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bitcoin
BTC 주봉전략 아이디어BTCUSD/1W
COINBASE
주봉하락채널돌파한 상단 리테스트영역과 고점하락저항추세돌파 리테스트,
단기횡저항구역 FIB0.5되돌림 맞물리는 지점인-> 21154.20 SUPPORT가 유지되고있습니다
현시점은 21154.20불의 이탈을하지않는이상 반등관점으로보며
"해당구간 이탈시" 다음SUPPORT 구역은
18.7K~18.1K 로 보며 해당구역까지 조정시 공격적 매수대응하려합니다
18.7K~18.1K는 주봉상 장기상승채널의 강한 SUPPORT구역으로 "주봉이탈봉"마감을 하지않고 SUPPORT받아준다면
중장기적 매수진입자리로 좋아보여집니다.
2023.03.04 비트코인 관점 매매는 옳고 틀리다 관점보다는 대응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관점 끄적 끄적 해보려고 글을 남깁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큰상승이 언제쩍이였는지 모를만큼 금리인상의 거시적인 지표에 무릎꿇고
빌빌기고있죠
여러가지의 기본적인 분석으로는 탄력성이 강한 비트매매에 환상적인 대입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1인으로써
단지 그냥 개인적으로 보이는 관점을 적어봅니다
풉키풉키
.
일단 앞전 하락속에 상승과는 다르게 크나큰 랠리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16K부터 올라온 25K에서의 현재의 조정은
아직 다시 재하락 추세를 이어간다는 관점을 보진 않습니다.
1.26자리를 두드리다가 어느세 언제 그랬냐는듯 재상승을 생각해 봅니다
매매에 있어서 맞았다 틀렸다라는 관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않습니다
늘 열린 결말의 영화를 보듯
숨쉬고있는 장은 결말을 예측할수없죠
수익의 실현은 리스크 관리가 정답이라 생각합니다
변동성이 나오는 장에 대응 잘하시면 좋겠습니다 성투하셔요 .
이상
p.th
23.02.26 dydx 어디까지 가능?야하~~
비트 관점은 똑같지만 마지막 코멘트처럼 지금의 구간에선 손익비가 롱이고, 22.2k가 이탈전까진 26~28k 상승관점이 살아 잇으니 이제 무지성 숏치는 구간이 아니라 했져
현재는 22.7k 오늘의 저점을 지키고 반등and횡보중이니 22.7k를 1차 위험구간으로 잡고 매매를 선택할 수가 있어여
22.7k또는 22.2k을 지키고 다시 26~28k를 가는 상승을 하던가 아니면 당분간 횡보를 한다는 가정하에 알트들의 펌핑이 가능하고
dydx가 다른 알트들에 비해 추세가 좋기 땜에 3.1딸라를 돌파해준다면 tp는 4딸라 이상부터이고 정확히 어디까지 오를거다 이건 아직 모르겟어서 범위를 크게 잡고 분할 매도 해야합니당
3.1딸라까진 범위가 좀 멀기 때문에 무지성 버티기보단 손절가를 정하고 들어간다면 괜찮은 수익이 생기지 않을까 싶읍니당
2023-02-08 바이낸스 선물 비트코인2023-02-08 11:11
1. 관점 : 중기 숏
2. 진입타점 : 23470~23650 숏(비트겟 기준) 오지 않았으나, 그냥 하락 할 것으로 예상
3. 손절가 : 23750
4. 익절가 : 21800
웻지하방 돌파 후, 채널 하단에서 abc 웻지 하단 리테까지 생각했으나,
리테라인까지는 못왔고, 1:1자리 23470근처 23450에서 하락이 나오고 있는 상황.
현재 200대 후반자리도 레버리지 낮춰 손절가를 23750 근처로 해두면 충분히 좋은 자리라 생각됩니다.
저도 타점을 기다리다 그냥 꺽일 것 같아 23348에 시장가 진입 했습니다.
추가적으로 어제 올린 롱 관점 진입가도 달라질 예정입니다. 추후에 다시 올리겠습니다.
좋아요 및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1시간 캔들 비트코인 시황 분석과 방향성 예측1시간 캔들 비트코인 시황 분석과 방향성 예측
코인판에 어떤 트레이더가 작도한 관점을 올린후 수많은 비방의 댓글이 달렸습니다.
