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 FOMC? 금리결정? 간단하게 '이것만' 봅시다. 안녕하세요. 제이입니다.
이제 내일로 넘어가는 새벽 3시 FOMC를 앞두고 있습니다.
금리 결정이 발표될 예정이며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몰려있는 이벤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금리 결정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응할지
그 부분에 대해서 제 관점을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부스트 및 팔로우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
먼저 그동안의 금리결정을 거쳐오면서 비트코인은 어떤 움직임을 보여주었을까요?
비트코인 일봉 차트에 금리결정 시점을 표시해뒀습니다.
금리 결정 직후 1~2일 내에 추세가 나온 것은 6월 15일 제외하고는 단 한번도 없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오늘 당일 큰 추세가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봅니다.
다만 우리가 신경써야할 가격 구간과 맞닿아 있기에 해당 구간에서의 반전 가능성은 높습니다.
비트코인 일봉상 포착되는 하락 추세선 저항 구간에 맞닿아있으며
위로 27.7K 부근에서 추세 저항과 만나게 됩니다.
금리 결정이 어떻게 나오든 별로 관심 없습니다.
간결하게 추세선을 기반으로 해당 구간에서 나오는 움직임에 따라 대응합니다.
지난 4~6월 무빙과 마찬가지로 3터치에도 저항을 뚫지 못한다면
추가적인 저점 갱신이 나올 것이라보고 있으며
오늘 새벽 이후 27.7K 부근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포지션을 진입할 계획입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마지막으로 부스트 및 팔로우 클릭 부탁드립니다 :)
캔들스틱 분석
[교육] 기술적분석의 기초 ②⭐ 서 론 ⭐
캔들은 기술적 분석에서 중요한 도구 중 하나 입니다.
이는 주식 가격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특정 기간 동안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표현합니다.
캔들 차트는 각각의 캔들로 나타나며, 이 캔들은 주가 움직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본 론 ⭐
캔들 차트에서 시가, 고가, 저가, 종가는 각각 캔들 하나에 대한 정보를 나타냅니다.
캔들 하나는 시가에서 시작하여 고가와 저가를 표시하고, 마지막으로 종가에서 마감하는 가격 움직임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 시가 (Open) : 캔들의 맨 왼쪽 끝에 위치하며, 캔들이 시작된 가격입니다.
- 고가 (High) : 캔들의 맨 위에 위치하며, 캔들이 특정 기간 동안 도달한 최고가를 나타냅니다.
- 저가 (Low) : 캔들의 맨 아래에 위치하며, 캔들이 특정 기간 동안 내린 최저가를 나타냅니다.
- 종가 (Close) : 캔들의 맨 오른쪽 끝에 위치하며, 캔들이 특정 기간 동안 마감한 가격을 나타냅니다.
각각의 캔들이 하나의 가격 움직임을 표현하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시장 분석 및 기술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캔들 종류와 특징입니다.
✔ 상승 반전형
① 양봉망치형 : 하락 추세의 하단에서 강력한 반전 신호로 평가됩니다. 긴 꼬리는 저점 확인 후 강한 매수세가 나타나 매도세와 대립함을 나타냅니다.
② 상승장악형 : 양봉이 음봉보다 길어 음봉을 둘러싸는 패턴입니다. 고점 근처에서 종가를 형성하며, 상승장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③ 상승잉태형 : 두 개의 캔들로 구성되며, 두 번째 캔들의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아 매매 결정을 보류하는 신호이지만 이후 양봉 출현 시 추세반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④ 하락십자잉태형 : 두 번째 캔들이 도지 형태를 띄며 하락 추세의 상승 반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⑤ 샛별형 : 세 개의 캔들로 이루어진 패턴으로, 하락 추세에서 상승의 시작을 나타내며 반전을 예고합니다.
⑥ 샛별도지형 : 하락 추세의 최저점에서 형성되며, 모닝스타와 도지 형태를 구분하여 추세 반전을 시사 합니다.
✔ 하락 반전형
① 음봉망치형 : 상승세의 잠재적 반전을 나타내며 시장 분위기의 변화를 시사 할 수 있지만 단독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다른 지표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② 하락장악형 : 상승 추세의 정점에서 양봉이 음봉에 의해 잡아먹히며 주가 상승의 끝을 시사 합니다.
③ 하락잉태형 : 상승 추세의 정점에서 두 개의 캔들로 판단되며, 하락 반전이 예상됩니다.
④ 상승십자잉태형 : 두 번째 캔들이 도지 형태를 띄며 약세 반전의 의미가 더 강합니다.
