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4일경부터 변동성 기간 시작 (추가 매수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W 지표는 MACD, StochRSI, OBV, ATX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지표입니다.
BW (0) 지표는 BW 지표가 0 지점을 터치하고 상승하면 나타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상승이 시작하는 지점, 즉, 저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BW (100) 지표는 BW 지표가 100 지점을 터치하고 하락하면 나타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하락이 시작하는 지점, 즉, 고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
(BTCUSDT 1D 차트)
BW지표의 값이 100 지점을 터치하여 화살표가 표시되었습니다.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화살표가 그대로 유지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BW 지표가 100 지점을 터치하였다는 의미는 상승 강도가 강하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BW (100) 선이 생성되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는 의미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눌림목(pull back)이나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현재의 최고가격인 73777.0 이상을 터치하면서 신고가(ATH)를 갱신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지, 아니면, 이대로 하락하게 될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코인 시장은 추세 추종 시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한번 형성된 추세를 따르려는 경향이 강한 시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StochRSI, StochRSI EMA 지표의 움직임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StochRSI EMA 지표가 중간 지점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얼마나 상승하는지와 StochRSI 지표의 기울기 변화를 확인해야 합니다.
-
만일 하락으로 진행된다면, 70148.34 부근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1M 차트의 HA-High 지표의 박스 상단 지점 부근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70148.34-71280.01 구간으로 StErr Line이 지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지점이라는 것을 확인시켜주고 있습니다.
-
67414.39 이하에서 매수하였다면, 68393.48-69031.99 구간에서 저항 받는 모습이 확인되면 매도하고 상황을 지켜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전에 71280.01이나 73000.0 부근에서 분할 매도를 진행하였어야 합니다.
-
매수 평균 단가가 67414.39 이하이고 71280.01이나 73000.0 부근에서 분할 매도한 상태라면, 눌림목(pull back)이 확인되었을 때 추가 매수가 가능합니다.
다만, 추가 매수는 현재 보유 금액을 초과하여서는 안됩니다.
만일 보유 금액을 초과하여 매수를 진행하게 되면, 평균 단가가 크게 상승하여 버티지 못하거나 손실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8393.48-70148.34 구간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었을 때 70148.34 이하에서 추가 매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가 매수는 분할 매도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 입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11월 4일경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BTCUSDTPERP
신고가(ATH) 갱신 이후에 활용할 지표 추가(StErr Line)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W 차트)
73777.0 이상 상승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아직 신고가(ATH)를 갱신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
(BTCUSDT 1D 차트)
71280.0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다시 신고가(ATH)를 갱신하기 위한 시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볼 때, 단기 하락세로 전환되기 전환되려면 67414.39-68393.48 이하로 하락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70148.34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선제적으로 분할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미지의 세계에 있는 것과 같기 때문에 차트 분석으로 예측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신고가(ATH)를 갱신한 이후의 움직임을 알기 위해서는 각종 지표나 차트 도구를 사용하여 예측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를 위해서 이전에 말씀드렸던 선형 회귀 채널(Linear Regression Channel)에 대해서 설명되었습니다.
오늘은 HA-MS 지표에 새롭게 추가한 StErr Line 지표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StErr Line 지표(Standard Error Line)는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수식을 활용하여 밴드를 형성하게 만든 지표의 기준선입니다.
StErr Line 지표 위에 가격이 위치하면 상승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고, 아래에 가격이 위치하면 하락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면 됩니다.
StErr Line 지표를 BW (0), BW (100) 지표와 함께 활용함으로서 거래 시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BW (0), BW (100) 지표는 보조 지표에 있는 BW 지표가 0 지점이나 100 지점을 터치하고 벗어났을 때 생성됩니다.
따라서, 저점 구간이나 고점 구간을 알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선형 회귀 채널(Linear Regression Channel)이나 StErr Line 지표는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한 도구에 해당되지만, 이를 지지와 저항 지점과 함께 사용한다면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신고가(ATH)에 도전을 할 것인가가 관전 포인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1번 구간을 상향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68393.48-69031.99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71280.01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급격한 상승을 보인다면, 73000.0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0148.34 이상 상승하게 되면, StochRSI 지표가 50 부근으로 상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변동성에 주의해야 합니다.
---------------------------------------
(BTCUSDT.P 1h 차트)
자동으로 병렬 채널을 작도해 주는 Linear Regression Channel 지표로 보았을 때 채널 상단을 상향 돌파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채널 안으로 진입하였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나타낼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69020.1-69332.4 구간이나 70168.8-70320.3 구간 부근을 터치하면서 지지 여부를 확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D 차트의 5EMA가 68447.9 부근으로 상승 중 입니다.
다음 변동성은 1D 차트의 5EMA를 터치하면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70168.8-70320.3 부근을 터치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68447.9 지점이 청산 지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1번 구간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W 차트)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68393.48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StochRSI 지표가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게 될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위치에서 볼 때,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 68393.48-71280.01
- 65602.01-65920.0
- 61099.25
위의 3개의 구간에 해당됩니다.
HA-HIgh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본격적인 상승세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BW (100) 지표 구간인 68393.48-71280.01 구간을 어떻게 상향 돌파하는지가 중요합니다.
-
(1D 차트)
그러므로, 1번 구간인 68393.48-69031.99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65920.71-67414.39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67414.39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67414.39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에 해당됩니다.
-
StochRSI 지표가 상승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지 못한 상태이고, StochRSI < StochRSI EMA 인 상태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StochRSI 지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50 이하로 하락하면서 하락 강도가 강해진다고 해석하지만, 결국 매수할 시기를 찾게 됩니다.
