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들스틱 분석
KOSPI, 작년도 매출액은 선방. 이제 펀더멘탈 반영하고 좀 올라보자.국내 3월 31일은 주요 기업 결산공시 마지막일입니다.
이와 관련한 주요 뉴스들은 이미 접하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펀더멘털 접근
한국거래소가 오늘(19.4.3) 발표한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할 의무가 있는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상장법인 540개사의 결산보고 요약중 눈여겨볼 대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매출액 : 전년대비 4.76%가 증가한 1,894조 6,674억원
- 영업이익 : 전년대비 0.32% 증가한 157조 6863억원
- 당기순이익 : 전년대비 6.72% 감소한 107조 9573억원
트레이딩을 하는 관점에서 펀더멘탈을 볼때 매출액도 중요하게 바라보고, 분기별 매출의 증감과 매출 실적을 중요지표중 하나로 봅니다.
단순히 매출액만 놓고 본다면 2018년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인 2.7%를 웃도는 수준으로 기업 부분의 양적 확대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영업이익의 증가폭이 경제성장률에 채 미치지 못하고, 당기순익은 오히려 감소한 수준으로 경기 활력 자체는 잃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습니다.
○ 기술적 분석 접근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의 접근은 지난 브리핑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국내 증시든 해외증시든 Swing을 하는 관점에서 저는 주봉과 일봉을 살핍니다.
1. 주봉관점
현재 주봉관점 지난 분석의 연장선상입니다.
1) 하늘색 평행채널을 돌파하지 시도가 이어지는 구간으로 하락트렌드가 이어지는 구간입니다.
2) 오더블럭 A의 저항을 리테스트하러 가는 과정으로 보고 있습니다만 강력한 반등을 위해서는 오더블럭 B의 지지를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3) 단기적으로는 박스권 횡보를 이어가면서 하락트렌드를 이탈후 저점 확인 과정에서 오더블럭 B의 지지테스트가 예상됩니다.
4) 주봉관점에서 스윙 진입 포인트를 잡는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 EP : 2140~2180
- TP : 2230 ~ 2280선까지 분할 익절
- SL : 2110
- 손절비율 약 1.5% 수익률 7.5% 수준으로 손익비는 1:5 정도입니다.
2. 일봉 관점
1) 현재 위치한 OB의 저항을 받고 조금 더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 하지만 주초부터 금일까지 오더블럭 상방돌파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3) OB의 리테스트구간이 주봉 스윙 엔트리와 겹치는 구간으로 OB 지지 테스트구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희와 함께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결국 돌파롱. XBTUSD / 2019-04-031. 지난 브리핑의 복기
- 지난 4월 1일 브리핑에서 캔들 생성과정을 언급하면서, 어제의 캔들이 키가 될 것으로 전망을 했고 리스크 헷징 차원에서 숏은 약손절이라도 하시라고 당부드렸습니다.
- 손절을 당부드렸던 것은 숏헌팅 구간으로 분석했기 때문인데, 장대양봉이 나올 것은 미처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 그간 숨죽여 기다린 3650은 구경도 못했고 4250에서 돌파롱을 기대하고 롱을 걸어뒀으나 빗맥의 오버로드가 빗엿을 먹였습니다.
- 3월 30일 장기분석을 전해드리면서 횡보기간만큼 변동성이 생기기 때문에 5K까지는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해드린 바 있습니다.
2. OB 관점
- 약 11주가량 캔들의 상승을 막던 오더블럭(하늘색)을 돌파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을 주지않고 꾸역꾸역 밀어올렸습니다.
- 이제는 작년 11월 18일에 생성된 오더블럭(노란색)이 남아있습니다.
- 장대봉 이후 숨고르기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현 시점에서는 횡보를 하면서 이 구간에서 새로운 OB를 생성하는 쪽으로 예상합니다.
- 금일을 포함해 3~4일내에 어떤 음봉이 만들어지느냐에 따라서 대응방향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OB없이 이대로 상승을 하게 되면 상단 OB의 저항을 받고 완만한 우하향을 할 여지가 있습니다.
3. 일목균형 관점
- 양운, 기준선과 전환선 그 어떤 구간의 지지테스트 없이 상승이 나온 상황으로 일목관점에서 해석할 여지는 많지 않습니다.
- 이격도 관점에서는 조정이 예상됩니다.
4. 채널, 피보나치, 하모닉 관점
- 채널 관점에서는 파란색 단기 상승 추세를 상방이탈했습니다.
- 완만한 상승세를 기대했으나 가파르게 상승이 나오면서 되돌림 폭에 대한 전망을 어렵게 합니다.
- 하모닉의 추정 되돌림 구간이 다 무너져 현재로선 새로운 작도를 해야합니다.
5. 이평선 관점
- 그렇게 고대하던 200이평선을 돌파했습니다.
- 200이평과 50이평의 정배열이 완성되기 까지는 다시 2개월 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 단기적으로는 스윙하이를 시도후 조정을 받게 되면 200이평의 지지를 확인하러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6. 일봉 종합의견
- 숏홀더분들께서는 스탑헌팅구간을 언급했던 바, 약손절대응이라도 하셨으면 합니다.
