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추가 하락 가능성 여부 25.01.10안녕하세요. 그리디올데이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BTC)의 최근 시장 움직임을 분석하겠습니다.
비트코인의 최근 동향
비트코인은 2024년 12월 20일부터 99380 구간(노랑 박스)에서 지속적으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이전 브리핑에서도 언급했듯, 이 구간의 상방 돌파는 잠재적인 추세 전환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녹색 박스 저항 구간은 2024년 12월 19일 고점인 102800과 일치하며, 현재 중요한 저항대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저항 이후, 비트코인의 추세가 완전히 돌아섰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장기 상승 추세선의 이탈
비트코인의 장기 상승 추세선(2024년 10월 10일부터 시작된 추세)이 어제 붕괴되었습니다.
이 이탈은 주황 박스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시장 모멘텀이 크게 변화했음을 나타냅니다.
왜 이 이탈이 문제가 될까요?
일봉 60 EMA 저항
비트코인이 오랜만에 60 EMA에서 저항을 받고 있어 약세 심리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60 EMA에서 저항을 받은 것은 2024년 10월(빨강 박스)으로, 이 시점 이후로 새로운 상승장이 시작되었습니다.
지지선 붕괴
비트코인은 현재 주요 지지선들을 하나씩 깨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핵심 지지 구간
녹색 박스 구간(90200~85160)은 강력한 지지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 구간을 하방 이탈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봉 기준 이치모쿠 구름대를 하방 이탈.
완전한 추세 전환으로, 아래에 있는 노랑 지지선까지 열릴 가능성
(현재보다 약 26% 추가 조정 가능성).
비트코인이 반등하려면?
비트코인이 반등하기 위해서는 주황 박스 구간인 100700을 돌파해야 합니다.
왜 이 레벨이 중요한가?
이 레벨 돌파는 추세 전환을 나타냅니다.
또한 비트코인이 일봉 구름대를 벗어나면서, 구름대가 저항에서 지지로 전환됩니다.
결론
비트코인의 장기 상승 추세선이 붕괴되었고, 이평선(20 EMA, 60 EMA)이 지지에서 저항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추가 하락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핵심 지지 구간: 90200~85160
이 구간이 지지를 제공한다면 반등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이 구간이 무너질 경우 비트코인은 당분간 하락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추세는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주요 레벨을 주시하며 다음 큰 움직임에 대비해야 합니다. 🚀
Btc-e
변동성 기간 : 1월 9일-11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빠르게 97461.8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93576.0-94742.35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일 BW(0) 지표 지점인 92792.05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HA-Low 지표가 생성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10일경(1월 9일-11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97461.8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
일단 자금 흐름이 그리 나쁘지 않은 상태로 보입니다.
USDT는 갭 하락세를 멈추고 횡보 중이고, USDC는 갭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NAS100USD 1D 차트)
다만, 코인 시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이슈로 인해 하락하였기 때문에 더 큰 이슈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코인 시장은 가격 방어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XAUUSD 1D 차트)
(IBIT 1D 차트)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비트코인(BTC) 1월08일 분석 안내.COINBASE:BTCUSDT
이제 이렇게 되면 이번 주봉이 매우 중요하게 됩니다.
이번 주 양봉으로 시작됐던 주봉은 다시 윗꼬리 만들고 음봉으로 전환되는 모습입니다.
만일 1시까지 단기 반등 나오더라도 내일 추가적으로 눌림이 나올 가능성이 커 보이고
95-97K 지지하지 못한다면 90K 넘기고 86K 타겟으로 진행합니다.
보유자산의 1/150 혹은 1/100 비중으로 안전하게 진행하시길 권장합니다.
