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9.22 고래지표란?안녕하세요 Whale_signal입니다
이전에 올려드린 흰색 물음표 라인을 보라색 고래지표로 변경하여 올립니다
위 구간을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저는 다시 한번 중요한 자리를 노리고 있습니다
저번 2000불도 정확히 2000불 상승,
추세 전환 자리? 기가막히게 잡아드려서 롱 4,000불 상승
이번에도 중요 고래지표 잘 잡으면 추세가 터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아래 실시간 차트 셰어링에 고래지표를 통해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추세는 꼭 드시길!!🤓
🐋고래지표란?
여러분들의 분석 이후,
지지와 저항에 대한 타점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보조지표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미 보셨겠지만 정확도가 굉장히 높고
경험치 쌓아 잘만 이용하신다면
정말 선물러분들에게는 없어서는안될 엄청난 무기가 될 거라 확신합니다!
하지만 좋은 무기를 가졌다고 해서 그 자체로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죠
무기를 어떻게 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지는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제가 열심히 준비한 만큼, 여러분도 멋지게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함께 멋진 성과를 만들어가요!
$$로켓버튼 50개 넘으면 이더리움 고래 지표도 공개!!!$$
***고래 지표 강도***
보라색>>>주황색>>>흰색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함)
BTCUSDT
예상 상승 지점 : 65920.71 부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일정이 있어서 미리 퍼블리쉬합니다.
아래 내용은 차트의 이해하는데 필요한 설명 부분입니다.
따라서, 굳이 읽으실 필요는 없지만, 저의 차트, 지표를 활용하고자 하신다면, 종종 이와 같이 설명드리는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현재 차트에 대한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
- 현재 중요한 지지 구간 : 61099.25
- 상승시
1차 : 63118.62-64000.0
2차 : 65920.71-67614.25
위의 1차, 2차 부근이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이 중에 61099.25 다음으로 중요한 지점은 65920.71-67614.25 입니다.
- 61099.25 이하로 하락시
1차 : 57889.10-59053.55
2차 : 56150.01-56950.56
위의 1차, 2차 부근이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 이전 흐름대로 움직임이 나온다면, 65920.71 부근으로 상승한 이후에 추세를 다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었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받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StochRSI 지표의 초기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앞으로의 추세가 어떻게 될지 사실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현재까지의 움직임으로 보고 추측하고 그에 따라서 대응해 나갈 뿐 입니다.
그러므로, 차트가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보편적으로 보는 캔들 차트에는 변동성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차트를 분석하고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캔들의 움직임에서 fake나 휩쏘와 같은 요소를 배제하고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활용하기 좋은 차트가 Renko 차트라 생각합니다.
(Renko 1D 차트)
따로 설명을 드리지 않아도 지지와 저항 지점이 어느 지점이고 현재 추세가 어떻게 되는지 아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약간의 설명을 더해 보자면,
- 56000 이하로 하락시 새로운 하락 추세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음
- 현재 56000-70000 구간에서 횡보(sideways) 중 이기 때문에 70000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음
대략적으로 현재 가격 위치에서 중요한 부근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하지만, 막상 지지 여부를 확인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자 BW 지표와 StochRSI 지표를 활용합니다.
TS-BW UP 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BW 지표는 StochRSI, MACD, CCI, PVT, superTrend 지표를 종합 평가하여 표시하도록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최저점(0)에 위치해 있을 때가 저점 구간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매수를 진행할 위치를 찾게 됩니다.
이를 좀 더 빠르게 확인하고자 가격 캔들 부근에 BW선이 그려지도록 만들었습니다.
반대로 최고점(100)에 위치해 있다면, 고점 구간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매도를 진행할 위치를 찾아야 합니다.
BW 지표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StochRSI 지표를 활용합니다.
즉,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 매수를 진행할 위치를 찾고,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매도를 진행할 위치를 찾습니다.
StochRSI 지표를 활용한 방법은 이전에도 많이 말씀드렸으므로 이전 아이디어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TCUSDT 1D 차트)
사실 저의 차트에서는 추세선을 따로 그릴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많은 분들이 추세선을 보고 그에 따른 패턴으로 추세를 확인하기 때문에 그려 놓았을 뿐 입니다.
변동성 기간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 추세선을 그리게 됩니다.
BTC나 ETH 차트는 코인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추세선을 그려서 변동성 기간을 선정하고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
추세는 MS-Signal 지표로 확인하게 됩니다.
MS-Signal 지표는 M-Signal 선과 S-Signal 선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1M, 1W, 1D 차트의 M-Signal선의 배열에 따라 현재 추세를 판단하게 됩니다.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경우에 본격적인 상승세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경우에 본격적인 하락세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현재 1W 차트의 M-Signal > 1D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므로 장기적으로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단기 및 중기적으로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상승으로 인해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인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될 수 있는지가 추세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관건에 해당됩니다.
-
추세를 확인하였다면, 거래 가능한 시기에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일단, 거래 가능한 시기를 찾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활용하는 것이 HA-MS 지표에 있는 HA-Low, HA-High 지표 입니다.
HA-Low 지표는 저점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생성됩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고, 지지 받는다면 매수가 가능한 구간에 해당됩니다.
