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10월 25일 관점, 분석 안내.COINBASE:BTCUSDT
이제 일주일 뒤면 11월이 시작됩니다.
31일은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바이낸스 블록체인 Week Dubai 이벤트도 예정되어 있으며
11월 미국 대선도 다가오고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BTC) 월봉 기준으로 지난달과 이번 달 양봉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번 달에 큰 변동만 없다면 다음 달 단기눌림이 오더라도 57K 부근만 잘 지켜준다면
전혀 문제없이 신고점 갱신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단순하게 추세 따라 매매하시고 다음 달 대선 혹은 새로운 이슈거리, 재료가 나타난다면
큰 변동성에 유의하여 대응만 잘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정보와 안내는 교육 목적이며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매수, 매도는 본인 판단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투기적 수요 및 국내외 규제환경 변화 등에 따라 급격한 시세 변동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본 디지털 자산의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발생 가능한 손실도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BTCUSDT
24.10.24 고래 지표안녕하세요 웨일 시그널입니다
지난번 비트코인 4시간 차트 분석에서 보라색 고래 지표를 참고하며, 윗꼬리 저항이 여러 차례 발생하고 결국 돌파하지 못하면서 하락 가속화가 진행되었습니다
그 결과 비트코인은 약 2,300달러에 달하는 큰 폭의 하락이 나와줬습니다
당시 저는 추가 하락 시 64K ~ 62K 구간까지 내려갈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으나, 아쉽게도 해당 구간까지는 도달하지 못한 채 다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2,300달러의 하락 폭은 충분히 부분 익절을 통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었던 구간이었으며, 고래 지표를 활용하여 수익을 실현하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제 비트코인 1시간 차트로 주목해볼 차례입니다
현재 중요한 자리가 형성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입니다
1. 최근 하락 구간에서 매물대가 중첩되었던 자리에서 거래량과 함께 밑꼬리가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장의 상승 의지를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겠습니다
2. 트랩 이후 매물대 내로 다시 진입하며 단기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이 흐름이 깨지지 않고 지속될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3. 최근 상승 파동에 대한 피보나치 0.382 구간과도 일치하는데요, 이는 보다 강한 반등을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1시간 봉 기준으로 하얀색 고래 지표에 안착될 경우, 이후 리테스트 구간에서의 움직임을 유심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차례 저항을 받은 자리이기 때문에 하얀색 고래 지표와 다우 이론 상의 고점을 돌파하여 상승세를 이어갈 경우, 추가 상승 구간이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겠습니다
반대로, 하얀색 고래 지표를 지속적으로 돌파하지 못하고 추가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시장 상황을 다시 한 번 면밀히 체크하고 보다 신중한 매매 전략을 구상해야 할 것입니다
향후 비트코인 움직임에 주의 깊게 대응하시길 바라며, 성공적인 매매를 기원합니다
*저는 관점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며, 고래 지표는 단순히 지지와 저항을 가리킵니다. 여러분들의 분석에 고래 지표를 통해 타점을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보다 상세한 분석과 실시간 업데이트는 아래 실시간 차트 셰어링 안내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고래 지표>>
1. 고래 지표는 단순히 지지와 저항을 가리킵니다
2. 고래 지표를 참고하여 각자의 분석에 적합한 매매 타점을 찾아가시길 바랍니다
3. 고래 지표는 봉 마감 형태가 중요하므로, 마감봉을 확인하는 것이 안정적인 매매 전략에 도움이 됩니다
4. 고래 지표 강도는 보라색 > 주황색 > 흰색 순이며,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력한 지지 및 저항을 나타냅니다
차트무당 마코 10월 24일 비트코인 오후 시황 분석 글 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24일 비트코인 오후 시황 분석 글 입니다.
일단 오전에 남겨 구간 먼저 체크 해보겠습니다.
12시간 지지선을 터치하고 상승우위에서 최대 67268 구간 저항구간까지
올릴 수 있다 설명 드렸고 이 후 움직임 보시면 67595 구간까지 터치 후
현재 횡보하면서 조정 파동이 살짝 나오고 있는 중 입니다.
67268 구간은 30분차트 1시간차트 저항선의 저항구간 및
2시간 3시간 4시간차트 중앙선과 일목상 음운 저항구간 모두
포진되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강하게 올릴자리보다는 저항에 무게를 두었습니다.
지금 현재 자리에서 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이며
12시간 지지선 하나만 가지고는 강하게 반등할 자리는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현재 구간에서 30분 차트 1시간차트 저항선을 터치 했기 때문에
지지구간이 형성이 되어있고 66630 자리가 1차적인 지지구간
지지구간에서 지지 해준다면 최대 탑구간인 68330 구간까지 터치 할 수 있으며
이 구간은 4시간차트 저항선까지 이며 만약
힘이 부족하다면 극 횡보장으로 마무리 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만약 이구간이 깨지게 된다면 다음 지지구가은 1시간차트 지지선의 지지구간
일봉차트 데드크로스의 의한 눌림이 계속 나와 준다면 그 다음 지지구간은
일봉차트 중앙선 구간인 64739 자리에서 반등이 나오는지가 체크 하셔야 합니다.
내일 움직임도 체크 하셔야 하는데 일봉차트 MACD 데드크로스각 각인 유무가
중요한 움직임일 듯 합니다.
