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패턴
약한 조정후 거래량을 동반한 강한 3파(내부5파 연장) 필요비트 일봉
대3파-중3파-소4파 진행중
중간부터...
피보나치 0.382에서 대2파(녹색파동) 종결후,
90이평(녹색) 지지후 대3파 시작
대3파 내부-중1파 상승후,
첫 긴 다이버전스- 이은 두번째 트리거 다이버전스 + RSI 저항으로
조정 시작- 피보나치 0.618까지 중2파 조정,
현재 중3파-소4파 진행중 관점
적당한 소4파 조정후 거래량을 동반한 강한 소5파가 나와
중3파를 완성해야 할것
*이평 결집-혼잡한 상황후 정배열 확장 시작 필요
*RSI 다이버-연장선 지지여부로 대응
하락 공통구간 or 대단위 Ending diagonal 완성 이렇게 조정없이 상승가능한가? 싶을 정도로 나 또한 손실이 발생하는 장세였다.
다시 뇌를 차갑게 식혀봤을때 현재구간은 하락장의 초입 or 상승장의 초입이다.
이유는 다음과같다.
1. 최근 상승은Ending diagonal 의 완성 파동 :ABC의 연장 엔딩다이아고날
현재도보면 ABC상승이후 엔딩이 나왔다. 반등후 재차하락이 나오는지, 아니면 재상승을해서 임펄스를 이어나가던가인데, 반등형태를 유심히 봐야한다. 빌빌 기다가 웻지가 나오던지, ABC로 살살 긁다가 매물대맞고 다시 떨어지면 재차 하락이 유력하다.
2. 비트 3억 GOGO 임펄스 상승의 시작
이렇게 되면 비트는 3억은 우습게 넘기게된다.
근데 이렇게라기 보기에는 너무나.... 계속 앵무새처럼 이야기해서 나조차도 좀 부끄럽지만
앞선파동이 ABC로 보여서 서브시나리오에 불과하다.
차트로 미래를 알 수는 없지만 몇 가지 시나리오를 세워두면 대응은 할 수있다.
추가)
리플은 참 bearish 한 차트로 descending triangle 를 의심해볼만 하다.
이렇게 정직하게 저항맞고 떨어진거보면....하락장의 첫 신호탄 같기도하다. 역사적으로도 그랬고.
결론) 본인은 오름숏 대응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엔딩 다이아고날비트코인 엔딩 다이아고날을 다시 들고 왔습니다.
아직도 여전히 비트코인 엔딩 다이아고날 관점은 그대로입니다.
저렇게 abcde 파동을 그려주며, 상승하다가 그대로 시즌 종료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지금부터 하락하여 아래쪽 추세선을 밟아주고, 마지막 상승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엔딩 다이아고날로 생각하는 이유는 3가지 정도입니다.
1.비트코인의 거래량이 하락중이다.
2.비트코인이 상승중이지만, 현재 웻지 형태를 보이고 있다.
3.비트코인의 상승 파동이 현재 4파동까지 나왔으며, 마지막 5파동을 그려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세선 밟고 상승해줄 때, 3개월 가량 알트코인에서 강한 매수세가 들어올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알트코인은 비트코인과 가끔 다르게 갈 때도 있기 때문에, 그것은 따로 알트 차트를 보고 판단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웻지 형태를 완전히 뚫고 지지,저항까지 하며, 위로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제 관점은 폐기됩니다.
페페(1000PEPEUSDT.P)
3개의 큰 포인트를 이어주면 위와 같이 채널이 나옵니다
<현재 위치>
한번 들어가보기 나쁘지 않은 위치라고 생각합니다.
메인 채널의 첫 터치는 유효하나 반복된 터치는 신뢰도가 떨어지긴 합니다만, 메인 채널에서의 매매는 나쁘지 않은 게 그냥 or 하프라인에서 받으면 한번쯤은 살려줍니다.
예시)
<노란색 = 메인 채널, 흰색 = 하프라인>
= 하프라인에서 받아서 살려줌
<초록 화살표 = 진입, 빨간 화살표 = 본절>
= 그냥 살려줌
다만
결과적으론 살려줬으니 다행이지 만약 그대로 쭉 빠졌다면 그냥 대주주가 될 수 있으니 그냥 손절가를 정하고 매매하는 게 더 좋긴합니다.