- 4250선에서 돌파롱을 매수하셨다면, 금일 오후 9시까지는 5K 선에서 절반 익절후 4.8K까지 익절로스를 설정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 빗맥이 빗엿을 먹여 체결은 됐는데 원하는 평단이 아니구요)
- 오더블럭이 되는 캔들이 생성되기 전까지는 숏포지션은 진입하지 않겠습니다.
조금 더 올리고 내려도 늦지 않잖아. CME 일본엔 선물/J61!/J6M2019/19-04-021. 1D- OB관점
- 작년 11월 12일 저점을 찍고 상승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하방에 1번 오더블럭을 만들었습니다.
- 올해 1월 3일 고점을 찍고 하락이 이어지면서, 2번, 3번, 4번, 5번까지 총 4개의 OB를 생성했습니다.
- 현재는 3번 OB의 저항과 4번 OB의 지지사이에서 움직이는 상황입니다.
2. 1D-캔들 관점
- 빨간 박스를 친 구간에서 이브닝스타, 장대음봉, 쉬어가는 양봉, 다시 음봉이 이어지면서 하락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OB 4번의 지지와 갭이 저항을 하는 구간이나 금일 캔들이 도지로 마감할 경우 내일 캔들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반등이 예상되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3. 대응 전략 (1H관점)
- 넥스젠에서 개발하는 NTI-A의 1H는 유효한 롱 진입점을 주고 있습니다.
- 손익비 1:2 수준으로 30틱 손절, 60틱 익절로 설정하고 대응하고자 합니다.
4. 단타 대응 관점 (15M 관점)
- 금일 저가선의 지지 테스트 없이 당일 시가선 수준에서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 저가선을 SL로 하고 감안하여 시가에서 짧게 롱배팅하는 전략으로 대응하고자 합니다.
비트코인 월, 주, 일봉 분석에 따른 매집국면 가능성 Part 2추세가 전환되는 것을 인지한다는 것은 꽤 어려운 일일 것입니다.
이것에 대한 근거를 찾기 위해 월봉, 주봉, 일봉을 확인하여 큰 장세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 확인 합니다.
저는 여전히 비트코인 시장의 매수 흐름이 달라진 것을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다시 큰 장세를 확인하고 싶습니다.
다음에 따라 우리가 매집국면의 시장을 겪고 있을 가능성을 확인 하십시오.
1. 15개월만의 연속 1월봉 2양봉
비트코인은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연속 1월봉 양봉 2개를 보여 주었습니다.
이제 3.2k 가격대를 깨며 이제 저점을 더 낮출 확률이 높습니까? 이미 저점이 형성 되었을 확률이 높습니까?
3월 시가 $3,900 가격대는 여전히 최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는 가격대임과 동시에 강한 지지선이 될 것입니다.
2. 볼린저밴드 중심선 상승 돌파
1주봉 기준, 약 8개월만에 볼린저밴드 중심선을 상승 돌파 했습니다.
상승 파동을 이어간다면 볼린저밴드 상단선 부근 $4,380 가격대를 목표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장기 하락추세선 상승 돌파
장기 하락추세선을 상승 돌파 이후 캔들이 진행 중입니다. 2레이아웃(아래)에서 리테스트 흐름을 확인 하십시오.
4. MA 정배열
약 1년만에 20, 50, 100 MA 이 정배열을 보여줍니다.
약 3주째 정배열이 유지되고 있는 오늘 날, 하락 보다는 상승 관점으로 시장을 이야기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5. 장기 하락추세선 리테스트
2018년 11월부터 시작되는 장기 하락추세선을 상승 돌파 하고 약 3일간 지지하는 모습(빨강 네모)을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추가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둡니다.
단, 1차적으로 1월봉 기준 $3,900 가격대를 깨며 4월 캔들을 마감한다면, 시장을 다시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
다우이론 - 매집국면 (강세 1국면)
강세시장의 초기 단계에서는 전체 경제 및 시장여건은 물론 기업환경이 회복되지 못하여 장래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평가합니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일반 투자자들은 여전히 공포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상태인 반면에, 전문 투자자들은 시장의 내외적인 여건이 호전될 것을 미리 감지하여 일반 투자자들의 매도 물량을 매수하는 활동에 따라 거래량이 점차 증가하게 됩니다.
4월중엔 조정 한번 받고 상승갑시다. XBTUSD/19-04-01 (오더블럭관점)1. 1/4분기를 마감하고 새로운 한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2. 3월 월봉은 결국 양봉으로 마감을 했으나, 고점을 올리지 못한 형상입니다.
- 월봉 관점에서는 작도한 것처럼 음봉이 만들어지고 해당 음봉이 오더블럭이 되어야 추가 상승이 이어집니다.
* OB는 저희 회원방에서 관련한 교육이 진행됩니다.
3. 주봉관점에서는 캔들이 결국 오더블럭을 돌파했지만 강력한 매수세가 따라오지 않아 큰 상승세가 보이진 않습니다.
- 현재 구간은 숏의 스탑헌팅의 시도가 이어질 구간입니다.
- 특히, 위험대비 보상비율도 그렇게 효율적이진 않아 숏 진입은 자제해주시길 바랍니다.
