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21 비트코인 선물2023-01-21 02:10
지난 관점 코멘트에서 잡은 20440 스위칭 롱은 방금 21410자리에서 전량 익절했습니다.
1. 관점 : 중기 숏, 장기 롱
2. 진입타점 숏 21.65~21.75k
3. 손절가 : 22.2k 및 하기 관점 참고
4. 익절가 : 4H 과매도
최근 올렸던 4H 중단기 숏자리가 이 번에 나올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저번에는 1H 프레임 하락으로 평행채널 하단에서 1H 과매도와 동시에 상승 다이버전스 없이 상승 전환을 했고,(평행채널 하단 + 파동 형태 완성 + 1H RSI 과매도)
이번에는 4H 과매도까지 나올 숏자리로 보이나, 21650 고점 갱신 시 강하게 한 번 쳐올리면서 작은 연장 파동 후 떨어질 수 도 있기 때문에, 지정가 숏 포지션을 크게 걸어두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21650~21750은 낮은 배율의 격리 숏 포지션만 걸어두고, 깨어 있을 때 고점 갱신이 나온다면, 고점 돌파 시 상승 거래량 판단에 따라 추가 숏포지션 혹은 저배 숏포지션도 손절 마감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높은 확률로 조만간 4H 조정 자리라 생각하기에 오버나잇 시에는 격리 저배 숏과 22.2K 스탑을 걸어두고 오버나잇 할 것이고, 고점 갱신인 21.65K에는 가격 알람을 걸어둘 예정입니다.
장기롱을 보는 이유는 지난 관점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1/17일 관점)
* 횡보장에서 주봉 프레임은 최소 7~8개월 OR 12개월 정도의 방향성을 갖게 됩니다.(주봉의 출발점은 22년 11월입니다.)
요약 : 21650 돌파 시 갭 상승이 크지 않다면, 격리 저배숏 외 추가 물량 태울 것이나, 21650 돌파 시 300불 이상의 갭상승 수준의 빠른 상승이 나온다면 저배숏도 손절 처리하고 관망할 예정
좋아요 및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Btc-bitcoin
BTC Index PredictLong is Long
Short is Short
Now is Last Long
그러니까 적금식으로 매달 사면 여느 펀드, 은행, 기타 등등 이자보다 꽤높은 기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제 마지막일 기대수익이 될 것이라고 봄.
100k를 넘은 가격은 크게 변동이 없다가 비트코인 등락폭으로 인한 시세차익이 의미가 없어지거나 현재 보편화된 금융 투자 수익과 같아지거나 그보다 못할 것.
다음 차세대 투자 상품으로 향후 3년이후로 점진적으로 이동할 것 임.
결국 돈이 돈이 아닌 시간이 돈이 되는 세상으로 바뀌지 않을까.
돈은 사실상 허상, 시간도 사실상 허상.
비트코인 13년간의 1월 패턴🛑13년간 비트코인을 매년 1월 초에 샀다면 어떻게 됬을까??
〽️비트코인 파동 패턴 1하락 3상승 13패턴
🔥2011년 1월 1일 매수 : 6월 고점까지 10,828% 상승
🔥2012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355% 상승
🔥2013년 1월 1일 매수 : 11월 고점까지 9,078% 상승
☠️2014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77% 하락
🔥2015년 1월 1일 매수 : 11월 고점까지 133% 상승
🔥2016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217% 상승
🔥2017년 1월 1일 매수 : 12월 고점까지 1944% 상승
☠️2018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저점까지 -67% 하락
🔥2019년 1월 1일 매수 : 6월 고점까지 306% 상승
🔥2020년 1월 1일 매수 : 다음해 1월 까지 486% 상승
🔥2021년 1월 1일 매수 : 11월 고점까지 148% 상승
☠️2022년 1월 1일 매수 : 11월 저점까지 -59% 하락
🔥2023년 1월 1일 매수 : 상승 진행중
과연 패턴이 유지될것인가?
[비트코인 매매복기] RSI 다이버전스를 활용한 매매방법올해 12월 15일경, 18,387달러까지 올라갔던 비트코인은 이내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오며, 급격히 하락하여 직전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상승하기 전에도 수렴 후 임펄스 상승을 보여주었기에, 단기 조정 후 재상승을 예측했다.
* 엘리어트 파동 관점에서 명확한 임펄스 상승이 나올 경우, 단기 조정 후 재차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하지만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면서 카운팅에 대한 고민을 다시 해야했다.
어쨋든, 단기 관점에서 보면 명확한 임펄스를 그리며 떨어졌다. 그리고 현재 ABC 조정구간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동안에 다이버전스를 활용한 단기매매 타점이 3번이나 나왔다.
