파동에 작도 하였을때 VAH 가 겹치는 구간이며, 또한 장기 채널의 미들값이 겹치기도 하는 자리
3. 2600-2800 까지 하락 이후 불장.
현재 1차적으로 가장 근처에 있는 cme 갭은 채운 이후에 횡보중이며, 저 밑에 있는 cme갭을 채우러 내려갈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있습니다. 피보나치 0.618 부근이며
요즘 유행하는 ict컨셉으로 봤을때도 그 구간이 deep discount 구간이자,poc 구간이기도 합니다.
매매 전략으로는 섣불리 매수하기보단 자리를 기다리는, 마치 호랑이가 수풀에서 먹잇감을 잡기 위해서 숨어있다가 타이밍을 보는 야수처럼 행동하시길 바랍니다.
알트 코인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불장이 우릴 기다린다.해당 차트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알트코인들의 시가총액 차트입니다.
지난 2016년 불장, 2020년 불장은 돌일한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패턴
저점에서의 매물대 횡보 기간을 반드시 거친다. 상승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축적 기간 (차트상 녹색 박스)
2016년 불장 이전의 저점 횡보는 약 821일간 지속 되었습니다.
2020년 불장 이전의 저점 횡보는 약 548일간 지속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저점 횡보는 약 365일간 지속 되었습니다.
두 번째 패턴
저점 횡보 매물대를 돌파 하고 9개월 (약 274일) 간의 상승 초입기를 거친다. (차트상 주황색 박스)
2016년 불장 초입기는 9개월간 지속되었습니다. 초입기를 지나 10개월차 부터 대 상승이 시작되었다.
2020년 불장 초입기는 9개월간 지속되었습니다. 초입기를 지나 10개월차 부터 대 상승이 시작되었다.
이번 불장 초입기도 9개월간 지속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초입기를 지나 10개월차 부터 대 상승이 시작되지 않았고 456일간 횡보가 지속 되었습니다. 저점에서의 에너지 축적이 적었던 만큰 추가적인 축적이 이루어 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16년 불장과 2020년 불장의 기간은 동일했지만 상승폭은 2016년이 훨씬 컸습니다. 이는 2016년 당시에는 코인의 갯수가 적었기도 했고, 알트코인의 초기 였기 때문도 있지만 저점에서의 에너지 축적 기간이 821일로 2020년 보다 길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번 시즌은 저점 매집 기간 365일 그리고 추가로 채워진 456일간의 에너지 박스를 합치면 821일로 2016년 저점 횡보기간과 정확히 일치 합니다.
떄문에 이번 불장은 2020년 불장이 아닌 2016년 불장과 같이 특정 코인들은 5,000-8,000배씩 올라가는 상승이 나올 확률이 매우 큽니다.
하지만 모든 코인이 전부 올라가지 않을 겁니다. 이번 불장에는 많은 코인들이 사라지고 새롭게 탄생한 신생 프로젝트들이 떡상하며 어마어마한 상승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 됩니다. 지금 우리는 신생코인들의 펀더맨탈을 위주로 발굴하고, 과거 코인들은 메이저, 준메이저 코인들을 위주로 매집해야합니다.
얼토당토 않는 김치코인들과 잡코인들의 시대는 이제 지났습니다. 이제 진짜 현실에서 사용되고, 수익성을 가지고 있는 정말 가치 있는 프로젝트들의 시대가 옵니다. 우리는 이번 불장을 잘 준비해서 신분 상승의 기회로 만들어야 합니다.
추가 "알트코인 시가총액 리얼프라이스 차트"
2016년 불장 초입기의 위치 동그라미친 부분 : 350SMA 위의 매물대
2020년 불장 초입기의 위치 동그라미친 부분 : 350SMA 위의 매물대
지금의 위치 : 350SMA 위의 매물대
어떤한 선택을 할지는 여러분의 몫입니다.
비트코인과 달러 인덱 패턴의 비밀상단 차트는 달라인덱스 DXY 차트입니다.
하단 차트는 알트코인 시가총액 OTHERS 차트입니다.
DXY 달라인덱스와 알트코인의 상승에는 역학 관계가 존재합니다.
과거 2016년 12월 27일 달라 인덱스가 정점을 찍었던 차트상 1번 고점은 정확히 알트코인의 바닥 탈출 불자의 시작점 이었습니다.
이후 1,175일이 지나 2020년 3월 16일 달라 인덱스가 다시 한번 정점을 찍었던 차트상 2번 고점 또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알트코인의 반등의 시작점인 정확한 저점이었습니다.
이후 609일간의 알트코인 불장이 지속됬으며, 609일 후 달라 인덱스가 하락의 절반값을 회복하면서 알트코인을 포함한 코인 시작의 하락장이 시작됩니다.
2022년 9월 26일 다시 한번 달라 인덱스는 정점을 찍으며 1번 고점이 발생하고 이전 패턴이 반복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라 인덱스 고점에서 알트코인의 반등이 바로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84일의 유예기간을 거친 후 상승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이전 2016년 DXY 1차 고점과 2020년 3월 2차 고점간의 기간 1,175일의 71.49% 정도의 기간인 840일이 지나 달라인덱스의 고점이 발생합니다. 이번에도 과거 2020년 2차 고점 때와는 다르게 바로 반등이 나오지 않고 84일의 유예기간 후 반등이 시작되었습니다.
과거 2020년 2차 고점으로 부터 시작된 하락의 절반값을 되돌리는데 걸린 시간은 609일이며 여기에 71.49%는 434일 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불장의 끝은 2026년 3월 23일이 됩니다. 하지만 이번 알트코인의 저점 반등은 달라 인덱스 고점으로 부터 정확히 84일간의 유예기간을 거친 만큼 불장이 끝나는 데도 84일의 유예기간을 거친다면 이번 불장은 2026년 6월 15일 까지 지속됩니다.