아직도 그림 그리는 놈이 있냐거나 그림은 도화지에 그려라는 둥... 그리곤 얼마뒤 관점 그대로 하방 이탈이 나오자 약간의 추천만 늘뿐이네요
이런 빡대가리들 때문에 무지성이 위험한겁니다. 우리 같은 개인 트레이더들에게 주어진 무기는 시간과 노력뿐이지만 이게 또 대단한 무기란거죠
공부하고 또 공부하고 그렇게 캔들을 보는 기초에서 시작해 시황 전체를 파악하는 힌트를 볼줄아는 안목이 생기는 순간부터 돈을 벌게 됩니다.
무지성은 한 번은 돈을 벌지는 몰라도 두 번은 없습니다. 모두 성투합시다 ^^
자 비트코인이 상방의 블럭에서 오랜기간 횡보를 하다가 하방이탈을 했습니다. 다이랙트로 떨어졌죠?
상방의 블럭에 오르기전에도 다이랙트로 올랐습니다. 빠르게 오른 것은 빠르게 떨어집니다 이걸 꼭 기억하면 됩니다.
하단의 블럭은 약한 매물대입니다. 그렇다고 지지대 역할을 못하지는 않습니다. 기능은 충분히 하겠지만 하방 압력에 대한 방어에 있어 조금 약하다는 것 뿐이죠.
그래서 저는 현물의 경우 이 두번째 블럭이 뚤리는 중간즘부터 분할 매수를 할 생각입니다.
상승분의 피보나치 되돌림 0.5 구간이 얼추 매집포인트가 되겠습니다.
피보나치는 맞네 틀리네 말이 많지만 이걸 아셔야 합니다. 어떻게 쓰느냐, 사용법이 옳바른건가 말이죠.
참고로 지금 자리에서 반등이 나온다고 좋다고 올라타면 후회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상단 블럭의 하단 저항대가 매우 견고합니다.
저항대를 터치하고 다시 떨어질 확률이 더 높다고 보는게 프렉탈적 관점에서 가장 합리적인 생각입니다.
하지만 큰 거시적 관점에선 비트코인 역사상 크든 작든 상승장에서 저점을 깨는 역사는 없었다는 걸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의 상승이 중단기 상승장의 초입(전제)이라면 15.4K를 깨는 일은 없을겁니다.
하지만 또다른 관점에서 6만불을 넘겼던 고점부터 주봉 상 하락임펄스로 본다면 아직 하방을 향한 한 파동이 남아 있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주봉은 큰 캔들이니 일봉 이하 4시간과 1시간 차트상의 관점은 상방이 보여도 전혀 이상할게 없습니다. 차트란건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모두 성투를 바라지만 모두 성투를 할 수는 없습니다. 이게 자산시장의 진리에요 그러니 더 공부하고 더 노력해서 꼭 모두가 바라는 그곳에 이르기를 바랍니다 ^^
2023-02-07 바이낸스 선물 비트코인2023-02-07 11:26
1. 관점 : 중장기 롱
2. 진입타점 : 20450 ~ 21500 롱(비트겟 기준)
3. 손절가 : 20000
4. 익절가 : 26K이상
4H 프레임으로만 조정 마무리할 경우 21.5K부근에서 롱
1D 프레임으로 조정이 나올 경우 장대음봉으로 찍으면 20400부근에서는 일봉 RSI 과매도까지 가능
저 범위 안에 하락 파동 ABC 1:1 , 1.1.27 및 일봉 RSI 과매도와 이평선 지지가 다 곂쳐 있습니다.
다만 롱 받을 범위가 매우 넓고 손절 범위도 크기 때문에, 물론 손익비는 나쁘지 않지만 숏포지션에 비해 레버리지를 낮춰 사용하길 권장합니다.
요약 : 롱 모멘텀이 살아 있어 롱을 받을만하며, 다만 받아야할 자리가 넓고 손익비는 나쁘지 않기에 레버리지를 낮춰서 분할 매수할 좋은 자리.
좋아요 및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개인매매는 어제 방송보신분 알겠지만, 23137까지는 예측 가능한 자리여서 23150에 스탑을 걸었으나, 최고점에 스탑이 나갔습니다.(고레버리지라 그런지 거래량 없으니 장이 너무 힘빠집니다.)