위 정보와 안내는 교육 목적이며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매수, 매도는 본인 판단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투기적 수요 및 국내외 규제환경 변화 등에 따라 급격한 시세 변동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본 디지털 자산의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발생 가능한 손실도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97461.86 이상에서 유지시 단기 상승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차트)
주요한 3개의 상승 채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2개의 상승 채널이 추세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USDT 1D 차트)
BTC는 가격 상승 후에 현째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 상승하면서 단기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97461.86-98892.0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에 해당됩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93576.0-94742.35 입니다.
고점 경계 구간은 101947.24-106.133.74 입니다.
따라서, 101947.24-106.133.74 구간은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점 경계 구간을 상향 돌파하게 된다면, 새로운 파동을 만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면, 현재의 움직임은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상승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눌림목(pull back) 패턴을 만들 때는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Signal 지표 부근에서의 움직임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은 1월 10일경(1월 9일-11일)입니다.
따라서, 1월 10일경을 지나면서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BW 지표가 0 지점을 터치하였고, DOM 지표가 0 이상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98892.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기울기 변화를 보임으로서 하락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98892.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비트코인 관점공유~!안녕하세요
비트가 보던대로 반등해서 올라와줬는데,
단기 채널 잡아봤을때, 101k 부근이 보입니다.
해당 부근을 뚫어주면 150k 부근이 보이는데 주간rsi 과매수, 일봉 rsi 과매수직전 으로 보았을때,
뚫기란 쉽지 않아보입니다...
101k 에서 과매수를 만들고 단기 눌림으로 86k 정도 터치해서 하단 지지 확인 후 다시 출발하는게 직전 52k - 39k - 69k 흐름처럼 롱을 편하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ㅠㅠ
101k에서 절반익절 후 나머지 익절로스 당겨두고 홀딩 or 손절라인 짧게 잡고 숏트라이가 좋아보입니다~~!
숏 101k(단기채널 이탈시 손절)(대 추새(롱)과 반대되는 포지션이지만, 손절라인이 짧고 명확해서 어중간한 지금위치에서 롱진입보다 손익비 좋다고 판단됩니다)
롱 86k
97461.86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가 횡보 중일 때, USDC가 갭 상승하면서 코인 시장을 단기적으로 견인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BTC 도미넌스가 55.01 이하에서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여야 합니다.
USDT 도미넌스는 최대 2.84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84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하기 시작하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USDT 도미넌스가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급락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후에 4.97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에 따라 코인 시장의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NAS100USD 1D 차트)
NAS100USD가 지지 구간 이상 상승하여 유지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고점 경계 구간은 저항 구간으로 적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상향 돌파한다면 새로운 상승 파동을 만들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BTCUSDT 1D 차트)
97461.86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단기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단, USDT가 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다시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BW 지표와 DOM 지표가 0 지점 이상 상승하고, 캔들의 Body 색상이 녹색으로 전환되는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지지 여부 확인은 최소 1일-3일 정도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하는 지루하고 힘든 작업입니다.
-
다음 변동성 기간인 1월 10일경에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하락한다면,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93576.0-94742.35 구간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비트코인(BTC) 25년 1월 02일 단기 분석 안내.CME:BTC1!
안녕하세요. 리틀울브스입니다.
지난 주봉 관점에 이어 비트코인(BTC) 단기 관점 정리해 드립니다.
여전히 전체적인 흐름은 하방이 여전합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주말까지 상승세 유지가 된다면 수익 잘 정리하시고
다음 사이클 준비를 해주셔야 합니다.
최근 비트코인 92K 부근에서 멤버십 회원님들께 LONG 진입을 안내드렸고
원하는 방향대로 움직임이 잘 나와줬습니다.
단기 타겟은 99K - 103K 부근이 되며 추가 상승은 108K를 돌파하면 고려해 볼 사항입니다.
따라서 위 구간 자리를 준다면 다시 스위칭을 고려할 것입니다.
15일은 CPI 이고
20일은 트럼프 취임식이 됩니다.