다이버전스는 요즘 모두가 알고 있는 차트상식(?)일 것 같으니 설명은 패스한다.
개인적으로 엘리어트 파동이론, 수렴패턴, 다이버전스, 매물대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선물매매를 하고 있다.
익절 보통 3번에 걸쳐 진행한다. (1차 익절 50% → 2차 25% → 3차 25%)
1차(50%) 익절 기준은 개인 선물투입자산의 1% 수익이다.
2차(25%) 익절 기준은 차트캔들이 나타내는 박스권 매물대 구간이다.
3차(25%) 익절 기준은 반대방향 시그널(롱포지션일 경우 숏포지션 진입 시그널)이 포착된 경우 혹은 전고(전저)를 갱신하는 시점이다.
현재 차트를 보면, 12월 17일까지의 급격한 하락 후 한번의 저점을 추가 갱신하며 RSI상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왔다.
이때, 롱포지션 진입타점은 RSI 상승다이버전스가 출현한 후 반등하여 전저점을 뚫는 순간이다. (진입 타점 잡는 스타일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음)
* 롱포지션 진입가격 : 16,527달러 (레버리지 : 약 5배)
* SL 설정가격 :
- 진입시 : 16,256달러
- 1차익절시 : 본절셋팅
목에 칼이 들어와도 원칙매매를 해야 이런 지옥같은 시장에서 살아남는다.
하여, 1차 익절은 선물자산의 1% 수익권에서 50% 물량을 가차없이 덜어낸다.
* 1차 익절가격 : 16,620달러 (익절물량 : 진입물량의 50%)
2차 익절은 차트캔들상 보이는 매물대 상단 구간에서 진행한다.
* 2차 익절가격 : 16,863달러 (익절물량 : 진입물량의 25%)
3차 익절은 실패다. 소규모파동으로 이루어진 채널이 형성되었고, 채널 내에서 5개의 파동이 완성된 후 하방으로 흘렀기 때문이다.
* 포지션종료 가격 : 16,782달러 (종료물량 : 나머지 25%)
포지션이 종료된 후 12월 28일 새벽 4시에 저점이 나온후 두 번이나 저점을 갱신하면서 RSI상 더블 다이버전스가 출현한다.
이때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두 번의 롱포지션을 진입하였고, 모두 1차 익절로 포지션을 종료했다.
이번 ABC 조정에서는 딱히 눈에 띌만한 임펄스 파동이 없었다. 하여, 짧은 매매를 할 수 밖에 없었다.
[12월 26일 - 비트코인] 중요한 12월 마지막주부터 23년 3월
안녕하세요 로또띠입니다.
1년동안의 하락장을 버티신 여러분 고생하셨습니다.
23년에는 다 같이 수익을 보는 한해가 되면 좋겠습니다.
먼저 일봉을 살펴보았습니다.
초록색 경로와 동일한 프레탈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프렉탈이 완성되려면 이번주가 중요합니다.
이번주내로 상승해서 하늘색 경로처럼 올라주는 그림이 가장 베스트이며
반면에 지금구간에서 횡보하면서 23년 1월 중순~말까지 시간을 주는 가능성도 있습니다.
여기서 상승할때 폴링웻지의 상단추세선을 넘어주는 것을 확인해야합니다.
상승추세선을 넘는 다면 다음으로 볼것은 21.5k를 넘어주는 것입니다
한번에는 넘기 힘드므로 18~20k에서 횡보해주어야합니다
다음은 주봉을 보겠습니다
지금구간에서 오랫동안 횡보한다면 18년도를 기억해두어야 합니다.
18년도와 현재가 동일하게 움직이려면 초록색 화살표와 같이 저점을 깨지않고
우상향해주는 그림이 되어야 합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69k를 넘고 100k를 가는 상승이 나올거라는건 너무 상상속의 이야기라고 보여집니다
현재는 30~40k정도의 상승장만 되도 매우 좋아보입니다
이런 느낌일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비트코인(BTC) 시황 및 매매플래닝* 바이낸스 현물 BTC/USDT 페어 차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지난 11월 12일 차트상 range high 를 fake out 하는 SFP(swing failure pattern)으로부터
매크로 수치에서 비롯된 soft landing을 위한 피봇 기대감으로 강한 랠리가 시작됨.
2. 해당 랠리는 랠리 과정 중 다소 과장된 내부 패턴들을 만들며 강하게 진행된 이후,
12월 15일 fomc 연준의 단호한 매파적 스탠스 이후 빠르게 식어버린 이후 EQ level에서의 횡보중
3. 현재 차트 외적으로 인지하기 쉽진 않지만 상방의 모멘텀 또한 분명 만들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만
매크로와 더불어 끝나지않는 USDT, binance, SBF, genesis trading 등등 온갖 해소되지 않는 fud들에 의해 코인씬에는
하락에의 모멘텀이 우세하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임.