⑤ 석별형 : 상승, 도지, 하락 세 개의 캔들로 구성되며, 매우 강력한 반전 신호를 나타냅니다.
⑥ 석별도지형 : 스타형 도지가 도지로 형태만 바뀌며, 상승 추세의 반전을 시사 합니다.
이 밖에 다양한 캔들 예시가 있지만 특히, 망치형 캔들(Hammer Candlestick)에 주목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망치형 캔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① 모양 : 망치형 캔들은 아래 몸통(실체)에 긴 아래 그림자(아래 꼬리)를 가지며, 상단 몸통(실체)은 작거나 거의 없습니다.
이로 인해 캔들의 형태가 못을 닮아 "망치"라고 불립니다.
② 발생 위치 : 상승 트렌드에서 주가가 상승한 후 나타나며 하락 트렌드에서 주가가 하락한 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③ 추세 반전 가능성 : 망치형 캔들은 추세 반전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양봉망치형 캔들(Bullish Hammer Candlestick)
주로 양봉망치는 하락 트렌드에서 나타나는 캔들 패턴입니다.
추세 반전을 시사하며, 저점에서 형성되면 상승할 가능성 이 높아집니다.
✔ 음봉망치형 캔들(Bearish Hammer Candlestick)
주로 음봉망치는 상승 트렌드에서 나타나는 캔들 패턴입니다.
추세 반전을 시사하며, 고점에서 형성되면 하락할 가능성 이 높아집니다.
⭐ 결 론 ⭐
캔들 차트는 주식 시장에서 가격 움직임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입니다.
캔들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투자자는 시장의 감정과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캔들을 이해하는 것은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며, 기술적분석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3.09.08] 비트코인(BTC) 오호라 이제야 보이는구나! 이거닷!안녕하세요 아귀입니다.
이른새벽 한 6시쯤? 7시쯤?
괜찮은 추세가 나왔고 모양이 이제 슬슬
보이기 시작하는것 같습니다.
저는 25600대 눌림에서 롱을 받았고
아침 26250정도에서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숏진입중입니다.
오늘은 시간이 없는관계로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1. 해석
< 비트코인, 1시간봉 >
어제 예상하고 작도해서 트뷰 관점으로
올려드렸던 화면입니다.
하나도 건드리지 않았는데 딱 예쁘게
움직여 줬습니다.
우선은 1번 시나리오 2번시나리오
다 살아있는구간이죠?
박스권 하단을 찍고 상단으로
돌파가 나오며 0.382 구간에 도달했습니다.
2. 한파동이 나왔나?
< 비트코인, 15분봉>
우선 저는 한파동이 다 나온것이라고 보고있습니다.
그럼 더 작은봉으로 디테일하게 봐볼까요?
1)ABC가 1.272 정도 수준으로 나왔고
2) 고점 3번 트라이 하는동안 뚫지 못하고 흘렀고
3) 마지막 파동이 아주 1미리 갱신하기는 했지만
rsi는 하락해 하락 다이버가 잡혔고
위 3가지로 저는 이 파동은 한파동이 끝났다고
생각하고 숏 진입을 하였습니다.
3. 대응
< 비트코인, 1시간봉 >
그럼 지금은 어떤구간일까요?
우선 제가 ABC로 표기해둔 파동은
저는 우선 조정파A-c가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연노랑의 큰 ABC 안에서 흰색 파동 ABC(A-c)가
마무리 되었으니 조정이 시작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비트코인, 1시간봉 >
위 차트와 같이 다음 파동이 더 올라가든
혹은 여기서 바로죽든 공통적인 공통적으로
하락구간이 생긴다는 겁니다!
자 그럼 여기서 대응 할 수 있는것은?
아침에 올린 26500정도 고점이
깨지지 않는한 숏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저는 숏 진입했고 유지중입니다.
4. 숏 종료 시점?
< 비트코인, 1시간봉 >
그럼 숏은 어디까지 공통 구간으로
볼 수 있고 어디정도에서 익절을 해야할까?
위 차트로 보시면 박스권 매물대와
중간 지지라인이 아주 잘 반영 된 걸 보셧죠?
그리고 그라인들에 선을 긋고
피보나치를 반영해보면
각 구간이 0.382, 0.618과 겹치는걸 알수있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의 0.382, 0.618은
강력한 힘을 갖고있습니다.
