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패턴
원달러환율과 국제정세 그리고 거시경제원달러는 삼각수렴형태의 움직임으로 , D혹은 E가 진행중인것으로 보인다.
국제적 관점을 바라보면 중국과 미국 양강의 대치 , 과열 팽배기조가 강화되고있다.
나스닥또한 5파동 마감을 앞두고있으며
중미관세전쟁을 이유로 하락에 임박한 모습이다
또한 여전히 물가는 잡히지않고있으며 , 금리인하는 진행중이나 스태그플레이션 혹은 경제공황에 근접한 물가와 금리 그리고 달러 오일의 긴밀함이 약해지고있다.
그렇다면 , 달러기축통화 체제의 무너짐과 이를 새로운 통화로 채울 질서가 유지될것이라 본다.
이는 전쟁이 임박해있을수있으며
달러기반으로한 국가들에게 위기를 초래할수있다.
나스닥이 본격적으로 하락하는 시기에
미국 장기채 가격이 하락해버린다면
원달러환율은 겉잡을수없이 폭등할수가있다.
한국 경제가 이를 버텨낼수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 조심해서 나쁠것은없다 생각한다.
장기적관점이기에 , 언젠가 미국의 경제공황을 염두하며 투자는 보수적으로 접근해야할 시기가 장기적으로 올것이라 본다.
나스닥 5-5엔딩다이이고날1. 나스닥 엔딩다이아고날형성이 머지않은듯 함.
2. 5-3파동 연장으로 , 급격히 이루어진 상승의 마감
3. Abc abc abc abc abc형태의 다이아고날 및 1 4파동 고저점 중첩시 다이아고날 염두
4. 해당파동 이후 급격한 조정세 관측여부 주목
5. 10월 30일 금리는 동결될것으로 보이며
6. 11월 중미관세로 인한 충격으로 급락 진행
7. 12월 금리발표시 빅컷 예상 , 새로운 상승궤도 형성
8. 그렇다면 현재 5-5의 엔딩다이아고날은 , 대파동 5-1파동이 될수있음을 염두
<이것은 차후에, 판단할 내용>
BTCUSD 10월 23일 비트코인 Bybit 차트분석입니다.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워"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제 분석글이 도움되는경우
하단에 부스터 버튼 하나씩 부탁드릴게요.
비트코인 30분차트입니다.
잠시후 11시 나스닥 지표발표가 하나있구요.
좌측 하단에는 보라색손가락으로
어제 진입했던 롱포지션 진입구간 107,146.8불 그대로 전략을 연결했습니다.
나스닥은 중기패턴이 깨진 상태에서조정중이고 ,
비트는 4시간 , 일봉차트 MACD 골든크로스가 나올 순서네요.
XAUUSD 골드에서 힘이 빠지고
어제 일부 나스닥 디커플링이 나왔는데요.
비트에 힘이 실릴지 중요해보입니다.
*빨간색 손가락 이동경로시
원웨이 롱포지션 전략.
1. 108,136.7불 롱포지션 진입구간 / 초록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2. 110,837.9불 롱포지션 1차타겟 -> Top , Good 순서대로 타겟가
전략에 성공시 110.2K는 롱포지션 재진입 활용구간이구요.
상단에 1번구간 보라색지지선내에서
반등에 성공하는경우 수직상승이 나올수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오늘은 나스닥 조정때문에
조금 더 안전하게 운영해보겠습니다.
오늘 Bottom 구간이 밀리면
중기 상승추세선이 같이 깨지기때문에
롱포지션 입장에서 좋지않구요
2번 , 3번 각자 쌍바닥구간인데 위험할수있으니
터치시 변수가 나올수있어서
5분봉 추세전환을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 및 활용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시나리오 제조기?저는 엘파의 마스터도 전문가도 아니며 따라 교육 받아본적도 없기에
카운팅에 있어 정형화 되지 않다는점 먼저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정식코스의 교육 과정을 거친 메이저 트레이더분들이 보시기에
어설프거나 혀를 내두를만한 부분들이 분명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일종의 야매 또는 아웃사이더 를 바라보는 느낌으로 바라봐 주셨으면 합니다.