4. 일봉 기준에서도 오더블럭을 돌파한 상황입니다.
- 오전에 간략하게 채팅방에서 언급했던바와 같이 지난 이틀동안의 도지(혹은 팽이)여파로 오늘은 양봉 마감의 가능성이 큽니다.
5. 조정국면의 시나리오
- 전제 조건 1 : 종가마감이 스윙하이 기준선인 4130, 4190, 4241 중 낮은 구간은 돌파하더라도 높은 구간은 돌파하지 못하는 전제하에서 시작합니다.
- 전제 조건 2 : 꼬리가 짧은 음봉 팽이 가 섞인뒤 긴 아래꼬리 캔들 묶음이 필요합니다.
- 4.0k 대의 오더블럭이 지지 하지 못할 돌파 가능성이 높습니다.
6. 아직 조정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리스크 관리는 필요합니다.
- 하지만 아래에서 롱을 쥐고 올라오신 분들은 익절로스를 걸어두시는 것을 권합니다.
- 숏에 물렸던 분들은, 아래 오더블럭 EQ라인 3990까지는 휩소가 예상되는바, 약손절 혹은 분할익절을 준비하면서 마진콜 대비를 하셔야 합니다.
7. 저희와 함께 성투를 이어가길 기원합니다.
리플 떡상의 조건, XRPUSD / 19-03-31📊 #XRPUSD #시황 #투더문
◎ 리플 떡상의 조건, XRPUSD / 19-03-31
○ 주봉관점
1. 마진 거래를 하는 제게는 지난 8주간 박스권 매매를 하는 과정에서 숏추세가 계속 유리했던 종목입니다.
2. 비록 하단에는 별도의 오더블럭이 없어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차트입니다.
3. 그런데, 여기서 하락하면 리플은 0원을 돌파하게 되기 때문에 큰폭의 낙폭보다는 스윙로우 실패후 현재 오더블럭을 상방으로 돌파하는 형태로 상방의 저항선인 34센트대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한편으로 34센트를 돌파하면 39센트 선까지는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하지만 큰 추세의 변화를 주는 구간이 아닙니다.
- 48센트 구간의 OB 저항을 돌파하기 전에는 박스권을 새로 만들고 횡보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특히, 작도상의 52.8센트의 구간을 돌파하기 전에는 큰 폭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일봉관점
1. 리또속이 리또속인 이유는 간단합니다.
- 과거 차트를 복기해보면 일봉에서 오더블럭을 위아래에 다 만들고 횡보만 하는 차트를 그리기 때문입니다.
- 현재도 마찬가지입니다.
2. 현재 구간에서 횡보가 이어지고 있는데, 일단 하방의 오더블럭을 완전히 돌파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 저희가 하는 MC캔들 매매법에 따라 2월 24일 캔들을 기준으로 마진이든 현물이든 매도 관점 대응이 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 다만 EQ저항과 상방 OB가 중첩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일단 EQ를 뚫고 올라간다면 매수 관점이 우위가 될것으로 전망합니다.
3. 결국 일봉 관점에서는 현재 MC의 상단선 돌파, 상단 41센트 선의 OB 돌파가 관건입니다.
○ 대응방안
1. 주요 OB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지 OB : 338~344
저항 OB1 : 361~367
저항 OB2 : 396~412
저항 OB3 : 464~477
2. 해당 구간을 돌파할때마다 분할익절을 하시는 것을 권하며, 지지 OB까지 되돌려지면 재 매수하는 전략을 권합니다.
52일간의 상승은 무엇을 위한 것이었나. XBTUSD/2019-03-311. 주봉, 월봉, 일봉이 모두 마감되는 거짓말 같은 4월 1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간이 브리핑으로 대체합니다.
2. 어제는 긴아래꼬리 위꼬리를 만든 도지로 일봉을 마감했습니다.
- 약 52일간 상승 추세를 이어가는 상황입니다.
- 스윙하이 기준선은 어제의 고가로 갱신되었습니다.
- 추가 상승이 이어지기 위한 조건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한번의눌림이 필요합니다.
3. OB 관점
- OB를 돌파하고 하방 지지 테스트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4K초반의 지지를 기대합니다만, 이미 어제 도지 캔들로 지지테스트가 나온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 만약 금일 갱신된 스윙하이 기준선을 상회하는 종마감이 이어지면 다음 기준선까지는 계속 도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4. 일목균형 관점
- 하락을 예상했던 구간에서 캔들과 구름간의 이격도를 벌이고 있습니다.
- 이 과정에서 기준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으로 단기 지지선이 점점 올라오고 있습니다.
- 상승추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한차례 양운의 지지테스트가 필요합니다,
5. 채널, 피보나치, 하모닉 관점
- 채널 관점에서는 파란색 단기 상승 추세에 복귀를 하는 상황입니다만, 새로운 하늘색 채널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기울기를 바꾸고 있는 것인데, 상승 모멘텀이 약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하모닉의 여러 패턴중 ab=cd 패턴으로 접근이 유효한 상황으로 이 경우 예상 D점은 4340선입니다.