테더도미넌스는 현재 4시간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이 유지가 되고 있지만
현재 4시간차트까지 양운지지라인을 터치 했기 때문에 이 후 움직임도 중요해 보입니다.
오늘 66630 구간이 깨진다면 꼬리로 최대 밀릴 수 있는 구간은
63756 구간의 바텀구간이며 이 구간은 모든 차트의 일목상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으로 반등도 강하게 나올 수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거래의 시작은 기다림에서 시작됩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는 지표들 간 쌍을 이루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HA-Low와 HA-High 지표와 BW (0)와 BW (100) 지표는 쌍을 이룹니다.
- HA-Low, BW (0) 지표는 저점 구간을 표시하고,
- HA-HIgh, BW 100) 지표는 고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HA-HIgh나 BW (100) 을 터치하고 하락이 시작되면 HA-Low나 BW (0)을 터치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현재 1D 차트의 HA-High 지표(67414.39)에서 저항 받고 하락이 시작되면 1D 차트의 HA-Low 지표(현재 56204.13)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가 이동하여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BW (100) 지표와 BW (0) 지표 중간에 BW (50) 지표가 존재하기 때문에 BW (100) 지표에서 하락한다고 반드시 BW (0)을 터치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이에 따라서, BW (50) 지표가 BW (0) 지표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위의 설명은 본 차트의 지표를 활용할 때 필요한 정보입니다.
-
65920.71-67414.39 구간은 HA-HIgh 지표로 구성된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65602.01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61099.25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62791.03 부근을 지나가고 있으므로 62791.03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
65920.71 부근으로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현재 덜컹거린다고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67414.39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65602.01 이하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번 하락으로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게 될 것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였다면, 하락 강도가 강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65602.01-65920.71 부근에서 지지 여부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위의 내용으로 미루어 생각해 보면, 현재 거래를 새롭게 진행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롭게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65602.01-65920.71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StochRSI 지표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HA-Low 지표나 BW (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거나 61099.25-62791.03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될 때 거래를 시작할 시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자신이 거래 전략을 만들고 거래를 시작하였는데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이 나온다면, 그때, 어느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지표들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SOLUSDT.P 1D 차트)
즉, SOL 차트와 같이 BW (100) 지표의 출현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생성되었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때 BW (100) 선이 생성되었을 때 매도(SHORT)로 거래를 시작하였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상승하면서 BW (100) 선이 사라지고 171.63 부근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대응 방안을 생각하고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만일 생각을 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 하락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상승에서 추가 매도(SHORT)를 진행할 것인가 아니면 그대로 기다릴 것인가만 결정하면 됩니다.
선물 거래이기 때문에 강제 청산 지점이 가까워 청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을 먼저 고려하여 대응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최고점 (100)을 터치하였다고 바로 하락이 시작될 것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움직음을 좀 더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행히 현재 171.63 지점에 1M 차트의 BW (100) 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171.63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대응 전략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거래에 실패하더라도 거래를 계속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거래 감각을 잃게 되어 다시 거래를 시작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아무때나 거래를 시작하여서도 안됩니다.
거래를 시작하는 시기를 기다릴 수 있어야 하고, 거래를 시작할 시기가 되었다면 과감하게 거래를 시작해야 합니다.
(BTCUSDT.P 1D 차트)
이전 지표 차트로 거래를 시작하여 좀 낮은 진입가이지만, 68293.8 지점에서 매도(SHORT)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BTCUSDT 차트와 다르게 BTCUSDT.P 차트에서는 66750.0 지점에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66750.0-67392.1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StochRSI 지표의 역할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tochRSI 지표는 어떠한 경우에도 파동을 만들기 때문에 StochRSI 지표를 활용하게 되면 변동폭을 예측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BW 지표의 평가 항목에 다시 StochRSI 지표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가능하면, 이번 버전으로 지표의 수정을 마무리할 생각입니다.
이번 BW 지표에 사용된 지표는 MACD, StochRSI, OBV, ATR 입니다.
-----------------------------------------
(BTCUSDT.P 1D 차트)
10월 20일 이후에 가격이 하락하면서 StochRSI 지표가 결국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였습니다.
그 이후에 빠르게 중간 지점(50) 이하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StochRSI 지표가 최고점(100) 부근으로 가까워질수록 하락할 때 큰 변동폭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서,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거나 상승 전환할 때의 위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65568.1-65922.3 구간에 지지와 저항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만일 65568.1-65922.3 구간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BW (50) 부근이나 1W 차트의 M-Signal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려면, 61149.5-62839.8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인 66750.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1차 : 67392.1
2차 : 68447.9-69020.1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BW (100)을 터치하고 하락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BW (0)을 터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BW (50) 부근에서 반등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BW (50)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1W 차트의 BW (50) 지점이 65568.1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65568.1-65922.3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StochRSI 지표가 중간 지점 (50) 이상 상승하는 모습과 함께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중간 지점 (50) 이상 상승하게 되면 매도할 시기를 찾기 시작해야 하고, 중간 지점 (5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매수할 시기를 찾기 시작해야 합니다.
결정적인 시기는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나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가격의 하락폭보다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BW 지표가 중간 지점 (50) 이하로 하락한다면, 가격이 급락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차트무당 마코 10월 23일 비트코인 오후 시황 분석 글 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23일 비트코인 오후 시황 분석 글 입니다.
오전에 남겨 드린 자리먼저 보겠습니다.