(하긴,,고수님들은 제 글 따윈 아예 관심 없으시겠지만 ㅎㅎ)
엘파에 있어 규칙성 필요불가결로 무시 못할 부분이긴 합니다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엘파를 실투에 적용 했을시 성공률은 60% 정도라 보고있고
피보나치 (필수) 활용을 통한 확률을 확연하게 올릴 수 있다 봅니다
카운팅에 있서 너무 수치에 매몰됨으로써 확증편향적 오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생각이고
가끔 정형화 되지 않는 사고로 접근 할 때 들어맞는 경우도 있기에...
무튼 지레짐작으로 제 자신을 변호 하기 위한 변명의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ezETH 완전 해설 — 이더리움을 두 번 맡겨 복리로 불리는 리퀴드 리스테이킹 토큰의 모든 것
🔥 “ezETH 완전 해설 — 이더리움을 두 번 맡겨 복리로 불리는 리퀴드 리스테이킹 토큰의 모든 것”
1️⃣ ezETH는 쉽게 말해 ‘이더리움을 다시 맡겨 이자를 한 단계 더 버는 토큰(LRT)’이에요. 내가 이더리움(ETH)을 Renzo 플랫폼에 예치하면, 그만큼의 ezETH 토큰을 받게 돼요. 시간이 지나면서 이 토큰의 가치는 자동으로 오르는데, 예를 들어 1 ezETH가 처음엔 1 ETH였더라도 몇 주 후엔 1.02 ETH처럼 조금씩 늘어나요. 마치 은행 예금이 아니라, “이자를 자동으로 더해주는 이더리움 증서”라고 보면 돼요.
2️⃣ 운영 주체는 Renzo(렌조)라는 회사 로, 이들은 사용자가 얻는 보상 중 10%를 수수료로 가져가요. 이 중 절반(5%)은 Renzo 재단 트레저리로, 나머지 절반(5%)은 노드 운영자에게 돌아가요. 즉, 남은 90%의 보상 이 ezETH 보유자의 자산가치에 직접 반영되며, 매일 자동으로 누적돼요. 이렇게 시간이 쌓이면 복리 효과가 생겨서 장기 보유자일수록 수익률이 높아지는 구조예요.
3️⃣ ezETH는 단일 네트워크에 머물지 않아요. Ethereum 메인넷뿐 아니라 Arbitrum, Base, Blast, Binance Smart Chain(BSC), Linea 등 6개 이상의 체인에서 네이티브 또는 브릿지 형태로 유통돼요. 예를 들어 Arbitrum에서는 Aave를 통해 담보로 쓰이고, Base에서는 Aerodrome에서 스왑 거래가 가능하죠. 그래서 유저들은 어느 체인에서 거래하느냐에 따라 가스비·속도·유동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체인 간 이동 전략 이 수익률에 큰 영향을 줘요.
4️⃣ 가격 안정 장치는 Chainlink(체인링크) 오라클이에요. 체인링크는 실시간으로 ezETH의 시세를 ETH와 비교해 계산하고, 이 데이터를 Aave·Spark·Compound 같은 대출 플랫폼에 제공합니다. 덕분에 ezETH는 단순 토큰이 아니라 공식적인 담보자산(콜래트럴) 로 인정받고, 안전하게 대출에 활용될 수 있어요.
5️⃣ 현재 시장 데이터로 보면, ezETH의 가격은 약 $4,196.50(약 580만 원) 이고, 유통량은 약 300,565개 , 시가총액은 약 12억 6천만 달러(약 1조 7천억 원) 예요. 24시간 거래량은 약 63만 달러(약 8억 6천만 원) 수준으로, 주로 트레이딩보단 예치·담보용 으로 사용되는 게 특징이에요.
6️⃣ 상위 보유자는 거의 모두 디파이 프로토콜이에요. Aave(33.1%), Renzo Lockbox(24.2%), Spark(5.2%), Compound(4.5%), 그리고 기타 대출 프로토콜들이 합쳐 상위 6개 주소가 전체 공급량의 95% 이상(약 28.7만 ezETH) 을 차지하고 있어요. 즉, ezETH는 일반 투자자보단 기관이나 프로토콜 중심으로 움직이는 구조예요.