4시간봉으로 가서 이탈 마감시 손절친다던지, 이탈 후 다시 본절 근처 왔을 때 나간다던지
채널 직접 그려보시고 과거 차트 보면서 기준점을 세우고 현 시점에서 그와 같이 전략을 세워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상승 베팅을 위한 LINK/BTC 모니터링 일지kr.tradingview.com
위 차트는 LINK/BTC 일봉 차트와 기준 이평선(100일 이평선, 하얀 점선)을 보여줍니다. 앞선 DOGE/BTC 사례와 마찬가지로, LINK/BTC에서도 아직 Up시그널이 뜨지 않았기 때문에 반쪽짜리 '슈퍼AI 픽 종목'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특히 LINK/BTC의 경우, 앞선 DOGE/BTC 보다 더 보수적으로 대응해야하며 그 이유는 저점과 고점 모두 하락추세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공유해드리는 이유는 가격이 기준 이평선의 지지를 받기 위해 어제 나름 긴 양봉이 등장했기 때문이며, 따라서 본 채널 구독자분들은 스스로 LINK/BTC 일봉 차트를 모니터링하셨음 합니다
상승 베팅을 위한 DOGE/BTC 모니터링 일지kr.tradingview.com
위 차트는 DOGE/BTC 일봉 차트와 기준 이평선(70일 이평선, 하얀 점선)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우리가 한가지 확인해야하는 점은, 가격이 기준 이평선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아직 상기 차트에서는 Up시그널이 뜨지 않았습니다
저는 특정 종목 가격이 앞으로 상승하기위해 1)Up시그널이 뜨고 2)가격이 기준 이평선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이 두가지 조건 중 하나가 충족되지 않았음에도 공유해드리는 이유는 거의 모든 알트코인들의 사토시 가격(???/BTC)이 그 두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종목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있긴 하지만 BNB, MNT 등 이미 공유한 알트코인들 뿐임)
따라서 본 채널 구독자분들은 어차피 "슈퍼AI지표를 사용중"이니 스스로 DOGE/BTC 일봉 차트를 모니터링하다가 Up시그널이 뜰 경우, 베팅하는 것을 적극 검토하셨음 합니다
비메이저 알트코인 도미넌스를 모니터링하는 이유kr.tradingview.com
위 차트는 BTC 및 탑10 알트코인들을 제외한 '알트코인 도미넌스(이하 '알트 도미넌스)'와 기준 이평선(50일 이평선, 하얀 점선)입니다. 탑10 알트코인의 도미넌스를 제외하고보니, 더욱 상황이 좋지 않고 비메이저 알트코인들 가격 상황이 썩 좋지 않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줍니다
이로써 최근 코인시장은 BTC 가격 폼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이 메이저 알트코인의 가격 폼이 그나마 나으며, 나머지 비메이저 알트코인들 가격 폼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나쁘다고 볼수 있습니다
알트코인 도미넌스를 보면 알트시즌의 향방이 보인다?!kr.tradingview.com
위 차트는 BTC를 제외한 '전체 알트코인 도미넌스(이하 '전체 알트 도미넌스)'와 기준 이평선(50일 이평선, 하얀 점선)입니다. 명백히 하루에 수십% 상승한 알트코인들이 매일 존재하기는 합니다,,만 알트코인 전체적으로 보면 과거의 '알트시즌'과 달리 확 체감되는 알트시즌은 현재 연출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전체 알트 도미넌스가 기준 이평선의 지지를 꾸역꾸역 받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럴때 전체 알트 도미넌스가 상승하면서 Up시그널이 뜬다면 그때는 알트시즌다운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그때까지는 지금처럼 BTC시즌이던가 아니면 전체 하락장이라고 해석하는게 맞을겁니다
주봉이 채널 아래에서 마감한 테슬라(TSLA)시작하기 앞서 숏이 유리하다고 생각하지만 신규 진입 할 자리는 아니라고 생각하며 주된 대응은 롱 위주로 하기 때문에 숏 관련해서는 마지막에 작성하겠습니다.
주봉상 3개의 지점을 이은 채널입니다. (흰색 = 1:1:1 채널, 주황색 = 하프라인)
주봉에서 채널을 그렸으나 더 자세하게 보기 위해 일봉으로 가 보겠습니다.
일봉에서의 테슬라 움직임입니다.
일봉에서 채널 신뢰도에대해 대충 확인했으니 다음으론 중간에 붕 떠있는 공간을 판단하기 위해 하프에 하프라인(0.25,0.75)을 그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아래는 현재 위치입니다.
<좌 : 일봉, 우: 주봉>
1:1 채널을 돌파하였으나 재차 하락하며 주봉이 아래에서 마감하는 모습입니다.
이제 여기서 세울 수 있는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략1)
초록색 채널 돌파를 확인하러 올 때 진입.
