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를 시작하게 만드는 핵심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HA-Low, HA-High 지표는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따라서, 하이킨아시의 Open, Close, RSI값으로 결정됩니다.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캔들이 상승하다가 하락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RSI 지표의 값이 70 이상에 위치해 있다면 HA-High 지표가 생성됩니다.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캔들이 하락하다가 상승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RSI 지표의 값이 30 이하에 위치해 있다면 HA-Low 지표가 생성됩니다.
그러므로, 눈으로만 상승 전환되었다 하락 전환되었다라고 판단하기 보다 좀 더 명확한 기준으로 상승과 하락 전환을 판단하게 됩니다.
일반 차트에서 보면, 하이킨아시 차트와 다르게 상승과 하락 전환 시점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하이킨아시 차트는 fake를 감소시켜 보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 차트보다 판단하는 것보다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게 됩니다.
하이킨아시 차트의 가장 큰 단점은 Open, Close값의 정확한 값을 알기 어렵다는 것 입니다.
그러므로, 일반 차트에서 하이킨아시 차트의 상승과 하락 전환 시점을 표시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Open, Close값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 HA-Low, HA-High 지표 입니다.
-
하이킨아시 차트는 중간값을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HA-Low 지표는 저점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의 중간값에 해당되고, HA-High 지표는 고점 구간에서 벗어났을 때의 중간값에 해당됩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된 다음 지지 받게 되면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고, HA-High 지표가 생성된 다음 저항 받게 되면 하락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HA-Low, HA-High 지표는 기본 거래 전략에 활용됩니다.
다만, HA-Low, HA-High 지표는 중간값이다 보니, HA-Low 지표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HA-High 지표에서 지지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자 DOM(60), DOM(-60) 지표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DOM 지표는 DMI + OBV + MOMENTUM 지표를 종합 평가한 지표입니다.
이 지표가 60 이상이거나 -60 이하일 때 DOM(60), DOM(-60) 지표가 생성되도록 하였습니다.
즉, DOM(60) 지표는 과매수 구간에 해당되어 고점의 끝을 나타냅니다.
DOM(-60) 지표는 과매도 구간에 해당되어 저점의 끝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HA-Low 지표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었을 때 실제 계단식 하락세는 DOM(-60) 이하로 하락하면서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었을 때 실제 계단식 상승세는 DOM(60)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HA-Low, HA-High 지표의 단점을 보완하였습니다.
-
모든 거래에서 100% 확신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거래를 시작하게 되는 동기가 명확하다면 거래를 도전해 볼 가치가 있을 뿐 입니다.
그 동기를 어떻게 찾아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를 시작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거래 전략이고 거래의 핵심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브레드쓰 인디케이터
7월 11일까지 변동성 기간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이번 변동성 기간은 최대 7월 1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번째 변동성 기간이였던 7월 1일-7일3일이 지나고 두번째 변동성 기간이 7월 6일부터 진행되었습니다.
말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긴 하지만, 직관적으로 차트를 봤을 때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면 더 좋은 일이라 생각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추세선이 작도된 차트와 지표들이 표시된 차트로 구분하였습니다.
추세선은 변동성 기간을 산출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기 때문에 변동성 기간을 표시한 이후에는 굳이 보이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산출된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지표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 거래 시점을 찾는데 있습니다.
-
현재 1D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인 108316.90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 중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08316.9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기본 거래 전략으로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가격 위치로 봤을 때는 매도하여 수익을 얻어야 하는 구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HA-Low, HA-High 지표는 중간값이기 때문에 HA-Low 지표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HA-High 지표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분할 거래로 대응해야 합니다.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조건으로는
1. OBV가 High Line 이상에서 상승세를 보일 때,
2. PVT-MACD 오실레이터가 상승세를 보일 때,
3. StochRSI의 K > D 인 경우로 상승세를 보일 때,
위의 조건이 만족되어야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면서 추세를 다시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때, 99705.62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상승하게 되면, 111696.21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지지 받지 못한다면, 고점 구간을 돌파하지 못한 꼴이 되므로 하락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고점 경계 구간은 108316.90-111696.21 구간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 내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향 돌파하기 위한 시도를 계속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EOS -> Vaulta : (0.5013 지지 여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OS는 네트워크 개편 중에 은행업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Vaulta로 전환하였습니다.