7️⃣ 사용자 전략 중 핵심은 ‘루핑(Looping)’이에요.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10 ETH를 Renzo에 예치해 ezETH를 받으면, 이를 Aave에 담보로 맡기고 ETH를 대출받은 뒤, 그 ETH를 다시 Renzo에 넣어 또 ezETH를 받는 식이에요. 이렇게 반복하면 자산이 2배, 3배처럼 불어나며 더 많은 보상 포인트(REZ, EigenLayer 포인트 등) 를 얻을 수 있어요. 하지만 청산 위험도 함께 커지죠.
8️⃣ 가격은 기본적으로 ETH와 1:1로 움직이지만 완전 고정은 아니에요. 유동성이 줄거나 상환(언스테이킹)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ezETH가 ETH보다 약 1~5% 싸게 거래되기도 해요. 실제로 2024년 4월, AMEX:REZ 에어드랍 직후엔 대규모 매도로 ezETH 가격이 ETH 대비 –10%까지 하락(디페깅) 한 사례도 있었어요.
9️⃣ 리스크는 크게 세 가지예요. 첫째, AVS(Actively Validated Service)가 해킹되거나 실패하면 슬래싱(자산 일부 손실) 이 발생할 수 있어요. 둘째, 멀티체인 유동성 단절로 특정 체인에서 상환이 지연되거나 가격이 급변할 수 있고, 셋째, 브릿지나 오라클 오류 시 자금 이동이 막히거나 잘못된 가격이 전달될 수 있어요.
🔟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땐 신중해야 해요. Arkham이나 Nansen 같은 온체인 툴로 “Top 25 홀더 변화량(+4,755 ezETH = 약 1,979만 달러)” 같은 데이터를 볼 수 있는데, 이때는 프로토콜 계약 주소를 제외하고 개인 지갑만 계산해야 정확해요. 또, 가격 환산은 반드시 Chainlink 오라클 기준가 를 써야 실제 시가와의 차이를 줄일 수 있어요.
SynFutures “신퓨처스(F 토큰) — 유니스왑과 GMX를 합친 차세대 온체인 파생상품 거래소의 등장🔥 SynFutures “신퓨처스(F 토큰) — 유니스왑과 GMX를 합친 차세대 온체인 파생상품 거래소의 등장”
1️⃣ SynFutures란 무엇인가요?
SynFutures(신퓨처스)는 “중앙 거래소 없이 자동으로 돌아가는 선물 거래소”예요.
보통 업비트나 바이낸스 같은 중앙화 거래소(CEX)는 회사가 직접 시스템을 운영하지만,
SynFutures는 블록체인 위에서 코드(스마트컨트랙트)로만 거래가 돌아가요.
즉, 누가 관리하거나 허락해주지 않아도, 누구나 직접 선물 시장을 만들고 거래할 수 있는 완전한 탈중앙화 거래소(DEX)입니다.
2️⃣ 핵심 기술: Oyster AMM (V3)
이건 SynFutures의 ‘두뇌’이자 가장 중요한 기술이에요.
유니스왑(Uniswap)의 유동성 모델과 전통 거래소의 주문장(Orderbook) 방식을 합쳐 놓은 시스템이에요.
유동성 공급자(LP)는 “나는 F 토큰이 10~12달러 사이일 때만 거래에 참여할래”처럼 가격 범위를 직접 지정할 수 있죠.
또 다른 DEX는 두 개의 코인(예: ETH+USDC)을 예치해야 하지만, SynFutures는 한 가지 토큰만 맡겨도 자동으로 양쪽 거래를 지원해줘요.
이 덕분에 적은 자본으로도 큰 유동성 제공이 가능하죠.
3️⃣ 투명하고 자동화된 청산 시스템
선물 거래에서 가장 무서운 건 ‘청산(포지션이 강제로 정리되는 것)’이에요.
기존 거래소는 내부 시스템으로 청산을 처리해서 사용자는 뭘 어떻게 계산했는지 잘 몰라요.
하지만 SynFutures는 청산 규칙, 증거금 계산, 가격 기준(오라클)을 블록체인에 전부 공개했어요.
즉, “모든 규칙이 코딩되어 있고, 누구나 들여다볼 수 있는 완전 투명한 시스템”이죠.
4️⃣ 거래할 수 있는 상품이 다양하다
SynFutures는 단순히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 같은 코인만 거래하는 게 아니에요.