더불어 상승할때도 저항을 받았던 부분이라
만약 상승을 한다면 아마 저 두곳 중 한곳에서
멈출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차트가 그려지는 원리는 힘의 세기와
관련이 있다는건 다들 잘 아시죠?
그말은 0.382에서 멈추면? 롱힘이 쌔다
0.618까지 눌린다? 롱힘이 약하다
그이하로 내려가거나 저점을 깬다면?
하방 매도세가 강력하구나
로 해석 할 수 있을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아주 보수적으로 한다면
0.382 구간 반익절 후
0.618을 뚫어내는지 뚫지 못하고
올라오는지를 볼것 같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맞춰서 롱을 받거나
선택을 하겠죠?
5. 마무리
3일전부터 움직이던 무빙이 횡보판에
쏘고 바로죽고 난리 부르스를 추는 상황에서
이더 비트 방향성이 잘 안보였었는데
이제는 뭔가 좀 보이는것 같습니다.
원래 제 시나리오는 하락 이후 관점이
0.382, 0.618 되돌림, 상방돌파
이렇게 3개 시나리오가 있었는데
ETF 상방돌파 시나리오는 이제
폐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하락 파동의 0.382를 되돌리느냐
0.618를 되돌리느냐 2가지 선택지만
남아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저는 거기에 맞게 대응할 생각입니다.
여러분들도 부디 잘 대응하셔서
수익 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제 관점이 마음에 드셨다면 팔로우와
부스터 클릭 부탁드립니다.
비트코인 폭락, 하락의 끝은 어디일까?오늘은 이번 하락을 시작으로 그 끝은 과연 어디일까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합니다.
저의 아이디어와 해석이 궁금하시다면 팔로우를 해주시면 더 빠르게 보실 수 있습니다.
1. 추세의 구분
1년간의 하락을 끝내고 15.5k 부터 시작된 상승의 한파동이 나온 후
적정수준 상승에 피보나치 0.5~0.618 수준의 되돌림을 준후 다시 새로운 파동이 나와
피보나치 1:1 기준을 넘기며 직전 매물대 저항을 받고 고점에서 빠르게 꺽일때
저는 한파동이 다 나왔구나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2. 하락의 시그널
한 파동이 다 나왔다고 판단한 저는
첫 되돌림을 줄때 숏 진입을 하였고 위 차트와 같이
0.5구간까지는 최소 하락 할 것이라는 생각에 홀드하고있었습니다.
그런데 시원하게 가속화 현상이 일어나야 하는 구간에서
기간이 질질 끌리면서 시원하게 못가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뭔가 싸한 느낌을 받게 되었고 현재 작도의 B파 고점이 나온 후 꺽일때
"아 역시나 내 뷰가 맞았구나" 라고 확신을 했습니다.
하지만 B파 이후 C파는 통상 가속화 구간이어야 하는데 시원하게 쏟지
못하는 부분에서 의아하던 중 결국은 B파를 돌파하는 무빙이 나오면서
해당 관점은 폐기하게 되었습니다.
그 상황 이후 생각했을때,
아 아주 최소치인 0.382 정도를 되돌린 후 새로운 파동이 시작 되는건가?
라는 생각을 하던중 고점갱신을 하였고 저는 이상한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3. 하락의 확신
고점 돌파가 된 이후 무빙이 제가 일반적으로 보던 돌파시점의 모양이 아니었습니다.
한 파동이 다 나왔고 앞차트에서 보여드렸듯 0.382 구간이 조정의 끝이고
새로운 파동의 시작이라면 바로위의 차트처럼 임펄스가 아닌 조정파라고 하더라도
직전 고점을 뚫어낸 힘을 살려 보통 약한 매물대 상단을 쉽게 뚫어내고
매물대 위에 안착 해야 일반적이라고 볼수있는데 직전 고점을 돌파하였음에도
힘있게 쏘아올리는 모양을 보이지 못하고 돌파자리에서 횡보하는것을 보면서
이상함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제눈에 보였던 부분은 지속적으로 중첩되는 일봉 기준 다이버 였습니다.
통상 삼지창이라고 부르는 다이버 중첩같은경우 꽤나 높은 확률의
추세 전환 시그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걸론 부족해 더 찾아보았더니
주봉상 다이버가 잡히는게 보였습니다.
통상 이런 다이버전스의 경우 큰 스케일의 봉 일수록
다이버가 잡히기가 쉽지않고 과매수 근처 과매도 근처로 가는경우
보통은 추세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군다나 그런 큰 스케일의 봉에서 다이버까지 컨펌이 나는것을 보고
7월 14일 고점을 갱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추세가 바로 꺽이는걸 보고
31300에 숏을 탑승, 이후 되돌림 반등에 불을 타 평단 30800
25500에 전체 익절을 하게 되었습니다.