정리하자면, 달라인덱스 차트는 지지 구군에 도착해 있으며, 이곳에서 반등이 시작될 수 있다.
과거 달라의 조정 이후 반등이 시작되는 구간에서 알트코인은 불장이 이어 졌으며, 달라가 하락분의 절반값을 되돌리는 순간이 불장이 끝나는 시점이었다.
이번에도 같은 패턴이 반복된다면, 알트코인의 불장은 이제 부터 시작되며, 내년 3월 23일 또는 6월 16일 까지 지속될 수 있다.
우리는 알트코인 포트폴리오를 철저히 준비하여, 이번 불장 짧으면 6개월 길면 9개월을 즐겨야한다.
비트코인은 지금 매우 중요한 분기점에 도착해 있습니다.아래 차트는 저희 머니카피랩의 슈퍼채널 작도를 통한 비트코인 일봉차트의 주요 지지 저항 채널입니다.
현재 위치는 지난 6월 5일과 8월 25일 두차례 지지 받았던 채널 라인입니다.
지난 6월 5일에도 이곳에 지지 받은 후 반등은 나왔지만 다시 이곳을 하방 이탈하였고, 6월 22일 아래 빨강색 채널 라인에 지지 받으면서 큰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8월 25일 지지 이후에도 이곳은 이탈 되었지만 다시 회복하여 지지를 리테스트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9월 미국의 금리인하 발표를 앞두고 이곳에서 숨고르기를 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만약 이곳이 이탈된다면 우리는 지난 4월 23일 부터 지금까지 5개월 가까이 한번도 꺠지지 않고 도착할때 마다 저점이었던 아래 빨강색 슈퍼채널 라인에서 매수를 받아봐야 합니다.
또한 하단 빨강 슈퍼채널 라인은 현재 진행 중인 하락 추세와 중첩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추세적으로 매우 강한 지지가 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락률은 현재 가격으로 부터 최대 -5% 구간까지 볼 수 있으니 -5% 근처의 하락이 나오면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 기회가 왔음을 인지하고 매수 전략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이번에는 저희 머니카피랩의 리얼프라이스 지표를 통해 비트코인의 상황을 살펴 보겠습니다.
* 리얼프라이스란?
리얼프라이스는 달라의 가치 DXY를 녹여낸 가치 차트입니다.
DXY(달러 인덱스)는 주요 6개 국가의 통화 EUR, JPY, GBP, CAD, SEK, CHF 와 미국 달라 USD 와 비교하여 가치를 측정해주는 지수로 달라의 가치가 높아지면 DXY 지수가 올라가고 달라의 가치가 내려가면 DXY 지수가 내려가는 구조입니다.
리얼프라이스를 통해 차트를 보게되면 가격이 아닌 실제 자산가들이 중요시하는 달라의 가치를 적용하여 차트를 볼 수 있습니다. 저희 머니카피랩에서 개발한 휩소, 트랩을 막아주는 최고의 분석 도구 입니다.
리얼프라이스를 통해본 비트코인 차트는 지난 4월 23일 이후 한번도 깨진 적이 없는 리얼프라이스 G.O.A.T 라인을 이탈 후 저항 리테스트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리얼프라이스를 통해 종가기준 돌파 타점을 잡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비트코인은 지금 미국의 금리인하 발표를 앞두고 주요 구간에서 순고르기를 하고 있으며, 만약 금리인하 결과에 따른 실망 매물이 발생한다면, 슈퍼채널 분석으로 잡아낸 지지 구간에서의 매수를, 만약 금리인하 발표를 호재로 상승한다면, 리얼프라이스 기준의 돌파 매수를 준비한다면, 이번 저점을 편안하게 잡아낼 수 있을 겁니다.
9월 5일 리플 (XRPUSDT.P) 데이관점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제로입니다
매일 오후 1시에서 2시사이 CMC(Coinmarketcap) 기준 상위 시총 15위에 포함된 종목들에대해
데이뷰 , 중기 , 중장기뷰를 올릴예정입니다
오늘은 그중 근래 변동성이 높고 변칙적인 리플에대해서 관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종목들의 기술적 분석은 바이낸스를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1시간봉을 기준으로 현재 리플의 추세와 함께 채널,밴드,지지및 저항 그리고 매물대와 피보나치를 통해 기초 분석 부터 하나씩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단 기술적분석의 가장중요한 축(Trendline)을 먼저 그립니다
(기술적 분석을 하기위한 기초공사중 가장중요한 축라인을 먼저 그어야하는데 이때 저는 기울기 측면 그리고 연결성이있는 *특이점이 존재하는 빗각을 기준으로 축을 긋습니다)
일단 제가 판단하는 빗각(축)은 차트에 보이는것처럼 특정 고점구간과 특정 저점 구간을 기준으로 그었습니다
그후 축을 그은 고점과 저점의 기울기가 하락이므로 채널링은 저점 구간을 맞춰 그리는게 아닌 맨윗상단 고가라인(t1 과 t2사이 고점)라인을 이어줍니다
이후 처음 만든 채널링을 반으로 축소해 각 상단 하단을 가격대에 이어줍니다
이때 만든 채널링이 유효하기위해서는 특이점이라 부를 수있는 구간(채널 중심 상단 하단에 지지나 저항이 작용되었는지를 판단)최소 2구간이 이상 보여야 유효한 채널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후 또한번 채널링을 축소하여 그어주면 현시점 리플의 변동범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현시점 리플은 이렇게 보이시는것처럼 채널의 상단과 하단 구간에서의 변동폭을 볼 수 있으며 상단돌파 또는 하락 돌파의 여부로 추세흐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현시점에서는 2.8260 ~ 2.8320 상단과 하단 2.7480 ~2.7520 구간의 변동성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점과 고점을 연결한 상승형 피보나치를 통해 매수 타점(되돌림) 자리를 파악 할 수 있는데 현재는 0.382 구간 이탈이후 0.5 ~ 0.618 사이의 중심단에서 반등을 보였습니다
윗쪽에서 하락형 피보나치를 본다면 3개의 눌림(되돌림) 자리를 파악 할 수 있고
현재는 가장 가까운 자리 0.382 구간은 2.8180입니다만
채널(밴드) 상단과 마주하는 0.5(중심값)구간에 저항이 조금더 신뢰성이 있는 라인입니다
저항대는 2.8280 ~ 2.8320 구간
만약 주요저항대( 2.8280 ~ 2.8320 구간)을 돌파할경우 0.618 구간에 2.8440라인의 저항가격이 그다음 존재하지만 채널라인을 벗어난 상황에서의 저항가격이므로 사실상 단기성 저항타점(신뢰도가 적은)으로 판단하셔야합니다
매물대와 채널 상단 사이에 낑긴 비트코인비트코인 일봉 분석
화요일에 채널 상방돌파를 해주고 11.2만 달러 매물대(빨간색 박스) 저항을 받은 모습입니다.