이번 주 수익 잘내고 다음 주부터는 다시 조정에 천천히 매집하여
15일부터 다시 수익 낸 뒤 마지막 피날레 20일에 마무리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 : 1월 10일경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1D 차트)
USDT는 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갭 하락은 코인 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되었다는 흔적입니다.
(USDC 1D 차트)
그나마 USDC가 갭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가격 방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USDT가 지속적으로 갭 하락세를 유지할 때 USDC가 횡보하거나 갭 하락을 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큰 폭의 하락이 나올 수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BTCUSDT 1D 차트)
USDT가 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락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상승하는 것과 같은 움직임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하락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서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95863.11-97461.86 구간이나 그 이상에서 지지 받아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고 결국 하락하게 될 것 입니다.
-
USDT는 코인 시장을 지탱해 주는 중요한 스테이블 코인 중 하나입니다.
USDT는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스테이블 코인이기 때문에 코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금에 해당됩니다.
-
93576.0, 94742.35 지점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93576.0-94742.35 부근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다면, USDT가 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일 때 코인 시장은 큰 폭의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92792.05 지점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1차 : 87.8K ~ 89K
2차 : 1W 차트의 M-Signal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93576.0-94742.35 구간 이상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 하더라도 고점 경계 구간인 101947.24-106133.74 구간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다시 하락하게 될 것으로 이때, 93576.0-94742.35 구간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앞서 말씀드린대로 바닥 구간을 형성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HA-Low 지표를 만나야 합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이 1월 10일경(1월 9일-11일)으로 예상되므로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HA-Low 지표가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비트코인 분석: 핵심 지지선과 시장 방향성 25.01.01안녕하세요, 그리디올데이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BTC)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
일봉 차트 분석
비트코인은 99485 저항 구간에서 저항을 받는 모습이 보이며, 현재 **20 EMA(이동평균선)**와 60 EMA 사이에서 움직임을 보이며 횡보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보입니다.
빨간 박스 매물대는 매우 중요한 구간입니다.
만약 이 매물대가 지지에 실패할 경우, 가격은 70000~68000의 하단 지지 구간까지 리테스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봉 차트 분석
주봉 차트에서 89372는 비트코인의 마지노선 지지 구간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시나리오:
89372 아래로 하락:
이 경우, 가격은 82353 구간까지 조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주봉 기준 20 EMA와 일치합니다.
판매 압력이 더 강해질 경우:
가격은 더 내려가 73835의 주요 지지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장 구조와 역사적 맥락
비트코인은 역사적으로 원웨이 상승을 통해 신고점을 갱신한 뒤, 장기간의 조정과 급락을 거쳐 다시 상승하는 패턴을 반복해왔습니다.
그러나 2023년 이후, 비트코인의 움직임은 박스권 계단식 상승으로 변화했습니다.
주요 특징:
이는 시장에 유입된 유동성 증가와 새로운 암호화폐의 등장이 주요 원인으로, 투자 자금이 더 다양한 자산으로 분산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핵심:
주봉 차트가 60 EMA 아래에서 마감되고 이후 저항을 받는 경우에만 큰 폭의 조정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조정 전까지는 장기적 횡보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마진 트레이더들에게 현재 구간은 매수 관점에서 제한된 기회를 제공합니다.
상승 관점:
현재로서는 뚜렷한 매수 신호가 보이지 않습니다.
하락 관점:
추세는 불확실하지만, 89372 지지 구간이 무너질 경우 강한 매도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봉 차트: 현재 20 EMA와 60 EMA 사이에서 횡보 중입니다.