HA-High 지표는 고점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 생성됩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고, 저항 받는다면 매도 구간에 해당됩니다.
그러므로,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의 간격이 좁으면 좁을수록 큰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수렴과 발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거래 가능한 시기를 HA-Low, HA-High 지표로 확인하였다면, 실제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여러 보조 지표를 활용하여 수평선을 그리도록 만들었습니다.
이 수평선들의 길이에 따라 지지와 저항 역할의 강약으로 구분하시면 됩니다.
다만,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선을 그려야 합니다.
지금은 설명을 위해서 1D 차트의 지지와 저항선으로만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차트에서 가장 강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점은 69499.85, 68393.48, 58697.01 입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지점은 64179.08, 57889.10, 56022.01 입니다.
이와 같이 지지와 저항 저점을 선정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면 됩니다.
그렇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만 표시한 차트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지점과 실제 사용되는 차트에서의 지지와 저항 지점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지지와 저항 지점의 중요도에 따라 선별되었기 때문입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의 중요도는 1M > 1W > 1D 차트 순 입니다.
따라서, 1M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선 근처에 1W, 1D 차트의 지지와 저항선이 있다면, 1M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선으로 대체하기 때문입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에 BW선이 그려졌습니다.
이 BW선은 최고점(100) 위치에서 그려진 선이기 때문에 고점 구간에 해당됩니다.
다만, 아직 StochRSI 지표가 확실하게 과매수 구간으로 재진입하였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추가 상승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상승한 이후에 과매수 구간이하로 하락하려고 할 때 BW선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61099.25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1차 : 63118.62-64000.0
2차 : 65920.71-67614.25
위의 1차, 2차 부근이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이전에 Sell선을 상향 돌파고 난 다음 상승폭을 보면 약 8-9% 사이 상승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상승폭을 보인다면, 대략적으로 65920.71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65920.71 지점은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으로 중요한 지점에 해당됩니다.
67614.25 지점는 1D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따라서, 결국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67614.25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전에 61099.25 지점은 1M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서 지지 받아야 하는 구간에 해당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24.09.19 고래 지표(2800불 상승!!!!)안녕하세요 Whale_signal입니다
추석연휴 잘 보내셨나요?
일단 추석동안 BTCUSDT - 1H 차트는 변동성이 있었지만 충분히 큰 수익도 가능했던 자리였다고 생각을 합니다
업데이트된 BTCUSDT-4H 차트를 올립니다
보라색 고래지표를 잘 넘기면서 아래로부터는 2800불 상승이 나와줬습니다
오늘도 4H - 보라색 고래지표를 넘기면서 800불 이상 상승이 나와줬습니다
이제부터는 보라색 고래지표를 잘 지켜주면서 현재의 상승이 이어지길 바라고,
단기적으로 중요하게 보아야하는 고래 지표 구간을 흰색 라인으로 표시해두었습니다
자세한 저항 라인은 아래 실시간 셰어링 차트에 표기해두었으니 궁금하신분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오늘은 2000불 이상 수익 가능성이 열리는 중요 자리라고 생각하고있는만큼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로켓버튼 50개 넘으면 이더리움 고래 지표도 공개!!!$$
***고래 지표 강도***
보라색>>>주황색>>>흰색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함)
24.09.19 고래 지표(2800불 상승!!!!)안녕하세요 Whale_signal입니다
추석연휴 잘 보내셨나요?
일단 추석동안 BTCUSDT - 1H 차트는 변동성이 있었지만 충분히 큰 수익도 가능했던 자리였다고 생각을 합니다
업데이트된 BTCUSDT-4H 차트를 올립니다
보라색 고래지표를 잘 넘기면서 아래로부터는 2800불 상승이 나와줬습니다
오늘도 4H - 보라색 고래지표를 넘기면서 800불 이상 상승이 나와줬습니다
이제부터는 보라색 고래지표를 잘 지켜주면서 현재의 상승이 이어지길 바라고,
단기적으로 중요하게 보아야하는 고래 지표 구간을 흰색 라인으로 표시해두었습니다
자세한 저항 라인은 아래 실시간 셰어링 차트에 표기해두었으니 궁금하신분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오늘은 2000불 이상 수익 가능성이 열리는 중요 자리라고 생각하고있는만큼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로켓버튼 50개 넘으면 이더리움 고래 지표도 공개!!!$$
***고래 지표 강도***
보라색>>>주황색>>>흰색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함)
60672.0-61099.2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긴 설명을 보기 싫은 분들을 위해서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실제 차트 분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변동성 기간 : 9월 9일-29일
- 다음 변동성 기간 : 10월 7일경
- 현재 가격 위치에서 가장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60672.0-61099.25
- 상승시 지지와 저항 구간
1차 : 63118.62-64000.0
2차 : 65920.71-67614.25
- 하락시 지지와 저항 구간
1차 : 57889.10-59053.35
2차 : 56150.01-56950.56
--------------------------------------
(StochRSI 지표를 활용하여 변동성 기간을 선정하는 방법의 예)
파동 흐름상 저점 구간을 형성할 차례이지만, 고점 추세선 (1)을 상향 돌파함으로서 파동에 변화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전까지 진행된 파동은 하락 파동이였지만, 현재 고점 추세선 (1)을 상향 돌파함으로서 알 수 없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고점 추세선 (1) 과 저점 추세선 (2)가 교차된 구간, 즉, 원으로 표시된 구간을 변동성 구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존 하락 파동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고점 추세선 (1) 이하로 하락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고점 추세선 (1)과 저점 추세선 (2)가 교차한 날, 즉, 9월 13일경(9월 12일-14일)이 변동성 기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변동성 기간을 선정할 때 중요한 것은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선과 추세선이 필요합니다.