그러므로, StochRSI 지표가 50 이하에 위치해 있을 때는 매수(LONG) 관점에서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매도(SHORT) 관점으로 거래를 진행하였다면, 짧게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StochRSI 지표가 만능 지표라 할 수 없지만, 대응할 시기와 파동의 강도를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러기 때문에 StochRSI 지표를 사용한다면, 지금 당장 상승할까요 하락할까요 라는 갈등을 덜 하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추세의 방향에 맞게 거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손절할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
차트의 변경으로 인해 다음 변동성 기간이 11월 4일경 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달이 시작되었을 때, 전체적인 흐름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TradingView 지표에서 Linear Regression Channel 지표를 사용하면 현재 가격 위치에 맞게 병렬 채널을 자동의 작도합니다.
지표의 설정은 자신에게 맞게 설정하시됩니다.
다만, 추천하는 설정값은 50 (Length), ohlc4 (Source) 입니다.
추세선, 채널, 피보나치 등과 같은 차트 도구들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한 도구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차트 도구를 활용하여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은 비추천합니다.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작도해 두었다면, 차트 도구로 분석한 내용을 참고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번 구간은 매력적인 매수 구간 (지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68393.48-69031.99 구간에서 저항받고 67414.39 이하로 하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67414.39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67414.39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65602.01-65920.71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BW (50)이 66668.65에서 새롭게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BW (50)이 새롭게 생성되는 지점 부근에서 지지 받고 67414.39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이므로 하락 강도가 강한 상태입니다.
그러므로, 67414.39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 이상 상승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하였을 때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2번 구간 (65920.71-67414.39)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또한,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65920.71-67414.39 구간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힘들고 지루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StochRSI 지표나 BW 지표의 위치를 참고함으로 방향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추세선을 그리고 그 추세선을 따라 상승하는지, 아니면, 벗어나는지를 확인하는 것보다 훨씬 나은 대응 방안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세선은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실제 거래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큰 도움을 받지는 못합니다.
그 이유는 사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세선은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과 조합하여 변동성 기간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패턴은 완성되었을 때 의미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패턴에 짜맞추어 생각하려고 하여서는 안됩니다.
-
결국 차트에 표시하는 모든 것의 목적은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여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차트에 그린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거래를 진행하여 수익을 얻어야 합니다.
현재 StochRSI 지표가 50 이하로 하락한 상태이기 때문에 매수할 시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차트를 봐야 합니다.
그러한 목적으로 볼 때, 2번 구간(65920.71-67414.39)은 매력적인 매수 구간에 해당됩니다.
2번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다음 매수 구간은 61099.25-62791.03 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로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62791.03 부근을 지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기다릴 때 기다릴 줄 알아야 하고, 거래를 시작할 시기가 되면 과감하게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아직 지지와 저항을 확인할 때이기 때문에 기다릴 때라 생각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지지와 저항 구간 : 68393.48-69031.99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68393.48-69031.99 부근에서 지지 받고 71280.01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65920.71-67414.39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는지 확인하고 StochRSI EMA가 50 이하로 하락하여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는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68393.48-69031.99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추가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시기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만일 68393.48-69031.99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재차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전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참고하면 이중 하락이 발생한 것과 같은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BW (100) 구간(68393.48-69031.99)을 터치하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하락할 것이다 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이 BW(100) 구간에서 가격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고,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는 움직임을 보이게 되면 추가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69031.99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추가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의 위치에 따라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부근에 있을 때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
위의 세 부분에서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변동성으로 인해 앞으로 움직임이 어떻게 진행될지는 차트에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의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
USDT가 갭 하락하지 않는 이상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C의 갭 하락은 결국 코인 시장을 단기적으로 하락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서, USDC가 하락세를 멈추기 전까지는 단기적인 관점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거래의 시작은 기다림에서 시작됩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는 지표들 간 쌍을 이루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HA-Low와 HA-High 지표와 BW (0)와 BW (100) 지표는 쌍을 이룹니다.
- HA-Low, BW (0) 지표는 저점 구간을 표시하고,
- HA-HIgh, BW 100) 지표는 고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HA-HIgh나 BW (100) 을 터치하고 하락이 시작되면 HA-Low나 BW (0)을 터치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현재 1D 차트의 HA-High 지표(67414.39)에서 저항 받고 하락이 시작되면 1D 차트의 HA-Low 지표(현재 56204.13)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가 이동하여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BW (100) 지표와 BW (0) 지표 중간에 BW (50) 지표가 존재하기 때문에 BW (100) 지표에서 하락한다고 반드시 BW (0)을 터치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이에 따라서, BW (50) 지표가 BW (0) 지표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위의 설명은 본 차트의 지표를 활용할 때 필요한 정보입니다.
-
65920.71-67414.39 구간은 HA-HIgh 지표로 구성된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65602.01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61099.25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62791.03 부근을 지나가고 있으므로 62791.03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
65920.71 부근으로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현재 덜컹거린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67414.39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65602.01 이하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번 하락으로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게 될 것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였다면, 하락 강도가 강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65602.01-65920.71 부근에서 지지 여부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위의 내용으로 미루어 생각해 보면, 현재 거래를 새롭게 진행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롭게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65602.01-65920.71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StochRSI 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HA-Low 지표나 BW (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거나 61099.25-62791.03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될 때 거래를 시작할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자신이 거래 전략을 만들고 거래를 시작하였는데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이 나온다면, 그때, 어느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지표들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SOLUSDT.P 1D 차트)
즉, SOL 차트와 같이 BW (100) 지표의 출현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생성되었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때 BW (100) 선이 생성되었을 때 매도(SHORT)로 거래를 시작하였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상승하면서 BW (100) 선이 사라지고 171.63 부근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대응 방안을 생각하고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만일 생각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 하락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상승에서 추가 매도(SHORT)를 진행할 것인가 아니면 그대로 기다릴 것인가만 결정하면 됩니다.