해당 매물대 위에서 안착을 해준다면 추가 상승을 어느정도 기대해볼 수 있겠으며, 고려 중인 저항구간은 114900~115700과 117900~118700입니다.
반대로 돌파 실패하고 추가적인 하락폭이 나온다면 밑에 채널 상단 리테스트 부근인 107900~108600에서 반등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더 큰 그림에서 간주하고 있는 메이저 지지구간은 5월~7월에 형성된 매물대 POC 부근인 104060~105240입니다.
XRP가 사라진다는 말, 진짜 무슨 뜻일까?🚨 “XRP가 사라진다는 말, 진짜 무슨 뜻일까?
소각·국채·블랙록·구겐하임까지 전부 까보자”
1️⃣ 📉 소각되면 무조건 오른다고? 지금까지 소각된 XRP는 약 1,419만 개. 전체 발행량이 100억 개니까 비율로 따지면 고작 0.014% 야. 거래 한 번에 수수료로 0.00001 XRP가 날아가긴 하지만, 이 정도는 가격을 단독으로 끌어올리기엔 턱없이 부족하지.
2️⃣ 🏛️ “미국 국채를 XRPL에서 발행했다”는 말은 과장임. 미국이 직접 국채를 찍은 게 아니라, 국채를 담보로 한 토큰 상품(DCP) 이 XRPL에서 돌아간다는 얘기야. 쉽게 말해 전통 금융(국채)하고 블록체인(XRPL)이 연결된 거지, 발행 주체가 바뀐 게 아냐.
3️⃣ 🧾 구겐하임은 실제로 움직였어. 2025년 6월 10일, 구겐하임이 XRPL 위에서 국채 담보 단기채(DCP)를 발행했고, 리플도 거기에 1,000만 달러 투자를 넣었어. 그냥 시범 운영이 아니라 진짜 상업화 1단계에 들어간 거라 보면 돼.
4️⃣ 🧠 블랙록이 XRP만 본다? 절대 아냐. 블랙록은 이미 IBIT(비트코인 현물 ETF) 로 BTC를 크게 잡고 있고, 또 BUIDL(토큰화 펀드) 로 자금시장 토큰화도 하고 있어. XRPL이랑 연결된 건 Ondo Finance의 OUSG 펀드가 XRPL에 올라오면서 RLUSD로 결제하게 된 덕분이지. 직접 진입은 아니고 간접 연결이야.
5️⃣ 🪙 OUSG 구조는 이렇게 보면 됨.
① XRPL에서 바로 민트/리딤 가능 (단, 기관·전문투자자 위주)
② 결제는 24/7 돌아가는 RLUSD 스테이블코인으로 처리
③ 안에 블랙록 펀드 BUIDL이 담겨 있어서 간접 노출
즉, 돈은 전통에서 오고, 토큰은 온체인에서 돌고, 결제는 스테이블로 묶이는 구조야.
6️⃣ 💵 “국채 시장 규모가 크니까 XRP 오른다”는 건 논리 비약. 미국 국채 하루 거래액이 1.16조 달러인데, 그게 곧 XRPL 위 거래액을 의미하는 건 아냐. 실제로 중요한 건 온체인에서 발행된 RWA 거래량, 민트/리딤 속도, 스프레드 같은 실질 지표야.
7️⃣ 🧮 내가 보는 가격 영향력 순서 = 유동성 35% + 규제 25% + 실사용 20% + 경쟁체인 대비 강점 15% + 소각 5%. 소각은 플러스 알파긴 한데 메인 드라이버는 아냐. 결국 실사용과 기관 수요가 붙느냐가 관건이지.
8️⃣ 🔗 RLUSD는 진짜 중요함. 이게 XRPL·이더리움 둘 다 지원되고, 매달 준비금도 공개해. OUSG 결제에도 쓰이니까, 사실상 기관 맞춤형 결제 레일이 되는 거야. 은행 영업시간에 묶이지 않고 24시간 결제 가능하다는 건 생각보다 큰 차이야.
9️⃣ 🧭 단기 트레이딩은 뉴스 나오면 내러티브 타고 바로 반응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결국 실제 체결 데이터가 가격을 만든다고 봐. 체크리스트는 네 가지야 👉
① XRPL 위에서 RWA 민트/리딤 얼마나 쌓이는지
② RLUSD 시총·회전율
③ 거래소·브로커 커스터디 파이프라인 확장
④ 규제 완화 속도
🔟 🏁 결론: “XRP 계속 사라지니까 무조건 오른다” → 이건 단순한 스토리야. 진짜 봐야 할 건 XRPL 위에서 RWA랑 스테이블코인이 실제로 돈을 돌리고 있냐는 거. 구겐하임 발행, OUSG 결제, RLUSD 레일 이 세 가지가 제대로 굴러가야 가격도 진짜 힘 받는다. 그 전까지는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맞다고 본다.