현재 말씀드린 내용은 StochRSI 지표를 활용하여 파동의 흐름을 가지고 추세의 변화, 변동성 기간을 선정하는 예입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선과 교차하는 추세선이 더욱 중요한 변동성 기간을 나타내게 됩니다.
-
고점 추세선은 StochRSI 지표의 고점, 즉, a1과 a2 지점에 해당되는 하락 캔들의 시가(Open)를 연결하여 그렸습니다.
(만일 a1, a2 지점에 해당되는 캔들이 하락 캔들이 아니라면, 하락 캐들이 나올 때까지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저점 추세선은 StochRSI 지표의 저점, 즉, b1과 b2 지점에 해당되는 캔들의 저가(Low)를 연결하여 그렸습니다.
추세선을 결국 가격이 지난 다음 그려지는 후행성 지표에 해당됩니다.
보조 지표는 후행성 지표라 볼 필요가 없다고 하신다면, 추세선 또한 볼 필요가 없다는 것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표를 배척하려 하지 마시고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몇 개의 지표를 활용하여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위에서 설명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변동성 기간을 선정한다면, 10월 7일경이 변동성 기간에 해당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W 차트에서 선정된 변동성 기간으로 9월 16일이 포함된 주 전후가 변동성 기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9월 9일-29일까지가 변동성 기간에 해당됩니다.
다만, 1D 차트에서 선정된 변동성 기간인 9월 13일경을 기준으로 하여 이번 변동성 기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선이 복잡하게 그려져 있지만, 제가 종종 설명드리는 내용을 계속 보셨다면 중요한 부분이 눈에 들어오실 거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제가 언급하는 지점이나 구간, 추세선, 지표, 변동성 기간 등을 눈여 보시면 됩니다.
-
현재 가격 위치엣 가장 중요한 구간은 60672.0-61099.25 입니다.
따라서, 60672.0-61099.25 구간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superTrend 지표의 sell선이 60674.89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60672.0-61099.25 구간이 중요한 구간이라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59053.55 지점, 즉,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였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면, 결국 가격은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을 터치하여야 현재 진행되고 있는 파동이 마감되고 새로운 파동을 만들기 시작한다는 의미합니다.
기존 파동의 연속되는 파동을 만들 수도 있기 때문에 위에서 말씀드린 StochRSI 지표를 활용하여 그려진 추세선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이전 아이디어에 설명드렸듯이 61099.25 이상 상승하게 되면, 다음 지지와 저항 구간은 63118.62-64000.0 입니다.
-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지지와 저항선을 미리 그려두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거래를 시작한 다음 지지와 저항선을 그리게 되면 자신의 심리 상태가 반영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중요한 지지와 저항선을 그리기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하여야 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조 지표를 활용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를 활용한다면, 거래를 시작하였다 하더라도 지지와 저항선을 그리는데 심리적인 요인을 많이 배제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StochRSI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중요한 구간인 60672.0-61099.2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만,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가 유지된다면, 결국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 (59053.55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다시 60672.0-61099.25 구간 이상 상승하기 위한 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에 59053.55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56K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StochRSI 지표가 50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StochRSI 지표로 얼마만큼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추세의 변동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은 알려준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StochRSI 지표의 활용 방법은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한 이후에 기울기의 변화가 감지되었을 때
- StochRSI 지표가 StochRSI EMA 지표와 교차하고 유지되었을 때
위의 두가지가 만족하였을 대응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
(추세선을 그리고 해석하는 방법의 예)
단기적인 관점에서 추세선을 보면, 저점 추세선과 고점 추세선이 'X'자로 교차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양은 추세의 변동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추세선의 작도는
1. 저점 추세선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의 최저점을 만들었을 때 최저점끼리 연결
2. 고점 추세선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의 최고점을 만들었을 때 최고점끼리 연결
단, 최저점이나 최고점을 만들 이후에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에서 벗어난 다음 다시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여 최저점이나 최고점을 만들었을 때 연결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그려진 추세선과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의 교차 지점이 변동성 기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지지와 저항 지점 중에서 중요한 지점을 선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비트코인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차트입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남은 명절 연휴 잘보내시고 항상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비트코인 날봉 박스권 입니다.
조금만 공부해보면 누구나 박스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박스권 하단을 딛고 상승중에 있습니다.
하락추세 매물라인(빨간색)을 뚫고 싶어서 찌르는 중이고 이것이 돌파 되고 리테스트에 성공한다면 71.6K까지 열려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 차트는 비트코인 4시간봉 차트입니다.
빨간색 라인들이 의미하는 동그라미 구간은 이 차트의 중요한 매물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체크!
테더 도미넌스 차트입니다.