- 가틀리를 제외한 X-abcd 형태의 패턴 대부분이 유효한 데 C점이 확정되지 않아 아직 확신을 하긴 어렵습니다.
6. 이평선 관점
- 캔들관점에서 보면 흔히들 말하는 눌림목구간인 4111~4193 구간에 진입 했습니다.
- 이과정에서 9이평의 지지가 이어지고 있어 추가 상승세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7. 일봉 종합의견
- 스윙하이 기준선들인 4190~4241의 진입을 확인후 조정이 이어지면 하단의 OB에서 롱 진입을 고민하게 합니다.
비트코인 20K 복귀의 조건. XBTUSD비트코인 장기 분석을 문의하는 분들께 간간히 설명드린 차트를 업데이트 할 겸 퍼블리싱합니다.
결론적으로 2019년 상반기중 6K 돌파, 최소 2019년 하반기중 6K 진입 시도가 추세 전환의 키가 됩니다.
◎ 두 개의 하락추세선
1. 저도 오랫동안 궁금했던 것중 하나가 20K언저리에서 고점을 만든뒤 다우이론에 따라서 결국 하락파동이 이어지는데 어디가 바닥일까 입니다.
2. 기술적분석에 곧잘 등장하는 추세선만 본다면 바닥인척 속이고 하락파동이 끝나고 있지 않아서 입니다.
3. 이미지의 좌측 차트는 선형차트이며 오른쪽 차트는 로그차트입니다.
4. 같은 위치의 같은 추세선에 대해 캔들이 보여주는 양상은 사뭇 다릅니다.
5. 하지만 변하지 않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오더블럭입니다.
◎ 여섯개의 오더블럭
1. 1~6 번까지 번호를 붙인 OB는 비트코인이 하락을 하는 과정에서 생성되고 지지/저항 테스트가 이루어진 유효한 OB입니다.
2. 선형차트와 로그차트를 막론하고 캔들을 베이스로 하는 OB는 그 두께가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생성되는 위치는 차이가 없습니다.
3. 이 OB에서 반등의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 하락 추세선이 남긴은 무엇인가?
1. 상승과정에서 OB1과 OB2가 생성된 이래 하락이 이어지면서 OB1은 지지/저항을 보여줬습니다.
2. 통상적으로 OB 매매에서는 OB간의 이동을 노리고 스윙을 합니다.
3. 하지만 OB1에서 OB2로 상승을 이어가지도 못하고, OB1의 지지도 받지 못하고 OB3을 만들때까지 하락추세가 이어집니다.
4. 이 과정에서 파란색 하락추세선이 생성되었습니다.
5. 하락추세선이 만들어지기도 전에 수평매물대인 OB로 인해 파동은 제대로 뻗어가지 못했습니다.
6. 즉, 강력한 수평 매물대인 OB는 추세 형성에 영향을 주며 이로 인해 추세선이 생성되는 과정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 두 개의 하락추세선을 만든 것은 오더블럭
1. 추세선의 작도는 고점과 고점 혹은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는 것이기에, 결국 새로운 고점을 기준으로 추세선을 추가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2. 하지만 오더블럭 관점에서 본다면 그저 OB 간 이동이 있었을 뿐이며, 이 수평매물대를 통해 지지와 저항을 확인하는 과정이 이어진 것입니다.
3. 추세는 캔들의 흐름에 따른 후행적인 요소로 단순히 추세선만으로 추세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선형차트에서는 빨간 추세선의 저항이 강력해 뚫고 올라가지도 못했다는 해석이 나오지만, 로그차트에서는 빨간 추세선 근처도 가지 못했습니다.
◎ 하락추세를 뒤집기 위한 것은 무엇?
1. 상승추세로 이어가는 시나리오는 두가지인데, 지난 몇주동안 횡보하고 있는 OB 6을 어떻게 통과하느냐에 달렸습니다.
2. 검은색 시나리오는 이대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지지가 되는 OB를 생성하고, OB 3의 저항으로 조정이 올때 상승과정에서 만들어질 생성될 OB의 지지를 받고 올라가는 모습으로 기대하는 시나리오입니다.
3. 보라색 시나리오는 이대로 지금 OB를 완벽히 돌파하지 못하고 다시 하단의 지지테스트후 재차 상승하는 형태입니다.
4. 필연적으로 하락추세를 뒤집기 위해서는 현재 저항이 되고 있는 OB 5의 돌파가 핵심적인 키입니다.
◎ 장기적인 가격 전망은?
1. 횡보기간 만큼 상승폭이 나온다는 시간론에 비추어보면 현재 OB를 돌파할 경우 5K선까지 무난히 진행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2. 이 경우에는 로그차트의 빨간 추세선에 닿는 구간으로 해석하게 될 것이며 조정을 예상하는 분석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3.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상승과정에서 오더블럭이 생성되고 이 오더블럭의 지지를 받게 된다면 상승모멘텀이 더욱 강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4. 2019년 상반기중 OB 6을 완전히 한다면 하반기까지는 OB 3를 두드리는 것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5. 2019년 상반기중에도 OB 6의 지지테스트만 이어진다면 금년도 하반기에는 OB 3에 도달하기에는 다소 어려워보입니다.
코스피 - 19-03-28KOSPI 지수 분석입니다.