유엔·ETF·파트너십 3중호재가 불붙는 XRP 판🚨 유엔·ETF·파트너십 3중호재가 불붙는 XRP 판🔥
“이건 그냥 뉴스가 아니라 시장 방향을 바꾸는 신호탄”
이어서 계속👇
1️⃣ 🌍 유엔 산하 UNCDF가 2023~24 웨비나에서 리플·스텔라를 국제 결제 핵심 후보군으로 지목했어. 이건 UN 결의 채택은 아니지만, 글로벌 금융 포용 논의의 중심에 XRP가 올라왔다는 건 분명 의미 있지. UNCDF 문서에서 Ripple이 저비용 송금 인프라 대표 사례로 다뤄진 건 팩트야.
2️⃣ 🏛️ 반대로, “UN이 XRP 공식 승인했다”는 헤드라인은 과장된 뉘앙스야. 진짜는 UNCDF의 연구·토론 차원이라는 거. 하지만 이게 내러티브상 제도권 채택 기대감을 강하게 키운 건 부정 못하지.
3️⃣ 📊 지금 SEC에 올라간 XRP 현물 ETF는 최소 4건이야. 21Shares·Bitwise·WisdomTree·Canary 전부 Cboe BZX를 통해 심사 중이고, Bitwise·Canary는 10월 23일 최종 결정일이 잡혔어. ETF 승인 타임라인이 XRP 가격에 직격탄이 될 수 있는 거지.
4️⃣ 💸 만약 승인되면? 기관 자금 유입이 수십억 달러 단위로 들어올 수 있어. 물론 예측치마다 차이가 있지만, 시장에서는 XRP 10~16달러 시나리오까지 흘러나오고 있어. 블룸버그 공식 타깃은 아니고, 크립토 매체들의 낙관론이라는 건 체크해야 하고.
5️⃣ 🤝 Ripple은 최근 Thunes와의 파트너십 확장으로 90+ 지급 시장 커버, 일일 FX 거래의 90% 커버리지, 그리고 누적 처리액 $70B+라는 성과를 냈어. 이건 그냥 발표가 아니라 실제 사용량에서 증명된 거라 의미가 커.
6️⃣ 💱 일본 쪽에서는 SBI랑 손잡고 RLUSD(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2026년부터 유통한다는 계획까지 발표했지. 일본 내 제도권 확대의 신호탄이라고 봐도 돼.
7️⃣ 🔑 결론적으로, UNCDF 언급 → SEC ETF 심사 → Thunes·SBI 파트너십, 이 3가지 흐름이 동시에 돌아가고 있어. 이건 흔히 말하는 트리거 클러스터야. 각각 따로만 있어도 호재인데, 동시에 맞물리면 시장은 폭발적으로 반응하지.
8️⃣ 📉 물론 리스크도 있어. ETF 승인이 일부만 통과될 수도 있고, UNCDF 언급이 실제 정책 채택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야. 하지만 시장은 이미 “제도권 진입 서사”에 베팅하기 시작했어.
9️⃣ 🔮 내 시각엔 10월이 XRP의 역사적 분수령이 될 가능성이 커. ETF 결과·UN 내러티브·파트너십 성과가 동시에 차트에 반영될 거야. 이 구간은 변동성도 크겠지만, 제대로 잡으면 인생 트레이드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지.
🔟 🚀 한마디로, 지금 XRP는 단순 알트코인이 아니라 글로벌 결제 인프라 후보로 무대가 바뀌고 있어. ETF 승인 여부와 함께, 이게 진짜 10달러 돌파 랠리의 불씨가 될지 판가름나는 시기야.
👉 너라면 10월 ETF 데드라인 앞두고 XRP 포지션 어떻게 가져갈래?
DS의 나름 공부하는 분석! 방산주! 한화시스템!형들 반가워~
내가 좋아하는 한화주를 가지고 왔어!!
방산주 되자마자 미쳤었지 ㅋㅋㅋ
난 한화주 중에 한화시스템을 봤어!
왜냐면 얘로 수익을 꽤나 봤었거든~ ㅋㅋㅋ
아무튼 분석한 내용 얘기해줄게!! 참고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봉 차트!
내가 처음에 올린 나스닥 글을 봤다면 쉽게 이해 될꺼야~
빗각채널 그린걸 보면 맞는 위치 보이지? ㅋㅋ
보면 볼수록 이제 슬슬 감이 잡힐꺼야~
이걸 보고 다음이 짐작가?? ㅋㅋ
내 의견은 상승이야!
설명 들어간다!
이유
차트는 과거차트를 보면서 공부하는게 제일 좋아!
지금 빗각채널 기준을 보면 채널 상단 뚫을려고 하는데
첫번째 닿을때 내가 뭐라했지? 한방에 뚫을일은 극히 드물다~!! ㅇㅋ!?
그래서 실패했지? 두번째 실패! 세번째 여기서 뚫고 지지하면서 버텼지? 그럼 이제 다음 채널 상단을 보는거야!
※ 여기서 키 포인트!!
채널 상단을 뚫으러 가는 횟수가 많을수록! 상승 가능성은 높아진다! (대신 거래량이 중요!)
물론 반대로 하단 뚫으러 가는 횟수도 많으면 하락 가능성 높아지겟지!? ㅋㅋㅋ
쉽게 생각하면 돼!!
다음 2번째 채널
채널은 1:1 비율!
뚫고 첫번째 지지 성공! (여기서 지지를 한다는건 다음 채널 상단까지 상승가능성이 열린다!)
그리고 상단을 찍고! 저항을 맞고 바로 조정 오는데 그 조정은 반등이 될 수 있고 지금처럼 채널 하단까지 갈 수도 있어!