4. 하락의 끝은?
그렇다면 과연 이 하락의 끝은 어디일까?
해당 차트는 제가 예상하는 근거와 예상 TP등을 기입해둔 차트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반등을 주더라도 추가 하락을 예상합니다.
조정에는 가격적 조정과 시간적 조정이 있습니다.
1) 가격적 조정 : 가격적으로 큰 되돌림을 줌으로써 기간이 짧더라도 조정을 충족
- 직전 하락을 통해 15.5k 부터 상승한 한 파동의 0.382 구간에 도달하였습니다.
통상 한추세에 되돌림을 0.382 구간 정도만 주는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경험상 그만큼 추세를 향하는 매수/매도세가 강해야하며, 그리고 외부적인 요소
지표발표, 크기가 큰 규모의 호재 등이 더해질때가 아닌 이상 그런 경우는 잘없으며
가격적 조정으로 인정하려면 적어도 최소 피보나치 0.5~0.618 구간까지는
조정이 일어나야 기간이 짧더라고 가격적 조정을 충족 했다고 생각합니다.
2) 기간적 조정 : 상승후 조정의 기간을 오래 갖고가면서 적은 가격변동 이지만 기간으로 충족
- 위 차트를 보시면 약 7~8개월간 상승한 상승파동의 되돌림을 약 1개월 가량으로
끝내기에는 스케일상 너무나도 짧은기간의 조정이라고 보여집니다.
위 두가지의 이유로 인해 저는 이 하락이 끝이 아닌 추가적인 하락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5. 어디까지 하락하는가?
다시한번 차트를 보면 현재 나온 조정파동이 A파라고 볼때
B파는 하락 파동에 대한 0.5~618 수준까지는 되돌릴 것이라고 봅니다.
가격으로는 28.5~29.5k 언저리가 될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다시 하락 C파를 완성으로 15.5k 에서 상승한 파동의 0.5~0.618구간
가격으로는 23.5 ~21.7정도 수준까지는 하락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큰상승을 위해서는 조정은 불가피하며 통상적인 큰추세의 전환에서는
바닥을 다지거나 바닥을 체크하러 가는 경향이 있기에 롱을 받더라도
이정도 조정은 일어나야 롱을 받아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6. 저점 갱신?
이건 개인적인 생각인데 저점갱신은 하지 않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시장에서 한번더 저점갱신을해서 한자리k까지 간다면
비트코인 투심을 회복하는데는 정말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아직 이렇게도 핫한 비트코인 시장을 주무르는 큰 규모의 세력 혹은
기업들이 이시장의 숨통을 끊으며 한번의 이익만을 위해
그렇게 운영하지는 않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저는 위 말씀드린 형태로 흘러간다면
중장기적으로 최소 50k 최대 역대 최고점을 한번 더 갱신하는 상승장 혹은 불장이
한번쯤은 다시 올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건 아무래도 개인적인 생각이다보니 이런 의견도 있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7. 마치는말
이번 하락으로 인해 방송하시는분들도 많은 손실을 보고
개인분들도 많은 손실을 본분들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얼른 이 하락장이 끝나 다들 즐거운 불장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저의 아이디어와 뷰가 궁금하시다면
팔로우를 해주시면 조금더 빠른 컨텐츠를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BTC] 거대한 추세의 시작점모두가 보는 28.3K 는 오지 않고
28.6에서 상승 반전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 들어올리는 과정에 깔끔하게 강한 양봉으로 강추세를 살려주고 있고
29.5K 매물대를 아주 '강하게' 돌파를 시켰습니다.
여기서 선택할 것은 한가지 뿐입니다.
추세를 추종하는 것.
여기서 하방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우선은 추세를 추종하며
추세의 지속을 노려보는게 더욱 확률 높은 방법이 될 것이고
30.4까지 탈환하게 된다면 32K는 손쉽게 돌파를 시도할 겁니다.
지금까지도 28.6K가 확률 높은 저점이 나왔다 보고 있지만
32K 돌파까지 나온다면 일봉 단위 대추세를
이러한 식으로 형성하러 갈 것이고
어쩌면 우리가 위치한 현 구간은 당장은 높아보일 수 있어도
다신 오지 않을 저점이 될 가능성도 높다고 판단됩니다.