4. 차트상 Bearish bat 이후 리액션에서 종가상 0.618 레벨(16.5k)을 지키는 듯 하지만 추세 스퀴징 성향이 다분한
빠른 되돌림이 식별됨.
4-1. 해당 하락은 range high에 미달한 채 적은 수의 캔들로 빠르게 고점을 형성 후 내려온 모습을 보임.
4-2. 이에 근거하여 bearish bat의 type 1 reaction에서 down trend가 직결될 수 있다고 판단함.
4-3. 현재 하늘색 박스구간에서의 accumulation 진행 이후 ltf상의 liquidity (17.5k) 부근까지의 manipulation phase 진행,
이후에는 range low를 타겟으로하는 distribution이 진행 될 것으로 판단함.
5. harmonic 에 기반하여 17.9k - 18.5k 구간 retest를 한번 더 거친 후 reversal이 진행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6. 19.2k 돌파시 찐반인가? 시전가능
(trading plan)
7. 상기의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accumulation zone low 부근 liquidity가 있는 레벨에서의 롱포지션
-> manipulation phase 에서의 롱 포지션 청산 이후 숏 포지션을 구축하여 range low 및 HTF의 L/L을 타겟으로
가져가는 트레이딩 플래닝
7-1. 5번의 내용에 기반하여 manipulation phase에서 up thrust 발생으로 상승이 깊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stop loss 설정이 필수로 동반되어야 함. 상단의 19.2k를 돌파하여 20k 터치 시에는 더 큰 TF의 랠리가 지속될 가능성이
시사됨.
8. 성투하세요~ 메리크리스마스^^
이더리움(ETH) 차트 분석 및 매매전략 * Binance futures의 eth/usdt 페어 선물 차트 기준입니다.
1. LTF의 하락채널 체크
2. rally 시도중 1.13 failed wave로 swing failure에 따른 AB=CD 완성 후 phase1(reaction) 진행중
2-1. 현 구간(0.618) 지지하며 D 포인트를 retest 후 phase2(reversal) 진행 될 가능성
2-1-1. gann square 종료 지점으로 long term의 횡보(상향) 시작이 가능한 위치
2-1-2. 매크로 및 MS 상의 상승 모멘텀의 부재(새로운 good news가 터지지 않는 한)
2-1-3. 종카운트상 추가 횡보의 필요성
=> 현 구간 지지 이후 상승 시 A 포인트(1315) ~ 1.272XA(1377) 레벨에서의 저점갱신을 targeting하는 숏포지션 오픈
2-2. 현 구간 break out 시 티피컬한 bullish shark -> bearish 5-0 로 이어지며 down trend 형성 가능성
2-2-1. 주봉 하락장악 캔들 등장 및 해당 캔들의 추가 하락 목표가 레벨 체크
2-2-2. FED 행보 및 여러 CEX, VC 및 BTC 대량 보유지갑(TSLA, MST 등)에의 해소되지 않은 FUD 다수존재(하락 모멘텀 多)
=> bullish shark의 D포인트(1105 ~ 1035)에서의 롱 포지션 오픈 이후 bearish 5-0의 prz에서 숏 스위칭(target 750$)으로 잇는 티피컬한 매매플랜 실행
a) bullish shark 의 X 포인트 break out 없이 0.886 레벨에서 반등시 지표상 HTF의 상승다이버전스로 꽤 강한 모멘텀 발생 염두
-> bearish 5-0의 실패 가능성 상승으로 판단하고 진입한 롱포지션 유지 + 보수적 숏 포지션(헷징) 오픈
b) bullish shark 의 X 포인트 break out 이후 반등시 지표상의 모멘텀 생성 어려움(예측일뿐 실제 그려진 이후 지표를 보고 판단 필요)
-> bearish 5-0 로 연결될 것으로 판단/ 소량(헷징)을 제외한 롱 포지션 물량 청산 + 숏 포지션 오픈
- 하방을 메인 트렌드로 보는 관점의 분석으로, 상기의 내용들에 근거하여 현 구간에서 먼저 나오는 방향의 파동 이후의 매매에 관한 전략입니다.