그래서 왠만한 트레이더들 말하자나? 분할 매수 매도! 그리고 손절!!!(가장 중요!)
손절을 두려워 해선 안돼! 그러기 위해서는 이렇게 차트를 보면서 손절 위치를 잡는게 가장 중요!
나는 그래서 지지1 에서 매수를 해서 저항1에 매도를 했어! (40% 수익)
다음 고대로 내려오자마자 채널 1:1의 반등인 위치! (하프라인을 그릴 수 있어!)
지금처럼 보이지?
난 여기를 첫번째 매수 위치라고 생각하고 두번째는 바로 지지2 여기까지 봤지!
여기서! 하프라인에서 지지2 까지 거의 20% 가까이 되는 이걸 버틴다는건 말이 안되겠지?
그래서 손절이 필요해! 하프라인 넘어 있는 최근 차트가 손절가가 되는거지!
대략 37,000 ~ 38,000 분할 매수!
손절을 36,000원! (손절 해봐야 커도 5%!)
손절되고 여기 뚫리면 지지2 자리까지 간다고 보거든!
그래서 손절되면 또 지지2 자리쯤에 가격측정해서 분할 매수 걸어놓고 손절가는 똑같이!!
이해 돼!? 어렵겠지만 이걸 과거를 이용해서 그려보는 반복이 중요해~!
방식은 이렇다는거지!
다음 채널
마지막 채널을 보면
뚫어주고 바로 조정 나와서 지지를 하는 모습이 보일꺼야!
지지1 부근 잘 버텼어! 그럼 뭐? 다음 채널 갈 상단!!
바로 쭉 쏘는데 앞에서 멈췄다? 근데 사이에 텅 비었는데 바로 뚫고 올라갔어!
이 텅 빈곳이 갭이라고 하는데 갭은 주 장이 끝나고 금요일 4시 ~ 다음 월요일9시 전까지 움직인 차트를 말하는데 그 사이에 이렇게 올린거다 라고 보면 돼~
저게 생기면 좋은건 아니야~ 저 갭 공간이 지지도 저항도 없다고 보면 돼~
쉽게 말하면 갭 상승을 보이고 내려온다? 그럼 저기 공간은 쭉 뚫릴 가능성이 높은거지~
차트 봐바~
상단 찍고 내려오면 보통 채널 하단인데 거기가 갭이 있다보니 하단 지지 무시하고 확 떨어지는게 보일꺼야!
그리고 어딜 찍고 지지가 되었냐?!
바로 내가 말했던 하프라인이야!
보이지?
주황선이 하프라인인데 지지2 하고 다시 반등하러 올라갔자나?
근데 채널 상단 다시 뚫고 갔지만 지지를 못하니 또 어디까지? 하프라인! ㅋㅋㅋㅋ
여기서 지지3! 그래서 난 상승을 보고 있어!
이런식으로 반복하면 돼!!
매수 타점!
50,000 ~ 50,500
손절 48,800
익절 57,000
지금까지 공부하는 분석! DS의 방산주 한화시스템 차트분석이였어!
긴글 봐줘서 고마워~! 부스터 한 번 씩 부탁혀~!!
돈 벌러 가자!!!!
※ 절대 매수의 강요 없고 선택은 본인의 몫입니다.
DS의 공부하는 차트 분석! SK하이닉스!형들 안녕~
공부하는 차트분석! DS야~
자주 올리고 싶은데 본업이 있다보니 시간이 정말 없다...ㅠ ㅎㅎ
그래도 짜투리 시간내에 차트보면서 형들에게 알려줄 차트들 계속 보고 있어~ 응원해줘~!
자! 오늘도 빗각채널 보는 공부 시작해보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늘은 SK하이닉스를 들고 왔어! 주봉으로 볼께~!
빗각채널을 그리면 이런 모습이 나오는데!
나의 글을 제대로 반복해서 읽었다면 대충 뭘 얘기하는지 짐작이 갈꺼야! ㅎㅎ
일단 빗각채널 0~1 라인
빗각채널 상단과 하단 맞은거 보이지? 빗각상단을 맞게되면 힘(거래량)이 없다면 뚫지 못하고 내려오는 경우가 대부분일꺼야~ 바로 채널하단인 지지1 라인에 딱 맞아버리게 되고 지지를 하니 다시 저항1인 채널상단을 뚫으러 가는 모습으로!
현재 그림 상황으로 봤을때! 주황1~3을 선을 잇고!
그 선을 평행하게 가장 최저점인 파랑 1~2 라인을 잇는것이 바로 빗각채널을 만드는 첫 보기야!
그래서! 유툽 방송보다가 신생주나 신생코인 던지면서 분석해달라는데 차트 딸랑 몇개 봉있는걸로는 빗각을 만들수도 차트 분석도 불가능한거야~
자! 여기서 내가 분석한글을 보면 항상 주봉 아니면 일봉으로 보여주는데 이유를 아는 사람이 있을까??
나도 그랬었지만 초보자들은 궁금해 할꺼야~
Q. 몇분봉으로 봐요? 몇시봉으로 봐요?
솔직히 이런 질문 많이 했었을껄?? 해봤을껄?? 아니 궁금했었을껄??? 하였으.....ㄹ...(그만...!!)
이건 일반적으로 차트 분석을 할때는 긴봉(긴시간)일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고 보면 돼!
쉽게 말하면!
초봉 < 분봉 < 시봉 < 일봉 < 주봉 < 월봉
이런식으로 긴 봉일수록 분석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라고 볼 수 있어!
이 부분은 나중에 더 자세하게 보여주면서 설명하며 글로 올려줄께~!
다시 와서! 복습!
보라색 바운더리! 저기는 뭘까!? 저기서 왜 횡보를 하고 저항과 지지가 생기는건가?!
여기는 채널의 중간인 하프라인이야!