선물 거래이기 때문에 강제 청산 지점이 가까워 청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을 먼저 고려하여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최고점 (100)을 터치하였다고 바로 하락이 시작될 것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움직음을 좀 더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행히 현재 171.63 지점에 1M 차트의 BW (100) 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171.63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대응 전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거래에 실패하더라도 거래를 계속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거래 감각을 잃게 되어 다시 거래를 시작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아무때나 거래를 시작하여서도 안됩니다.
거래를 시작하는 시기를 기다릴 수 있어야 하고, 거래를 시작할 시기가 되었다면 과감하게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BTCUSDT.P 1D 차트)
이전 지표 차트로 거래를 시작하여 좀 낮은 진입가이지만, 68293.8 지점에서 매도(SHORT)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BTCUSDT 차트와 다르게 BTCUSDT.P 차트에서는 66750.0 지점에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66750.0-67392.1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StochRSI 지표의 역할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tochRSI 지표는 어떠한 경우에도 파동을 만들기 때문에 StochRSI 지표를 활용하게 되면 변동폭을 예측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BW 지표의 평가 항목에 다시 StochRSI 지표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가능하면, 이번 버전으로 지표의 수정을 마무리할 생각입니다.
이번 BW 지표에 사용된 지표는 MACD, StochRSI, OBV, ATR 입니다.
-----------------------------------------
(BTCUSDT.P 1D 차트)
10월 20일 이후에 가격이 하락하면서 StochRSI 지표가 결국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였습니다.
그 이후에 빠르게 중간 지점(50)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StochRSI 지표가 최고점(100) 부근으로 가까워질수록 하락할 때 큰 변동폭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서,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상승 전환할 때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65568.1-65922.3 구간에 지지와 저항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만일 65568.1-65922.3 구간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BW (50) 부근이나 1W 차트의 M-Signal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려면, 61149.5-62839.8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인 66750.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1차 : 67392.1
2차 : 68447.9-69020.1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BW (100)을 터치하고 하락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BW (0)을 터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BW (50) 부근에서 반등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BW (50)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1W 차트의 BW (50) 지점이 65568.1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65568.1-65922.3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StochRSI 지표가 중간 지점 (50) 이상 상승하는 모습과 함께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중간 지점 (50) 이상 상승하게 되면 매도할 시기를 찾기 시작해야 하고, 중간 지점 (5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매수할 시기를 찾기 시작해야 합니다.
결정적인 시기는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나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가격의 하락폭보다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BW 지표가 중간 지점 (50) 이하로 하락한다면, 가격이 급락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지지와 저항 구간 확인 필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67414.39 지점에 HA-High 지표가 생성돠면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67074.14-67414.39 부근에서 지지 받고 68955.88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차 : 65920.71
2차 : 61099.25-62540.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65920.71 부근으로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고, 62540.0 부근으로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는 추세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추세선을 작도할 때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이 추세선 작도시 선택 지점에 해당됩니다.
StochRSI 지표에 표시한 1, 2번은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는 변곡점이므로 추세선 작도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현재 작도된 추세선과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 따라 변동성 기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변동성 기간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에 따라서, 10월 25일경, 10월 30일경, 11월 12일경이 변동성 기간에 해당됩니다.
현재 말씀드린 변동성 기간은 설명을 드리기 위한 것일 뿐 입니다.
실제로는 1M, 1W, 1D 차트에서 과거부터 그린 추세선이 필요합니다.
추세선의 중요도는 1M > 1W > 1D 차트의 추세선 순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비트코인 btc 상승 안끝났습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비트코인 현재 하락추세매물대를 상승돌파 후 상승분에 대한 리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날봉기준)
날봉 지지저항 라인을 본다면 정확하게 저항을 받아야 되는 자리에서 저항을 받았고 그것에 따른 조정을 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큰 틀에서는 아직 소파동마저도 상승추세가 깨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앞전에 퍼블리쉬 했던 이 관점이 유지중입니다.
테더 도미넌스는 상승추세매물대를 하락돌파 후 리테스트중에 있습니다.
비트는 상승할것이라는 조건이 너무 많죠?
단기적으로 단타를 치시는 분들도 큰흐름은 상승이 될것이다 라고 판단하시고 익절을 길게 하는 전략이 통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차트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근거에 대한 설명입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아래의 설명을 읽어야 제가 말씀드리는 지점이나 구간, 변동성 기간에 대해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까지는 필요없다는 분들을 위해서 먼저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지 구간
1차 : 65920.71-67414.39
2차 : 61099.25-62540.0
저항 구간
68955.88-72078.1
다음 변동성 기간이 11월 7일경이므로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위에서 말씀드린 구간 중 어느 구간에서 위치해 있느냐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최고점 (100) 부근에 근접한 이후에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 차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StochRSI 지표는 일반적인 StochRSI 지표의 수식을 변경하여 만든 지표라 실제 여러분이 사용하고 있는 StochRSI 지표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tochRSI 지표의 설정값은 14, 7, 3, 3 (RSI, Stoch, K, D)을 사용합니다.
어찌되었든 StochRSI 지표가 하락으로 전환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다만,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지 않은 상태라면 반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재 가격 위치에 형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가격은 Mid (50) 지표와 더불어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는 부근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가 67414.39 지점에 생성된다면, 그 지점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에 해당됩니다.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65920.71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요한 구간은 65920.71-67414.39 부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1D 차트의 HA-High > 1W 차트의 HA-High > 1M 차트의 HA-High 상태가 되므로 추세 관점인 M-Signal 지표의 정배열(a regular array)이 후 거래 관점에서도 정배열(a regular array)을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정배열(a regular array)의 상태를 만들게 되면,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수(LONG) 관점에서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 좀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StochRSI 지표의 초기화 작업으로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tochRSI 지표의 초기화 작업이란 과매수 구간 -> 과매도 구간, 과매도 구간 -> 과매수 구간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초기화 작업이 진행될 때,
-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을 때,
-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
위의 세가지 부근을 지날 때 변동성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의 중요도, StochRSI 지표, M-Signal 지표의 움직임 등을 고려해 볼 때 62540.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능하면, 65920.71-67414.39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의 BW (100) 지표가 다시 생성되지 않는다면, 결국 72078.1 이상 상승하여야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볼 때, 68955.88-72078.1 구간을 어떻게 상향 돌파할 것인가가 앞으로의 추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1월 7일경입니다.