(AUSDT 1D 차트)
0.5013 부근으로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4h 차트)
단타 거래(day trading)으로 볼 때,
지지 구간 : 0.4942-0.4822
저항 구간 : 0.5959-0.6394
위의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다만,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0.5013 부근을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이 부근과 0.5389 부근에 형성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을 어떻게 상승하게 될지가 중요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2419.83-2706.15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D 차트)
ETH는 2419.83-2706.15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이 구간은 본격적인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해 지지 받아야 하는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TH는 거래하고 한다면, 2419.83-2706.15 구간에서 지지 여부가 확인되었을 때 매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08316.90-111696.21 구간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여러 추세선 중 1W라고 표시되어 있는 추세선이 중요한 추세선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1W 추세선 이상 상승하거나 추세선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108316.9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7월 3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대 7월 11일까지 변동성 기간에 해당되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는 DOM(60), HA-High, StochRSI 80 지표입니다.
HA-High, StochRSI 80는 108316.90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DOM(60)는 111696.21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08316.90-111696.21 구간은 고점 경계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여야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계단식 상승세가 시작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 StochRSI 지표의 K가 80 이하에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가 0 지점 이상에서 상승세를 보여 주어야 합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가 상승세를 보여 주어야 합니다. 가능하면, Low Line ~ High Line 채널이 상승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108316.90-111696.21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위의 조건이 만족하지 못한다면, 상승하는 척하다고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중요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 0.2392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EIUSDT.P 1M 차트)
선물 차트에서 1M 차트가 무슨 의미가 있나 생각하지만, 현재의 큰 그림상의 추세를 안다면 주 포지션과 부 포지션에 맞게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1M 차트에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0.2392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지점을 기준으로 큰 추세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0.239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1W 차트)
현재 1W 차트상에서 StochRSI 80 지표 지점인 0.2750 지점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StochRSI 80 지표는 고점 구간을 알려주는 지표 중 하나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StochRSI 80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지지 받지 못한다면, 저항 지점에 해당되기 때문에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승이 시작되면, 기본적으로 HA-High 지표를 만날 때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HA-High 지표는 0.7406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상승할 때,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근에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
(1D 차트)
상승하기 위해서는 0.2801-0.2998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기본적으로 HA-Low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0.2392 지점에 중요한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따라서,0.2392 이하로 하락한다면, 가능하면, 거래를 멈추고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0.2998 이상 상승하게 되면, 저항 구간이 약하기 때문에 0.4323-0.4820 부근으로 급등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D 차트의 M-Signal 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StochRSI 지표의 변형된 지표를 단독으로 트레이딩뷰에 등록시키는데 실패하여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OBV by readCrypto 지표에 추가하였습니다.
지표 설정창 맨 위에서 아래로
1.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 지표
2.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
3. StochRSI 지표
위와 같은 순서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사용하는 값들이 다 틀리기 때문에 하나의 지표에 하나면 활성화하여 사용하셔야 합니다.
위 차트를 확인해 주세요.
------------------------------------------
(BTCUSDT 1D 차트)
1D 차트의 HA-High 지표 (108316.90)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하여 하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StochRSI 50 지표 지점인 107340.58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 중에 있습니다.
만일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104463.99 부근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4463.99 지점은 1W 차트의 DOM(60) 지표 지점으로 1W 차트에서의 고점 끝 지점에 해당됩니다.