여기서 하프라인을 그려보면!
빨간선 = 하프라인
어때?? 하프라인도 무시할 수 없겠지!?
첫번째 하프라인 보라색 바운더리 보면 횡보를 아주 오래 했지?? 내가 저렇게 뭉탱이로 있으면 뭐라고 했지?? 이게 매물대가 된다!
위에서 내려올때는? 지지대~!
밑에서 올라갈때는? 저항대~!
그래서 지지1 에서 파란색1번 찍고 다시 올라갈때 어때? 하프라인 부분 돌파하고 뭐야? 돌파하면 뭐한다고? 리테스트 하러 간다! 바로 짧게 리테스트 한거 보여?
자! 혹시 모르니 크게 확대해서 보여줄께!
보이지? 돌파 하고 바로 리테스트한 모습!
참고로 이건 주봉이야~ 말이 바로지 일봉으로 바꾸면 돌파 후 3주 뒤에 리테스트한걸 생각해야돼~!
리테스트가 성공하니! 바로 상승!
그리고 어디? 빗각채널 상단! 저항1 닿고! 또 못 뚫으니까 어케 돼? 떨어지는데 어디!? 하프라인~! ㅋㅋ
그리고 하프라인도 지지못하니까 어디?! 빗각채널 하단! 지지1 ㅋㅋㅋ
빗각채널보는법 이해되는겨??
다음 차트!
처음 채널하단인 지지1 이였던 부분이 버티지 못하고 뚫렸어!
뚫려?! 뚫리면 뭐라고!? 리테스트~!!
보라색 바운더리 1번 보이지?
뚫리고 다시 위로 올라와서 리테스트 하는거 보이지?? 이제 자세한 그림 없어도 보이지!?
리테스트가 성공하니 뭐? 쭉 내려가는모습!! 그리고 파랑 바운더리! 저기 왜 횡보일까? 왜 지지일까?
리테스트 성공해서 내려가면 하단까지 가야하는데 왜 저기지!?
하프라인~! 알겠지?? ㅋㅋㅋ
어떻게 봐야하는지 알겠지!? 형들은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라 이해할꺼여~!!!
하프라인 절대 무시하면 안돼~ ㅋㅋ 무조건 하단 가는게 아니야~!
하프라인도 고려해야한다!!
그리고 여기를 지지해버리니까! 어디로? 처음 지지1 이였던 곳이 이젠 뭐야? 바로 저항대가 되는거야~
왜!?
위에서 내려가면 지지!
밑에서 올라가면 저항!
지지1 부분이 뚫리니까 이젠 저기가 지지가 아닌 저항으로 바뀌는거지~
차트가 밑에서 올라가니까~
그리고 계속 뚫을 시도 하다가 결국 뚫고! 보라색 바운더리 2번!
자세히 보면 어때? 뚫고 뭐? 리테스트~ 보이지!? 이제 막 지겨울려나??... ㅋㅋㅋㅋㅋㅋㅋ
형들 이렇게 계속 연습해야뎌! 보는법! 그리는법! 이해돼!? ㅋㅋㅋ
미친듯이 해봐야되는겨!!
나중엔 차트 보고 빗각하나만 그려놓아도 막 보여! ㅋㅋㅋㅋㅋ
경우의 수가 많을수록 안전해!
자 다음 차트는 형들이 한 번 해봐~!
빗각은 좌측에 피보나치 종류에서 피보나치 채널이란게 있어!
그걸로 1~3번 순으로 맞춰봐~
따라해봐~
그린다음 해봐바~ 다음부분! ㅎㅎ
마지막 차트를 보고 마무리할께~!
최근 현 차트야~
하프라인을 뚫고 리테스트 확인했지? 저게 짧아서 잘 모르겟지?
이럴때 쓰는게 바로 일봉이야~ 더 자세하게 보기 위한!
일봉으로 보면!
파란화살표 보이지? 리테스트 한부분? 저렇게 확인후 올라가는데 어디? 채널상단~! 그리고는 시도하다 결국 뚫어버렸어! 뚫고 뭐야? 리테스트! ㅋㅋㅋ
근데 일봉으로 보고 있는데로 지금 현재 리테스트를 안하고 그냥 쭉 올라간걸로 확인이 된거 보여?
그럼 뭐? 리테스트 하러 무조건 온다는거야!!
난 채널하단까지 올꺼라 생각해~ 왜냐면~
노란색 네모 바운더리 보면 저기 어디야? 이제 알지?? 알아야돼~ 하프라인~
하프라인 그려보니까 상단을 뚫은 후 하프라인까지 쭉 뚫어버리고 그 하프라인에서 리테스트 한 모습을 볼 수 있을꺼야~! 중요한건 하프라인 뚫을때 갭상승으로 뚫은게 보이지?? 갭상승은 그렇게 좋지 않다는거 말했을꺼야~ 약한 존재거든!
그래서 상단 찍고 내려오는데 하프라인 지지 못하고 떨어지고 있는 모습!
주봉으로 다시 보면
노란네모바운더리 안 보라색바운더리 보면 주봉의 시작이 하프라인 밑에서 시작을 보이고 있어!
이게 키포인트지! 이게 바로 하락의 리테스트는 끝으로 판단! 이게 이유야!
이제 보니까 채널을 해석 분석 하는법 대충 이해되는거 같은가?? ㅋㅋ
이상! 공부하는 차트분석! DS 였어~!!
긴 글 읽어봐줘서 너무 고마워~~ 돈 안드는데 부스트 부탁해!! ㅋㅋㅋ
다음엔 빗각 그리는거 공부하도록 해볼께~!!
SK하이닉스!
매수 235,000 ~ 238,000
손절 227,500
익절 270,000
돈 벌러 가즈아!!!!