골든크로스 또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할지는 불확실하지만, 발생한다면 방향성이 명확해질 것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지난주 분석에서 큰 변화는 없지만, 새로운 움직임이 나오면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현명하게 거래합시다. 🚀
바닥 구간을 형성하게 될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DT 1D 차트)
USDT가 갭 하락세로 전환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빠르게 상승하지 못한다면, 코인 시장은 급격한 하락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USDC 1D 차트)
다행히 USDC가 갭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격 방어가 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USDC는 USDT보다 코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기 때문에 USDT가 갭 하락세를 유지한다면 결국 코인 시장은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은 신규 거래를 늘리기 보다 현재 보유하고 코인(토큰)의 손절 지점을 점검하고 어느 정도의 비중으로 손절을 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BTCUSDT 1D 차트)
지난 시간에 BTC의 업데이트된 내용대로 움직임이 나오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된다면, 현재까지의 파동을 마감하고 새로운 파동을 만들기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된 다음 하락하여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지만,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결국 바닥 구간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BTC 분석과 물타기(Averaging Down)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1D 차트)
USDT는 코인 시장을 지탱해 주는 자금을 제공해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USDT가 갭 하락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간다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USDT나 USDC의 갭 하락은 코인 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되고 있다는 흔적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USDC 1D 차트)
현재 USDC로 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어 그나마 코인 시장이 아직 하락세로 전환되는 것을 막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USDC는 코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USDT보다 낮기 때문에 그 영향은 단기적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USDC는 전세계 거래소에 USDC 마켓을 형성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USDT보다 영향력이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USDT가 갭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을 때, USDC도 갭 하락을 보이게 되면 코인 시장은 큰 폭의 하락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USDT 1W 차트)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면서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94742.35 지점에 생성될 것 입니다.
이에 따라서, 94742.35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1차 : 87.8K-89K
2차 : 79.9K-80K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83.6K 부근에서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였을 때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1D 차트)
12월 27일경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결국 횡보 구간의 하단 부근에 도달한 모습입니다.
따라서, 추가 하락으로 이어지더라도 92K-93.5K 부근을 터치하고 94742.3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다음 변동성 기간은 2025년 1월 10일경으로 예상됩니다.
-------------------------------------------
매수 평균 단가보다 하락하였을 때, 손절 지점에서 손절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다만, 중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볼 때, 가격이 하락한다고 무조건 손절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대응할 시간을 놓쳤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결국 추가 매수를 진행하여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추어 반등할 때 매도하는 방식을 추해야 합니다.
이를 물타기(Averaging Down)라 말합니다.
물타기(Averaging Down)의 기본 원칙은 현재 매수 원금 이상 추가 매수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보통 주식 시장에서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 이상 추가 매수합니다.)
코인 시장에서는 소수점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는 코인(토큰) 갯수만큼 매수하는 것보다 매수 원금만큼 매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매수 평균 단가가 생각보다 더 많이 하락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코인 시장에서는 무엇보다 현금 보유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여유 자금(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손절 지점 이하로 하락할 때 매수 원금의 50%-100% 사이에서 손절할 수도 있고, 아예 손절하지 않아도 대응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입니다.
여유 자금(현금)이 없다면, 손절 지점 부근에서 손절을 해야 합니다.
이때, 매수 원금의 50% 이상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위의 설명대로 투자 비중 관리를 할 수 있다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언제 추가 매수를 진행할 것인가 입니다.
만일 이전에 "차트 분석을 못해도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의 예"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렸듯이 -10% 정도 하락하였을 매수하였다면, 다시 -10% 정도 하락하였을 때가 추가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그것이 아니라, 자신의 기준에 맞추어 매수한 것은 반등할 시기에 추가 매수하여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춘 다음 반등시 매도하는 방식을 추해야 합니다.
즉, 추가 매수한 자금은 반등시 반드시 매도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매수 평균 단가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 다음번에 추가 매수할 자금이 엄청나게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포기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물타기(Averaging Down)를 시작하기 전의 원래 매수 원금이 얼마였는지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추가 매수한 다음 반등하여 추가 매수한 자금만큼 매도하게 되었을 때 남게 되는 코인(토큰) 갯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추가 매수하여 반등하였으나, 매수 평균 단가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하려는 조짐을 보인다면 전체적인 거래 입장에서는 손절하는 셈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추가 매수한 금액만큼 반등시 매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추가 매수한 매수 평균 단가에서 볼 때는 수익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그 수익에 대한 코인(토큰)이 그대로 남게 되는 셈입니다.