RWA(실물자산)라고 해서, WTI(원유)나 금(Gold)처럼 실제 가치가 있는 자산도 거래할 수 있고,
심지어 NFT 가격이나 비트코인 채굴 해시레이트처럼 독특한 자산도 파생상품으로 거래할 수 있어요.
이건 “가상자산 거래를 현실 금융처럼 확장한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5️⃣ 한국 시장 진출 — 업비트 상장
2025년 10월 21일, SynFutures의 토큰 F가 업비트에 KRW·USDT 마켓에 동시에 상장됐어요.
한국 투자자들의 거래량이 폭발하면서 하루 거래대금이 수천억 원대로 급증했어요.
차트 흐름은 전형적인 상장 패턴이었어요 —
① 급등 → ② 단기 조정 → ③ 다시 적정 가격으로 재평가.
이 상장은 SynFutures가 한국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알려진 결정적 계기예요.
6️⃣ 토큰 F의 주요 수치 한눈에 보기
총 발행량: 100억 개 (더 이상 발행 불가)
현재 유통량: 약 27억 개 (전체의 약 27.7%)
시가총액: 약 630억 원 수준
특징: 하루 거래량이 시총보다 더 많을 때도 있을 정도로 매우 활발한 회전율을 보여요.
즉, 단기 매매가 활발하고 가격이 빠르게 움직이는 시장이에요.
7️⃣ 토큰 분배 구조 (누가 얼마나 갖고 있나)
커뮤니티 보상: 28.5%
재단(운영비·장기개발): 25%
투자자 및 고문: 23.5%
핵심 팀: 15%
개발/기술 지원: 5%
유동성 확보: 3%
초기에 전체의 12%가 풀렸고, 나머지는 2028년까지 매달 조금씩 시장에 풀리는 구조(선형 언락)예요.
이 말은, 시간이 갈수록 공급이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가격이 장기적으로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8️⃣ F 토큰의 역할 (어디에 쓰이나?)
거버넌스 투표: SynFutures의 운영 방향, 수수료 정책 등을 결정할 때 투표권으로 사용.
스테이킹: F를 예치하면 플랫폼 수익의 일부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음.
인센티브: 거래나 유동성 공급(LP)을 많이 하면 F로 보상.
즉, 플랫폼이 커지고 거래가 활발해질수록 F의 가치도 자연스럽게 오르는 구조예요.
9️⃣ 성장 근거 — 실제 성과
SynFutures는 단순히 “아이디어만 좋은 프로젝트”가 아니에요.
V1, V2를 거쳐 지금의 V3(Oyster AMM)까지 발전하면서 사용성과 효율이 크게 높아졌어요.
또한 이더리움 외에 Base, Arbitrum 같은 L2 네트워크로 확장해 거래 수수료를 낮췄고,
“Perp Launchpad” 기능을 통해 다른 코인 프로젝트들도 손쉽게 자신들의 선물 시장을 개설할 수 있게 했어요.
특히 RWA(실물 자산)나 NFT 시장을 빠르게 공략하면서 경쟁자들이 접근하지 못한 영역을 선점했죠.
🔟 팀과 투자 배경
2023년 10월, 시장이 침체되어 있던 시기에 Pantera Capital이 주도하고,
HashKey와 SIG DT가 참여한 2,200만 달러(약 3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어요.
이건 시장이 “SynFutures는 진짜 기술력과 실행력이 있다”고 인정했다는 의미예요.
크립토 윈터(혹한기) 속에서도 투자를 받았다는 건 프로젝트의 신뢰도와 잠재력을 증명한 셈이에요.
💡 정리하면 이렇게!
SynFutures는 쉽게 말해,
👉 “Uniswap의 유동성과 GMX의 파생상품 시스템을 합친 완전 온체인 거래소”예요.
누구나 자유롭게 시장을 만들고, 실물자산까지 거래할 수 있는 혁신적인 DEX죠.
다만, 2028년까지 계속되는 토큰 언락(공급 증가)과 청산 시스템 리스크는 꾸준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더리움 목표가 6900달러안녕하세요 반포자이 입니다.
이더리움의 큰관점으로 보자면 해당 시나리오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흐름을 보고있습니다.