비트코인 올라가도 MSTR은 왜 무너졌을까? 숨겨진 10가지 이유“비트코인 올라가도 MSTR은 왜 무너졌을까? 숨겨진 10가지 이유”
비트코인은 1년 새 +19% 올랐는데, MSTR은 -40% 폭락. 🤯
비트코인 보유량은 2배로 늘려서 무려 전체의 3%를 들고 있는데 주가는 반토막.
이게 도대체 어떻게 가능하냐고? (이어서 계속👇)
1️⃣ 📉 -40% vs +19% 역설
2024년 11월, MSTR은 $543 고점. 그때 BTC는 $94,300. 지금 BTC는 +19% 상승했는데, MSTR은 -39% 하락. 같은 코인 들고 있는데 왜 반대로 움직일까?
2️⃣ 🪙 비트코인 3% 독점
MSTR은 현재 약 636,000 BTC 보유 → 전체 발행량의 약 3%. 불과 1년 전보다 보유량은 2배 증가. 그럼에도 주가는 오히려 추락.
3️⃣ 🧮 NAV 프리미엄 압축
예전엔 투자자들이 “MSTR 비트코인 가치의 3배”까지도 프리미엄을 줬음. 지금은 “1.5배” 수준만 인정. 결국 프리미엄(=꿈) 이 빠지면서 주가도 급락.
4️⃣ 💸 주식 희석(Stock Dilution)
비트코인 더 사려고 회사가 채권+신주 발행. 결과적으로 비트코인 보유량은 늘었지만 주당 가치 희석. BTC당 보유량은 늘었는데 주가는 반영 안 됨.
5️⃣ 🏦 ETF와의 경쟁 심화
2024년엔 비트코인 ETF들이 무려 300M 달러씩 유입. 투자자 입장에선 굳이 주식 리스크 안고 MSTR 갈 이유가 줄어듦. → 자금은 ETF로 이동.
6️⃣ 📊 시장 심리(Sentiment) 변화
예전엔 MSTR이 “비트코인 유일한 상장 플레이”였음. 지금은 코인 트레저리 기업이 100개 이상. 독점적 지위 약화 → 프리미엄 하락.
7️⃣ 🏦 금리·거시환경 리스크
고금리 → 차입 부담 ↑. Fed 금리 동결/인하 불확실성 → MSTR 채권발행·레버리지 매수 전략에 의구심. → 결국 주가 디스카운트.
8️⃣ 🧠 아마존과 같은 사례
아마존도 매출·순이익 ↑인데 주가는 제자리. 이유는 단순: PER 압축. MSTR도 동일. 회사 펀더멘털은 오히려 좋아졌는데, 투자자들이 덜 돈을 주려는 것.
9️⃣ 🔄 리밸런싱 효과
기관 투자자들: “왜 비싼 MSTR 사? 그냥 ETF 사면 되잖아.” → MSTR 매도 → ETF 매수. 결국 MSTR 가격은 상대적 매력도 부족으로 하락.
🔟 🚀 미래 시나리오
만약 시장 심리가 반전돼 “비트코인 상승 레버리지”로 다시 불타오르면? 지금 낮아진 멀티플 덕분에 오히려 상승 속도는 더 폭발적일 수 있음.
👉 결론: MSTR의 문제는 ‘비트코인이 아니라 사람들의 태도’
프리미엄이 빠지면서 가격이 무너졌을 뿐, 펀더멘털은 오히려 강해짐.
지금은 ETF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지만, 다시 “레버리지 비트코인 플레이”가 주목받는 순간, MSTR은 폭발적으로 반등할 여지가 큼.
나비 패턴을 이용한 PORTAL 롱 관점우선 이더리움이 최근 전고점을 갱신했고 도미넌스가 현재 58%, 이더리움도 추가 고점 갱신할 수 있는 여유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근거를 바탕으로 9월달은 알트장으로 예상되므로 롱 관점으로 작도했습니다.
1.618 AB=CD로 D 포인트를 잡았습니다. D 포인트의 위치가 XA<1.414 이지만 거의 근처까지 가기에 D 포인트 구간에서 추가 상승을 한다면 나비가 아닌 크랩 패턴을 의심하겠습니다.
현재는 나비 패턴을 중점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익절/손절 라인을 설정하였습니다.
익절 라인은 D 포인트 0.12964
손절 라인은 C 포인트 0.03889
BINANCE:PORTALUSDT.P
워렌 버핏 조상 크로마뇽인이 와도 이건 숏이다 이젠 말할수 있다( 비트코인 )안녕하세요 ~
하아.. 추세 맟추기 난이도 헬급의 최근 시황인데요
그냥 추세는 숏입니다
빨간 수평선 넘어서 반등나오면 비트코인 투자는 접도록하겟습니다
장난 그만하고 근거는
충격파동 이기 때문입니다
앞서 언급드렷던 전고점은 장기추세선이 지나가는 자리였고
현재 자리에서 약 반등은 나올수 있으나
현재의 리테스트를 넘는 반등이 나온다면
공부한거 다 엎어버리는 새로운 무엇이기에
뭐 나중에 엇 이거엿네 ~
이럴순 잇겟죠 하지만
한도를 넘는 기준선 넘나듬은 이제 인내하기엔 어렵습니다
워렌버핏 할아버지 크로마뇽인이와도
이건 가장 강력한 하락충격파동 3파입니다
전체비율의 0.382 빨간박스는 안가더라도
녹색박스는 무조건 간다고 생각합니다
(타점을 잡아드리는것이 아닌 추세분석으로
그 용도로 소비하셔야 합니다
어 숏이네 당장 숏치자 햇다가 ..약반등에 골로 가실수 있습니다)
타점 잡기는 절대 완전 별개의 문제 입니다
(하지만 눈치빠르신분들은 빨간수평선에 숏타셧겟죠 아마도? 고수분들? 쳇...)