그러므로, 결국 원래 매수 원금을 알고 있지 않으면 다음번 추가 매수때는 과도하게 자금을 투입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과도한 자금의 투입은 결국 자신의 심리적인 불안감, 압박감으로 적용하게 되어 엉뚱하게 거래를 진행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 매수 시기를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회가 있을 때 퍼블리쉬할 예정입니다.
다만, 본 차트에서 추가되어 있는 StochRSI, BW, DOM 보조 지표와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등의 움직임을 보고 선정해야 합니다.
이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 있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본 차트에 있는 MS-Signal 지표가 추세 전환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도 됩니다.
다만, 1D 차트를 기준으로 추가 매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타점공유~!안녕하세요
비트가 지긋지긋 우하향 횡보중인데
상승분을 옆으로 잘 식혔고, 이탈한 단기추세선 또한 지키는듯한 그림으로
과매도 구간이 그려진다면 롱진입 해볼만하다고 봅니다.
과매도 후 다시 내려왔을때 저점갱신을 하지 못한다면 보다 확실한 롱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단기 추세선 아래로 이탈할 확률은 낮아보이지만,
이탈한다면 기울기상 85k 부근까지도 가능성이 열려있어서 버티기보단, 아래 위치에왔을때 다시 진입해본다는 생각으로 매매해야 할 듯 합니다.
아래이탈을 기대하고 숏을 진입하기엔, rsi가 과매도 부근에 위치해있고 장기캔들(4시간, 1일 등)은 대추세가 롱이기때문에 숏보기엔 위험해보입니다.
롱
현위치, 85k
숏
91k 아래로 이탈시, 96k(짧게)
이번 변동성 기간은 12월 28일까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W 차트)
1W 차트상의 변동성 기간은 2025년 1월 5일까지입니다.
가격이 상승하였음에도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94742.35 지점에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94742.35 지점에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만일 하락하게 된다면, 차트에 표시한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결국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었습니다.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면,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1D 차트)
1D 차트상의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12월 26일-28일)입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97821.58-98892.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을 그렇지 못하다면, 1W 차트에서 설명드린 대로 움직임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97821.58-98892.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단기 상승세를 이어갈 것 입니다.
다만, 고점 경계 구간이 101947.24-106133.74 구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현재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부근에 위치해 있으므로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DOM 지표는 DMI, OBV, MOMENTUM 지표를 종합 평가한 지표입니다.
Signal 지표는 DOM 지표의 EMA 지표입니다.
BW 지표는 MACD, StochRSI, OBV, superTrend 지표를 종합 평가한 지표입니다.
BW 지표는 BW(0), BW(100) 지표를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0 지점 이하에 위치할 때는 하락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0 지점 이상에 위치하면 상승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DOM 지표는 0 지점을 기준으로 상승시 상승세를 의미하고, 하락시 하락세를 의미합니다.
DOM > Signal 인 상태가 되었을 때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고, 반대인 경우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BW 지표나 DOM 지표가 0 지점에서 상승세를 보일 때 공격적인 매수가 가능하고, 0 지점 이상 상승하였을 때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차트 분석을 못하도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은 24시간, 365일 계속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처럼 갭이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 거래량이 적은 거래소면 갭이 자주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어찌되었던 이러한 움직임은 거래를 진행하는데 상당히 유용함을 제공해 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끔 -10% 이상 하락하였을 때 매수하면 된다고 말씀드리곤 하였습니다.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차트에 대한 기본적인 공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변동성에 의해 엉뚱하게 거래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코인 시장에서는 그러한 경우가 주식 시장에 비해 적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현재 코인(토큰)들이 실제 사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 입니다.