눈떠서 ㅂㄷㅂㄷ하고 복수전 하고 있고, 숏 진입에 대한 코멘트는 더 이상 하지 않고, 숏 익절 할 경우에만 하단에 코멘트 남기겠습니다.
모든 지표는 숏인데 어떡할래? (하락 시나리오 공유)안녕하세요 트레이더 '꾸기'입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좋아요 팔로우 꾹꾹 부탁드립니다.
BINANCE:BTCUSDT
현재 파월이 3월 지표 데이터를 종합해 금리 인상 속도 또는 하락 시기등 방향을 결정한다 말했습니다.
그이후 각종 지표 발표 비농업 지수 비제조업 구매자 지수가 예상치를 상회하며 고용시장이 탄탄하다는게 입증이 되었고
2월 14일 소비자 물가지수 (CPI) 발표에서 인플레가 안잡히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연준 측은 금리 인상을 강하게 언급할 수 있게되고 따라서 시장은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증시 전반 상승 모먼텀을 이끌던 여력이 상실 되는 흐름으로 현재까지의 상승분을 되돌릴 가능성이 높이보이고
지금까지 조정이라고 불릴만한 조정이 없었기 때문에 22~23k 횡보중이던 채널을 이탈가능성이 높게 보입니다
반대로 인플레가 잡히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여전히 상승을 볼 수 있겠지만
수익 실현률이 높아진 지금 단기조정 또는 소화후 추가 상승을 볼 수 있겠습니다.
2월 3일자 부터 나스닥은 상승에 음봉이 끼기 시작하더니 고점 횡보이긴하나
고점은 낮아진 흐름 입니다
미달러 가치를 판단 하는 지표인 달러인덱스는
2월2일자로 저점 후 반등 중입니다.
2월 3일 나스닥이 꺾일때 달러 인덱스의 상승 이 도드라졌으며
이런 직관적인 지수표들은 단기로 하락 전환을 맞으려는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중요하게 2월14일 체크 필수이며 주말 동안 나온 하락 추세 이어 갈 수 있는 시나리오는
위와 같이 두가지이며 횡보 후 추가 하락을 보고있는 관점입니다.
2023-01-24 비트코인 선물2023-01-24 10:20
새해 복 많이 받고 졸업하시길 바랍니다.
1. 관점 : 중기 숏, 장기 롱
2. 진입타점 : 23450 ~ 23750 숏
3. 손절가 : 24200
4. 익절가 : 1H OR 4H 과매도 최소 1500불 이상 하락 예상
디테일 파동이 거의 다나온 상태네요, 1H OR 4H가 확정적으로 나올 확률이 높아보이는 자리입니다.
확정적인 자리일수록 트레든 상단이 뚫리게 될 경우 강한 상승이 나올 수 있습니다만, 이런 자리는 손익비가 매우 좋기에 손절이 감수 가능한 금액을 정해두시고 접근하면
승률도 높고 손익비도 높은 자리기때문에 장기적으로 항상 트라이 해야만 하는 그런 자리입니다.
파동의 중간지점이 아닌 최고점에서 역베팅 하는 거기때문에, 거래소마다 고점이 상이할 수 있으며, 스탑헌팅 파동연장이 나올 수 있기때문에, 뚝은 2천불 이상 해둬야 대응이 용이 합니다.
스탑이 나가면 일반적으로 매매를 쉬어야하지만, 대응매매가 필요해서 다시 추격매매를 해야할 경우 현재 글 하단에 코멘트를 달아 둘 예정입니다.
변수로는 23340대에 ABC자리가 있어 고점 갱신을 못하고 떨어질 확률도 아주 낮게 존재합니다.
요약 : 손익비 매우 좋은 숏자리, 파동이 완성되는 자리이나, 이런 자리가 뚫리면 크게 가기 때문에 감내 가능한 범위에서 숏 진입 할 것.
하락범위도 크기 때문에 굳이 포지션 크기에 욕심 안가지셔도 되는 자리입니다.