다들 성투
2022.12.15 비트코인 시황분석안녕하세요 비트코인 선물매매를 주력으로 하고있는 차트쟁이 빨간맛입니다
오늘 전국적으로 한파에 눈예보가 많은데 건강에 유의하시고 좋은하루 되시기바랍니다
BINANCE:BTCUSDT
오늘은 새벽에 있엇던 fomc 결과에 대해 이야기를 드리며 시작합니다
우리 모두가 예상하고있던 0.5포인트 빅스텝으로 금리가 결정됬네요
시장에 좋은영향을 줄것으로 예상했지만 금리 인상속도가 줄었는데 왜 주요지수 및 비트코인은 상승폭을 줄이며 마감했을까요?
연준의장인 파월의 발언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11월 발언때 금리인상 속도는 줄이더라도 최종 금리가 높아질수있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좋은 영향을 줄수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절대 좋지않은 소식입니다
오늘 새벽 발언의 경우 금리는 0.5포인트 인상하면서 속도는 조절하였지만 9월 제시하였던 최종금리 목표는 4.6포인트 에서 5.1포인트로 상향조정하였습니다
또한 최종금리는 확정이 아닌 물가상승률과 시장을 고려하여 더 높아질수있다라고 발언하였습니다
점도표의 경우 연준의원 19명중 17명이 최종 금리 목표를 5포인트 이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2%에 변함이없고 긴축기조를 장기간 이어갈것임을 이야기하였습니다
내년 GDP 성장률은 기존 1.25%에서 0.5로 하향조정하였으며 연준은 이를 경기침체로 생각하지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모두 원하였던 금리인하는 아직 생각하지않는다고 하였으며 높은 금리로 시장에 좋지않은 영향은 계속될것으로 해석할수있습니다
비트코인 시황분석을 시작합니다
비트코인 주봉에 흐름을 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69K 부터 이어온 하락 채널을 뚤고 위로 이탈하여 상승랠리를 기대하였지만 FTX 파산, 3AC, 셀시우스 대출 플랫폼들의 이따른 파산으로
시장에 신뢰성이 무너지면서 급락이 나왓습니다.
지금 차트로만 봣을때는 시장이 다시 회복세에 들어서고 상승렐리를 이어가기위해서는 많은시간이 필요해보입니다.
1차적으로는 새롭게 생성된 채널을 뚤고 올라가는지 지켜볼필요가있습니다
그렇다면 언제쯤 비트코인을 상승에 시작으로 간주하고 조금더 적극적으로 시장에 참여할수있을까요?
제가보는 기준은 주봉상 22K 위에서 마감한다면 다시한번더 69K 부터 이어온 하락에 대한 반전 신호로 해석할생각입니다.
그전까지는 항상 매매는 보수적으로 임하시길바랍니다
비트코인 일봉 흐름을 보겠습니다
25K 부터 새롭게 생성된 채널에 따라 채널내에서 움직이는중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상승에 무게를 두고 매매하고있으나, 채널을 상방이탈하여 마감하기 전까지는 채널링내에서 상단 터치 후 다시 전저점을 이탈하는 하락을 보고있습니다
중요하게 보는 레벨은 18.2~18.5K인근이며 이전에 중요한 지지라인으로 작용하다가 뚤리면서 급락이 나왔던 자리입니다
14일자 아이디어에 코멘트 해드린대로 18.2K 구간에서부터 숏관점을 보고 진입하여 새벽 FOMC 이후 전량 익절하였습니다
만약 비트가 18.5K 를 뚤고 강한상승이 나오더라도 19K~19.2K에서 막힐가능성을 높게 보고있으며, 채널을 하방이탈한다면 그때부터 숏관점 위주로볼예정입니다
비트코인 1시간봉 / 15분봉 흐름을 보겠습니다
어제 숏을 진입한 근거로 채널링 상단터치, 주요하게보는 저항라인, 1시간봉 / 15분봉 기준 하락다이버전스발생(가격은올라갔지만 RSI는 이전보다 높이지 못함)
해당근거로 18200인근에서 숏을 진입하여 채널링 기준으로 지지받기좋은 중단라인에서 전량익절한상태입니다
오늘에 매매전략은 급락이 나온상태이기 때문에 진입하기 좋지않은자리입니다
채널링 중단에 위치하고있기에 상승, 하락 둘다 가능하며 뉴트럴전략으로 기다림이 필요한 구간입니다
단기적으로 포지션을 잡기보다 캔들이 최소 몇시간은 그려지길 기다리시기바랍니다
캔들이 그려진다면 그때 코멘트로 대응부분에 대해 남겨드릴예정입니다
아직 아이디어 쓰는 실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개인적으로 보고있는 차트에 대해 설명능력이 아직 많이 부족하네요
앞으로 더 발전하여 좋은 분석글 남겨드릴수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비트코인(BTC) 단기 상승이후 매도 포지션 플래닝BTC/USDT (binance spot) 차트입니다.