○ 주봉관점
- 주봉관점에서는 2018년 10월 오더블럭 A를 돌파한 이래 한번도 재 진입을 못하는 상황에서 오더블럭 B를 형성하고 반등을 만들어 냈습니다.
- 하락채널을 완전히 이탈하지 못하고 재진입을 했습니다.
- 피보나치 되돌림 관점에서는 숏관점이 우세한 가운데 오더블럭 B와 피보나치 618이 교차하는 구간에서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일봉관점
- 일봉관점에서도 이브닝 스타가 만들어진이후 오더블럭을 하방 돌파하고 하방으로 하락중입니다.
- 하방을 지지하는 오더블럭이 없습니다.
- 피보나치 확장의 1과 피보나치 되돌림 618이 겹치는 구간부터 피보나치 확장의 1.618과 피보나치 되돌림 886이 겹치는 구간까지 조정이 가능한 구간입니다.
- 주봉오더블럭구간에서 지지를 해준다면 일봉에서 오더블럭을 생성하고 반등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정국면 끝? 상승시작?? XBTUSD /19-03-281. 지난 분석에서 조정을 기대한다는 말씀을 드렸지만, 다시 4K 언저리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 주요 저항이 되는 상단 OB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점을 더이상 올리지도 못한채 저점만 올리고 있습니다.
- 금일 일봉은 스윙하이 실패에 따른 아래꼬리를 만들면서 음봉으로 마감할 확률이 높습니다.
2. OB 관점
- OB를 어제까지 총 4차례 공략을 했습니다.
- 공략의 주기가 짧아지고 있으며, 흔히 말하는 "3-4-5 Break Out"이론에 따라 한차례 더 공략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 캔들 생성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장대양봉후 만들어지는 캔들이 어떤 형태로 이어지나 입니다.
- 오늘 일봉 마감이 꽉찬 음봉으로 종료될 경우 내일 부터는 오히려 위꼬리가 만들어지는 양봉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여전히 3600대의 OB 지지 테스트를 기대하고 있습니다만, 캔들 생성관점에서는 2~3일 정도 양봉이 이어지면서 오더블럭을 돌파할 가능성도 남아있습니다.
3. 일목균형 관점
- 일목 관점에서 후행스펜의 움직임만 본다면 캔들과의 이격도가 있어, 하방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기준선과 전환선이 정배열된 이후 기준선의 지지를 받고 있어, 음운 지지테스트가 짧게 이어진뒤 반등이 이어진다면 상승추세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이경우 단기적인 조정폭은 3820~3760선까지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만약, 3750수준까지 하락할 경우 캔들은 양운을 돌파하게 되어 단기적으로는 조정의 폭이 크게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이 과정까지 이어지려면 최소 일주일 이상 소요되는데 당장에는 3월 말까지 양운 저항이 취약한 구간을 돌파하는 과정을 확인후 판단할 것입니다.
4. 채널, 피보나치, 하모닉 관점
- 채널 관점에서는 파란색 단기 상승 추세를 이탈한 상황입니다.
- 이탈후 채널로 복귀를 하지 못하고 있지만, 저점을 떨구지 못하고 있어 방향성이 완전히 숏으로 전환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 하모닉의 여러 패턴중 가틀리를 제외한 X-abcd 형태의 패턴 대부분이 유효한 상황으로 추정 D 점은 3688~3535 구간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5. 이평선 관점
- 이평선 눌림이 나왔지만, 기존 추세를 계속 이어가는 양상입니다.
- 지속적인 반등세를 희망하고 있어 U자형으로 반등이 이어지는 것을 전망했는데, 실제로는
- v자로 반등이 나왔다면 하기 보다는 완만하게 u자형으로 전환하게 되면 한두차례 더 공략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6. 일봉 종합의견
- 여전히 롱포지션은 돌파매매관점 혹은 되돌림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합니다.
- 스윙하이 기준선을 돌파하기 전까지는 조정장이 끝났다고 확신할 근거가 없습니다.
- 주말까지 기대 하락폭 : 3820선
- 3760선 돌파시 3650선까지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삼성전자 어닝쇼크 예고, 얼마나 떨어질까? (오더블럭 관점에서) 19-03-271. 삼성전자가 어제 어닝쇼크를 예고했습니다.
2.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 주봉과 일봉으로 얼마나 떨어질지 살펴보겠습니다.
3. 주봉관점에서는 하락채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4. 피보나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는 상승 되돌림을 기대할 수 있는 1.272까지 하락후 반등이 나왔는데 강력한 매물대인 오더블럭에 눌려 오르지 못하고 있습니다.
5. 이 과정에서 어닝 쇼크를 예고하고 있어 주황색 피보나치 618~786 구간까지는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6. 일봉 관점에서는 두개의 오더블럭의 사이에서 샌드위치가 되고 있습니다.
7. 오더블럭 A를 돌파한 것으로 보였으나, 완벽히 상승추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오히려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저항을 맞은 모습입니다.
8. 피보나치 되돌림 관점에서는 618-786까지 하락이 예상되는데 705 구간에 오더블럭 B가 있어 지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상기 분석은 기술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으로서 투자는 개인의 책임입니다.