좋아요 및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코인 시장의 테마!!! 코인생태계에 대해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코인 시장이 상승장과 하락장을 겪으면서 많은 테마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테마는 ecosystem 이라는 이름으로 서로 연결된 코인생태계(ecosystem)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도 다가올 내년의 상승장 이후에는 테마 코인들의 순환 펌핌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코인(토큰)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또한,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하나의 코인생태계를 만들고 확장시켜나가면서 자신들의 생존력을 높이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과 동떨어지게 어떠한 코인생태계(ecosystem)에 속하지 않는 코인(토큰)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독자 생존을 이어가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거래할 때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진행하거나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거래 방식으로 거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 어떻게 급락하여 다시 회복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USDC을 통해 코인 시장으로 들어오는 자금과 주식 시장에 새롭게 출시되고 있는 코인 투자 상품들에 의해 기존 투자 회사, 기관 투자자, 고래들이 코인 시장을 점점 잠식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금들은 더 많은 개인투자자들을 투자 시장으로 투자하게 만들게 되지만, 개인 투자자가 스스로 거래하여 큰 수익을 얻는 시기는 점점 감소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점점 더 개인 투자자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줄어들게 되고, 투자회사, 기관 투자자, 고래들이 제공하는 정보로 그들의 뒤를 따라 거래해야 하는 시기가 오게 될 것 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막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형성되어지고 있는 코인생태계(ecosystem)를 확장해 가고 있는 코인(토큰)들을 찾아 하나로 묶어 어떠한 순환 펌핑이 일어나게 되는지 파악해 나가야 합니다.
이전처럼 하나의 코인(토큰)의 로드맵이나 재단이 말하는 그러한 기술적인 얘기로는 더 이상 투자자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만들지 못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코인생태계(ecosystem) 중에서 관심있게 보고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Ethereum Ecosystem
BNB chain Ecosystem
Cardano Ecosystem
Solana Ecosystem
Polkadot Ecosystem
TRON Ecosystem
Avalanche Ecosystem
Polygon Ecosystem
Near Protocol Ecosystem
Cosmos Ecosystem
Fantom Ecosystem
Optimism Ecosystem
위와 같이 11개의 코인생태계(Ecosystem)입니다.
코인생태계(Ecosystem)의 대표 코인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BTC
ETH
BNB
ADA
SOL
DOT
TRX
AVAX
MATIC
NEAR
ATOM
FTM
OP
이 외에 사용자 커뮤니티가 큰 코인들과 코인생태계(Ecosystem)을 만들 가능성이 있는 코인입니다.
XRP
ALGO
KLAY
현재 대부분의 코인생태계(Ecosystem)에 속해 있는 코인 중 대표적인 코인은 LINK 입니다.
다만, 코인의 자체 이슈로 인하여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야 하는 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XRP
SOL
TRX
KLAY
OP
위의 코인(토큰)들은 자제적인 이슈를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 거래 방식으로 거래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 OP 토큰은 코인생태계(Ecosystem)이 생성된지 얼마되지 않았으므로 최소한 다음 파동이 나올 때까지 매수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거래 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코인 시장은 내년이 있을 상승장 이후로 개인 투자자들이 접하게 되는 온갖 정보들은 주식 시장에 준하는 정보들로 도배되기 시작할 것이라는 겁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코인 시장에서 꾸준한 수익을 얻기 위해 새롭게 변화되는 있는 테마, 코인생태계(Ecosystem)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야 한다는 것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에서 확인해 보세요.
** SR_R_C지표는 StochRSI(line), RSI(columns), CCI(bgcolor)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CCI지표는 과매수 구간(CCI > +100), 과매도 구간(CCI < -100)로 표시하였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2022-01-21 비트코인 선물2023-01-21 02:10
지난 관점 코멘트에서 잡은 20440 스위칭 롱은 방금 21410자리에서 전량 익절했습니다.
1. 관점 : 중기 숏, 장기 롱
2. 진입타점 숏 21.65~21.75k
3. 손절가 : 22.2k 및 하기 관점 참고
4. 익절가 : 4H 과매도
최근 올렸던 4H 중단기 숏자리가 이 번에 나올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저번에는 1H 프레임 하락으로 평행채널 하단에서 1H 과매도와 동시에 상승 다이버전스 없이 상승 전환을 했고,(평행채널 하단 + 파동 형태 완성 + 1H RSI 과매도)
이번에는 4H 과매도까지 나올 숏자리로 보이나, 21650 고점 갱신 시 강하게 한 번 쳐올리면서 작은 연장 파동 후 떨어질 수 도 있기 때문에, 지정가 숏 포지션을 크게 걸어두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21650~21750은 낮은 배율의 격리 숏 포지션만 걸어두고, 깨어 있을 때 고점 갱신이 나온다면, 고점 돌파 시 상승 거래량 판단에 따라 추가 숏포지션 혹은 저배 숏포지션도 손절 마감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높은 확률로 조만간 4H 조정 자리라 생각하기에 오버나잇 시에는 격리 저배 숏과 22.2K 스탑을 걸어두고 오버나잇 할 것이고, 고점 갱신인 21.65K에는 가격 알람을 걸어둘 예정입니다.