Ethereum (ETH) — 최근 청산 → 바닥 다지기 → 상승 흐름 분석
1. 최근 대규모 청산 사건 요약
2025년 10월 10일, 암호화폐 시장에서 사상 최대 규모 청산이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로 인해 Bitcoin이 10만 달러대 중반에서 하락했고, ETH도 약 3 800 달러 근처까지 밀렸다.
또한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ETH가 약 $3 900 이상이면 숏 포지션 청산 가능성이 약 13.41억 달러, 반대로 $3 700 이하면 롱 포지션 청산 가능성이 약 7.26억 달러라는 리퀴데이션 지표가 나왔다.
시장 심리는 급격히 악화되어 ‘극단적 공포(extreme fear)’ 단계로 진입했다.
2. 차트상 흐름 비교 및 해석
“큰 청산 뒤 바닥 다지고 상승하는 그림”이라는 틀에 맞춰 ETH 차트를 재해석 해본다?
10월 초 청산 충격으로 ETH가 단기 급락
그리고 대규모 청산 이후 단기 하락이 멈추고 저가 영역에서 가격이 정체 또는 약한 반등을 보이는 구간이 형성이 되었죠?
시장이 청산 충격을 흡수하는 단계 “multi‐step bottoming process” 라고 표현합니다.
바닥 다지기 이후 조건이 성립 하면 반등 흐름이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 존재. 당신이 올린 이미지의 틀처럼 ‘청산 → 저가정체 → 상승’의 구조가 가능해 보입니다.
3. 현재 차트에서 주목할 셋업 포인트
약 3700달러 부근이 현재 중요한 지지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청산 후 바닥 다지기 구간으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3900달러 이상에서 숏 청산 가능성이 크게 대기 중이라는 지표 존재하고 있고
즉, 이 구간을 돌파하면 상승 탄력이 강화될 수 있다
바닥 다지기 이후 4000달러 이상으로의 반등을 염두에 둘 수 있다. 다만, 시장 유동성 / 거시지표 리스크를 감안
4. 유사 흐름 비교
위 차트는 엔캐리 청산 시기때 차트를 가져왔습니다 요즘 많이 유행하는 차트이기도 합니다.
당신이 언급한 2024년 8월의 ‘엔캐리 청산’ 당시 Bitcoin 패턴(청산 → 저가정체 → 상승)을 ETH에서도 유사하게 기대해볼 수 있다
다만 자산·시장환경이 다르므로 완전 동일한 수준으로 반복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전반적인 흐름으로 본다면 비슷한 구조로 인식하고 청산 직후의 바닥에서 정체를 하고 있고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판단하고 있다
현재 ETH는 청산 직후 바닥 정체 구간에 진입했거나 진입 중일 가능성이 매우 크며,
이 구간에서 지지 확인이 중요 합니다 → 예컨대 3700달러 유지 하면서 거래량 변화만 체크하면 한파동의 큰 추세를 먹을 수 있다고 본다
리플(XRP), 조정은 끝나간다 — 1조 원대 인수·기관 매집·ETF 기대가 만드는 ‘진짜 상승 전조’🚀 “리플(XRP), 조정은 끝나간다 — 1조 원대 인수·기관 매집·ETF 기대가 만드는 ‘진짜 상승 전조’”
1️⃣ 현재 XRP는 $2.39~$2.41(약 3,300원) 구간에서 거래되고 있어요. 하루 최고가는 $2.42, 최저가는 $2.37로, 24시간 거래량은 38억 달러(5.3조 원) 수준이에요. 지지선은 $2.35, 저항선은 $2.54로, 이 범위를 벗어나면 단기 방향성이 결정될 거예요.
2️⃣ 기술적으로는 ‘예민한 분기점’ 이에요. $2.35 아래로 밀리면 $2.27(–3.4%) → $2.13(–10.9%) 까지 조정 여지가 있지만, $2.54 돌파 시엔 $2.64(+9.8%) → $2.73(+13.3%) 까지 열릴 수 있어요. RSI(상대강도지수)는 61.7, 과열 직전 수준이라 “단기 눌림 후 반등” 시그널로 해석돼요.
3️⃣ 리플의 본업은 훨씬 공격적으로 확장 중이에요. 2025년 10월, 리플은 글로벌 재무관리 솔루션 기업 GTreasury를 약 10억 달러(1조 4천억 원) 에 인수했어요. 이 회사는 13,000개 은행과 5,000개 기업이 사용하는 시스템을 운영하며, 리플은 단순 코인이 아닌 금융 인프라 기업으로 진화 중이에요.