오전에 남겨 드린 구간에서 보시면 깨지면 하락추세 연결 구간인
66889 구간에서 반등이 나와 주었으나 30분 차트 중앙선에서 다시 조정
저점을 이탈하면서 현재 하방으로 눌리고 있는 중 입니다.
현재 8시간차트까지 지지선을 터치 하였으며
일봉차트 MACD 데드코로스 눌림까지 나오고 있고
반대로 테더도미넌스는 상승추세 직전의 움직임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현재 구간에서는 상승우위 보다는 하락우위에 가까운 패턴을 그리고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을 보시면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구간을 찾아야 하는데
그 구간을 보시면 주봉차트 일목균형표상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이
1차적인 지지구간이 될 수 있으며 그 자리는 65690 USDT
2차적으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구간은 12시간 지지선 및 일봉차트 중앙선 구간의
64745 USDT 구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간에서 12시간차트 데드크로스까지 각인이 완료가 되어있기 때문에
강하게 밀고 올리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으로 보입니다.
오전에 말씀 드린 66889 USDT 구간이 분수령 구간이며 8시간차트 지지선 및
12시간차트 중앙선까지의 모든 지지선을 터치 했기 때문에
이 자리부터 눌린다면 하단의 지지구간을 체크 하시기 바랍니다.
금일 강하게 올려도 67676 USDT 구간의 각 시간대 저항선을 넘기기는
힘이 많이 부족한 자리라고 판단이 됩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지지와 저항 구간 확인 필요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67414.39 지점에 HA-High 지표가 생성돠면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67074.14-67414.39 부근에서 지지 받고 68955.88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차 : 65920.71
2차 : 61099.25-62540.0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65920.71 부근으로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고, 62540.0 부근으로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는 추세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추세선을 작도할 때 화살표가 가리키는 지점이 추세선 작도시 선택 지점에 해당됩니다.
StochRSI 지표에 표시한 1, 2번은 과매수 구간이나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는 변곡점이므로 추세선 작도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현재 작도된 추세선과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 따라 변동성 기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변동성 기간으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에 따라서, 10월 25일경, 10월 30일경, 11월 12일경이 변동성 기간에 해당됩니다.
현재 말씀드린 변동성 기간은 설명을 드리기 위한 것일 뿐 입니다.
실제로는 1M, 1W, 1D 차트에서 과거부터 그린 추세선이 필요합니다.
추세선의 중요도는 1M > 1W > 1D 차트의 추세선 순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비트코인 btc 상승 안끝났습니다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비트코인 현재 하락추세매물대를 상승돌파 후 상승분에 대한 리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날봉기준)
날봉 지지저항 라인을 본다면 정확하게 저항을 받아야 되는 자리에서 저항을 받았고 그것에 따른 조정을 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큰 틀에서는 아직 소파동마저도 상승추세가 깨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앞전에 퍼블리쉬 했던 이 관점이 유지중입니다.
테더 도미넌스는 상승추세매물대를 하락돌파 후 리테스트중에 있습니다.
비트는 상승할것이라는 조건이 너무 많죠?
단기적으로 단타를 치시는 분들도 큰흐름은 상승이 될것이다 라고 판단하시고 익절을 길게 하는 전략이 통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주간 시장 요약 BTCCME 금리 스왑 시장은 FOMC가 11월에 25bp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50bp 금리 인하 이후 연준이 통화 정책의 스로틀을 느슨하게 할 것임을 의미합니다. 이는 BTC를 포함한 위험 자산에 좋지 않은 소식입니다.
지난 2주 동안 BTC ETF에서 대규모 순유입이 발생했으며, 이는 통화 정책 전환 후 자금이 점진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대규모 트렌드입니다. BTC는 ATH(역대 최고치)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11월 금리 인하에 대한 금리 시장의 가격 책정은 BTC가 어느 정도 조정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또한, 미국 대선은 11월 초에 개최됩니다. 해리스가 암호화폐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지만, 트럼프는 의심할 여지 없이 이 분야의 최대 지지자입니다. 미국 대선의 BTC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예상한 대로, BTC는 지난 주 상승세를 유지하며 주어진 지지선 위로 이동했습니다. WTA 지표에서 고래를 나타내는 파란색 막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거시적 전환이 큰 자본을 끌어들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ME 지표의 보라색 파형 영역이 넓어지고 있어 강한 상승세를 나타냅니다.
종합적으로, 우리는 BTC가 이번 주에 조정을 경험한 후 다시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항 수준을 70,000으로, 지지 수준을 60,000으로 상향 조정합니다.
면책 조항: 스크립트의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시장 상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암호화폐 판매 제안 또는 구매 초대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 스크립트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내린 어떠한 결정도 귀하가 전적으로 책임져야 합니다. 이미 진행되거나 진행될 투자는 귀하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독립적으로 분석되어야 합니다.
비트코인 67K 하락 돌파, 달러와 원화시장
비트코인/테더/1시간/바이낸스 차트입니다.
지난번 분석 이후로 추가적인 상승이 더 나오면서 비트코인은 69K, 69.5K 까지 상승이 나왔으며, 67.8~68K 구간이 단기적으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어제 밤 예상보다 거래량이 크게 나오면서 이구간을 돌파하락, 66.8K까지 하락이 나온 모습이었습니다.
과대 낙폭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이 되었으나 67.8~68K 구간이 반대로 저항대로 작용하면서 재차 하락을 이어갔습니다.