장기롱을 보는 이유는 지난 관점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1/17일 관점)
* 횡보장에서 주봉 프레임은 최소 7~8개월 OR 12개월 정도의 방향성을 갖게 됩니다.(주봉의 출발점은 22년 11월입니다.)
요약 : 21650 돌파 시 갭 상승이 크지 않다면, 격리 저배숏 외 추가 물량 태울 것이나, 21650 돌파 시 300불 이상의 갭상승 수준의 빠른 상승이 나온다면 저배숏도 손절 처리하고 관망할 예정
좋아요 및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BTC Index PredictLong is Long
Short is Short
Now is Last Long
그러니까 적금식으로 매달 사면 여느 펀드, 은행, 기타 등등 이자보다 꽤높은 기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제 마지막일 기대수익이 될 것이라고 봄.
100k를 넘은 가격은 크게 변동이 없다가 비트코인 등락폭으로 인한 시세차익이 의미가 없어지거나 현재 보편화된 금융 투자 수익과 같아지거나 그보다 못할 것.
다음 차세대 투자 상품으로 향후 3년이후로 점진적으로 이동할 것 임.
결국 돈이 돈이 아닌 시간이 돈이 되는 세상으로 바뀌지 않을까.
돈은 사실상 허상, 시간도 사실상 허상.
비트코인 13년간의 1월 패턴🛑13년간 비트코인을 매년 1월 초에 샀다면 어떻게 됬을까??
〽️비트코인 파동 패턴 1하락 3상승 13패턴
🔥2011년 1월 1일 매수 : 6월 고점까지 10,828% 상승
🔥2012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355% 상승
🔥2013년 1월 1일 매수 : 11월 고점까지 9,078% 상승
☠️2014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77% 하락
🔥2015년 1월 1일 매수 : 11월 고점까지 133% 상승
🔥2016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217% 상승
🔥2017년 1월 1일 매수 : 12월 고점까지 1944% 상승
☠️2018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저점까지 -67% 하락
🔥2019년 1월 1일 매수 : 6월 고점까지 306% 상승
🔥2020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486% 상승
🔥2021년 1월 1일 매수 : 11월 고점까지 148% 상승
☠️2022년 1월 1일 매수 : 11월 저점까지 -59% 하락
🔥2023년 1월 1일 매수 : 상승 진행중
과연 패턴이 유지될것인가?
[비트코인 매매복기] RSI 다이버전스를 활용한 매매방법올해 12월 15일경, 18,387달러까지 올라갔던 비트코인은 이내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오며, 급격히 하락하여 직전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상승하기 전에도 수렴 후 임펄스 상승을 보여주었기에, 단기 조정 후 재상승을 예측했다.
* 엘리어트 파동 관점에서 명확한 임펄스 상승이 나올 경우, 단기 조정 후 재차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하지만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면서 카운팅에 대한 고민을 다시 해야했다.
어쨋든, 단기 관점에서 보면 명확한 임펄스를 그리며 떨어졌다. 그리고 현재 ABC 조정구간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동안에 다이버전스를 활용한 단기매매 타점이 3번이나 나왔다.
다이버전스는 요즘 모두가 알고 있는 차트상식(?)일 것 같으니 설명은 패스한다.
개인적으로 엘리어트 파동이론, 수렴패턴, 다이버전스, 매물대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선물매매를 하고 있다.
익절 보통 3번에 걸쳐 진행한다. (1차 익절 50% → 2차 25% → 3차 25%)
1차(50%) 익절 기준은 개인 선물투입자산의 1% 수익이다.
2차(25%) 익절 기준은 차트캔들이 나타내는 박스권 매물대 구간이다.
3차(25%) 익절 기준은 반대방향 시그널(롱포지션일 경우 숏포지션 진입 시그널)이 포착된 경우 혹은 전고(전저)를 갱신하는 시점이다.