USDT.D는 빨간색 단기 상승추세 매물라인을 하락돌파 하고 있습니다.
테더 도미넌스가 오르면 비트와 알트는 하락합니다.
테더 도미넌스가 내리면 비트와 알트는 상승합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거두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거래를 시작하게 되는 기본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를 시작하게 되는 예로서 자신에게 맞는 기본을 객관화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맞고 틀림으로 판단하지 마시고 자신의 거래 판단 기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점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superTrend 지표의 sell선을 상향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약 59953.52) 부근에서 지지 받고 60672.0-61099.2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1차 : 59053.55
2차 : 57889.1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보통 자신의 심리적인 상태에 따라 즉흥적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를 막고자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따른 거래 방식이 객관화되어 있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객관화는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59053.55 부근이나 60720.0-61099.25 부근에서의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눈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거래시 발생되는 심리적인 요인에 따라 엉뚱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판단 근거 또한 객관화된 정보가 있으면 좋습니다.
객관화된 정보로 차트에 추가되어 있는 지표들을 참고하는 것 입니다.
추세 관련 지표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MS-Signal 지표로서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입니다.
거래 관련 지표로는 HA-Low, HA-High 지표와 그에 따른 박스 구간, superTend, 매물대(volume profile)를 활용합니다.
거래 관련 참고 보조지표로는 BW 지표와 StochRSI 지표를 활요합니다.
-
이러한 지표들을 참고하여 현재의 움직임을 설명하자면,
- 60672.0-61099.25 부근을 지나고 있는 superTrend 지표의 sell선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하였고,
-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바뀌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지 않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하락 전환되었다고 보기 힘든 상태입니다.
따라서, 1W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 ~ 60672.0-61099.25 구간 사이에서 공격적인 매도(SHORT)가 가능합니다.
이후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가 되었을 때 59053.55 부근이나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도(SHORT)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위에 말씀드린 지점에서 지지 받는다면,매수(LONG)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상승하는 척하고 바로 하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 vs 엘리엇 파동 2안녕하세요, ho_man입니다.
위 차트는 비트코인의 전체 차트입니다.
빨간 원들은 각 사이클의 고점과 저점을 표시한 것이고, 빨간 점선은 반감기 날짜를 나타냅니다.
표시된 기간을 보면 각 저점에서 반감기까지의 기간과 반감기에서 사이클 고점까지의 기간이 약 5:5 수준으로 맞춰집니다.
약 한 달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방식으로 이번 사이클의 고점 시기를 예측해본다면 대략 2025년 9월로, 약 1년 남았습니다. 오차 한 달을 앞뒤로 더하면 2025년 8월~9월이 됩니다.
반감기 사이클대로라면 큰 걱정은 없어 보입니다.
이 계산은 예전에도 종종 언급했습니다. 문제는 제가 사용하는 분석 도구인 엘리엇 파동과는 다른 시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입니다.
현재 엘리엇 파동으로는 4파 조정이 거의 끝나가고 있으며, 5파로 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5파의 기간이 1년정도로 길어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연말이나 내년 초에 고점이 나올 것이고, 다시 조정장에 들어갈 텐데, 이는 반감기 사이클과 맞지 않습니다. 우리는 선택해야 합니다.
1.엘리엇 파동을 믿고 올해 12월이나 내년 1월쯤 정리하기
2.반감기 사이클을 믿고 내년 여름까지 존버하기
무엇을 따라야 할까요? 만약 엘리엇 파동 카운트가 틀렸다면, 연말 상승이 마지막 파동이 아닐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엔딩 다이아고날의 3파입니다. 이건 예전에도 여러 가지 장기 파동 관점에서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관련 글 참조).
이제는 이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이번 연말 상승이 3파이고 5파가 남았다면, 4파 조정과 5파 상승이 내년 9월 시점으로 맞춰질 수 있습니다.
솔직히 지금 5파, 엔딩 3파중 어떤게 맞는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반감기 사이클이 이번 사이클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반감기 사이클은 지금까지 절대적이었지만, 세상의 어떤 것도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
이번 사이클의 특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역대 하락폭처럼 -80% 이하로 떨어지지 않음
2. 반감기 전 전고점 탈환
3. 이번 시즌 바닥이 전 시즌 고점인 2만 달러를 뚫고 내려감
투자에 있어서는 항상 변수를 생각하고 의심해봐야 합니다.
5파가 맞아서 대하락장이 온다면 반감기 사이클과 맞지 않게 됩니다. 확률상 반감기 사이클이 더 높겠지만, 그렇다고 알트코인을 존버하기에는 하락장이 온다면 힘들 것입니다.
그래서 몇 가지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 나름대로 생각해봤습니다.
리플 차트를 보면 거대한 삼각 수렴을 그리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이번 연말에 5파로 간다면 리플도 결국 오르겠지만, 만약 비트의 5파가 끝나갈 때 리플이 추세선 상단인 약 1100~1200 수준에서 오가고 있다면, 이는 비트의 엔딩 3파이고 내년 9월 반감기 사이클이 맞다고 판단할 것입니다. (21년도 알트 불장 기준으로 비트의 5파가 시작하면 알트들이 훨씬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비트가 5파를 시작할 때 리플도 1500 수준을 거래량을 실어서 장대 양봉으로 뚫어준다면, 결국 비트가 마지막 파동을 그린다고 판단할 것입니다.