오전에 지지받은 66.5K 구간은 지난 16일 분석 당시, 단기적 조정이 온다면 1일 내외 지지 받을 것으로 유력한 자리였으나 추가 상승이 나온 만큼 이 구간에서 낙폭이 크게 나왔음에도 지지해주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번 하락에 대한 원인으로는, 어제 밤 로건 총재의 발언으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성에 따른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가능성에 따른 실망감과 단기적 상승세에 의한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풀이됩니다.
다만, 상승분을 전부 반납하고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 미 대선이 2주 정도밖에 남지 않은 점 등 재차 상승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으며,
지지구간은 차례대로
66.5K
65K
63.5~64K
62~62.5K
저항구간은 차례대로
70K
72K
74K
를 보고 있습니다.
로건 총재의 말에 따르면,
"연준이 경제 불확실성을 감안해 금리를 점진적으로 인하해야한다. 예상치 못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금리 인하 속도와 최종 금리 수준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유동성은 충분하고 역레포 잔고가 팬데믹 이전보다 훨씬 높다. 대차대조표 규모를 계속해서 줄여 나갈 것이다."
라고 입장을 밝혔는데, 역레포 잔고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 유동성이 많이 풀려 있다는 뜻이며, 대차대조표 축소는 연준이 보유한 채권을 팔아 시장의 유동성을 거둬들인 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시장 유동성의 확대로 인한 물가 불안정성(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들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추가 금리인하를 섣부르게 진행할 수 없으니 인하 속도를 조절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지난 분석에 이어 미 국채 금리 10년물이 4.2%까지 상승, 2년물이 4%를 유지하는 등 시장 유동성에 대한 반응이 국채 금리의 변동성으로 이어지고 있으니 수시로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원/달러 차트입니다.
지난 2년간 원달러 차트는 우상향 상승 박스권을 만들어오고 있습니다.
다만, 지난 10월 초 이 박스권 하단을 무너뜨리는 흐름과 함께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까지 하락했으나 중동발 긴장감과 최근에는 러우전쟁에 북한군 파병 이슈 등 안전자산으로 달러의 수급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달러 인덱스 상승으로 원달러 환율에도 영향을 끼치는 모습입니다.
현재 차트 상 지난 4월과 6월 고점 부근이었던 1390원대를 돌파할 경우 최악으로는 1400원을 돌파, 지난 22년도처럼 원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도 없지않아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당국의 대응과 시장의 변동성에 따라 1390원대에서 저항을 맞을 가능성도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비트코인/테더/1일봉/바이낸스(좌)
비트코인/원화/1일봉/업비트(우)
우리나라의 가상화폐 시장가격은 김치코인이 아니라면 대부분 거래량이 더 많은 달러, 테더 시장의 영향을 받게 되어있습니다.
앞서 원달러 환율에 대해 언급드린 이유는, 이러한 가상화폐들의 국내 가격결정이 원달러 환율과 김치프리미엄을 고려하여 결정이 되기 떄문입니다.
지난 9월 말 단기 고점을 보면, 바이낸스는 66K부근, 업비트는 87M 부근이었습니다.
이 단기 고점대비 지난 약 1달간의 상승률을 보면 바이낸스는 5%, 업비트는 8% 정도 됩니다.
김치프리미엄이 마이너스인 상황에서 달러,테더 시장보다 더 큰 상승이 나왔다는 것은 결론적으로 원달러 환율 상승에 의한 영향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국내 거래소에서 가상화폐 투자하시는 분들은 원달러 환율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며, 환율 하락에 따른 저항이 올 수 있으니 이점 염두 해두시길 바랍니다.
24.10.22 고래 지표안녕하세요, 웨일 시그널입니다
현재 비트코인 4시간봉에서 중요한 보라색 고래 지표가 형성되어있어, 시장의 움직임이 활발해 빠르게 업데이트 드립니다
보라색 고래 지표는 이전 매물대와도 중첩되는 구간으로, 시장에 중요한 지지 및 저항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또한, 오늘 오전 하락 흐름에서 발생한 밑꼬리를 고려할 때 1시간봉에서 다이버전스가 나타난 상황입니다
이 구간에서 추가 하락이 발생할 경우 하락세가 가속화될 수 있지만, 고래 지표 위로 다시 안착할 경우 긍정적인 전환 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만약 4시간봉에서 고래 지표를 회복하고 상승세를 이어간다면, 첫 번째 단기 목표 구간은 68.1k~68.4k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추가 이탈이 지속된다면 64k~62k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라색 고래 지표 구간을 면밀히 관찰하며, 신중하게 대응 전략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저는 관점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고래 지표는 단순히 지지와 저항을 가리킵니다
여러분들의 분석에 고래 지표를 통해 타점을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고래 지표>>
1. 고래 지표는 단순히 지지와 저항을 가리킵니다
2. 고래 지표를 참고하여 각자의 분석에 적합한 매매 타점을 찾아가시길 바랍니다
3. 고래 지표는 봉 마감 형태가 중요하므로, 마감봉을 확인하는 것이 안정적인 매매 전략에 도움이 됩니다
4. 고래 지표 강도는 보라색 > 주황색 > 흰색 순이며, 보라색 지표가 가장 강력한 지지 및 저항을 나타냅니다
*보다 상세한 분석과 실시간 업데이트는 아래 실시간 차트 셰어링 안내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차트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근거에 대한 설명입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아래의 설명을 읽어야 제가 말씀드리는 지점이나 구간, 변동성 기간에 대해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까지는 필요없다는 분들을 위해서 먼저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지 구간
1차 : 65920.71-67414.39
2차 : 61099.25-62540.0
저항 구간
68955.88-72078.1
다음 변동성 기간이 11월 7일경이므로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위에서 말씀드린 구간 중 어느 구간에서 위치해 있느냐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최고점 (100) 부근에 근접한 이후에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 차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StochRSI 지표는 일반적인 StochRSI 지표의 수식을 변경하여 만든 지표라 실제 여러분이 사용하고 있는 StochRSI 지표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tochRSI 지표의 설정값은 14, 7, 3, 3 (RSI, Stoch, K, D)을 사용합니다.