현재 차트를 보면, 12월 17일까지의 급격한 하락 후 한번의 저점을 추가 갱신하며 RSI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왔다.
이때, 롱포지션 진입타점은 RSI 상승다이버전스가 출현한 후 반등하여 전저점을 뚫는 순간이다. (진입 타점 잡는 스타일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음)
* 롱포지션 진입가격 : 16,527달러 (레버리지 : 약 5배)
* SL 설정가격 :
- 진입시 : 16,256달러
- 1차익절시 : 본절셋팅
목에 칼이 들어와도 원칙매매를 해야 이런 지옥같은 시장에서 살아남는다.
하여, 1차 익절은 선물자산의 1% 수익권에서 50% 물량을 가차없이 덜어낸다.
* 1차 익절가격 : 16,620달러 (익절물량 : 진입물량의 50%)
2차 익절은 차트캔들상 보이는 매물대 상단 구간에서 진행한다.
* 2차 익절가격 : 16,863달러 (익절물량 : 진입물량의 25%)
3차 익절은 실패다. 소규모파동으로 이루어진 채널이 형성되었고, 채널 내에서 5개의 파동이 완성된 후 하방으로 흘렀기 때문이다.
* 포지션종료 가격 : 16,782달러 (종료물량 : 나머지 25%)
포지션이 종료된 후 12월 28일 새벽 4시에 저점이 나온후 두 번이나 저점을 갱신하면서 RSI상 더블 다이버전스가 출현한다.
이때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두 번의 롱포지션을 진입하였고, 모두 1차 익절로 포지션을 종료했다.
이번 ABC 조정에서는 딱히 눈에 띌만한 임펄스 파동이 없었다. 하여, 짧은 매매를 할 수 밖에 없었다.
[12월 26일 - 비트코인] 중요한 12월 마지막주부터 23년 3월
안녕하세요 로또띠입니다.
1년동안의 하락장을 버티신 여러분 고생하셨습니다.
23년에는 다 같이 수익을 보는 한해가 되면 좋겠습니다.
먼저 일봉을 살펴보았습니다.
초록색 경로와 동일한 프레탈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프렉탈이 완성되려면 이번주가 중요합니다.
이번주내로 상승해서 하늘색 경로처럼 올라주는 그림이 가장 베스트이며
반면에 지금구간에서 횡보하면서 23년 1월 중순~말까지 시간을 주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여기서 상승할때 폴링웻지의 상단추세선을 넘어주는 것을 확인해야합니다.
상승추세선을 넘는 다면 다음으로 볼것은 21.5k를 넘어주는 것입니다
한번에는 넘기 힘드므로 18~20k에서 횡보해주어야합니다
다음은 주봉을 보겠습니다
지금구간에서 오랫동안 횡보한다면 18년도를 기억해두어야 합니다.
18년도와 현재가 동일하게 움직이려면 초록색 화살표와 같이 저점을 깨지않고
우상향해주는 그림이 되어야 합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69k를 넘고 100k를 가는 상승이 나올거라는건 너무 상상속의 이야기라고 보여집니다
현재는 30~40k정도의 상승장만 되도 매우 좋아보입니다
이런 느낌일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비트코인(BTC) 시황 및 매매플래닝* 바이낸스 현물 BTC/USDT 페어 차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지난 11월 12일 차트상 range high 를 fake out 하는 SFP(swing failure pattern)으로부터
매크로 수치에서 비롯된 soft landing을 위한 피봇 기대감으로 강한 랠리가 시작됨.
2. 해당 랠리는 랠리 과정 중 다소 과장된 내부 패턴들을 만들며 강하게 진행된 이후,
12월 15일 fomc 연준의 단호한 매파적 스탠스 이후 빠르게 식어버린 이후 EQ level에서의 횡보중
3. 현재 차트 외적으로 인지하기 쉽진 않지만 상방의 모멘텀 또한 분명 만들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만
매크로와 더불어 끝나지않는 USDT, binance, SBF, genesis trading 등등 온갖 해소되지 않는 fud들에 의해 코인씬에는
하락에의 모멘텀이 우세하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임.
4. 차트상 Bearish bat 이후 리액션에서 종가상 0.618 레벨(16.5k)을 지키는 듯 하지만 추세 스퀴징 성향이 다분한
빠른 되돌림이 식별됨.