리플을 비트코인의 파동 근거로 삼는 이유에 대해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이는 제 방식이기 때문에 세세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리플을 대표적으로 언급한 것이며, 다른 알트코인들의 가격 반응도 중요합니다.
또한 비트코인 도미넌스도 중요한데, 도미넌스는 후행성 지표이므로 반감기 사이클이든 파동 5파든 둘 다 맞춰 흘러갈 것입니다.
우선 비트의 5파가 맞게 출발하는지를 지켜봐야겠습니다.
각자의 매도 기준을 지금부터 생각해 놓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성투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비트코인 관점 공유합니다. 안녕하세요! 너무 오랜만에 돌아왔네요. 전 계속 매매하고 있는데 이게 사실 트뷰에서는 관점 공유하고 아이디어 업로드하는 방식이 너무 불편하게 되어있어서 트뷰는 잘 안올리게 돼요.. ㅜㅜ 아무튼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죠.
우선은,
매매해오던 로그를 다 남겨놨었는데, 앞전 차트가 지속된 하락이 이어왔잖아요? 중간중간에 나오던 짧은 반등은 제 매매 방식상 굳이 들어갈 필요가 없어서 숏 홀딩만, 오름숏만 봐왔고 그러던 와중 스윙 관점으로 롱을 들어갈만한 자리가 보였습니다.
그래서 사진처럼 값은 정석보단 조금 미달했지만 요즘 같은 무빙을 감안하여 싸이퍼 패턴을 사용해 미리 롱 진입구간을 계산해놨고, 포지션 진입을 한뒤에 타겟가를 설정해두었는데 성공적으로 타겟포인트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앞으로가 중요한데, 당분간 상승하기에는 차트가 괜찮은 상태입니다. 주봉급 정도는 아직 하락이 더 유리한 상황이지만 앞전에 하락이 48.8을 찍을정도로 너무 깊게 나왔죠? 또 그동안 꽤 오랜기간 하락을 해왔기 때문에 일봉 프레임까지는 각종 지표들이 바닥을 기고 있었구요.
그래서 현재 대형 채널 안에서는 충분히 지금 구간에서 반등이 잘 나올수 밖에 없었던 것인데, 70을 넘어 고점갱신을 우선 논할것이 아니라 어제 찍은 60.5 고점을 더 높힐수 있냐가 일단은 중요한 부분인데 전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자리에서 잠깐의 조정은 받을 수 있겠지만, 제가 보는 단기 고점은
1. 66.8
2. 68.5
(3. 시기상조 고점 : 1,2번의 고점을 도달한 이후에 그려진 차트와 지표를 보고 판단하겠지만 고점 갱신할 경우 77,89K)
정도입니다.
피보나치로 대략적으로 잡아둔 것이고, 차트가 진행되는 것을 보고 조금씩 클리크 수정을 하려합니다. 그래도 별차이는 없을거 같아요 ㅎㅎ
지금 자리에서 쭉 밀고 올릴수도 있지만 그거보단 조금의 조정이 나올거라 생각하고 보고 있습니다 우선은 60.3에 롱 포지션을 전부 정리를 해두었기 때문에 재 진입각을 보고 있어서 조정이 1~2천불정도 나와주면 딱 좋을 것 같네요.
여하튼 차트에 표기한대로 조금 조정이 나온 뒤에 올라갈거라고 보고 있는것인데, 해당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2가지 있습니다. (매우 중요함)
자 첫번째로, 반등이 나왔던 52.5 해당 구간을 웬만해선 훼손시키면 안됩니다.
위에 적어둔 1,2번의 고점을 갱신하러면 굳이 여기까지 내려올 이유가 없거든요. 뭐,, 솔직히 파동이나 차트적인 개념으로 보면 저길 훼손하더라도 48.8의 저점만 훼손시키지 않는 선에서는 상승이 나올수는 있죠.. 특히나 요즘 같은 원웨이성 쭈욱 상승, 쭈욱 하락같은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나오는 메타와 트렌드를 생각하면 이렇게 어이없는 무빙이 나올 가능성이 아예 없는 편도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우린 실전 트레이더인데 이런식으로 전략을 짤순 없잖아요? 레인지도 너무 크구요. 이거까지 고려하기엔 기회비용도 너무 아깝구요. 따라서 지금 60.5를 찍고서 나오는 조정이 52.5를 어지간하면 훼손을 시키지 않는 선에서 올라가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저는 어떻게 보냐면, 정상적인 범주의 조정이 나온다면 56.8 ~ 57.3 을 보구요, 상승 힘이 강하여 조정이 작게 나온다해도 59 ~ 58K 정도만 나오지 않을까 일단은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두번째입니다. 어쨌거나 앞서 말한대로 아직 주봉상으로는 하락이 끝났다라고 보기는 애매한 상태이기 때문에 언제든 이 추세를 이어나갈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주봉 단기 이평선만 보더라도 70에서 내려온 하락힘이 아직 발휘되어있는 상태고, 캔들과 지지 저항만 보더라도 지금 올라온 상승힘을 살려서 수평 저항 매물대를 뚫고 올려놔야 주봉상으로도 추세반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수있게 될거고,
그래야 후에 고점 갱신 가능성도 볼수 있게 되기 때문에 수평 저항부터 뚫고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이후 하락 부담없이 상승 랠리를 이어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이 와중에 알트들도 팝콘 튀기듯 튀겨질거구요. 결국엔 52.5에서 나온 반등이 앞으로도 상승 랠리를 이어나가기 위해서 최소 64K이상, 65.2K까지는 올려놔야한다는 얘기입니다.