1. H/H, H/L을 반복하며 상승중이나 고점을 높여내는 모멘텀 불충분
2. bearish crab(green) 완성 이후 type2 reversal 까지 만들어냈으나 down trend를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하면서 단기적 상승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
3. 상기 이유로 HTF 에서의 bearish bat의 bamm에 의해 단기적 상승 후 되돌림 또는 롱텀의 down trend 를 타겟으로 하는 매도 포지션을 고려.
4. 현구간에서의 단기적 상승 시 bearish bat CD leg 내에서 three drives가 컨펌될 수 있으며, LTF의 AB=CD 의 P.A 로 미루어 신뢰를 더함.
5. 해당 B-D 구간 상승을 flat x expending non-limiting triagle 의 복합파동으로 간주, triangle의 e파가 진행중
또는 leading diagonal 으로 시작된 상승이 진행중 으로 판단됨.
6. 따라서 단기적 상승 이후 short 포지션 오픈 후, 되돌림 후 재상승 또는 하락추세 형성의 가능성을 모두 염두에 둔 리스크 관리와 대응을 요함.
- 하락시 주요 마딧가에서의 헷징 long 포지션 오픈의 방법을 권함(swing long 자리가 될 수 있음).
성투
2022.10.28 비트코인 단기 관점 - 단기반등 후 또 다시 조정오늘 새벽 예상대로 하락이 나와주었지만,
중간중간 변태무빙이 수반되었으며, 경제지표 발표시간과 맞물려 있어서 결코 쉽게 가지 않았다.
현재 구간은 A파 조정이 끝났느냐, 아니면 한 파동 더 내리느냐가 중요하다.
개인적으로는 오늘 오전에 단기봉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하며 A파 조정이 끝났으며,
B파 상승이 진행될 거라고 보고있다.
상승힘이 부족해 보인다. 그러면 A파 길이의 파보나치 0.382까지 올라와 준다고 가정하면,
다음에 나올 C파동에서 하락의 폭이 크게 나올 거라고 예측해본다.
반면, B파가 플랫형태로 나올 수도 있고,
현재 조정파동이 335, 535와 같은 단순한 조정 패턴이 아닌 복합조정의 형태가 나오며 장기간 횡보할 수도 있다.
어쨋든 0.382 구간에서 절반을 익절할 예정이다.
사실 현재 구간에서는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대입하면 다양한 관점이 뽑힌다.
다른 하나는 현재 임펄스가 끝나지 않았다는 관점이다.
그렇게 본다면, 현재 4파 조정구간이고, 5파 상승이 한번 더 오게된다.
현재 구간이 조정 B파이던,
임펄스 4파 조정 후 5파 상승이 나오던,
둘 다 상방이다.
두 개 다 틀릴수도 있으니 레버리지는 5배를 넘지 않았으며,
폴링웻지 상단 돌파 시점으로 롱포지션에 진입되어있다.
[비트코인 단기 관점] 상승 한 발 더 남았나?어제 나왔던 상승으로 인해서 개인적으로 분석관점을 바꿧다.
10월 중순부터 시작된 ABC 조정파동에서 현재 C파 조정구간으로 보인다.
5-3-5 ABC 지그재그 조정으로 보이며,
세부파동 카운팅했을때, C파는 임펄스로 출현하면서 3파 연장파동이 나왔다.
현 관점이 맞다면, 지금 아직 3파가 안끝난 것 같다. 3-4파 조정 후 3-5파 올라가려고 준비중(수렴 상단 돌파 완료)
이렇게 되면 3파가 완성되고, 5파가 절단파동이 나오지 않는한 조금 더 상승여력이 남아있다.
현재 수렴구간 상단 돌파 확인하고 20280에 롱포지션 진입 완료.
절반 익절가는 20450(A파의 고점 부근)
현재 관점으로 쭉 간다면 21k까지 상승을 보고 있으나, 안심할수 없다.
왜냐면, 실업수당청구건수와 GDP 발표(내일), 미국 금리결정과 fomc 기자회견(다음주 11월 3일 새벽) 등 중대한 경제 이벤트가 남아있다.
일단 단기적으로 나스닥 움직임과 거래량을 주시하며 매매에 신중을 기해보자.
참고로 현재 비트 움직임이 간헐적으로 나스닥과 상관없이 가고있다.
DXY(달러인덱스) 분석1.달러는 10월 21일 고점 이후 급격한 하락중
2. AB=CD패턴의 조정을 그리며 CD leg에서 하락깃발 형태로 하락중.
3. 해당 하락깃발형 패턴의 하락 목표값은 110 부근.
4. 하락 목표값에 도달 이후 반등한다 해도 평행채널 중단 및 장기이평선에 막혀 재차 하락할것이라 판단됨.