어찌되었든 StochRSI 지표가 하락으로 전환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다만,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지 않은 상태라면 반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재 가격 위치에 형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가격은 Mid (50) 지표와 더불어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는 부근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가 67414.39 지점에 생성된다면, 그 지점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에 해당됩니다.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65920.71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요한 구간은 65920.71-67414.39 부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1D 차트의 HA-High > 1W 차트의 HA-High > 1M 차트의 HA-High 상태가 되므로 추세 관점인 M-Signal 지표의 정배열(a regular array)이 후 거래 관점에서도 정배열(a regular array)을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정배열(a regular array)의 상태를 만들게 되면,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수(LONG) 관점에서 시장을 바라보는 것이 좀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StochRSI 지표의 초기화 작업으로 어느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가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tochRSI 지표의 초기화 작업이란 과매수 구간 -> 과매도 구간, 과매도 구간 -> 과매수 구간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초기화 작업이 진행될 때,
-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할 때,
-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을 때,
-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할 때
위의 세가지 부근을 지날 때 변동성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의 중요도, StochRSI 지표, M-Signal 지표의 움직임 등을 고려해 볼 때 62540.0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능하면, 65920.71-67414.39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의 BW (100) 지표가 다시 생성되지 않는다면, 결국 72078.1 이상 상승하여야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현재 가격 위치에서 볼 때, 68955.88-72078.1 구간을 어떻게 상향 돌파할 것인가가 앞으로의 추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11월 7일경입니다.
-
(1W 차트)
1W 차트를 보면, 1D 차트보다 좀 더 명확한 움직임을 할 수 있습니다.
------------------------------------------
1M, 1W, 1D 차트에서 그린 지지와 저항 지점을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따라 거래 전략을 만들어 대응하는 것이 거래라 생각합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 지지와 저항 지점이 중요한 이유에서 말씀드린 내용입니다.
중요도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캔들의 배열이 얼마만큼 촘촘히 되어 있느냐를 봐야 합니다.
즉, 횡보(sideways) 구간을 얼마나 만들었느냐를 봐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Renko 차트를 활용하여도 좋습니다.
이 차트를 공유받아 사용하신다면, HA-High, HA-Low, BW (100), BW (0) 지표가 거래시에 가장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형성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는 Mid (50), OBV 0 지표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1M, 1W, 1D 차트에 형성된 지표들을 그리면 바로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코인 시장이 추세 추종을 따르는 시장이라 하지만, 추세로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습니다.
즉,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지와 저항 지점과 StochRSI 지표가 필요합니다.
이를 확인하지 않는다면 변동성을 확인하기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전 아이디어로 추세선과 변동성 기간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었습니다.
다음에 다시 한번 더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지표 간 채널링 구성 (StochRSI, BW 참고)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9월 22일-28일까지 StochRSI 지표가 최고점(100)에서 유지되었습니다.
10월 16일부터 StochRSI 지표가 99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서, 추가적인 상승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71280.01-72078.1 부근으로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StochRSI 지표가 최고점(100)을 터치하기 위해서는 68955.88 이상 상승하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오래 머물려 있을수록 하락에 대한 압박이 강해진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압박은 StochRSI 지표의 급격한 변화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StochRSI 지표로는 변동폭을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1M, 1W, 1D 차트에서 그린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참고하여 예측해 볼 뿐 입니다.
-
BTC가 본격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HA-HIgh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현재 관점에서 볼 때, 61099.25-65920.7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1M 차트)
1M 차트에서 변화가 시작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어느 구간에서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현재 관점에서 볼 때, BW (100)선은 68955.88, 71280.01, 72078.1 지점에 생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점들이 저항 구간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 지점을 상향 돌파한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을 갱신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아지다는 것 입니다.
-
새롭게 OBV Up, OBV Down 이라는 지표를 추가하였습니다.
이 지표 또한, 고점 구간, 저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세부 거래 전략, 대응 전략을 만들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HA-Low, HA-High, BW (0), BW (100) 지표는 각각 저점 구간이나 고점 구간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거래 방법은 HA-Low, BW (0) 지점에서 매수하고 HA-High, BW (100) 지점에서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므로, HA-Low ~ HA-High, BW (0) ~ BW (100) 구간이 박스 구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을 넘어설 때 비로소 추세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HA-Low ~ HA-High, BW (0) ~ BW (100) 구간으로 이루어진 박스 구간은 큰 개념으로 생각할 때 채널링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Renko 1D 차트)
68K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인해 하락 횡보(sideways)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68K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58K-62K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BTCUSDT.P 1D 차트)
선물 거래에서 핵심은 강제 청산에 있습니다.