4️⃣ 리플 달러(RLUSD) 도 본격적으로 사용 확대 중이에요. 현재 시가총액 약 6억 달러(8,400억 원) 규모로, 미국·유럽·동남아 40여 개 기업이 실제 결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어요. 블록체인 기반 달러 결제가 현실화되며, XRP의 실사용 가치가 커지고 있죠.
5️⃣ 월마트 협업설은 아직 공식 발표는 없어요. 다만 월마트의 OnePay 앱이 Zero Hash 인프라를 사용하고 있고, Zero Hash가 RLUSD를 지원하면서 기술적 연결고리가 만들어졌어요. 따라서 ‘간접 연계 가능성’은 높지만, “리플 공식 제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어요.
6️⃣ 기관 매집 소식도 부각되고 있어요. 로이터는 Evernorth가 10억 달러 규모 SPAC 상장을 추진 중이며, 2~3억 달러(약 4천억 원) 를 XRP 매입에 사용할 수 있다고 보도했어요. 실제 상장이 성사된다면, 기관이 직접 보유하는 XRP 펀드의 첫 사례가 될 가능성이 커요.
7️⃣ 연준 태스크포스(Faster Payments TF) 는 오해가 많아요. 리플은 2015~2017년 Fed가 주도한 실시간 결제 혁신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당시 운영위원회 멤버로 Ryan Zagone이 활동했어요. 2017년 프로젝트 종료 후 보고서에서 리플은 ‘혁신 결제 사례’로 소개되었고, 이후 이 결과가 FedNow(2023년 상용화) 개발의 토대가 되었어요.
8️⃣ ETF 승인 관련 루머는 아직 불확실성이 있어요. 셧다운으로 SEC 인력의 87%가 휴직 중이며, Franklin·VanEck 등이 XRP ETF 심사를 기다리고 있어요. BlackRock은 공식 신청을 부인했지만, 시장에서는 ‘조만간 참여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요.
9️⃣ ETF 승인 시 기대 효과는 막대합니다. 승인되면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관 자금이 XRP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장기적으로는 XRP의 시장 점유율과 신뢰도 상승으로 이어질 거예요. 블룸버그 애널리스트들은 승인 확률을 90%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XRP는 지금 ‘조정 속 매집 구간’이에요. 단기 변동성은 있지만, GTreasury 인수·RLUSD 확장·기관 매집 기대감이 맞물리며 펀더멘털은 더욱 단단해지고 있어요. 지금의 $2.35~$2.54 구간은 단순 조정이 아니라 “상승 전 에너지 축적 구간”, 즉 미래를 준비하는 마지막 눌림목일 가능성이 커요. 🚀
10월 24일 비트코인 분석 비트코인은 오르는게 아니고 화폐가치가 떨어지는겁니다.안녕하세요 반포자이 입니다
비트코인은 다음 흐름은 사이클보다 화폐가치 유동성의 희석이 결정하고 기관 자금 유입으로 하락 폭은 이제는 완만해질겁니다.
결국에는 비트코인을 투자하는건 투기가 아니고, 화폐가치의 하락이 반영이 되고 있다라고 이해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비트코인은 이제 개미들의 전쟁이아니라 기관들이 이미 참여하고 있기때문에 조정 폭은 줄어들겁니다.
비트코인 대알약 시나리오
CRYPTOCAP:BTC 30분봉
원하는 저항까지 예상했던 시나리오로 도달했습니다.
108800 지켜준다면 단기 회복은 괜찮을 것이라고 보고 있었고 다행히 반등이 정상적으로 반등이 나왔습니다.
지금 단기 최대 상승 목표를 117.7K 까지도 보고있으나 중간중간 저항라인들이 존재하니 단기 눌림까지도 보셔야합니다.
상승 가능성을 열 수 있는 자리는 112.5K 까지는 돌파해주며 안착하는 흐름 이 나와야합니다.
녹색 시나리오 를 유지하면서 매집 구간이라 판단한다면 박스권을 만들어줄 수 있다 라고 보고있습니다.