5. AB=CD 패턴값109 부근은 강하게 지지받을 수 있는 구간이며 평행채널 하단에서 bullish gartley로 이어져 최소한의 반등이 예상됨.
6. 상기 내용과 같이 달러의 추가하락 여지가 다분하여 비트코인을 포함 증시 및 자산시장의 rally가 더 이어질 수 있고, 보수적인 매도포지션 진입을 권고하나, 달러인덱스가 109부근에 도달 시에는 매수 포지션을 대부분 정리하고, 매도포지션을 오픈해야하는 매력적인 자리가 올 것으로 판단됨.
[22.10.25] 비트코인 차트분석 / 데이트레이딩 관점
안녕하세요
안전한 트레이딩을 지향하는 굳라이프입니다.
15분 차트입니다.
데이트레이딩 관점이 되겠습니다. 항상 작은 물줄기부터 방향을 바꾸게되니.
선탑의 기준이 될수 있습니다.
위아래로 큰 시간의 기준의 노란 추세선 안에
작은 행성의 수렴도 진행중입니다.
지켜줘야하는 19200라인은 청록색 라인.
빨간 수렴이탈이 17시 전후로 나타날수 있는 모습입니다.
이탈방향대로 매매가 가능한 영역이라고 보여집니다.
이탈 후 저항과 지지를 받는지. 꼭 체크하셔서 안전하게 매매하시길 바래요.
항상 차트 분석은 큰 시간프레임부터 작은 시간프레임으로 내려오면서
큰 구조에서 작은 구조로 분석하길 권합니다.
4시간의 프레임과 1시간의 프레임은 아래 아이디어들을 참고해주세요
BTCUSD ltf 전략_221005ltf에 20300언저리 저항대에서 re-accumulation model을 형성 중인 걸로 보고있음.
다만 Spring을 만들고 갈지 바로 LPS형성 후 올릴지는 지켜봐야 할 듯?
re-accumulation model이 아니라면 ltf distribution model로 보고 LPS형성 후 올라온 19400~19500 부근(이전 글들 참조)에서 다시 구조 형성하는지 볼 계획임.
Target price @21571 or 22451
아님 말고
re-accumulation model과 distribution model 구조가 비슷해보여서 아리까리하넹
BTC HTF 전략_Wyckoff+Harmonic앞서 15분봉 단위의 ltf에서의 전략으로 봤는데
상대적으로 HTF인 시간봉 단위로 보면
HTF에서도 accumulation model로 보고 단 Spring은 없는 model이긴 하지만 거진 1년 간의 장기 하락추세선을 강하게 깼기 때문에
여기서 냅다 내리꽂는 휩쏘없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보고 Spring도 없을 것으로 생각함.
Harmonic pattern으로 보면 아직 B포인트로 설정한 부분을 넘지않았고 전체 패턴도 완성이 안되어서 불완전할 수 있지만
Bullish Bat Pattern으로 보고 왼쪽 Imbalance구간을 해소하고 위로 좀 더 가지 않을까 싶음
Target Price @22415
아님 말고
[09/22]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지금으로 부터 약 8시간 전, FOMC 발표가 있었습니다.
금리인상은 75bp(자이언트스텝)로 예상치만큼 나왔습니다.
대체적인 발표 내용은 노동시장은 괜찮지만, 물가는 조금 더 지켜봐야한다며 연말까지 125bp인상이 일단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발표 시간에 나스닥과 비트코인이 굉장히 큰 폭으로 움직였는데, 발표가 끝나고 결국 슬금슬금 하락하기 시작하며 나스닥이 선행하여 저점을 이탈하였고, 그 이후 비트코인이 따라서 저점을 이탈하였습니다.
엘리엇 파동상으로 분석해보면, 큰 하락이 발생할 수도 있겠습니다.
22.8k부터 임펄스 하락파동이 시작되었다고 보면, 중간에 보여지는 2와 3-2에서 abc파동이 출현하였고, 어제 FOMC 발표를 시작으로 3-3파로 하락할 가능성이 보여집니다. (거래량도 3파로 볼 수 있을만큼 강함)
관점 중에 하나일 뿐이지만, 이 경우 17.6k 저점 이탈은 물론이고, 패닉셀까지 터지면서 그 이하까지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롱 포지션은 조금 조심해야할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라인 17.6k를 이탈하면 아래에는 크게 걸려있는 선이나 지지라인이 없기 때문에 어디까지 떨어질지 모릅니다.
17.6k는 항상 꼭 체크하시고, 현재 애매한 위치에 비트가 위치해있기 때문에 장이 많이 어렵습니다.