이 두가지 중요한 조건들만 충족시켜준다면 저는 당분간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을거같네요. 제가 준비한 아이디어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트뷰에는 언젠가.. 업데이트하러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다들 많이 버세요!
24.09.14 고래지표(2500불에 이어 1300불 돈복사)안녕하세요 Whale_signal입니다
바로 본론 들어갑니다
이전에 올려드린 BTCUSDT - 1H 차트에서 두 개의 보라색 고래지표가 있었습니다
아래의 보라색 고래지표에서는 더러운 무빙,
위의 보라색 고래지표(고래 사진 첨부 구간)에서는 정확히 터치하고 1300불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아쉽지만 다른 방과 실시간 차트 셰어링에는 위의 보라색 고래지표(고래 사진 첨부 구간)를 중요하게 보아야한다 설명을 추가적으로 꾸준히 강조 드렸으며(인증 있음)
역시나 두번째 보라색 고래지표(고래 사진 첨부 구간)를 돌파하면서 또 좋은 수익을 얻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가장 위의 보라색 고래지표정도 보시면 되겠고
한국은 추석 연휴이기 때문에 많은 업데이트 없이 위 차트정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더 많은 실시간 업데이트가 궁금하신분들은
아래 고래지표 실시간 차트 셰어링(무료)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로켓버튼 50개 넘으면 이더리움 고래 지표도 공개!!!$$
***고래 지표 강도***
보라색>>>주황색>>>흰색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함)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60672.0-61099.2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대한민국의 명절인 추석 연휴가 9월 18일까지입니다.
이에 따라서,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건강하고 즐거운 연휴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
USDT나 USDC을 통해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USDT 도미넌스가 5.55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5.89 부근에서 저항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NAS100USD 차트를 보면, 중요한 지점인 19582.6 부근으로 상승하였습니다.
19582.6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차 19143.2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 지지와 저항 구간에 대한 정보는 이전 아이디어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BTCUSDT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은 1W 차트에서 설정되었기 때문에 이제 막 변동성 시간이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9월 29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60672.0-61099.25 부근으로 상승 중 입니다.
현재 중요한 것은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가능한한 61099.25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의 변화가 발생되었기 때문에 현재 고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눌림목(pull back) 패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60672.0-61099.25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해 졌습니다.
superTrend 지표의 sell선이 60672.0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60672.0-61099.25 구간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보이게 된다면,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에 따라서, 57889.1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61099.25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63118.62-64000.0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상향 돌파하는데 실패한다면, 7월 15일 이후와 같이 고점을 형성하고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
BTCUSDT 차트를 분석하는데 여러 차트를 가지고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이는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은 USDT, USDC의 움직임과 ETF 출시에 따른 주식 시장의 흐름으로 간략하나마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파악된 자금 흐름을 바탕으로 현재 BTC의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가끔 보여드리는 Renko 차트는 지지와 저항 구간과 추세를 확인하는데 탁월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Renko 차트를 통해 거래를 진행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추세나 지지와 저항 구간을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하기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57889.10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여전히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는 한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현재 이전(박스 구간)과 같은 거래량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 비중 조절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1D 차트)
차트에 그려진 수평선은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을 표시한 것 입니다.
따라서, 현재 가격 위치에서 가장 힘이 있는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은 58697.01 부근입니다.
또한, 현재 형성되고 있는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은 56843.36, 64179.08 입니다.
BW 지표를 구성하는 요소로 PVT 지표가 있습니다.
현재 PVT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하락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58697.01 이상 상승하였을 때, PVT가 상승세로 전환되는지가 중요합니다.
-
(1D 차트)
57889.10 부근에서 지지 받게 되면,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57889.10 부근에서 지지 받고 59053.5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만, 현재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에 변화가 있기 때문에 57889.10 부근에서 단기 고점을 만들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만일 이번에 StochRSI 지표가 하락으로 전환된다면, 56150.01-56950.5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1W 차트)
1W 차트에서 PVT가 점선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1W 차트의 HA-High 지표의 박스 하단 지점인 57122.77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거래 시기가 대부분 다 다르기 때문에 어느 지점을 기준으로 거래를 시작하였느냐에 따라 차트 분석이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제가 언급한 지점이나 구간은 추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점이나 구간을 말씀드리는 것 입니다.
현재 가격 위치에서 추세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점은 57889.10 지점이라 생각합니다.