마침 104463.99 지점 부근에 StochRSI 20 지표 지점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요도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
1D 차트의 M-Signal 지표가 106133.74 부근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이 부근을 터치하면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침 7월 2일경(7월 1일-3일)에 변동성 기간이 시작되기 때문에 현재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
다만, 핵심은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움직임은 당연한 것일지 모릅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7월 10일경(7월 9일-1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지 때문에 fake에 걸려들지 않도록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 StochRSI 지표의 K < D인 상태로 전환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가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Low Line ~ High Line 채널의 OBV지표에서 High Line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표들의 모습을 보면 전체적인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OBV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는 모습이 나온다면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StochRSI 50 지표 지점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하면서 지표들의 움직임을 관찰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시기는 DOM(-60) ~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입니다.
그 이외에서 매수하기를 원한다면, 짧고 빠른 대응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고점을 알려 주는 지표는 HA-High, DOM(60) 지표 입니다.
그 외에 빠른 대응을 요구하는 StochRSI 80, StochRSI 20 지표가 있습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변동성 기간 이후 추세 변화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은 6월 21일-23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변동성 기간이 지나고 형성된 추세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99705.62 지점은 1W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이므로 이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만일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면, 89294.25 부근으로 하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89294.25 지점은 1D 차트의 HA-Low 지표 지점입니다.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99705.62 부근으로 상승 중이기 때문에 99705.62 부근이 중요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승 전환한다 하더라도 1D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인 108316.9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결국 다시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에서 하락하였다는 의미입니다.
즉, HA-HIgh 지표 지점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HA-High 지표는 중간값이기 때문에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점의 끝 지점은 DOM(60) 지표입니다.
따라서, 111696.21 지점 이상 상승하여야 고점 구간 이상 상승하였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108316.90-111696.21 구간을 어떻게 상향 돌파하는지에 따라 상승세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
보조 지표 OBV 지표에 Low Line ~ High Line 채널로 만들어진 OBV 지표가 있고,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가 있습니다.
Low Line ~ High Line 채널로 만들어진 OBV 지표는 말 그래도 채널이 어떻게 구성되어지고 있는지, OBV가 그 채널의 Low Line 이하로 하락하는지 High Line 이상 상승하는지를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채널의 패턴에 따라 앞으로의 추세를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는 MACD 수식에 Close값 대시 PVT값을 넣어 만든 지표입니다.
따라서, MACD 오실레이터 지표와 비슷한 모습을 나타냅니다.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를 보는 이유는 거래량의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많은 거래량 지표들이 있지만, 이번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는 거래량의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
다만,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 Low Line ~ High Line 채널로 만들어진 OBV 지표,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의 변화가 어느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발생하고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만일 이러한 지표들의 변화가 DOM(-60), HA-Low, HA-High, DOM(60) 지표 지점 부근에서 발생되었다면 거래 전략을 만드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DOM(-60) 지표는 저점의 끝 지점을 나타냅니다.
즉, DOM(-60) 지표 이하로 하락한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으로 진입하였다는 의미로 본격적인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에서 벗어났다는 의미입니다.
즉, HA-Low 지표 이상 상승하게 되면, 상승세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HA-Low 지표는 중간값이기 때문에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DOM(-60) ~ HA-Low 구간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현재 Low Line ~ High Line 채널로 만들어진 OBV 지표가 Low Line 이하로 하락한 모습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Low Line ~ High Line 채널이 하락 채널로 전환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추세의 전환을 의미하는 'M'자형 패턴이 발생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PVT-MACD 오실레이터 지표가 아직 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매도세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오실레이터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매도세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HA-High 지표 부근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HA-High ~ DOM(60) 구간의 저항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지지와 저항 지점은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지표의 기준 타임 프레임 차트는 1D 차트이기 때문에 1D 차트의 흐름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여러 지표를 한번에 종합하여 봐야 해서 어렵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HA-Low지표나 HA-High 지표에 접근하였을 때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된다는 것 입니다.