-
(1W 차트)
1W 차트를 보면, 1D 차트보다 좀 더 명확한 움직임을 할 수 있습니다.
------------------------------------------
1M, 1W, 1D 차트에서 그린 지지와 저항 지점을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따라 거래 전략을 만들어 대응하는 것이 거래라 생각합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 지지와 저항 지점이 중요한 이유에서 말씀드린 내용입니다.
중요도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캔들의 배열이 얼마만큼 촘촘히 되어 있느냐를 봐야 합니다.
즉, 횡보(sideways) 구간을 얼마나 만들었느냐를 봐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Renko 차트를 활용하여도 좋습니다.
이 차트를 공유받아 사용하신다면, HA-High, HA-Low, BW (100), BW (0) 지표가 거래시에 가장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형성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는 Mid (50), OBV 0 지표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1M, 1W, 1D 차트에 형성된 지표들을 그리면 바로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코인 시장이 추세 추종을 따르는 시장이라 하지만, 추세로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습니다.
즉,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지와 저항 지점과 StochRSI 지표가 필요합니다.
이를 확인하지 않는다면 변동성을 확인하기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전 아이디어로 추세선과 변동성 기간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었습니다.
다음에 다시 한번 더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지표 간 채널링 구성 (StochRSI, BW 참고)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9월 22일-28일까지 StochRSI 지표가 최고점(100)에서 유지되었습니다.
10월 16일부터 StochRSI 지표가 99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서, 추가적인 상승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71280.01-72078.1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StochRSI 지표가 최고점(100)을 터치하기 위해서는 68955.88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오래 머물려 있을수록 하락에 대한 압박이 강해진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압박은 StochRSI 지표의 급격한 변화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StochRSI 지표로는 변동폭을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1M, 1W, 1D 차트에서 그린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참고하여 예측해 볼 뿐 입니다.
-
BTC가 본격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현재 관점에서 볼 때, 61099.25-65920.7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1M 차트)
1M 차트에서 변화가 시작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어느 구간에서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현재 관점에서 볼 때, BW (100)선은 68955.88, 71280.01, 72078.1 지점에 생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점들이 저항 구간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 지점을 상향 돌파한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을 갱신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아지다는 것 입니다.
-
새롭게 OBV Up, OBV Down 이라는 지표를 추가하였습니다.
이 지표 또한, 고점 구간, 저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세부 거래 전략, 대응 전략을 만들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HA-Low, HA-High, BW (0), BW (100) 지표는 각각 저점 구간이나 고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거래 방법은 HA-Low, BW (0) 지점에서 매수하고 HA-High, BW (100) 지점에서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므로, HA-Low ~ HA-High, BW (0) ~ BW (100) 구간이 박스 구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을 넘어설 때 비로소 추세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HA-Low ~ HA-High, BW (0) ~ BW (100) 구간으로 이루어진 박스 구간은 큰 개념으로 생각할 때 채널링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Renko 1D 차트)
68K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인해 하락 횡보(sideways)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68K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58K-62K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BTCUSDT.P 1D 차트)
선물 거래에서 핵심은 강제 청산에 있습니다.
따라서, 강제 청산을 당하기 전에 거래를 어떻게 마감할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큰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레버리지나 투자 비중을 높게 설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강제 청산 지점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
만일 69001.8 지점에서 매도(SHORT)로 거래를 진행하였는데,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면, 그리고, 강제 청산 지점이 72153.8 지점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매도(SHORT)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로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한 상태로 최고점 (100)에 가까워졌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말이 오름 숏(가격이 상승할 때 SHORT 포지션의 비중을 높이는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대인 경우로는 내림 롱(가격이 하락할 때 LONG 포지션의 비중을 높이는 방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자신의 강제 청산 지점에 맞게 대응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선물 거래에서는 한번의 매수(LONG), 매도(SHORT)로 거래를 시작하고 반대로 움직임이 나올 때 손절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
현재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 즉, 정배열(a regular array) 상태입니다.
이러한 경우 매수(LONG) 포지션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현재와 같이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있을 때는 매수(LONG) 포지션으로 거래를 시작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 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새로운 파동의 시작 : 68447.9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D 1M 차트)
BTC 도미넌스가 58 이상 상승 중 입니다.
55.01-62.47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만일 62.47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은 점차 횡보(sideways) 하거나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USDT.D 1M 차트)
USDT 도미넌스의 하락은 코인 시장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BTC 도미넌스의 설명에서 말씀드렸듯이 BTC 도미넌스도 USDT 도미넌스와 함께 하락하여야 코인 시장의 대부분의 코인들이 상승세를 보이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4.97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TC만 상승하는 시장을 형성할 것인가 알트코인도 함께 상승하는 상승장을 만들 것인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TCUSDT.P 1D 차트)
- 68447.9 지점은 1W 차트의 BW (100) 지점이고,
- 71363.0 지점은 1M 차트의 BW (100) 지점이고,
- 73127.6 지점은 1D 차트의 BW (100) 지점입니다.