4-1. 해당 하락은 range high에 미달한 채 적은 수의 캔들로 빠르게 고점을 형성 후 내려온 모습을 보임.
4-2. 이에 근거하여 bearish bat의 type 1 reaction에서 down trend가 직결될 수 있다고 판단함.
4-3. 현재 하늘색 박스구간에서의 accumulation 진행 이후 ltf상의 liquidity (17.5k) 부근까지의 manipulation phase 진행,
이후에는 range low를 타겟으로하는 distribution이 진행 될 것으로 판단함.
5. harmonic 에 기반하여 17.9k - 18.5k 구간 retest를 한번 더 거친 후 reversal이 진행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6. 19.2k 돌파시 찐반인가? 시전가능
(trading plan)
7. 상기의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accumulation zone low 부근 liquidity가 있는 레벨에서의 롱포지션
-> manipulation phase 에서의 롱 포지션 청산 이후 숏 포지션을 구축하여 range low 및 HTF의 L/L을 타겟으로
가져가는 트레이딩 플래닝
7-1. 5번의 내용에 기반하여 manipulation phase에서 up thrust 발생으로 상승이 깊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stop loss 설정이 필수로 동반되어야 함. 상단의 19.2k를 돌파하여 20k 터치 시에는 더 큰 TF의 랠리가 지속될 가능성이
시사됨.
8. 성투하세요~ 메리크리스마스^^
이더리움(ETH) 차트 분석 및 매매전략 * Binance futures의 eth/usdt 페어 선물 차트 기준입니다.
1. LTF의 하락채널 체크
2. rally 시도중 1.13 failed wave로 swing failure에 따른 AB=CD 완성 후 phase1(reaction) 진행중
2-1. 현 구간(0.618) 지지하며 D 포인트를 retest 후 phase2(reversal) 진행 될 가능성
2-1-1. gann square 종료 지점으로 long term의 횡보(상향) 시작이 가능한 위치
2-1-2. 매크로 및 MS 상의 상승 모멘텀의 부재(새로운 good news가 터지지 않는 한)
2-1-3. 종카운트상 추가 횡보의 필요성
=> 현 구간 지지 이후 상승 시 A 포인트(1315) ~ 1.272XA(1377) 레벨에서의 저점갱신을 targeting하는 숏포지션 오픈
2-2. 현 구간 break out 시 티피컬한 bullish shark -> bearish 5-0 로 이어지며 down trend 형성 가능성
2-2-1. 주봉 하락장악 캔들 등장 및 해당 캔들의 추가 하락 목표가 레벨 체크
2-2-2. FED 행보 및 여러 CEX, VC 및 BTC 대량 보유지갑(TSLA, MST 등)에의 해소되지 않은 FUD 다수존재(하락 모멘텀 多)
=> bullish shark의 D포인트(1105 ~ 1035)에서의 롱 포지션 오픈 이후 bearish 5-0의 prz에서 숏 스위칭(target 750$)으로 잇는 티피컬한 매매플랜 실행
a) bullish shark 의 X 포인트 break out 없이 0.886 레벨에서 반등시 지표상 HTF의 상승다이버전스로 꽤 강한 모멘텀 발생 염두
-> bearish 5-0의 실패 가능성 상승으로 판단하고 진입한 롱포지션 유지 + 보수적 숏 포지션(헷징) 오픈
b) bullish shark 의 X 포인트 break out 이후 반등시 지표상의 모멘텀 생성 어려움(예측일뿐 실제 그려진 이후 지표를 보고 판단 필요)
-> bearish 5-0 로 연결될 것으로 판단/ 소량(헷징)을 제외한 롱 포지션 물량 청산 + 숏 포지션 오픈
- 하방을 메인 트렌드로 보는 관점의 분석으로, 상기의 내용들에 근거하여 현 구간에서 먼저 나오는 방향의 파동 이후의 매매에 관한 전략입니다.
다들 성투
2022.12.15 비트코인 시황분석안녕하세요 비트코인 선물매매를 주력으로 하고있는 차트쟁이 빨간맛입니다
오늘 전국적으로 한파에 눈예보가 많은데 건강에 유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기바랍니다
BINANCE:BTCUSDT
오늘은 새벽에 있엇던 fomc 결과에 대해 이야기를 드리며 시작합니다
우리 모두가 예상하고있던 0.5포인트 빅스텝으로 금리가 결정됬네요
시장에 좋은영향을 줄것으로 예상했지만 금리 인상속도가 줄었는데 왜 주요지수 및 비트코인은 상승폭을 줄이며 마감했을까요?