그 이유는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하는 기본 거래 전략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OBV 지표의 새로운 해석 방법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보조 지표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고, 지표를 사용하지 말라는 말을 하는지는 가격의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가격 부분에 추가되는 지표들은 가격의 흐름을 반영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그런대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보조 지표는 그렇게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 중에서 거래량에 관한 지표들은 사용하기도 애매하고 해석하기도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OBV 지표를 변형하여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
OBV 지표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애매한 부분은 가격의 흐름이 반영되어 있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보조 지표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 하더라도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OBV 보조 지표의 High Line과 Low Line를 가격 부분에 표시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즉, High Line = OBV High, Low Line = OBV Low
-
그러면, 현재의 가격 위치에서의 OBV를 해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조 지표의 OBV는 현재 OBV EMA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즉, 현재 OBV는 Low Line ~ High Line 구간 내에 위치해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 부분에 표시된 OBV High와 OBV Low 지표를 보면, OBV Low 지표 이하로 하락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OBV 지표의 Low Line 이하로 하락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조 지표의 OBV의 위치와와 가격 부분에 표시된 OBV 위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보조 지표의 OBV를 정상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가격 부분의 OBV Low 지표 이상으로 가격이 상승한 상태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다면, 보조 지표의 OBV의 해석은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야 합니다.
즉, OBV Low 지표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해석하고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1D 차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는 너무 빠른 변동성을 나타나기 때문에 가능하면 1D 차트 이상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어떠한 지표도 그 지표 하나만으로 차트를 분석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지표나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지표를 추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여야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지표는 크게 StochRSI 지표, OBV 지표, MACD 지표입니다.
이 지표들을 응용하여 M-Signal 지표, StochRSI(20, 50, 80) 지표, OBV(High, Low) 지표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DOM(60, -60) 지표는 DMI, OBV, Momentum 지표를 종합 평가하여 고점과 저점을 표시하도록 만든 지표입니다.
그리고,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든 저의 기본 거래 전략 지표인 HA-Low, HA-High 지표가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HA-Low, HA-High 지표입니다.
나머지 지표들은 HA-Low, HA-High 지표에서 거래 전략을 만들거나 세부 대응 전략을 만들 때 필요한 보조적인 지표들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104984.57 부근에서 지지 여부 확인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OBV 지표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캔들 body 색상이 진한 녹색(#00332a)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므로, StochRSI 80 (104984.57) 부근에서 지지 받고 10613.74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하락하게 된다면,
1차 : 104463.99
2차 : 102302.08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104984.57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이게 되면, 상승할 가능성이 높지만, 변동성 기간이 5월 20일까지 (최대 5월 28일) 진행되기 때문에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므로, 변동성 기간 이후에도 102302.08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을 터치하면서 이전 차트를 갱신하고자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현재 BTCUSD 12M 차트)
현재 작성된 피보나치 비율로 볼 때 최대 3.618(178910.15) 까지 표시되어 있습니다.
피보나치 비율 0.618(44234.54) 이하는 다시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TCUSDT 12M 차트)
BTCUSDT 차트로 볼 때 42283.58 부근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
다시 BTCUSD 차트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연두색 박스로 표시된 피보나치 비율 구간인 1.902(101875.70) ~ 2(106275.10) 구간과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은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피보나치 비율 1.618(89126.41),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2025년에 최대 상승 구간은 3(151166.97) ~ 3.14(157451.83)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2.618(134018.28)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는지를 살펴봐야 겠습니다.
2025년의 불장을 끝으로 하락하게 된다면, 사실 어디까지 하락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이전의 하락 폭으로 볼 때 약 -60% ~ -7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보나치 비율 3.14(157451.83) 부근에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거의 피보나치 0.618(44234.54)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Volume OBV 지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트레이딩뷰는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차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매력적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플랜에 따라 차트에 추가할 수 있는 지표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자신의 플랜에 맞게 지표를 추가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하나의 지표에 여러 지표를 통합하게 되었습니다.
-
본 차트에 있는 HA-MS 지표는 공개한 지표입니다.
OBV 지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는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해석 방법을 보다 현실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만들려고 아래와 같이 표현하였습니다.
캔들의 몸통 색상은 OBV 지표를 4단계로 구분하여 색상으로 표시하였습니다.