자신이 생각한 자리가 오지 않는다면 포지션 진입을 하지 않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마동석코인 마코 엑시인피니티 (AXSUSDT) 차트분석입니다.
안녕하세요 마동석코인 마코 입니다
오늘은 엑시인피티니 ( AXSUSDT ) 분석 입니다.
현재 엑시는 고점 돌파후 우하향 횡보 중입니다.
현재 상황입니다.
현재 엑시는 30분 1시간 저항선까지 터치 하였고
30분 1시간 양운이 얇게 생성 되었습니다.
4시간 음운으로 얇아지고 있는 중이며
현재 6시간 골크 각인 직전의 상황입니다
여기서 6시간 골크가 각인되면
큰움직임이 한번은 나올꺼라고 생각되며
4시간 중앙을 계속 두들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4시간 저항까지 1차 타겟을 잡았습니다
현재구간에서 진입자리 12.565 USDT 입니다
1차 타겟가는 13.425 USDT 4시간 저항선 터치 기준
2차 타겟가는 14.475 USDT 전고점 돌파기준 입니다.
손절가는 30분 지지 1시간 중앙라인을 이탈하는 경우 손절입니다.
제 글은 참고정도만 부탁드리며
매매에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거래는 분석이 아니라, 거래 전략에 의해 대응해 나가야 합니다.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USDT + USDC 1W 차트)
투자 시장에서 분석 자료들은 개인 투자자로 하여금 주관적인 추측을 하게 만드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분석 자료 중 특히, 세계 경제 분석, 세계 이슈을 바탕으로 분석된 자료들은 더욱 그러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세계 경제 분석, 세계 이슈을 바탕으로 분석 자료를 볼 때는 자신의 거래 전략이 만들어진 다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인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유출되는 창고로 스테이블 코인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인 시장이 상승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먼저 USDT나 USDC의 상승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투자 시장에서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이런 분석에 의한 매수, 매도를 해나가는 것이 아닙니다.
투자 시장에서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거래 전략이 수립되어야 합니다.
거래 전략 자체가 없다면, 수익은 행운에 의한 것일 뿐이고, 거래를 계속할수록 손실로 전환될 것 입니다.
투자 시장, 즉, 코인 시장이나 주식 시장에서 거래에 익숙하지 않다면, 세계 경제 분석, 세계 이슈 등으로 분석된 글을 보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오로지 차트의 흐름을 가지고 자신만의 거래 전략을 수립해 나가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거래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되면, 더욱 더 세계 경제 분석, 세계 이슈 등의 분석글을 보지 않게 될 것입니다.
거래 전략으로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투자 기간
2. 투자 규모
3. 거래 방법
1. 투자 기간
투자 기간을 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사항을 참고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은 어느 코인 생태계에 속해 있느냐와 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이러한 사항을 확인할 수 없다면, 단기 거래로 짧은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하루에 차트를 보고 거래할 시간이 부족하다면, 시가 총액이 높은 코인(토큰)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거래를 진행하면서 투자 기간을 변경하는 것은 거래 자체가 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즉, 단기 거래로 매수하였지만, 가격이 하락하여 손실로 전환되었다고 Stop Loss 지점에서 매도하지 못하고 긴 기간동안 홀딩하여서는 안됩니다.
처음에 단기 거래로 거래 전략을 수립하였다면, 반드시 단기 거래로 거래를 마감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다음에 시작할 거래에 성공적으로 마감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심리적 상태에 따라 거래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가격이 상승하여 수익 중이라면 투자 기간은 연장될 수 있습니다.
다만, 분할 매도로 구간 구간에서 수익을 챙겨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투자 규모
투자 규모는 자신의 총 투자금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를 고려하여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중장기적으로 투자를 진행하려고 매수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때, 모든 자금을 사용하여 매수하여 현금이 고갈되면, 투자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심리적 불안감이 증가하게 되어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되기도 전에 거래를 마감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자금 운영은 거래를 진행하는데 필수적으로 중요합니다.
3. 거래방법
거래 방법에서 고려해야 하는 것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거래 전략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Stop Loss 지점이 필요합니다.
이 Stop Loss 지점에서 100% 매도할 것인가 부분 매도하여 자금을 활용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합니다.
손실을 기록하고 있을 때, Stop Loss 지점을 변경하는 것은 지향해야 합니다.
이는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수립한 거래 전략 중 투자 기간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분할 매수 지점과 분할 횟수 등을 정하고 이에 맞는 Stop Loss 지점과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분할 매수하는 이유는 매수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함으므로 가격이 상승한다고 가격 따라 매수하여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차트를 보고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를 받는지 저항을 받는지 확인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는 많은 거래를 통해서만 습득되는 노하우이기 때문에 꾸준한 노력을 해야 얻을 수 있습니다.