BNT (Bancor) 분기 차트 분석BNT의 3개월봉 차트를 머니카피랩의 미들라인을 통해 분석해 보았습니다.
BNT는 현 구간에서 3년 가까운 시간동안 쌍바닥 매물대 박스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지난 2020-2021년 고점에서 발생한 거래량 보다 이번 저점 거래량이 3배 가까이 많습니다.
저항 구간과 저항을 돌파하기 위한 힘의 축적 구간인 매물대 구간을 나누어 보면 위와 같은 형상이 됩니다.
2020-2021년 고점 매물대를 왼쪽 손잡이로 본다면 통산 오른쪽 손잡이는 왼쪽 손잡이의 중단 또는 상단을 터치하기 떄문에 최소 330%, 1,181%의 수익율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지난 3년간 쌓아온 매물대의 중앙의 2023년 3분기 4분기에 발생한 거래량이 이번 상승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MSTR이 만약 판다면? 비트코인 5만 달러 밑까지도 갈 수 있다 vs 구조적으로는 쉽지 않다🚨 “MSTR이 만약 판다면? 비트코인 5만 달러 밑까지도 갈 수 있다 vs 구조적으로는 쉽지 않다”
MSTR(현 Strategy Inc)은 최근 2주 동안 무려 7,129 BTC 를 더 사들였어요. 이제 총 보유량은 636,505 BTC , 전 세계 유통량의 약 3% 를 쥐고 있죠.
숫자는 거짓말을 안 합니다—이건 공격적인 매수 전략 그 자체예요.
문제는 단순히 “사면 오른다”가 아니라 어떤 조건에서 가격이 무너질 수 있는가 예요. 결국 리스크는 돈줄과 유동성 에서 시작됩니다. (이어서 계속👇)
1️⃣ 💼 7,129 BTC 순매수 = “현금창구가 멀쩡하다”는 증거
8/18~~8/24에 3,081 BTC(평단 $115,829) , 8/26~~9/1에 4,048 BTC(평단 $110,981) . 총 636,505 BTC 까지 늘렸어요. 이 속도라면 분기마다 수만 개를 추가 매수하는 것도 가능하죠. 핵심은 돈 조달 → 즉시 비트코인 전환 구조가 매끈하게 돌아간다는 겁니다.
2️⃣ 🧱 하방 방어막 = 담보 청산 리스크 낮음
과거에 빚을 담보로 잡히던 구조(실버게이트 대출)는 2023년에 완전히 상환 됐어요. 지금 부채는 무담보 전환사채+우선주 라서, 강제로 끌려 나와서 파는 ‘마진콜 폭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3️⃣ 🧮 희석 vs 축적: 결국 프리미엄이 관건
MSTR은 자체 지표(mNAV, 기업가치 ÷ 보유 BTC 가치)를 공개하면서 ‘ 주당 BTC ’를 늘리는 게임을 합니다. 주가가 프리미엄을 유지하면 주식·우선주를 추가 발행해 더 많은 BTC를 확보할 수 있죠. 하지만 프리미엄이 꺼지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BTC가 줄어들어 효율이 급감합니다.
4️⃣ 🧨 비트코인 4 ~5만 달러 급락 시나리오
실제 붕괴는 ‘전량 매도’가 아니라 “대형 보유자 매도 신호 → 레버리지 청산 도미노 → 현물 유동성 고갈” 순서로 옵니다. 만약 MSTR이 비중을 줄이겠다고 공개하고, 동시에 우선주 배당+전환사채 이자 부담 이 겹치면 현금흐름을 지키려는 매도가 나올 수 있습니다.
5️⃣ 📊 현물·파생 유동성 체크
총 발행량은 2,100만 개, 유통량 약 1,991만 개. MSTR 보유는 약 3% . 하루 현물 거래대금은 수십억 ~수백억 달러라 해도, 대규모 매도가 터지면 파생시장에서 강제청산 이 증폭기를 맡아 버립니다. 즉, “매도 자체”보다 “매도 신호”가 무섭습니다.
6️⃣ 🧯 자금조달 비용 = 배당이 목줄을 죈다
특히 STRC(변동금리·월배당 약 9.5 ~10%) 같은 우선주가 문제예요. 시장이 얼어붙거나 배당률이 더 올라가면 현금 수요가 폭증합니다. 거기다 프리미엄까지 빠지면 희석↑, BTC 축적 효율↓, 현금흐름 압박↑ 이라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 사이클 히스토리로 본 바닥 가능성
비트코인은 과거에도 상승 후 -50% ~ -80% 조정을 반복했어요. 이번에 $112K에서 $50K(-55%)까지 떨어질 수 있냐고? 유동성 쇼크+대형 신호 가 겹치면 충분히 가능한 범위예요. 다만 MSTR이 ‘강제로’ 파는 상황은 지금 구조상 낮고, 결국 자본시장 경색 이 핵심 변수입니다.
8️⃣ 🪙 MSTR vs 비트코인: 현실적 전략
내 선택은 현금 20% 확보 , 나머지는 BTC 현물 중심 에 두고 MSTR은 전술적 비중 으로만 가져가는 겁니다. 왜냐면 MSTR은 프리미엄·희석·배당 변수 가 붙어 있어서, 프리미엄이 너무 높을 땐 차라리 현물 BTC가 리스크-보상 측면에서 더 깔끔하기 때문이죠.
👉 결론:
베이스라인 : MSTR의 순매수 드라이브는 계속 유효, 강제청산 위험은 낮음.
테일리스크 : 자본시장 경색+배당·이자 부담+프리미엄 붕괴가 동시에 오면, 방어적 매도가 현실화될 수 있음 → 그때는 비트코인 5만 달러 밑 도 가능.
액션플랜 : 현금 20% 유지, 코어는 BTC 현물, MSTR은 “프리미엄과 발행 뉴스”를 보며 단기 전략적으로만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