3월 넷째주 주봉 마감에 따른 진입전략 (오더블럭 관점에서)◎ 3월 넷째주 주봉 마감 시황
○ 월봉 및 주봉 시황
1. 월봉관점에서 보면 장대양봉이후 몸통이 짧은 팽이 캔들이 4달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 이 과정에서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2. 월봉 기준으로 추가상승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오더블럭 생성 매커니즘에 따라 이번 월봉은 반드시 양봉마감을 해야합니다.
- OB 매매에서 핵심은 지지를 하는 OB가 생성되었는가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 현 시점에서는 월봉기준으로 하단에 지지를 기대할 수 있는 OB가 없습니다.
- 이로 인해 설령 6K까지 2K이상의 반등이 나와도 하방의 지지를 받지 못해 다시 최소 3K까지 내려꽂을 위험이 있습니다.
- 장기적으로 추가 상승을 이어 가고자 한다면 상승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오더블럭을 만들어 내면서 올라가야합니다.
3. 주봉관점에서는 지난주 도지로 마감하면서 방향성을 점점 보여주지 않습니다.
- 다만 스윙하이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는 충분히 예상되어 적극적으로 숏배팅을 하기엔 다소 미묘한 구간입니다.
○ OB관점에서 기본 대응 전략
1. 주봉 관점에서는 현재 오더블럭 EQ를 돌파한 이래 계속 지지를 받으면서 돌파를 시도하는 상황입니다.
2. 상승세를 확인하기 위해 돌파해야하는 구간은 세구간입니다.
1) OB 상단 4039 돌파
2) 스윙하이 기준선 1인 4174 돌파
3) 스윙하이 기준선 2인 4241 돌파
3. 해당 구간 돌파과정에서 4250선에서 OB가 생성이 되면 해당 OB를 기준으로 롱 진입을 하고자 합니다.
4. 한편으로는 피보나치 되돌림 관점에서는 충분히 되돌림이 나와도 이상할게 없는 구간입니다.
5. 되돌림이 나오는 경우 OB가 생성된뒤 지지를 할 것인데 예상기대 구간은 3600 구간으로 해당 구간에서 OB 생성 확인시 롱 배팅을 할 것입니다.
○ MC관점에서 대응
1. MC 관점에서는 기본적으로 롱배팅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1) 보라색 화살표로 표시한 캔들이 1번 전략 기준캔들입니다.
2) 여태 상방 휩소가 많이 나오질 않았으나 EQ인 3676선을 돌파한이래 착실히 저점을 올리고 있어 상방돌파를 기대하게 합니다.
3) 상단 돌파시 MC 매매법에 따라 최대 약 천불가량의 수익이 기대되며 최종 목표 TP는 5190선입니다.
2. 기준캔들을 좀더 보수적으로 잡아도 여전히 롱배팅이 유효합니다.
1) 파란색 화살표로 표시한 캔들이 2번 전략 기준캔들입니다.
2) 기준 캔들 생성후 저점을 올리면서 계속 상승하는 양상이나 상단 공략이 완벽히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3) 상단 돌파시 MC 매매법에 따라 최대 약 570불불가량의 수익이 기대되며 최종 목표 TP는 4780선입니다.
3. MC 매매법에서는 특별히 피보나치나 파동관점을 대입하지 않지만, 피보나치 기준으로는 되돌림이 충분이 예상되는 구간입니다.
1) 만약 상승 파동이 끝난 것으로 가정하게 되면 하방 이탈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2) 이 과정에서 전략 1이든 2든 EQ의 저항을 뚫고 하단에서 반등이 이뤄지지 않으면 하방이탈이 예상됩니다.
3) 이 경우 작도한 수준처럼 3600~3000 사이의 570불가량 혹은 3150~2160까지 하방이 열려있습니다.
○ 오더블럭과 마스터캔들에 대해
- 저희가 사용하는 매매방법은 기존 매매법을 변형한 해외트레이더들의 최근 매매노하우입니다.
숏 #1.24 비트코인분석_19.03.23A. Feedback
추세선까지는 무난히 상승하지 않을까 말씀드렸으며 추세선 터치 이후에는 언급드렸던 여러 이유와 함께 손절 설정이 매우 작기 때문에 리스크 대비하여 Short으로 진입하기 좋은 자리라 말씀드렸습니다. 현재까지는 예상대로 가격이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B. 주봉 분석
a. 캔들 : 5주 연속 양봉
b. 패턴 및 추세선 : 이중 바닥 패턴 진행 중, 가격의 삼각형 내부 위치 및 추세선 저항 받는 중
c. 정리 : 변한건 없습니다. 여전히 추세선의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5주 연속 양봉이 발생하였다고 하면 엄청난 상승장 같지만 5주동안 가격은 10%정도밖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높은 거래량과 함께 가격이 오르며 넥라인을 돌파한다면 상승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언급드린대로 추세선과 넥라인 그리고 20EMA(빨강)의 돌파에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C. 일봉 분석
a. 캔들 : 하락 장악형 캔들 등장
b. 이평선 : 20, 50EMA 상승 기울기 및 100EMA와의 골든 크로스 기대
c. 패턴 : X
d. 정리 : 지표 언급은 구체적으로 보여드리지는 않겠지만 CCI에서의 하락 다이버젼스가 발생한 시점에서 하락이 진행되었고 이후 발생한 하락으로 하락 장악형 캔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Stochastic지표는 데드크로스나며 과매수지점에서 벗어나는 모습입니다. 지속적으로 상승이 이루어진다면 이평선의 골든크로스를 기대해 볼만 하지만 여러정황상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많이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상승이 발생해 20EMA와 100EMA의 골든크로스가 발생한다면 2018년7월29일 이후 근 8개월만의 일입니다.