따라서, 강제 청산을 당하기 전에 거래를 어떻게 마감할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큰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레버리지나 투자 비중을 높게 설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강제 청산 지점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
만일 69001.8 지점에서 매도(SHORT)로 거래를 진행하였는데,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면, 그리고, 강제 청산 지점이 72153.8 지점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매도(SHORT)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로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한 상태로 최고점 (100)에 가까워졌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말이 오름 숏(가격이 상승할 때 SHORT 포지션의 비중을 높이는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대인 경우로는 내림 롱(가격이 하락할 때 LONG 포지션의 비중을 높이는 방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자신의 강제 청산 지점에 맞게 대응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선물 거래에서는 한번의 매수(LONG), 매도(SHORT)로 거래를 시작하고 반대로 움직임이 나올 때 손절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
현재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 즉, 정배열(a regular array) 상태입니다.
이러한 경우 매수(LONG) 포지션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현재와 같이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있을 때는 매수(LONG) 포지션으로 거래를 시작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 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10만달러 챌린지] 매매원칙 공개 및 20241011~20241018 매매복기안녕하세요. 현실적인 전업투자를 하고있는 터틀코인입니다!
이번에 10만달러 챌린지를 시작하면서
매매일지를 작성하고 있는데요.
주기적으로 트레이딩뷰에도 매매일지를 업로드 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먼저 이번 챌린지의 매매원칙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매매원칙은 매매과정에서 추가되거나 수정될 예정입니다.
---------------------------------
먼저 지난 일주일동안 매매의 기반이된 비트코인분석 입니다.
우선 10월11일 챌린지 시작 당시 해당 부분을 터치하지 못하고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고 채널이 상방돌파될거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
이후 예상대로 상방돌파하며 큰 상승이 나와주었고 현재 해당 상승채널을 그리고 있습니다.
저 채널을 벤다이어그램처럼 그려놓은 이유는 어떤 추세가 메인인지 모르기 때문에 공통구간을 통하여 매매에 활용하고자 표시해둔 구간입니다.
---------------------------------
아래는 해당 분석과 매매원칙을 기반으로 매매한 기록입니다
---------------------------------
10월 11일 챌린지를 시작한 이후 현재 40%정도 수익이 나고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해당 컨텐츠를 올릴 계획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매매에 관련된 피드백 언제나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코인 시장은 주식 시장과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은 주식 시장에 비해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자금의 흐름에 대해서 공개하고 있다는 것 입니다.
코인 시장의 대부분의 자금은 USDT를 통해 유입되어 있고 현재가 가장 큰 자금을 관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과 다르게 개인투자자들도 대략적이나마 자금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른 투자 시장에 비해 투명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USDT는 계속 신고가(ATH)를 갱신 중 입니다.
USDT를 통해 계속해서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USDC는 22년 7월 이후에 하락하여 아직 회복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USDC의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26.525B 입니다.
따라서, 26.525B 이상에서 유지된다면,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T와 USDC의 자금 규모를 보면 두배 이상 USDT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코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금은 USDT라 할 수 있습니다.
USDC는 미국계 자금으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USDC를 통해 자금이 더 많이 유입된다면, 코인 시장은 보다 명확한 투자 시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코인 시장이 명확한 투자 시장으로 발전하면 할수록 기존 투자 시장, 즉, 주시 시장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대규모 투자 회사들은 코인 시장을 자신들이 운영할 수 있는 투자 상품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코인 관련 투자 상품을 출시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코인 시장과 연동시키려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주식 시장에 출시한 코인 관련 투자 상품으로 인해 코인 시장이 좌지우지되기 위해서는 USDC를 통해 코인 시장으로 더 많은 자금이 유입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USDT의 자금 흐름에 따라 좌지우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USDC는 코인 시장에 단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위에 말씀드린 것 처럼 투자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금의 흐름입니다.
코인 시장의 자금 흐름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즘 대하락장이 시작될 조짐이 보인다고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그 사람들이 말하는 입장은 세계적인 경계, 정치적인 면으로 상황을 판단하는 것 같습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아직 코인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자금은 불특정 다수의 자금인 USDT라는 겁니다.
그러므로, 세계적인 경계 및 정치적인 상황을 바탕으로 코인 시장을 예측하여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코인 시장의 대 하락장의 시작은 USDT가 갭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할 때 입니다.
그전까지 코인 시장은 현재의 상승 추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감히 말할 수 있습니다.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최고점(100) 부근으로 접근하면서 상승 강도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게 될 것 입니다.
-
(1W 차트)
1W 차트에서도 StochRSI 지표과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
(1M 차트)
1M 차트에서는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현재의 상승으로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지는 않을 것을 예상됩니다.
1M 차트의 움직임은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다시 확인해 봐야 합니다.