그러니, 주식처럼 차트 이외에 변동성을 발생시킬 이슈가 상당히 적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
어느 날 가격이 하락하여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기 전에 고점 대비 -10% 정도 하락한 상태가 된다면, 매수를 진행합니다.
그 다음 날에 다시 고점 대비 -10% 정도 하락하게 되면 다시 매수를 진행합니다.
이렇게 -10% 정도 하락하였을 때 분할 매수를 계속 진행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투자 비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
그렇게 매수를 진행하다 보면, 자신의 가격 평균 단가 이상 상승하는 시점이 오게 됩니다.
그렇다면, 수익 중일 때 매수 원금에 해당되는 금액을 분할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깁니다.
만일 현금 수익을 원하신다면, 일정 부분 분할 매도하시면 됩니다.
또한, 반대로 +10% 정도 상승하였을 때 분할 매도를 진행합니다.
-
예제 차트에 표시해 둔 것 처럼 -10%나 +10% 정도 상승한 경우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알트코인인 경우 BTC나 ETH보다 좀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알트코인을 거래시에는 투자 비중 조절을 각별히 신경써야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반드시 1D 차트에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기 1-3시간 전에 가격 변동폭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차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거래할 수 있는 방법에 해당됩니다.
욕심을 조금 버리고, 수익 중일 때 분할 매도할 수 있는 능력만 있다면 위기가 기회가 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될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12월 27일경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어떠한 모습을 보이는지가 관전 포인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는 현재 비록 적지만 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USDC는 꾸준히 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USDT, USDC의 갭 상승은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알트코인 상승장의 시작은 55.01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USDT 도미넌스의 하락은 코인 시장의 상승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코인 시장은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USDC가 계속 하락하게 된다면, 2.8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상승하면서 코인 시장은 점차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USDT 1D 차트)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94742.35 지점에 생성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기 전에 87.8K-89K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Momentum 지표가 연속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는지 살펴봐야 겠습니다.
-
BTC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면, 아직 횡보(sideways) 구간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92K-93.5K 부근에서 상승하여 97821.58-98892.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92K-93.5K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W 차트)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MS-Signal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고 상승할 수 있는지 입니다.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83.6K 부근을 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87.8K-89K 부근에서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게 될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그 이유는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대로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면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아직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92K-93.5K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1D 차트)
다음 변동성 기간은 12월 17일경(12월 16일-18일)입니다.
따라서,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어떠한 모습을 보이게 될지가 관건입니다.
현재 단기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체적인 모습을 보면 아직 횡보(sideways) 구간에서 벗어났다고 보기에는 애매하기 때문에 90586.92 이하로 하락하는지가 관건입니다.
-
그러므로, 95904.28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92K-93.5K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기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97821.5-98892.0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아야 합니다.
Momentum 지표가 저점을 갱신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2월 20일 캔들부터 캔들의 Body 색상이 red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OBV가 중간 지점 이하로 하락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캔들의 Body 색상이 다시 Green으로 변경되었을 때가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면 볼 수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하락의 시작 : 97821.58 이하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Market Cap 차트는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다시 업데이트해 드리겠습니다.
USDT, USDC의 갭 상승은 자금이 유입된 흔적이라 생각합니다.
BTC 도미넌스의 상승은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BTC 도민너스로는 BTC의 상승과 하락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USDT 도미넌스의 상승은 코인 시장의 하락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인 시장의 하락세 시작은 4.97 이상 상승하여 유지될 때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BTCUSDT 1W 차트)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지,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StochRSI 지표는 후행성 지표이기 때문에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정확한 값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을 때 StochRSI 지표의 값에 변동이 있다면, 중요한 지점을 넘어섰다는 의미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현재 가격이 하락하였음에도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서 유지된다는 의미는 중요한 지점을 통과하지 못하였다는 의미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하락한 상태에서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StochRSI 지표 값에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
(1D 차트)
HA-High 지표가 101947.24 지점에 생성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서,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하여 MS-Signal (1D 차트의 M-Signal) 지표나 97821.58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기 전에 87.8K-89K 부근에서 지지 받거나 HA-Low 지표, BW(0)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HA-Low 지표나 BW(0)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된다면, 현재 파동을 마감하고 새로운 파동을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락의 시작은 97821.58 이하로 하락하였을 때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변동성 기간은 12월 27일경 (최대 12월 26일-28일)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변동성 기간에 진입합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가 갭 상승세를 이어간다면,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는 흔적이라 생각합니다.