D. 4H 분석
a. 캔들 : 상승 장악형 캔들 등장
b. 추세 : 상승 추세대 형성
c. 이평선 : 정배열 및 상승의 기울기
d. 정리 : 4H차트상으로는 상승에 대한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E. 총 정리
a. 상승추세대
b. 하락추세선
c. 수평저항대
위 세가지 요인이 현재 겹쳐있습니다. 저 처럼 미리 포지션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지켜보는게 맞습니다.
4H차트상으로 일시적으로 가격이 오를 수 있지만 일봉상 3일안에 뚫고 올라가지 않는다면 다음주에는 하락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현재는 추가 포지션을 가져가기 보다는 방관하시되 이탈까지 기다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성투하시기 바라며 다음주에 아이디어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따봉" 꾸욱 부탁드립니다. ^^
비트코인 월, 주, 일봉 분석에 따른 매집국면 가능성저는 최근 비트코인 시장에 참여하면서 매수 흐름이 달라진 것을 느꼈습니다.
이것이 제가 계속해서 상승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이유에 포함되지만, 명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월봉, 주봉, 일봉을 확인하여 큰 장세를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 우리가 어느 위치에서 시장을 겪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1레이아웃: 1월봉
비트코인은 양봉 캔들(주황 원)을 반 년만에 보여 주었습니다.
1월 캔들을 장악한 2월 양봉 이후, 진행 중인 3월은 양봉 캔들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까?
3월 캔들이 양봉의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면, 3월 시가 $3,900 가격대는 최대 하락 가능성을 열어두는 가격대와 동시에 강한 지지선이 될 것입니다.
2레이아웃: 1주봉
우리는 1주봉에서 최근 꽤 많은 양봉을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행 중인 이번 주(18일) 캔들이 양봉일지 음봉일지 아직 알 수 없지만, 양봉이 계속되는 매수 강세 중임을 알아야 합니다.
3레이아웃: 1일봉
2월 말부터 오늘 날까지 계단식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작은 박스권에서 횡보 이후 상승을 반복하여 지지 매물대(빨강 원)를 형성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상승에 마주하는 저항 매물대(파랑 원)는 비교적 적습니다.
상승과 하락의 관점에 따라 어떤 포지션이 열려 있는지 확인 하십시오.
또한, 각각 20, 50, 100 MA 의 안정적인 정배열 상승 흐름은 우리에게 오랜만에 보여줍니다.
다음에 따라 우리가 매집국면의 시장을 겪고 있을 가능성을 확인 하십시오.
단, 1차적으로 1월봉 기준 3월 캔들이 음봉을 보여준다면 시장을 다시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
다우이론 - 매집국면 (강세 1국면)
강세시장의 초기 단계에서는 전체 경제 및 시장여건은 물론 기업환경이 회복되지 못하여 장래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평가합니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일반 투자자들은 여전히 공포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상태인 반면에, 전문 투자자들은 시장의 내외적인 여건이 호전될 것을 미리 감지하여 일반 투자자들의 매도 물량을 매수하는 활동에 따라 거래량이 점차 증가하게 됩니다.
돌파 롱이냐, 되돌림에서 기다리느냐 XBTUSD - 19-03-19 (오더블럭 관점에서)1. OB 관점
- 현재 EQ (3988)에 대한 적극적인 공격이 이어지고 있어 현재 상방의 OB저항도 뚫어 내지 않을까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 캔들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OB의 EQ부근에서 계속 팽이, 도지 형태로 만들고 있어 롱/숏 모두 진입의 근거가 되지 않아 무포지션이라면 며칠 관망하시길 권합니다.
- 현물만 매매하시는 분들은 OB 상방 돌파 혹은 초록색 OB지지확인후 매수 부탁드립니다.
2. 일목균형 관점
- 기다리던 양운과 음운의 변곡 구간인데, 기준선과 전환선이 캔들을 지지하는 상황입니다.
- 후행스팬은 계속 캔들을 올라탄 상태로 움직이는 중입니다만, 내일과 모레 캔들과 후행스펜이 꼬인뒤 캔들과의 이격 때문에 단기 조정이 예상됩니다.
3. 채널, 피보나치, 하모닉 관점
- 채널 관점에서는 단기 상승채널(파란색)이 깨지지 않은채 여전히 우상향이 유효한 상황입니다.
- 저점을 끊임 없이 올려가는 가운데, 전고점을 아직 깨지 못하고 있습니다.
- 그럼에도 오더블럭과 비교해 보면 상단의 저항이 강해 하방으로 되돌릴 가능성을 더 우세하게 보고 있습니다.