-
위의 3개의 차트 중 1M 차트의 StochRSI 지표가 가장 이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M 차트에서 있는 손가락 부분에서는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진입한 상태였지만, 현재는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움직임은 과거의 움직임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과거의 데이트를 가지고 현재의 흐름을 대입하여 예측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요즘 유명한 분들이 하나 둘씩 코인 시장도 주식 시장과 함께 대 하락장으로 진입할 것이다라는 얘기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적어 보았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무엇을 하든 기본 차트는 1D 차트입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차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차트 도구를 활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다면, 실제 거래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차트에 표시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게 될 때 추세가 어떻게 변동되는지를 설명드리기 위해서는 차트 도구를 사용함으로서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하지만, 차트에 그린 지지와 저항 지점을 신뢰한다면, 그러한 근거를 찾기 위한 여러 가지의 차트 도구를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
64748.70-65920.71 구간은 1D, 1W 차트의 HA-High 지표로 형성된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일 64748.70-65920.71 구간에서 하락하게 된다면, HA-Low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1W 차트의 BW (100) 지점 : 68393.48
1M 차트의 BW (100) 지점 : 71280.01
1D 차트의 BW (100) 지점 : 73072.41
BW (100) 선들이 위의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BW (100) 선이 형성되었다는 의미는 MACD, DMI, OBV 지표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HA-High 지표와 마찬가지로 BW (100) 지점도 고점 구간을 나타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BW (100) 지점 이상 상승한다는 것은 강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현재 고점 구간은 61099.25-73072.41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성에 의해 HA-High 지표나 BW (100) 지점이 이동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고점 구간에 변동이 발생하였을 때를 유심히 살펴봐야 합니다.
그때가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MS-Signal 지표를 구성하는 선은 M-Signal과 S-Signal입니다.
이 두개의 선 중 중요한 선은 M-Signal 입니다.
따라서, 1M, 1W, 1D 차트의 M-Signal선은 추세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어느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전체적인 추세를 알아 볼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현재의 지표(HA-MS)는 모든 것을 다 표현한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
1M, 1W, 1D 차트에 있는 HA-Low, HA-High, BW (0), BW (100), Mid (50) 지점을 표시하여 자신이 주로 거래하는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보고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용하시면 됩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MS-Signal 지표의 M-Signal선의 배열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추세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면 됩니다.
거래의 시작은 최소 1M 차트의 M-Signal선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1W 차트의 M-Signal > 1M 차트의 M-Signal인 상태일 때 1W 차트의 M-Signal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때 거래를 시작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ETHUSDT 1D 차트)
따라서, 현재 ETH는 거래하기 좋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
StochRSI 지표가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직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거나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된 것이 아니므로 현재 상승 강도가 강하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추가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찌되었든 현재 가격 위치에 64748.70-65920.71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차트무당 마코 10월 17일 비트코인 오후 시황 분석 글 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16일 오후 비트코인 시황 분석 내용 입니다.
일단 오전에 남겨 드린 구간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오전에 남겨 드린구간 보시면 4시간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으로 인해
조정이 나올 가능성을 말씀 드렸고 67977 USDT 저항구간
67078 USDT 지지구간을 말씀 드렸습니다
이 후 움직임 보시면 현재 67078 USDT 구간 터치 후 지지를 받고 있으며
4시간 MACD 데드크로스까지 각인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다시 살펴 보겠습니다.
4시간 MACD 데드크로스는 각인이 완료가 되었지만 순차적으로
6시간 데드크로스 눌림까지 나오고 있으며
볼린저밴드 30분 지지선 1시간 지지선을 터치 후 횡보 하고 있는 중 입니다.
테더도미넌스도 보시면 4시간 6시간 MACD 골든크로스가 각인이 완료
현재 구간에서 테더도미넌스는 30분 1시간 저항선을 터치
4시간 차트 중앙선의 저항구간을 살펴 보셔야 합니다.
여기에 따라 금일은 67072 USDT 구간을 이탈 한다면 하방으로 눌릴 가능성이 높아보이며
1차 지지구간 66370 USDT 2시간 지지선 및 3시간 4시간 중앙선 지지구간
반대로 테더도미넌스는 4시간 차트 중앙선의 저항구간 입니다.
2차 지지구간 65383 USDT 6시간 8시간 중앙선의 지지구간 및 일봉차트에서
양운구멍으로 메워주는 구간까지 설정하였습니다
최대 꼬리로 밀리면서 4시간 지지선 구간인 64737 USDT 까지 밀릴 수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이 모든 조건은 67072 USDT 구간이 깨지는 조건에서의 자리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새로운 파동의 시작 : 68447.9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D 1M 차트)
BTC 도미넌스가 58 이상 상승 중 입니다.
55.01-62.47 구간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만일 62.47 이상 상승하게 되면, BTC만 상승하는 이상한 시장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알트코인들은 점차 횡보(sideways) 하거나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USDT.D 1M 차트)
USDT 도미넌스의 하락은 코인 시장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BTC 도미넌스의 설명에서 말씀드렸듯이 BTC 도미넌스도 USDT 도미넌스와 함께 하락하여야 코인 시장의 대부분의 코인들이 상승세를 보이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가 4.97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TC만 상승하는 시장을 형성할 것인가 알트코인도 함께 상승하는 상승장을 만들 것인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TCUSDT.P 1D 차트)
- 68447.9 지점은 1W 차트의 BW (100) 지점이고,
- 71363.0 지점은 1M 차트의 BW (100) 지점이고,
- 73127.6 지점은 1D 차트의 BW (100) 지점입니다.
따라서, 위의 지점들이 지지와 저항 지점을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하락 추세선 (2)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한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68447.9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StochRSI 지표가 최고점 (100)에 근접하면서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하락 압박을 극복하고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68447.9-71363.0 구간에서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므로, StochRSI 지표가 어떻게 초기화 작업을 진행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StochRSi 지표의 초기화 작업이라 과매수 구간에서 과매도 구간으로, 또한, 과매도 구간에서 과매수 구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
(1h 차트)
BW (100) 지점이 67800.5 지점에 생성되면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Mid (50) 지점이 67064.5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67064.5-67349.7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67064.5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D 차트의 5EMA나 65568.1-65922.3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1D 차트의 5EMA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게 되면 변동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파동을 만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한 이후에 상승하게 되었을 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67064.5-67349.7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BW 지표가 중간 지점(50)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 상태에서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하였다면, 눌림목(pull back)이나 가격 조정과 같은 하락을 보이고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참고하면 좋습니다.