알트코인 상승장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BTC 도미넌스가 55.01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이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1W 차트의 M-Signal 지표나 피보나치 비율 0.5 (57.95)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USDT 도미넌스의 하락은 코인 시장의 상승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USDT 도미넌스는 최대 2.84 부근을 터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따라서, 3.99-4.16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USDT 도미넌스가 4.97 이상 상승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급격한 하락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4.97 이상에서 유지된다면, 코인 시장은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BTCUSDT 1W 차트)
BTC가 이대로 상승하게 된다면, 저 또한 바라던 바 입니다.
하지만,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서 유지되면서 StochRSI EMA 지표가 100 지점으로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결국 BTC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따라서, 추가 상승으로 이어지더라도 피보나치 비율 2 (106178.85) 부근을 터치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StochRSI 지표로는 어느 정도까지 변동폭이 발생할지를 알 수 없습니다.
하락이 시작된다면,
1차 : 87.8K-89K
2차 : 79.9K-80.9K
위의 1차, 2차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일 그렇지 않고,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을 터치하면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1W 차트상에서 변동성 기간은 12월 23일이 포함된 주 전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최대 12월 16일 ~ 1월 5일까지 변동성 기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변동성 기간에 BW(100) 지표나, HA-High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1D 차트)
새로운 캔들이 생성된 이후에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241214 비트코인 관점 기록2024/12/14 04:06
금일 굉장히 고민이 많았던 자리인데
왜냐면 이더리움이 상방 가능성이 있었기때문에
위로 큰 시세 분출이 나오지 않을까 했지만,
이더리움도 어느정도 지켜본 결과 상방 저항이 조금은 확인되는 상황속에
비트코인이 저항이 굉장히 강력하게 보이는 상황입니다.
손익비도 좋고 방금 abc상승도 나왔기때문에
101530부근에서 숏을 들어간 상태이며
101830 분할손절 102222 전체 손절 걸어둔 상태입니다.
익절라인은 그림상보이는 하늘색라인이 1차 98000대
여기서 반등이 나온다면 재차 큰 상승이 가능합니다.
다만 하늘색 라인이 무너지게된다면 굉장히 빠르게 흰색라인까지 도달할수있으니
매매에 유의바랍니다.
흰색라인은 현재 89k정도로 보여집니다.
일단 최근 익절이 어느정도 누적이 되어있어, 오늘은 스탑도 짧고 자리가 좋아서
조금 쎄게 들어간편입니다.
추가 대응상황은 코멘트 달아둘게요!
StochRSI와 OBV로 보는 앞으로의 전망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기 위해 트레이딩뷰의 인덱스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
(BTCUSD 1M 차트)
OBV가 고점선(High Line)을 상향 돌파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다음 달의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고점선(High Line)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상 상승하였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된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지 살펴봐야 합니다.
1M 차트의 지표의 움직임을 볼 때,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1W 차트)
1W 차트의 움직임 때문에 BTC를 분석하는데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 유지되고 있고, StochRSI EMA 지표가 100 지점에 접근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StochRSI EMA는 현재까지 확인해 본 결과 100 지점을 터치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이에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하락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OBV지표가 고점선(High Line) 이상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서, 다음 주에 고점선(High Line)이 생성된다면, 고점선(High Line) 내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이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BTC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StochRSI 지표와 OBV 지표로는 하락폭을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MS-Signal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1D 차트)
BW(100) 지표가 101197.25 지점에 생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01197.2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가능합니다.