연준의장인 파월의 발언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11월 발언때 금리인상 속도는 줄이더라도 최종 금리가 높아질수있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좋은 영향을 줄수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절대 좋지않은 소식입니다
오늘 새벽 발언의 경우 금리는 0.5포인트 인상하면서 속도는 조절하였지만 9월 제시하였던 최종금리 목표는 4.6포인트 에서 5.1포인트로 상향조정하였습니다
또한 최종금리는 확정이 아닌 물가상승률과 시장을 고려하여 더 높아질수있다라고 발언하였습니다
점도표의 경우 연준의원 19명중 17명이 최종 금리 목표를 5포인트 이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2%에 변함이없고 긴축기조를 장기간 이어갈것임을 이야기하였습니다
내년 GDP 성장률은 기존 1.25%에서 0.5로 하향조정하였으며 연준은 이를 경기침체로 생각하지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모두 원하였던 금리인하는 아직 생각하지않는다고 하였으며 높은 금리로 시장에 좋지않은 영향은 계속될것으로 해석할수있습니다
비트코인 시황분석을 시작합니다
비트코인 주봉에 흐름을 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69K 부터 이어온 하락 채널을 뚤고 위로 이탈하여 상승랠리를 기대하였지만 FTX 파산, 3AC, 셀시우스 대출 플랫폼들의 이따른 파산으로
시장에 신뢰성이 무너지면서 급락이 나왓습니다.
지금 차트로만 봣을때는 시장이 다시 회복세에 들어서고 상승렐리를 이어가기위해서는 많은시간이 필요해보입니다.
1차적으로는 새롭게 생성된 채널을 뚤고 올라가는지 지켜볼필요가있습니다
그렇다면 언제쯤 비트코인을 상승에 시작으로 간주하고 조금더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할수있을까요?
제가보는 기준은 주봉상 22K 위에서 마감한다면 다시한번더 69K 부터 이어온 하락에 대한 반전 신호로 해석할생각입니다.
그전까지는 항상 매매는 보수적으로 임하시길바랍니다
비트코인 일봉 흐름을 보겠습니다
25K 부터 새롭게 생성된 채널에 따라 채널내에서 움직이는중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상승에 무게를 두고 매매하고있으나, 채널을 상방이탈하여 마감하기 전까지는 채널링내에서 상단 터치 후 다시 전저점을 이탈하는 하락을 보고있습니다
중요하게 보는 레벨은 18.2~18.5K인근이며 이전에 중요한 지지라인으로 작용하다가 뚤리면서 급락이 나왔던 자리입니다
14일자 아이디어에 코멘트 해드린대로 18.2K 구간에서부터 숏관점을 보고 진입하여 새벽 FOMC 이후 전량 익절하였습니다
만약 비트가 18.5K 를 뚤고 강한상승이 나오더라도 19K~19.2K에서 막힐가능성을 높게 보고있으며, 채널을 하방이탈한다면 그때부터 숏관점 위주로볼예정입니다
비트코인 1시간봉 / 15분봉 흐름을 보겠습니다
어제 숏을 진입한 근거로 채널링 상단터치, 주요하게보는 저항라인, 1시간봉 / 15분봉 기준 하락다이버전스발생(가격은올라갔지만 RSI는 이전보다 높이지 못함)
해당근거로 18200인근에서 숏을 진입하여 채널링 기준으로 지지받기좋은 중단라인에서 전량익절한상태입니다
오늘에 매매전략은 급락이 나온상태이기 때문에 진입하기 좋지않은자리입니다
채널링 중단에 위치하고있기에 상승, 하락 둘다 가능하며 뉴트럴전략으로 기다림이 필요한 구간입니다
단기적으로 포지션을 잡기보다 캔들이 최소 몇시간은 그려지길 기다리시기바랍니다
캔들이 그려진다면 그때 코멘트로 대응부분에 대해 남겨드릴예정입니다
아직 아이디어 쓰는 실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개인적으로 보고있는 차트에 대해 설명능력이 아직 많이 부족하네요
앞으로 더 발전하여 좋은 분석글 남겨드릴수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