추세의 변화가 확장되기 위해서는 56150.01-59053.55 구간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
단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현재 단기 고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이 단기 고점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59053.55 이상에서 지지 받아야 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24.09.12 고래지표(정확하게 2500불 상승빔. 인정하시죠?)안녕하세요 Whale_signal입니다
우선 지난번 올려드린 1H - BTCUSDT 차트입니다
정확하게 주황색 고래지표로부터 2500불의 상승빔이 나와주었습니다
수익보신분들은 축하드립니다
저도 주황색 고래지표에서 매수하여 보라색 고래지표에서 수익을 덜어냈습니다
모두가 큰 수익이 가능했던 자리입니다
BTCUSDT - 1H 하락 채널을 상방으로 돌파해내며 힘을 모으고 있는 구간이라 생각을 합니다
또한, 앞으로 특정 가격대를 돌파해주면 추세 전환의 가능성 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투자자에게는 아주 중요한 자리 가 될것이며
그 구간은 아래의 *고래지표 실시간 차트 셰어링 에 공개하겠습니다
$$로켓버튼 50개 넘으면 이더리움 고래 지표도 공개!!!$$
***고래 지표 강도***
보라색>>>주황색>>>흰색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함)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1D 차트)
어제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렸듯이 56150.01-56950.56 부근에서 지지 받고 1W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전에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57889.1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MS-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52137.67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IBIT BTC ETF 차트는 MS-Signal 지표와 간격이 있다는 점에서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StochRSI 지표의 위치도 차이가 있습니다.
BTCUSDT 차트에서는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기 직전이지만, IBIT 차트에서는 50 지점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두개의 차트의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였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를 받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본격적인 변동성 기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1W 차트에서 설정되었기 때문에 9월 29일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USDT나 USDC가 갭상승세를 이어간다면, 변동성 기간이 지난 이후에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34.18 이상 상승해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출시된 BTC ETF 상품 중 현재 거래량이 가장 많은 차트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IBIT 1M 차트)
다만, 차트가 생성되기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아 표시된 지지와 저항 지점의 역할이 약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1W 차트)
현재 차트에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지점은 38.14 입니다.
따라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1D 차트)
32.70 지점에 형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고 34.18 이상 (가능하면, 피보나치 비율 0.618 (34.68))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첫번째 관문인 32.85-33.41 구간의 심리적인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추세 관점으로 볼때,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하락 추세선 (1) 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인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전환시키는데 실패한다면, 23.99-26.03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볼 때, 본격적인 상승세 시작은 1D 차트의 HA-High 지표 (39.87)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차트에는 아직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생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32.67 이하로 하락하기 시작한다면, HA-Low 지표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美 대선 토론의 영향으로 56K까지 하락, 단기 전망은?
■ 비트코인 / USDT / 4시간 / 바이낸스 차트
비트코인이 4시간봉상 여러 박스권을 만들며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9월 11일 한국시간 오전 10시를 기점으로 추세가 전환되며 하락세 이어가는 모습인데,
기술적 분석과 이슈로 인한 분석까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1번 박스권 (빨강)
지난 8월 27일 이후로 61K 부근에서 부터 오늘 9월 10일 고점 부근까지 하락 추세 상단이 이어지며, 이를 평행선 상 박스권으로 연장해보면 1번과 같은 박스권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 2번 박스권 (주황)
1번 박스권 중간에 9월 4일경 박스권 하단을 무너뜨리는 흐름이 나왔습니다.
이후 반등이 나오며 상승했지만, 1번 박스권 상단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점차 낙폭(하락각도)을 키워가며 9월 7일 52K 부근까지 내려오며 저점을 위협하는 흐름이 나왔습니다.
- 3번 박스권 (초록)
52K 부근에서 부터 9월 9일경 저점을 높이는 흐름과 함께 쌍바닥, W 패턴을 완성하고
2번 박스권 상단을 돌파하며 3번 박스권을 만들어가는 흐름이 나온 모습입니다.
현재 흐름 상 1번 박스권 상단과 3번 박스권 상단에 부딪히며
상승에 따른 조정을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 이슈 체크
오늘(9월 11일) 오전 10시 경 미국에서는 대선 후보 트럼프와 해리스가 대선 토론을 펼쳤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트럼프는 친 가상화폐 성향의 후보이고, 해리스는 반대로 반 가상화폐 성향의 후보입니다.
이번 미 대선 토론으로 인해 시장에도 영향을 끼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첫번째로, 이번 대선 토론에 가상화폐 관련 언급이 있을 거라는 시장의 기대와는 다르게 양측 모두 가상화폐에 대한 언급이 없어 시장의 기대치가 꺾이는 모습입니다.
두번째로, 시장에서는 친 가상화폐 성향의 트럼프가 당선되길 원하는데, 이번 대선 토론으로 반 가상화폐 성향의 해리스의 지지율이 올라가며 시장에서는 이에 영향을 받아 매도세가 짙어진 모습입니다.
■ 종합
- 기술적 관점
현재 1번과 3번 박스권 상단에 부딪히며 조정이 나오고 있는 만큼, 이 박스권 하단 부분에서 지지를 받고 반등이 나올지 주목해봐야합니다.
현재 4시간봉 상 지지를 받을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은 3번 박스권의 하단에 위치한
4번으로 표시된 55,750~55,250 부근입니다.