따라서, 위의 지점들이 지지와 저항 지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하락 추세선 (2)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68447.9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최고점 (100)에 근접하면서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하락 압박을 극복하고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68447.9-71363.0 구간에서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StochRSI 지표가 어떻게 초기화 작업을 진행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StochRSi 지표의 초기화 작업이라 과매수 구간에서 과매도 구간으로, 또한, 과매도 구간에서 과매수 구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
(1h 차트)
BW (100) 지점이 67800.5 지점에 생성되면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Mid (50) 지점이 67064.5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67064.5-67349.7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67064.5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D 차트의 5EMA나 65568.1-65922.3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1D 차트의 5EMA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게 되면 변동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한 이후에 상승하게 되었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67064.5-67349.7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BW 지표가 중간 지점(50)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 상태에서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였다면, 눌림목(pull back)이나 가격 조정과 같은 하락을 보이고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참고하면 좋습니다.
BW 지표의 해석에서 가장 애매한 부분은 중간 지점 (50) 에 위치해 있을 때 입니다.
따라서, BW 지표가 중간 지점 (50)에 위치해 있을 때는 새로운 거래를 진행하기 보다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코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
68447.9 지점에 매수(LONG) 포지션을 청산하려고 예약 주문을 걸어 두었는데 체결이 되지 않았군요.
하락 추세선 (2)가 그만큼 중요한 추세선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추세선 (2)를 강하게 상향 돌파하지 못한다면, 돌파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BTC] 역대급 리딩다이아고날을 완성한 비트코인안녕하세요 현실적인 전업투자를 하고있는 터틀코인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차트분석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리딩다이아고날 형태를 그리면서 상승 중입니다.
리딩 다이아고날로 보는 이유는 총 네 가지 입니다.
1. 세부파동의 카운팅이 3-3-3-3-3형태
2. 거래량의 수렴
3. 쐐기형태의 추세 수렴
4. 하락추세에 딱 맞물리고 저항을 받고있는 이상적인 그림
----------------------------------
1. 세부파동의 카운팅이 3-3-3-3-3형태
세부파동이 전형적인 다이아고날의 모습인 3-3-3-3-3 형태로 보입니다.
----------------------------------
2. 거래량의 수렴
전형적인 다이아고날의 조건인 거래량 수렴이 이상적으로 진행중입니다.
----------------------------------
3. 쐐기형태의 추세 수렴
1-3추세선과 2-4추세선의 형태가 이상적인 쐐기 형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4. 하락추세에 딱 맞물리고 저항을 받고있는 이상적인 그림
일봉상 하락추세선과 다이아고날의 상단추세(1-3 추세선) 가 맞물리는 이상적인 저항자리에서의 저항이 나오고있는 상황입니다. 단기 고점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있습니다.
----------------------------------
정리
위 네 가지 이유로 리딩다이아고날이 진행중이라고 보고있고, 해당 자리는 ABC의 A파동 리딩다이아고날 자리가 아닌 동인파동의 1파 리딩다이아고날 자리이므로 피보나치 0.236 ~ 0.382 되돌림 구간인 60,000~62,000구간에서의 반등 가능성을 메인으로 보고있는 시나리오입니다.
----------------------------------
대응
저는 롱포지션을 반익절하고 반 본절셋팅을 해둔 후 홀딩중이며 이 포지션이 본절 나간다면 60~62K 를 기다려볼 예정입니다.
만약 60~62K를 도달하지 못하고 다시 전 고점인 67K 부근을 돌파한다면 추격롱을 진입하거나 일봉상 하락추세의 리테스트 자리에서 롱포지션을 재진입 할 생각입니다.
비트코인 <차트 해부학> 중요!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비트코인 차트입니다.
간단히 설명을 드리자면 해당 차트의 중요한 각도를 계산하여 장기상승추세선과 장기 하락추세선을 뽑아내고 의미있는 자리에 작도하여 신뢰도가 높습니다.
보시고 이해가 안가신다면 선 한개 한개를 따라 눈을 이동해 보시면 많은 것들이 보이실겁니다.
굵은 녹색 장기상승추세선 위에서 2022년 하락때 치열한 싸움이 일어났고 2024년 상승때 다시 치열한 싸움이 일어나고 전고점을 뚫어 신고점을 갱신했습니다.
신고점이 굵은 노란색 장기 상승추세선(75.4k)에 닿지는 못했지만 얼추 근접 똥침을 하고 굵은 흰색 장기 하락추세선이 나오게 됩니다.
이제 이것을 뚫어준다면 다시 노란색 굵은 장기 상승추세선에 닿을것으로 예상하며(1차TP)
차트를 보시고 2차 TP가 어디인지 한번 찾아보시는것도 또다른 재미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비트코인 날봉입니다.
흰색 굵은 하락추세선을 상승돌파 하지 못하고 파동으로 5수째 못올리고 있습니다.
이것을 뚫고 올리게 되면 아시다시피 강력한 지지라인이 될것으로 보고 날봉기준 리테스트없이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테더 도미넌스 차트입니다.
테더 도미넌스가 오르면 비트와 알트는 하락
테더 도미넌스가 내리면 비트와 알트는 상승
현재 저점을 상승시키며 올라왔고 같은 위치 쌍고점을 찍고 하락중에 있습니다.
녹색 상승추세 매물대를 하락돌파 한다면 비트는 신고점을 갱신하러 갈것입니다.
제 관점이 마음에 드셨다면 로켓 한방씩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모두 감기 조심하시고 응원합니다 화이팅!!
현 구간, 무지성 롱을 외칠만한 구간이 아니라는 디테일한 관점을 들고 왔습니다.안녕하세요 쿠어입니다. 긴급 시황입니다.
지난 8월에 만들어둔 스윙 관점의 종지부를 찍을 상승이 나와주고 있는 상태입니다.
지난 관점에서 얘기했듯, 65.2를 깨주는 상승이 나온다면 올라갈수 있는 비트코인 가격
tp1 68.8
피보나치 1:1 비율
tp2 76k
하모닉 버터플라이 패턴
이거였죠? 하지만 막연히 올라간다고 행복회로를 돌리기보다, 이구간에서 반드시 아셔야할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
1. 고점을 한번더 넘기는 상승이 나오더라도, 큰 매수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는 고점 갱신은 4시간상 3중 하락 다이버전스 가능성이 있다.