- 하모닉 관점에서는 A점(4190)을 돌파하게 되면 다른 형태의 패턴으로 접근하겠지만 4090수준까지는 현재관점을 유지할 것입니다.
- 만약 4190을 돌파하게 되면 4340~4530 구간까지 롱 추세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이동평균선 관점
- 200이평이 어느새 4684선까지 내려온 와중에 50이평 지지를 받고 계속 오르는 상황입니다.
- 기준으로 잡았던 이평의 눌림인 3864를 돌파한뒤 추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어습니다.
- 숏 포지션 보유를 하셨다면, 이평선 눌림구간에서 약 손절 혹은 분할 익절을 설정해두시길 권합니다.
5. 종합결론
- 매물대 저항이 강한 곳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상단 하늘색 OB 돌파가 이뤄지지 않으면 하방 초록색 OB로 후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무포지션 : 진입 금지
- 숏 포지션 익절구간 : 3920~3810
- 롱 포지션 진입구간 : 4190 혹은 3650
#1.23 비트코인분석_19.03.16금주 비트코인 아이디어 공유 드립니다.
A. 피드백
단기지지선 및 추세선에서 나온 상승장악형 캔들과 지표를 근거로 금주는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위쪽 추세선을 재차 터치하러 갈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드렸습니다. 현재, 상승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 추세대로 라면 위쪽 추세선까지는 무난히 터치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제 브리핑 보고 Long 진입하였는데 익절 전략이 없으신 분들은 현재 100EMA(주황색)에서 추세선까지 조금씩 익절 해나가다 위쪽 추세선을 뚫는 모습을 확인하고 포지션 홀딩하시기 바랍니다. 저항 받고 떨어지는 모습이 보인다면 빠른 익절 혹은 본절가 청산 진행하면 될 듯합니다.
B. 주봉 분석
a. 추세 분석 : 여전히 삼각형 안에 갇힌 상태.
b. 패턴 : 이중바닥
c. 정리 : 지속적으로 언급드렸던 형태입니다. 위쪽 추세선을 거래량을 동반하며 뚫게 된다면 이중바닥이 완성되며 추세선을 뚫게 됩니다. 다만 위쪽에 이중바닥 넥라인, 추세선과 더불어 20EMA(빨강)또한 저항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C. 일봉 분석
저번 주 아이디어대로 진행 중. 전 고점 $4190과 위쪽 추세선 돌파하는지 확인 필요.
수평 저항 및 지지 영역
D. 4H 분석
피보나치 0.5지점을 지키며 상승하는 모습
E. 정리
현재 추가적으로 상승 포지션을 늘릴 자리는 없습니다. 저번 주 아이디어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위쪽 추세선에서 저항이 나올 확률이 있습니다. 해당 추세선은 주봉상 이중바닥의 넥라인과 20EMA가 겹치는 구간이기 때문에 뚫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에 들어가신 분들은 부분 익절을 진행하시되 상승 돌파할 경우 나머지 포지션을 홀딩하며 추세 이익을 챙기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해당 언급들은 반대로 Short포지션으로 진입하여 짧게 손절 칠 수 있는 좋은 구간이기도 하다는 점 아시리라 생각하며 이번주 아이디어는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모두 성투 하시기 바랍니다.
그럼에도 3840. XBTUSD-19-03-15 (오더블럭 관점에서)1. OB 관점
- 그럼에도 3840입니다.
- 14일 23시에 위아래를 모두 치는 움직임이 나오면서 상방 오더블럭의 저항테스트가 나왔으나 고점갱신은 실패했습니다.
- 곧바로 스윙로우 움직임이 나왔으나, 꼬리를 말아올리며 3850대로 복귀했습니다.
- 채팅방을 통해 신규 포지션이라면 롱은 3820-3800-3780 수준에서 진입을 하시라는 말씀을 드리면서 대응을 안내했습니다.
2. 일목균형 관점
- 단기적으로 기준선(BL)과 전환선(CL)이 모두 우상향하면서 후행스팬이 캔들에 붙기 시작했습니다.
- 후행스팬과 캔들이 이렇게 Weaving이 되는 구간에서는 큰 가격변동이 생기기 보다는 횡보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채널, 피보나치, 하모닉 패턴 관점
- 단기 상승채널의 기울기를 낮출 것인지 채널을 유지한채 상승기조를 이어갈 것인지 전망이 엊갈리는 구간입니다.
- 다만 피보나치 되돌림 기준에선 조정이 나올 구간이라는 점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 다만 하모닉 관점은 복수의 시나리오가 가능한 상황으로 3941의 돌파여부가 관건입니다.
- 현 시점에서는 스윙트레이더로서 3.6K 초반 3.5K 후반까지의 조정을 기다리고 해당 구간에서 롱진입을 노리는 전략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4. 이평선 관점
- 다시금 50이평의 지지를 받고 올라섰습니다.
- 완만한 우상향의 형태를 이어가고 있으나 이평선의 눌림인 3865선을 돌파여부가 관건입니다.
- 상승이든 하락이든 캔들 진폭이 줄어드는 와중이기 때문에 다시금 눌리는 모양이 나올 여지가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