단기적으로 4번 구간을 무너뜨리고 내려올 경우 그다음으로 1번 박스권 하단인 54K 부근까지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며칠전 52K를 재터치하면서 저점을 위협한 만큼, 추가적인 하락이 이어지는지 주의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올 3~4월에 지속적으로 언급드련던
중기 전망 "52K~42K 부근까지 조정 후 상승 예상"이라는 견해는 아직까지 유효합니다.
기술적 분석으로도 올 1월 비트코인 ETF가 결정되었던 구간까지 하락할 여지가 있으니
현물 투자하시는 분들은 조급하지 않게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 시장 관점
오늘 나온 미 대선 토론 영향 뿐만 아니라, 현재 시장에는 미 경기 둔화(침체)에 따른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시장에 하방압력을 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 밤에 있을 CPI 발표와 9월 19일에 있을 FOMC 등 경제 지표와 금리 인하 진행 상황 등을 꾸준히 모니터링 해야합니다.
현재 상황으로서는 실업률과 고용 수치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CPI PCE등 물가 지수는 상승률이 낮아져야만 합니다.
2년 가까이 고금리 정책을 유지했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이자 부담이 점차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이 가장 먼저 실시하는 것은 인건비 감축입니다.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떨어지는 부동산이나 시설들은 당장 처분하고, 재구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높은 인적 자원을 정리하면서 지출 부담을 덜어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경기 둔화(침체)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고용 수준이 긍정적으로 유지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사실 상 그동안 시장에서 기대해왔던 금리 인하가 올 9월을 시작으로 드디어 시행될 예정이지만, 25bp가 되던, 50bp가 되던, 인하폭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제는 인하 폭이 "무엇의 영향을 받아서 결정되는지"가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따라서 빅컷이 되더라도 마냥 좋다고 볼 수 없는 것이, 고용 수준 하락과 함께 다른 경제 지표가 경기 둔화(침체)를 야기하는 결과가 나오면서 빅컷이 결정된다면, 시장에서는 지속적으로 하방압력을 받을 것입니다.
- 조언
현재 주식/코인 투자하시는 분들은 당장의 이익에 욕심을 내기보다 투자금 절반 이상의 현금확보와 추가적인 하락에 대비하여 중장기 관점으로 차분하게 분할로 접근하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국내 거래소(업비트, 빗썸)에서 현물 투자하시는 분들은
원달러 환율과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2중 변동성에 유의하시길 바라며,
지속적으로 달러 시장과 국내 코인 시장도 하방 압력을 받는 만큼
해외 거래소로 코인을 이동해두어 추후 불장이 왔을 때
원달러 환율과 김치 프리미엄 상승으로 차익을 남기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직전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얼마 되지 않은 상승이지만, StochRSI 지표가 벌써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56150.01-56950.56 부근에서 지지 받고 57889.10 이상 상승하면서 MS-Signal 지표 (1D 차트의 M-Signal)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차 : 54730.0
2차 : 52137.67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1W 차트의 M-Signal > 1D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이므로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인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57889.10 이상 상승하게 되면,
1차 : 59053.55
2차 : 60672.0-61099.2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곧 변동성 기간이 시작됩니다.
9월 13일경(9월 12일-14일)을 지나면서 52137.617-61099.25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해야 겠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선택의 갈림길에 있습니다.
이 갈림길에서 보다 선명한 선택을 하기 위해서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 투자자로서 자금의 흐름을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나마 USDT나 USDC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들로 인해 자금 흐름을 간략하나마 파악할 수 있을 뿐 입니다.
현재 USDT가 횡보(sidways) 중이고, USDC가 갭상승하면서 코인 시장을 상승시키는 동력이 되기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상승세가 시작되려면 USDT의 갭상승세가 시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승은 단기적으로 관점에 거래를 진행하면서 어떻게 하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 및 토큰 갯수를 늘려갈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겠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주간 시장 요약 BTC지난주 금요일, 고용 데이터가 발표되었고, 실업률은 4.3%에서 4.2%로 하락했습니다. 비농업 고용 지수(NFP)는 증가했지만 여전히 예상보다 낮았습니다. BTC는 데이터 발표 직후 상승했으나, 곧 상승 폭을 반납하고 하락세로 전환했습니다. 미국 증시도 개장 후 하락세를 보였는데, 이는 노동 시장의 약화에 따라 위험 자산에서 자금이 회피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지난 일주일 동안 BTC ETF는 매일 순유출을 기록했고, ETH ETF는 거의 자금 흐름이 없었습니다. 이는 현재의 자금 경색과 위험 회피 성향을 나타내며, 이러한 상황은 완화적인 통화 정책이 시행되고 자금이 유입될 때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BTC는 지난주 금요일 이전에 하락했으며, 저점에서 지지선을 터치한 후 반등했습니다. 전체 거래량은 과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WTA 지표에서는 고래들의 참여가 거의 없었고, 모든 단계의 참여자 수가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E 지표는 하락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하락 영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우리는 BTC가 이번 주에도 변동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존의 저항선 62,000과 지지선 52,500을 유지합니다.
면책 조항: 스크립트의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시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암호화폐 판매 제안 또는 구매 초대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 스크립트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내린 어떠한 결정도 귀하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합니다. 이미 진행되거나 진행될 투자는 귀하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독립적으로 분석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