정확한 반등이 나왔지만, 아직 의심할 부분은 있으니 리스크 관리를 꼭 하시면서 대응을 하셔야한다.
시장이 어지럽습니다. 단, 반포자이와 함께 하면 그 어지러움은 해결해드릴께요
코인스쿨에서는 100번 1000번을 말씀드립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단기저항 112.5K 해당구간 돌파후 안착해줘야합니다. 그래야 117.5K까지는 우상향 할 겁니다.
구간마다 저항레인지는 있으니 113.5K - 114K 체크
112K 부근에서 저항 받으면⭐️⭐️⭐️⭐️⭐️ 108K 부근까지 하락 대비
주요지지 108.4 - 108.8K 무조건 지켜주는 흐름이 나오면 상승추세에 매우유리
106K 까지 깨버리면 98K - 98.6K 체크
⭐️⭐️⭐️ 개인적인 생각
원하는 시나리오처럼 110K 까지 안착했으나 보유하기보다 분할 익절을 꼭 해야 하는 구간이라고 판단이 된다.
여러분들은 당연히 좀더 끌고가면서 수익을 챙기는게 맞다고 판단할 수 있다 코인시장에서 100% 라는 답이란게 없다 리스크만 존재한다
저 반포자이는 그 리스크를 최소화 하면서 시장에 오래 살아 남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뭐가 되었던 다음타겟 114.7K 그냥 가주면 땡큐
🔍🔍🔍 보유포지션
LONG 107,432 4만달러
분할 종료 이후 비중추가로 평단가 상승
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테스트설 — 단기 조정이 ‘마지막 매수 기회’가 될까?🔥
1️⃣ 2025년 10월 24일 오전 9시 기준 , 비트코인은 $110,062(약 1억 6,320만 원) 부근에서 거래 중이에요. 24시간 전보다 –0.73% 하락 , 장중 저점은 $107,546(약 1억 5,940만 원) , 고점은 $111,297(약 1억 6,510만 원) 까지 기록했죠. 이더리움(ETH)은 $3,806(약 576만 원) 으로 600만 원선을 잠시 하회하며 약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2️⃣ 스탠다드차타드(SC)는 “비트코인이 단기적으로 10만 달러를 하회할 수 있다 ”고 경고했지만, “이 구간은 올해 마지막 저가 매수 기회 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어요. SC는 비트코인이 2023년 이후 50주 이동평균선(약 $97,800) 위를 꾸준히 지켜온 점을 강조하며, 연말 목표가를 $200,000(약 2억 9,600만 원) 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3️⃣ 현재 국내 거래소 기준 김치프리미엄은 5.78% , 지난주 7.12% 대비 완화된 상황이에요. 해외보다 약 $6,000 정도 비싸게 거래되고 있으며, 글로벌 공포·탐욕지수는 27점(공포) 으로 여전히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태입니다. 전일 25(극단적 공포)에서 약간 회복됐지만, 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눈치예요.
4️⃣ 이번 조정의 배경에는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가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 2,400억 달러 규모에 25% 관세 재부과 를 발표했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제한 으로 맞대응을 준비 중이에요. 이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가 커지며 금값은 $2,305 → $2,342(+1.6%) , 달러인덱스(DXY)는 105.2 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5️⃣ 한편 JP모건 과 뱅크오브아메리카 는 “연준이 이번 FOMC(10/28~29) 회의에서 QT(양적 긴축) 을 중단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어요. 현재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7.1조 → $7.0조(-1.4%) 로 축소 중이며, QT가 멈출 경우 월간 약 $800억 달러의 유동성 이 추가 공급될 것으로 예상돼요. 이는 비트코인과 기술주에 직접적인 상승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
6️⃣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23일 , 바이낸스 창업자 CZ(창펑 자오) 를 전격 사면하면서 시장에 또 다른 충격을 던졌습니다. 그는 2023년 자금세탁방지법 위반으로 징역 4개월·벌금 $5억 을 선고받았지만, 트럼프는 “ 암호화폐 산업은 미국의 전략 자산 ”이라며 사면을 단행했죠. 이는 미국 내 친(親)크립토 기조 강화 와 규제 완화 기대를 키우고 있습니다.