설명: 65.2를 뚫는게 매우 중요하지만, 강한 거래량이 동반되어야 그 상승동력으로 최소 68.8까지 가능한데, 적은 매수세로 3중 하락 다이버 형태가 성립되는 고점 갱신은 그다지 반갑진 못한 형태의 고점 갱신일 것이다란 생각.
2. 고점 갱신을 하지 못한채 현재 맞은 수평 저항을 끝으로, 헤드 앤 숄더 패턴이 나타나며 하락하는 가능성
4시간 하락다이버전스 및, 거래량 감소로 하락 시그널과 헤드앤숄더 패턴의 성립으로 하락이 나올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이정도가 최대한, 잡소리를 집어치우고 적은 글입니다. 어쨌거나 아직까지는 상승을 생각하고 있지만, 요즘 비트코인 실전 매매를 해보시는 분들은 아실겁니다. 무빙을 그렇게 쉽게 주지 않습니다. 이번에 찍은 고점도, 좌측 고점의 65.2k보다 찔끔 덜닿은 가격으로 고점을 찍은채 횡보중이잖아요? 시원하게 뚫고 올라가도 되는 상승이 나와도 되는데 딱 직전에 파킹을 놓고 멈춘 상태니까요. 따라서 이런 무빙도 나올수 있음을 디테일하게 생각해보면서 고민을 해볼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상승 하나만을 보고 판단하기에는 너무 많은 경우의 수를 남겨둔 채 횡보중인 비트코인, 트레이더들에게 점점 많은 리스크를 지게 만들면서 고려해야될 부분을 많이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디테일한 부분도 고려하시어 이래도 말이되고 저래도 말이되는 이 어려운 구간을 헤쳐나가시는데에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이런 디테일한 부분까지 잡고 공유하는 사람 몇 없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61099.25 부근에서 지지 받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일정이 있어서 미리 퍼블리쉬합니다.
일정이 끝나는대로 새로운 1W 차트, 1D 차트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단타 거래(day trading)를 진행하는 필요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였기 때문에 종종 단타 거래(day trading)에 대한 거래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TCUSDT.P 1h 차트)
1D 차트의 5EMA선을 터치하면서 변동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1D 차트의 5EMA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61149.5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60651.2 부근으로 1D 차트의 M-Signal, 1W 차트의 M-Signal이 지나가고 있으므로 상승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지 받아야 하는 구간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ADX가 20 이하에 위치해 있습니다.
- OBV가 수렴 중이므로 머지않아 저점선(LL)이나 고점선(HH)을 돌파하면 추세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여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상승세를 보일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ADX가 25 이하로 하락하면서 추세 강도가 약해졌기 때문에 박스 구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어느 구간에서 박스 구간을 형성하는지 확인하고 박스 구간 내에서 거래를 진행할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다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1D 차트의 5EMA을 터치하면 ADX가 25 이상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 어떠한 움직임을 나타내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매수(LONG)를 진행하기 적합한 시기는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입니다.
이때, ADX가 25 이상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OBV가 고점선(HH)를 따라 상승하여야 합니다.
매도(SHORT)를 진행하기 적합한 시기는 HA-HIgh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때 입니다.
이때, ADX가 25 이상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OBV가 저점선(LL)를 따라 하락하여야 합니다.
------------------------------------------
(BTCUSDT 1M 차트)
2차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1차 구간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 ADX가 25 이상에서 유지되거나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 OBV가 고점선(HH)를 따라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어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
(1W 차트)
TS-BW DMI 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StochRSI 지표의 수식이 변경되어 이전 아이디어와 다른 추세선이 생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 봐야 겠습니다.
TS-BW DMI 지표를 보면,
- StochRSI가 과매도 구간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ADX가 25 이상에서 유지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ADX가 하락한다는 의미는 추세 강도가 약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BV 지표를 보면, OBV가 수렴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고점선(HH) 이상 상승하여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1D 차트)
추세선이 변경되어 다음 변동성 기간이 10월 7일경에서 10월 11일경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ADX가 25 이하에 위치해 있습니다.
- OBV가 고점선 밖으로 벗어났다가 고점선 내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추세 전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상태로는 상승세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 상태라 판단됩니다.
이에 따라서, 63118.62-64000.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61099.25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61099.2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승세를 시작할 조건을 갖추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거래 시점을 잡는 방법의 예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아래 내용은 차트에 포함된 지표에 대한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지표에 대한 활용 방법을 볼 필요가 없다면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
(15m차트)
현재 HA-Low 지표의 박스 구간 내에서 횡보(sideways) 중 입니다.
따라서, 추세가 발생하려면 HA-Low 지표의 박스 구간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차트에 표시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터치하였을 때, OBV, DMI,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거래를 진행할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DMI가 25 이상 상승하게 되면, HA-Low 지표의 박스 구간을 상향 돌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OBV가 고점선을 따라 상승 중인지와 StochRSI가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박스 구간 내에서 거래를 진행할지 판단해야 합니다.
---------------------------------------
사용하던 지표를 정리하고 수정하면서 이제 단타 거래(day trading)에서도 활용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가능하다면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선을 그려 놓고 대응해 나가는 것이 좋긴 합니다.
모든 거래를 진행하면 가장 어려운 부분이 지금 당장 상승할 것인가 하락할 것인가일 겁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많은 것들을 참고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제가 설명드려고 하는 것이 반드시 맞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제까지 지금 당장 거래를 진행할 것인가에 대해서 자신과의 싸움에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1D 차트)
(4m 차트)
저의 차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MS-Signal 지표 입니다.