OBV 지표가 고점선(High Line) 부근에 근접해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서, 101197.25 이상 상승할 때 OBV 지표가 고점선(High Line)을 상향 돌파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서, 50 지점 이상 상승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BTC가 95961.82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HA-Low지표나 BW(0)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때, 그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BTCUSDT 1D 차트)
12월 3일경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95904.28-98892.0 구간 부근에서 다음 변동성 기간까지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따라서, 95904.28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한 횡보(sideways)하면서 1W 차트의 StochRSI 지표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BTCUSDT 1D 차트에서 말씀드린 내용이 핵심입니다.
BW(100) 지표 지점인 101109.59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고,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상 상승한 상태에서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된다면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앞서 1W 차트에서 말씀드린대로 1W 차트의 StochRSI EMA 지표가 100 지점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이라는 겁니다.
아래에 적어둔 큰 그림에 대한 설명처럼 2025년말까지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단기 하락을 하든 아니면 하락세를 보이더라도 결국 현재의 가격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새로운 고점 구간 부근에서 지지 여부 확인 필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USDC를 통해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BTC.D 1D 차트)
MS-Signal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고 55.01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BTC 도미넌스가 상승하게 되면, 자금이 BTC쪽으로 집중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알트코인은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BTC 도미넌스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것으로 BTC의 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USDT.D 1D 차트)
코인 시장의 전체적인 추세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USDT 도미넌스의 움직임입니다.
따라서,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게 되면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고, 상승하게 되면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가격의 움직임은 USDT 도미넌스의 움직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BTC 도미넌스로 자금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USDT 도미넌스로 추세를 대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BTCUSDT 1D 차트)
StochRSI 지표가 50 이하로 하락하였지만, BTC의 가격을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StochRSI 지표가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는지와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BW(100) 지표 지점인 101109.59 부근으로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101109.59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만일 StochRSI 지표가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면, 다시 95904.28-98892.0 구간으로 하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그러므로, 현재 움직임에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새롭게 형성된 고점 구간인 97821.58-101109.58 구간 부근에서 12월 27일경까지 가격을 유지하면서 1W 차트의 StochRSI 지표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고점 구간이라 말씀드린 97821.58-101109.58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101109.58 이상이 고점에 해당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사실상 고점 구간은 고점 경계 구간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고점 구간 이상으로 상승한 다음 고점 구간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고민해야 합니다.
하락이 시작되면, 최종적으로 저점 구간(저점 경계 구간)을 생성하면서 하락세가 멈추게 될 것 입니다.
즉, HA-Low지표, BW(0) 지표를 만나게 되면서 저점 구간을 생성하게 될 것 입니다.
저점 구간을 생성한 다음 바닥 구간을 만들게 되면 상승세가 시작될 것 입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을 정리해 보자면,
1. HA-Low, BW(0) 지표로 구성된 구간에서 상승하여 HA-High, BW(100) 지표로 구성된 구간 내에서 대부분 움직임이 나타나게 됩니다.
즉, HA-Low, BW(0) 구간 ~ HA-High, BW(100) 구간이 횡보(sideways), 박스 구간을 형성하게 됩니다.
2. HA-Low, BW(0) 지표로 구성된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하락 파동을 만들게 되면서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이러한 계단식 하락세는 결국 바닥 구간을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HA-Low, BW(0) 지표가 이전 HA-Low, BW(0) 지표 이상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그때 바닥 구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HA-High, BW(100) 지표로 구성된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상승 파동을 만들게 되면서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HA-High, BW(100) 지표로 구성된 구간 이상에서 하락하게 되었을 때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거래시 반드시 손절 지점을 설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1M, 1W, 1D 차트의 M-Signal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