(빨간 점선은 손절라인)
전략2)
돌파 할 때 진입 or 돌파 후 눌릴 때 진입
(빨간 점선은 손절라인)
<신규 숏은 별로인 이유>
10월3일 채널이 뚫린 게 맞는지 확인하러 올 때 진입한 게 아니라면
손익비도 별로고 숏이 가져가는 리크스까지 생각하면 신규 진입은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리테스트 할 때 숏 진입하는 방법도 있으나 저는 굳이 진입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내려가더라도 아래에 수많은 캔들이 존재해 어디든 걸릴텐데
위로는 그런 게 없어서 반익반본과 같은 수익실현 전략만 잘 세운다면 수익이 더 극대화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모더나 (MRNA)
긴 시간동안 이어졌던 하락이
슬슬 멈추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과거에 길게 이어진 하락을 깨기 위해 120선(초록색)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지지를 실패하며 재차 하락했지만, 현재 다시 돌파하며 하락에 브레이크를 걸려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만약 이대로 60선(빨간색)과 120선(초록색)을 지지해준다면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아직 하락추세를 완벽히 깼다고 판단하진 않기에
(최소 240선 은 돌파해야 된다고 생각)
저는 아래와 같이 전략을 구사할 것 입니다.
현재 포지션을 진입을 한 상태며
손절 - 120선 아래에서 마감시
익절 - 이전 저점 두개를 이은 추세선(파란색)에서 1차 익절
익절한 물량은 240선과 추세선을 돌파 후 리테스트 하러 올 때 다시 매수
(하지만 추세선 이탈시 완익)
추세선 이탈 안 하고 지지하며 상승시 하락 채널의 하프라인(주황색)에서 완익
놀랍게도 이더리움은 상승을 준비중이다. - (Feat.프렉탈)안녕하세요 링컨입니다.
한동안 분석글을 업로드하지 못했었는데 오늘부터 다시 글을 '연재'하려고 합니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인 위험자산들의 분위기를 함께하지 못하고 정말 '나 홀로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이더리움과 대부분의 메이저 알트코인들은 그간 상승분을 모두 뱉어내며 '지옥' 같은 분위기를 벗어나지 못하고있죠.
하지만 정말 놀랍게도 이더리움은 '과거와 같은 패턴으로 상승을 준비 중'입니다. 오늘은 이를 다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올해 4월부터 이더리움의 '상승 과정과 조정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더리움의 큰 추세는 '대형 상승 채널을 유지'하며 건강한 상승중이고 중간중간 조정 과정에서 짧고 긴 횡보 후 박스권을 일시적으로 이탈하는 '속임수' 뒤에 재차 '랠리'가 시작되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현재도 마찬가지로 횡보 구간을 일시적으로 이탈한 뒤 이전 박스권으로 진입한 상황. 그렇다면 현재의 상황을 기술적 반등으로 바라보는 것 보다 이전과 같은 패턴으로 '조정이 끝났을 가능성'을 높게 봐야합니다.
또한 이전 분석글들에서 필자가 수없이 강조드렸던 '주봉 구조'는 아직 건재합니다.
주봉상 '$3,878' 아래에서 마감하지 않는다면 이더리움의 상승 추세는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관점으로 필자는 아래에서 '롱 포지션'을 모으는 전략으로 접근했으며 '추가 상승'을 바라보고 포지션을 유지 중입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이전 횡보 구간 하단부와 하락 채널 하단부가 겹치는 구간인 '$4,134 ~ $4,150'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 구간은 '확신의 단계가 아닌 확인의 단계'로 접근해야 하며 막혀 내려 온다면 '$4,025 ~ $4,044'를 지켜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 구간에서 무작정 큰 비중의 신규 롱 포지션은 부담스러운 구간이지만 필자는 큰 방향성은 상승이라고 보고있으며 '$4,025 ~ $4,044' 리테스트는 '롱 포지션의 기회'가 되는 구간으로 인식 하시길 바랍니다.
- 요약
1. 이더리움의 추세는 여전히 상승 중이며 '이전과 같은 패턴으로 상승을 준비 중'이다.
2. 주봉 구조 또한 '건재'하다.
3. 단기 구조도 마찬가지로 '4,025 ~ $4,044' 를 지켜낸다면 상승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9월은 정말 힘들 한 달이였지만 슬슬 마무리되어 가고 있고 '암호화폐 시장의 꽃 업토버'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고통의 시간'이 조금 길어졌지만 필자는 이번에야말로 정말 얼마남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