이 MS-Signal 지표는 MACD 수식을 활용하여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추세를 보기 위해서는 MS-Signal 지표 (1D, 1W, 1M 차트의 M-Signal)의 움직임을 참고하면 됩니다.
그러면, 어느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현재 추세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MS-Signal 지표는 M-Signal선과 S-Signal선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15m 차트)
(5m 차트)
그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는 HA-Low, HA-High 지표입니다.
HA-Low, HA-High 지표는 Heikin Ashi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한 조건을 표시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을 형성하였다는 의미이고,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을 형성하였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되고, HA-High 지표 부근이 1차 매도 구간에 해당됩니다.
본격적인 상승세는 HA-Low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여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면 시작됩니다.
반대로 본격적인 하락세는 HA-High 지표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여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면 시작됩니다.
이러한 성질을 활용하여 거래 시점을 잡을 수 있습니다.
-
BW선은 TS-BW DMI 보조 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BW 지표의 최저점(0), 최고점(100)에서 수평선을 이룰 때 표시되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BW선이 생성되었다는 것은 저점 구간이나 고점 구간을 형성하였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1. BW 지표가 최저점(0)인 경우 저점 구간을 형성하다는 의미가 됩니다.
2. BW 지표가 최고점(100)인 경우 고점 구간을 형성하다는 의미가 됩니다.
다만, 이러한 의미로 BW선을 보는 것보다 그냥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생각하고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새로 추가한 OBV 지표와 DMI 지표와 함께 StochRSI 지표의 상관 관계를 따져서 현재 상승이나 하락의 지속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StochRSI 지표만으로 이를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한 이후에 그 구간에서 벗어나려고 할 때 추가적인 상승이나 하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차트 분석 노하우가 필요하였습니다.
그렇다고 OBV 지표와 DMI 지표가 추가되어 차트 분석 노하우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닙니다.
이를 판단하는데 참고할만한 자료가 늘었다는 개념이라 생각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
(OBV 지표)
가격이 상승하든 하락하든 하기 위해서는 거래량이 발생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상승이든 하락이든 발생되었을 때 매수세가 증가하는지 매도세가 증가하는지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활용되는 지표가 OBV 지표입니다.
설명드리는 지표들에 대한 개념은 따로 설명드리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차트 공부하는 시간만 늘어나기 때문에 그 지표에 대한 핵심 활용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드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 OBV선이 고점선 이상 상승하여 유지되면 매수세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 OBV선이 저점선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면 매도세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활용하여 현재의 상승이나 하락이 지속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Low선이나 High선을 돌파할 때 색상이 바뀌는 것은 그때가 거래 시기에 해당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DMI 지표)
DMI 지표는 D+, D-, ADX선으로 이루어진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를 보고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세개의 지표를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ADX 지표는 추세 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DX선이 상승한다는 의미는 현재 추세가 강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ADX선이 하락한다는 의미는 현재 추세가 약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ADX선만 보고는 현재 추세가 상승인지 하락인지를 알 수 없습니다.
이를 알려주는 것이 D+, D- 지표의 상관 관계입니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표현된 것이 TS-BW DMI 지표에 있는 ADX선입니다.
ADX선의 색상이 분홍색(#e65100)이면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아쿠아색(aqua)이면 하락 추세를 나타냅니다.
ADX선이 25 이하에 위치해 있다면 박스 구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때, 위에서 언급한 지표들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현재 가격 위치에 표시된 지지와 저항선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여 거래 시점을 잡아야 합니다.
-
기존에 활용되었던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에 진입한 상태인지 StochRSI와 StochRSI EMA의 상관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현재의 추세가 지속 가능한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아무리 OBV, DMI가 상승세를 나타냈다 하더라도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거나 하락하게 되면, 상승세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고 대응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1D 차트를 보면, 추가 상승을 한다 하더라도 결국 하락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ochRSI 지표가 초기화(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였다면 하락하여 과매도 구간을 터치하여야 초기화되었다고 판단함)된 모습을 보일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만큼 StochRSI 지표가 하락하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이제 OBV, DMI 지표를 함께 보면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OBV, DMI, StochRSI 지표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자면,
1. 상승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 OBV가 고점선을 따라 상승세를 보여야 함
- DMI가 상승세를 보여야 함
- StochRSI가 상승세를 보여야 함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면 더 좋음)
2. 하락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 OBV가 저점선을 따라 하락세를 보여야 함
- DMI가 상승세를 보여야 함
- StochRSI가 하락세를 보여야 함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면 더 좋음)
3. 박스 구간인 경우
- OBV가 저점선과 고점선 사이에서 움직일 때
- DMI가 25 부근이나 이하에서 유지될 때
- StochRSI가 50 부근에서 유지될 때
만일 차트에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을 때 거래를 시작하지 못하였다면, 지지와 저항 지점을 만나서 지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 OBV가 저점선이나 중간선 이상 상승할 때
- DMI가 상승세를 보일 때
- StochRSI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가 되었을 때
위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해당 가격 부근에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를 진행하면 됩니다.
아마도 저의 차트를 활용하여 거래를 진행하신다면, 최소 1M, 1W, 1D 차트의 HA-Low, HA-High 지표는 그려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BW선가 생성되었을 때 지표들의 움직임 보고 거래 시점을 잡으면 됩니다.
더 많은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하다면, HA-MS_BW 지표의 설정에서 StochRSI 관련(StochRSI < 80, StochRSI > 20), OBV, CCI 관련(-100, +100), RSI 관련(RSI < 70, RSI > 30) 지표를 활성화시키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1, 2, 3, 4 는 기간별 매물대(volume profile) 지점을 표시하므로 이 또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수행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비트코인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차트입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남은 명절 연휴 잘보내시고 항상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비트코인 날봉 박스권 입니다.
조금만 공부해보면 누구나 박스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박스권 하단을 딛고 상승중에 있습니다.