비트코인 중기관점#2023년6월22일
#비트코인
#주봉
#중기관점 보류
기존에 제시했던 주봉 단위 큰 그림은 곧장 내려오는 것을 예상했는데,
내려올 쯤에 다시 들어올렸으니 틀렸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그럼 상승관점인가?
그건 아닙니다.
가격을 들어 올리긴 했으나, 볼륨이 제가 생각하는 정도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보니
상승관점으로 바뀌진 않았고, 지금과는 다른 볼륨이 나와야 상승을 보든 할 것 같습니다.
#관망
기존 관점을 보류하고 시간을 두고 천천히 지켜볼 생각입니다.
매수가 좀 들어온 편이긴 하지만 이 수준이라면 결국에는 다시 내려간다고 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이더리움 주봉 일목 관점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더리움 주봉입니다. 현재 위치가 매우 중요한 자리라는 생각 드네요.
비트에 비해서 많이 더딘 모습이지만, 바닥에서 대하락 추세를 돌리기에는 충분한 모습으로 생각합니다.
삼천(三川)의 모양을 만들었고 (주황), 역헤드앤숄더나 컵핸들 같은 패턴으로 접근해도 무난 해 보입니다.
일목 변화일로는 다음주/그 다음주 캔들 주목해 볼만 한 것 같습니다.
변화일은 추세의 변곡이 생기기도 하지만 추세의 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으니 반대방향 포지션 진입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후행스팬이 열려있는 구간으로, 변동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400일만의 양운을 기대하고 있으며, 기준선/전환선의 예상경로 별도 표기 하였습니다. 가격이 오르면 추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회색 밴드 구간에서 flip이 완성되는지 확인 하는 것입니다.
주봉 단위에서 긴 시간 동안 주요 구간으로 기능했던 만큼, 해당 구간의 flip 성공 여부가 중기 향방을 가르는 분기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flip 성공한다면 최소 1900후반대 이상의 상승을 기대하고 있으며, 실패시 1400중후반 수준의 하락을 생각 할 수도 있는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구간까지 하락하더라도 결국은 상방을 보고 있으며, 저점 갱신의 가능성을 현재는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ETHBTC 차트입니다.
일목으로는 좋게 봐줄여지가 별로 없는 모습입니다.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만 열려있어 보입니다.
다만 일목은 추세의 극점을 잡기에 좋은 수단은 아닌 점 감안하여, 이격도를 추가 해 보았습니다.
현재 위치는 주봉상 여러차례 반등을 보여준 구간(주황색) 임을 볼 수 있어, ETH 반등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결론 : 현재 구간 분기점인 flip 성공,실패 여부를 주목. 변화일은 3말-4초. 내려오더라도 1400 중후반까지 열어두고 분할매수 전략 유효
플립 성공 시 추세가 잘나온다면 앞자리 2000후반대 가격도 가능해 보이지만 지금 생각하기에는 조금 이른 것 같습니다.
주봉전략이니 당장의 추세와는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29 비트코인 중기 관점 업데이트27.5k의 돌파는 큰 상승으로 이루어질 것이고, 큰 상승이 나오기에는 25.0~25.3에 있는 매수벽 체결이 필연적이라 생각해 27.3에서 숏 포지션을 취했고, 스탑이 나갔습니다.
이에 따라 중기 관점을 약간 업데이트하고, 이를 토대로 시장을 관망하려 합니다.
1. 28.3k 라인까지의 상승 - 헤드 앤 숄더 패턴을 해소하여 중기 추세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해당 구간대는 피보나치 0.618, CPI빔, 매물대 등의 주요 구간으로 저항을 받을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
28.3k 라인의 돌파는 거의 완전한 하락세 해소를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에, 28.3k의 돌파는 27.6k보다 더 쉽지 않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다만 25.8k를 저점으로 올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숏 포지션 진입은 최소 더블탑~트리플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고 보수적으로 접근합니다.
2. 25k 매수벽 체결: 하락세를 완전히 전환하고 28.3k 구간을 돌파하여 큰 상승을 주기 위해 필연적인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이 때 발생하는 26.1~26.7k 까지의 기술적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저점 확인 후 상승: 저점이 확인되는 것을 기다리고, 시장 움직임을 보며 천천히 롱 포지션 진입하면 되겠습니다. 현재로써 저점 가격대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일단 이정도로 그림을 그려놓고 시장을 천천히 바라보려 합니다.
현재는 이 정도로 보고 있고, 해당 관점을 뒤엎을 근거가 발생한다면 언제든지 관점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