7️⃣ 비트코인이 과거 2014·2018·2022년 마다 고점 대비 –75% 폭락 했던 전통적인 4년 주기를 지녔다고 보지만, 2020년 이후 그 구조가 완전히 달라졌음. 지금의 비트코인은 단순한 반감기 자산이 아니라, 글로벌 유동성(M2) 흐름에 직접 반응하는 ‘거시 자산’으로 진화. 실제로 2024년 글로벌 M2는 $105조 → $111조(+5.7%) ,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45,000 → $110,000(+144%) 로 상승했죠.
8️⃣ 그래서 과거처럼 “ 2026년 대폭락이 온다 ”는 어려울 것으로 보임. 글로벌 증시와 유동성(M2) 이 유지되는 한, 비트코인은 붕괴하지 않고 오히려 더 강한 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음. 실제로 올해 나스닥100은 +28.5% , S&P500은 +14.2% , 비트코인은 +55% 상승($71,000 → $110,000) 하며 리스크 자산의 중심에 서 있음을 보여줌.
9️⃣ 단기적으로는 10월 CPI(예상 +2.8%) 발표와 FOMC(10/28~29) 결과가 시장 방향을 결정. C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QT 중단이 확정되면 유동성 랠리가 강화. 반면 CPI가 3.0% 이상 이면 시장의 조정 폭이 커질 수 있음. 결국 11월 초 가 중기 방향성을 판가름하는 결정적 분수령.
🔟 ETF 순유입이 최근 5일간 $1.3B(약 1.8조 원) 늘었고, 50주 이동평균선(약 $97,800) 이 견고하게 지지 중이죠. 결국 지금은 공포 속 기회 구간 , 연말 $200,000 랠리를 준비하는 마지막 매수 타이밍 이라고 확신. 📈🚀
10월 23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지지 구간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주의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23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차트상 주요 내용을 정리 해보겠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전체적으로 음운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이며
3주 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까지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이기 때문에
강항상승의 자리는 어떠한 강한 힘이 없는 이상
다소 무리가 있는 자리로 보입니다.
3주봉차트는 다음 주 월요일에 새로운 캔들이 생성이 되면서 각인이 될 가능성이
높은 자리로 각 인 이 후 의 움직임이 중요 할 듯 합니다.
비트코인이 현재 구간에서 단기파동으로 각 시간대 음운의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은
108,943 구간으로 이 구간을 메운 후의 움직임이 중요 할 듯 합니다.
일목균형표상의 구멍을 메워 준 후 버텨 준다면 다음 저항은 109,826 자리이며
이 구간은 30분 1시간차트의 저항선 및 2시간 3시간 4시간 차트까지의 음운의 저항구간이
포함되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이 구간을 넘겨줄 수 있을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움직이는 차트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저항을 맞고 무너지기 시작 한다면 주의하셔야 하는 자리들은
현재는 괜찮으나 지지구간이 무너지면서 차트의 움직임이 바뀌는 자리에서
12시간 차트까지 MACD 눌림구간이 출현 하면서 강하게 눌림이 나올 수 있는 구간들 입니다.
지지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104,464 구간의 각 시간대 지지선의 지지구간에서
반등여부를 확인 하셔야 하며 이 구간은 강하게 지지받지는 못하나 버틸 수 있는
힘은 제공이 되는 자리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지지여부를 체크 하셔야 합니다.
최대 바텀구간에서 전저점인 102,160 자리까지 꼬리 밀릴 수 있으며
이 구간은 주봉차트의 지지선이 포함되어 있는 구간입니다.
중요한 내용은 만약 106,108 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하락 추세의
위험까지 가지고 갈 수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지지 여부는 굉장히 중요한 자리입니다.
또한 지지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계속 말씀 드렸던 99K 까지도 열려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은 중요 지지구간으로 체크 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현재 전체적인 하락우위패턴을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이며
3주봉차트 MACD 및 12시간차트까지 MACD 눌림들이 지속 되고 있습니다.
3주봉차트는 다음주 월요일 새로운 캔들이 생성이되며 계속 괴롭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만큼 내렸음 올라가겠지??" 라는 생각은 버리시고
차트의 움직임에 따라서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아직까지 8시간차트까지 지지선이 살아있으며 전저점의 지지구간도 존재합니다
99K 까지는 지지라인이 두터운 자리이기 떄문에 급하게 보시는것보다는
여유를 가지고 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