거래 방법 중에서 또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는 현금 수익을 얻을 것인가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갈 것인가 입니다.
현금 수익은 가능하다면 현물 단기 거래나 무기한 선물 거래로 얻는 것이 좋습니다.
코인(토큰) 갯수를 늘리는 거래 방식으로는 매수 단가별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1. 10%, 20% 등 수익율에 따라 매도하는 방법, 2.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분할 매도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매도시 매수 원금(+ 거래 수수료 x2 ~ x20 포함)하여 분할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되면, 약간의 현금 수익과 함께 코인(토큰) 갯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자신의 자금 규모에 따라, 매수하는 금액에 따라, 거래 회수에 따라 코인(토큰) 갯수가 증가폭이 다르게 때문에 많은 경우의 거래를 진행하여 본인이 만족할 수 있게 조절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하락추세에 있을 때 활용하게 되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매수 원금을 모두 회수하였다면 남아 있는 코인(토큰)은 순이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이므로 매수 단가가 0 입니다.
이렇게 매수 단가가 0인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게 되면 많은 거래를 진행하여도 심리적으로 안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거래가 즐거워지게 됩니다.
현금 수익을 얻고자 현물 단기 거래나 무기한 선물 거래를 할 때는 주 포지션과 보조 포지션을 구분하여 투자를 진행해야 합니다.
현물 단기 거래는 "SHORT' 거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차트에 있는
MRHAB-T지표, Long/Short-S지표, CCI-C지표를 참고하여 매수하면 됩니다.
무기한 선물 거래시에서는 1D 차트상 상승 추세이거나 상승 캔들일 때 주 포지션을 'LONG"으로 설정하고 거래하면 됩니다.
()
1. HA-Low, HA-High, MACD-T지표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 확인하고,
2. Long/Short-S 지표에서 RSI지표와 Stoch RSI 지표의 과매수 구간, 과매도 구간에 있는지 확인하고,
3. CCI-C지표에서 CCI선이 -100, 0, +100 지점이나 EMA선에서 상승세를 유지하는지 하락세를 유지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렇게 확인된 정보를 바탕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면 됩니다.
------------------------------------------------
(USDT.D 1M 차트)
USDT 도미넌스 차트를 보는 이유는 시가 총액 순위가 높은 스테이블 코인이기 때문입니다.
USDT를 통해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되면 USDT 도미넌스도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USDT, USDC, USDT.D, USDC.D 차트는 전체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게 됩니다.
이것이 전제 조건입니다.
만일 USDT, USDC, USDT.D, USDC.D 차트가 하락 추세를 보이게 된다면, 코인 시장은 패닉 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고, 엄청난 하락장이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다만, USDT 도미넌스, USDC 도미넌스는 코인 시장에서 자금이 거래에 사용됨에 따라 단기 하락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단기 하락세를 보일 때가 코인 시장의 상승장이 될 것 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USDT 도미넌스는 4.97-5.53 구간 이하로 하락하여야 코인 시장의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 입니다.
(1W 차트)
따라서, 하락 추세선을 따라 4.97-5.53 구간 이하로 하락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
(BTC.D 1W 차트)
BTC 도미넌스는 BTC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관여한다고 보지 않습니다.
BTC 도미넌스이 상승하거나 하락함에 따라 자금이 BTC쪽이 집중되어 있는지 알트코인쪽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BTC 도미넌스 차트로만 가지고 자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다만, BTC 도미넌스가 39.56-40.44 구간이나 그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BTC 가격의 큰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차트에서 비활성화되어 있는 MRHAB-T 지표에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Long/Short-S지표의 배경색 : RSI의 과매도, 과매수 구간 표시
** CCI-C지표의 배경색 : 단기 CCI선이 -100 이하일때, +100 이상일때 과매도, 과매수 구간 표시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비트코인 반등얼마나할까?
BTCUSDT/1D
비트코인일봉
우선 5월월봉 저점 및 종가마감했던 26700불~31801.04불 라인 저항대 움직임을봐야겠지만 해당구간까지 반등 및 돌파해준다면,
이전브리핑드린 하모닉패턴의 패턴값인 382부근까지 와 2021년6월22일 저점~22년1월26일 이탈한 동적지지선 저항부근 까지 반등관점으로 보고있습니다(저점꺠지않는다면 패턴값유효) ,
거래량또한 긍정적으로 많이 붙어주는 그림으로 반등에 무게를두고보고있으며,
7월월봉마감 이전6월 중심값저항인 25K돌파 및 지지 여부도 확인하셔야겠습니다.
BINANCE:BTCUSD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