하락추세 매물라인(빨간색)을 뚫고 싶어서 찌르는 중이고 이것이 돌파 되고 리테스트에 성공한다면 71.6K까지 열려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 차트는 비트코인 4시간봉 차트입니다.
빨간색 라인들이 의미하는 동그라미 구간은 이 차트의 중요한 매물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체크!
테더 도미넌스 차트입니다.
USDT.D는 빨간색 단기 상승추세 매물라인을 하락돌파 하고 있습니다.
테더 도미넌스가 오르면 비트와 알트는 하락합니다.
테더 도미넌스가 내리면 비트와 알트는 상승합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거두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비트코인 관점 공유합니다. 안녕하세요! 너무 오랜만에 돌아왔네요. 전 계속 매매하고 있는데 이게 사실 트뷰에서는 관점 공유하고 아이디어 업로드하는 방식이 너무 불편하게 되어있어서 트뷰는 잘 안올리게 돼요.. ㅜㅜ 아무튼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죠.
우선은,
매매해오던 로그를 다 남겨놨었는데, 앞전 차트가 지속된 하락이 이어왔잖아요? 중간중간에 나오던 짧은 반등은 제 매매 방식상 굳이 들어갈 필요가 없어서 숏 홀딩만, 오름숏만 봐왔고 그러던 와중 스윙 관점으로 롱을 들어갈만한 자리가 보였습니다.
그래서 사진처럼 값은 정석보단 조금 미달했지만 요즘 같은 무빙을 감안하여 싸이퍼 패턴을 사용해 미리 롱 진입구간을 계산해놨고, 포지션 진입을 한뒤에 타겟가를 설정해두었는데 성공적으로 타겟포인트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앞으로가 중요한데, 당분간 상승하기에는 차트가 괜찮은 상태입니다. 주봉급 정도는 아직 하락이 더 유리한 상황이지만 앞전에 하락이 48.8을 찍을정도로 너무 깊게 나왔죠? 또 그동안 꽤 오랜기간 하락을 해왔기 때문에 일봉 프레임까지는 각종 지표들이 바닥을 기고 있었구요.
그래서 현재 대형 채널 안에서는 충분히 지금 구간에서 반등이 잘 나올수 밖에 없었던 것인데, 70을 넘어 고점갱신을 우선 논할것이 아니라 어제 찍은 60.5 고점을 더 높힐수 있냐가 일단은 중요한 부분인데 전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자리에서 잠깐의 조정은 받을 수 있겠지만, 제가 보는 단기 고점은
1. 66.8
2. 68.5
(3. 시기상조 고점 : 1,2번의 고점을 도달한 이후에 그려진 차트와 지표를 보고 판단하겠지만 고점 갱신할 경우 77,89K)
정도입니다.
피보나치로 대략적으로 잡아둔 것이고, 차트가 진행되는 것을 보고 조금씩 클리크 수정을 하려합니다. 그래도 별차이는 없을거 같아요 ㅎㅎ
지금 자리에서 쭉 밀고 올릴수도 있지만 그거보단 조금의 조정이 나올거라 생각하고 보고 있습니다 우선은 60.3에 롱 포지션을 전부 정리를 해두었기 때문에 재 진입각을 보고 있어서 조정이 1~2천불정도 나와주면 딱 좋을 것 같네요.
여하튼 차트에 표기한대로 조금 조정이 나온 뒤에 올라갈거라고 보고 있는것인데, 해당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2가지 있습니다. (매우 중요함)
자 첫번째로, 반등이 나왔던 52.5 해당 구간을 웬만해선 훼손시키면 안됩니다.
위에 적어둔 1,2번의 고점을 갱신하러면 굳이 여기까지 내려올 이유가 없거든요. 뭐,, 솔직히 파동이나 차트적인 개념으로 보면 저길 훼손하더라도 48.8의 저점만 훼손시키지 않는 선에서는 상승이 나올수는 있죠.. 특히나 요즘 같은 원웨이성 쭈욱 상승, 쭈욱 하락같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나오는 메타와 트렌드를 생각하면 이렇게 어이없는 무빙이 나올 가능성이 아예 없는 편도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우린 실전 트레이더인데 이런식으로 전략을 짤순 없잖아요? 레인지도 너무 크구요. 이거까지 고려하기엔 기회비용도 너무 아깝구요. 따라서 지금 60.5를 찍고서 나오는 조정이 52.5를 어지간하면 훼손을 시키지 않는 선에서 올라가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저는 어떻게 보냐면, 정상적인 범주의 조정이 나온다면 56.8 ~ 57.3 을 보구요, 상승 힘이 강하여 조정이 작게 나온다해도 59 ~ 58K 정도만 나오지 않을까 일단은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두번째입니다. 어쨌거나 앞서 말한대로 아직 주봉상으로는 하락이 끝났다라고 보기는 애매한 상태이기 때문에 언제든 이 추세를 이어나갈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주봉 단기 이평선만 보더라도 70에서 내려온 하락힘이 아직 발휘되어있는 상태고, 캔들과 지지 저항만 보더라도 지금 올라온 상승힘을 살려서 수평 저항 매물대를 뚫고 올려놔야 주봉상으로도 추세반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수있게 될거고,
그래야 후에 고점 갱신 가능성도 볼수 있게 되기 때문에 수평 저항부터 뚫고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이후 하락 부담없이 상승 랠리를 이어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이 와중에 알트들도 팝콘 튀기듯 튀겨질거구요. 결국엔 52.5에서 나온 반등이 앞으로도 상승 랠리를 이어나가기 위해서 최소 64K이상, 65.2K까지는 올려놔야한다는 얘기입니다.
이 두가지 중요한 조건들만 충족시켜준다면 저는 당분간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거같네요. 제가 준비한 아이디어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트뷰에는 언젠가.. 업데이트하러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다들 많이 버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