BW 지표의 해석에서 가장 애매한 부분은 중간 지점 (50) 에 위치해 있을 때 입니다.
따라서, BW 지표가 중간 지점 (50)에 위치해 있을 때는 새로운 거래를 진행하기 보다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코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
68447.9 지점에 매수(LONG) 포지션을 청산하려고 예약 주문을 걸어 두었는데 체결이 되지 않았군요.
하락 추세선 (2)가 그만큼 중요한 추세선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추세선 (2)를 강하게 상향 돌파하지 못한다면, 돌파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10월 16일 비트코인
10월 16일 비트코인 시황
지난 관점이후의 64.5~64.7k 저항대부근에서의 하락, 직전저점을 갱신을하며 반등, 중요저항대인 66.7k를 돌파하고
현재 다음 저항인 67.8-68.6k 저항대에 위치해있습니다.
해당 저항대의 돌파/지지 실패시 하락도 가능하지만 고점을 못뚫는 되돌림확인 전까지는 단타만 가능할것같고 , 상단에서 저항을 받더라도 저항대였던 64550-64765구간을 하락으로 뚫고내리지 못한다면 추가적인 상승은 가능하다고 보고있고 ,
그림없이 68.6k저항대 상단 돌파시, 다음 저항대는 단기마지노 저항인 70.5~70.8k 까지 열려있고 중요하게 보고있습니다.
단기마지노저항인 70.8k를 돌파하거나, 조정이나오더라도 큰봉에서의 고점갱신실패의 되돌림 확인 전까지는 73.8~75k까지도 열어놓고 볼생각입니다.
현재 포지션은없고 좀 관망할 생각이고
매매전략으로는
현재 저항대 상단 68.6k를 돌파한다면 관망하고 다음저항대 70.5~70.8k 부근에서의 그림이 있다면 숏트라이,
현재 저항대 상단 68.6k의 돌파실패이후 하락, 하락이후 이후 반등에 직전고점을 못뚫는 되돌림과 하락시그널이 나온다면 숏트라이를 생각하고 있고 큰봉시그널 전까지는 계속해서 단타매매 유지할 생각
현재 저항대에서 하락이 나오더라도
큰덤핑으로 매물대를 깨거나 하락이후 반등에 고점을갱신하지못하는 되돌림전까지는 아래 위 다열려있다고 보고있고 개인적으로는 내려가더라도 단기적으로도 현재그림이 숏을 오랜시간 홀딩할수있는 그림은 아니라고 보고 있고
단타 진입을하더라도 레인지가 크기때문에 계속해서 타이트한 SL과 단타 분할익절로 시드 모아가거나 관망으로 시드지키는게 유리하다고 보고있습니다.
차트무당 마코 10월 16일 비트코인 오후 시황 분석 글 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16일 수요일 비트코인 시황 분석 글 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68K 를 터치 하지 못하고 조정이 한차례
나왔으며 이에 따라 추세가 바뀔 수 있는 가능성까지 보여지고 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보시면 66664 USDT 구간이 가장 중요한 구간으로
이 구간이 깨지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MACD 데드크로스 눌림이 나오면서
전체적인 양운이 눌림자리로 바뀌게 되며
하방으로 눌릴 가능성이 있는 자리로 보입니다.
반대로 66664 USDT 구간이 지지구간이 되면서 상방으로 강하게
밀어 올릴 수 있다면 비트는 탑구간 설정 구간인 68282 자리까지 터치 할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탑구간인 68282 구간을 터치하게 된다면 강한 조정구간이 될 수도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테더도미넌스 입니다.
테더도미넌스는 현재 지지라인 터치 후 오늘정도의 반등이 올라왔고
4시간 MACD 골든크로스 대기 순서까지 도달을 했습니다.
이에 따라 어느정도의 하방의 힘이 실릴 가능성이 높다 라고 판단하고
하방의 분석을 진행 하였습니다
단 66664 USDT 의 지지가 깨지는 조건이 되며
만약 66664 USDT 가 깨지게 된다면 하단에
1차 목표구간 66099 USDT 1시간 지지선 및 2시간 중앙선의 지지구간
2차 목표구간 65400 USDT 3시간 4시간 중앙선 및 각 시간대 음운 전환구간
여기서 중요한 구간은 MACD 4시간 데드크로스 각인이 되냐 안되냐가 중요할것으로
보이며 4시간 데드크로스 각인이 되지 않는다면 최대 3차 구간까지 눌릴 가능성도 보입니다.
3차 목표구간 64736 USDT 구간의 6시간 중앙선 및 양운 지지구간으로 나뉘게 됩니다.
테더도미넌스 입니다.
테더도미넌스는 현재 지지라인 터치 후 오늘정도의 반등이 올라왔고
4시간 MACD 골든크로스 대기 순서까지 도달을 했습니다.
오늘의 관건은 66664 USDT 가 깨지는지 안깨지는 지가 가장 중요한 구간이며
이에따라 대응 잘 하시길 바랍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