OBV 지표를 Price Channel 지표와 같이 구분하였습니다.
해석은 볼린저밴드처럼 하면 됩니다.
즉, 2, 3을 구분하는 선 중간선으로 3 이상 상승하게 되면 매수세가 증가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 Price Channel의 하단선 이하를 의미하고, 진한 붉은색으로 표시됩니다.
이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면, 급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머지않아 하락을 멈추고 2으로 상승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해야 합니다.
2 : Price Channel의 하단선 ~ 중간선 사이를 의미하고 붉은색으로 표시됩니다.
이 구간은 약한 하락 횡보를 보일 가능성이 있는 구간입니다.
따라서, 1-> 2으로 상승시 짧은 상승을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3으로 상승하지 못하면 다시 1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거래는 짧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3: Price Channel의 중간선 ~ 상단선 사이를 의미하고 녹색으로 표시됩니다.
이 구간은 약한 상승 횡보를 보일 가능성이 있는 구간입니다.
2 -> 3으로 상승하여 횡보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점을 찾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4: Price Channel의 상단선 이상을 의미하고 진한 녹색으로 표시됩니다.
이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면 급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머지않아 상승을 멈추고 3으로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확인해야 합니다.
-
우리가 눈여겨 봐야 하는 것은 1 -> 2, 4 -> 3으로 변경되었을 때 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렸지만, 1은 Price Channel의 하단선 이하에 위치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급락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4은 Price Channel의 상단선 이상에 위치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급등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1 -> 2로 변경될 때 공격적인 매수를 진행할 수 있고, 4 -> 3으로 변경될 때 매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선물의 경우는 LONG, SHORT 포지션의 진입과 청산에 참고 정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차트에 꼭 필요한 것은 가격과 거래량 뿐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실제 이를 해석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기존의 캔들의 색상을 숨기고 OBV의 4단계로 표시함으로서 현재 가격이 어느 단계에 위치해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BW 지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W 지표는 MACD, StochRSI, OBV, superTrend 지표를 종합 평가한 지표입니다.
BW 지표는 각종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후행성 지표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BW(100), BW(0) 지표가 생성되었을 때 이미 가격이 많이 벗어나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BW(100), BW(0) 지표를 다시 교차할 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MACD 지표)
소스값 : ohlc4
설정값 : 10, 26, 9
M-Signal = (10 EMA + 26 EMA) / 2
S-Signal = M-Signal 값의 9 EMA
M-Signal > S-Signal 인 경우 : +10
M-Signal < S-Signal 인 경우 : -10
M-Signal = S-Signal 인 경우 : 0
-
(StochRSI 지표)
소스값 : ohlc4
설정값 : 14, 7, 3, 3 (RSI, Stoch, K, D)
StochRSI = (K + D) / 2
StochRSI EMA = StochRSI 값의 7 EMA
StochRSI > 50 인 경우 : +10
StochRSI < 50 인 경우 : -10
StochRSI = 50 인 경우 : 0
-
(superTrend 지표)
소스값 : ohlc4
설정값 : 3, 2 (factor, atr Period)
Sell Line을 상향 돌파시 : +10
Buy LIne을 하향 돌파시 : -10
Buy Line ~ Sell Line 구간에 있는 경우 : 0
-
(OBV 지표)
기간 : 18
OBV가 High Line 이상에 위치할 때 : +20
OBV가 HL2 ~ High Line 구간에 위치할 때 : +10
OBV가 HL2 ~ Low Line 구간에 위치할 때 : -10
OBV가 Low Line 이하에 위치할 때 : -20
-
위의 결과값에 50을 더해 0 ~ 100 범위로 표현한 것이 BW 지표입니다.
100 지점을 터치한 다음 하락하면, BW(100) 지표가 생성됩니다.
0 지점을 터치한 다음 상승하면, BW(0) 지표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 BW(100) 지표는 고점 경계을 의미하므로 고점 구간을 형성하였다고 해석하고,
- BW(0) 지표는 저점 경계을 의미하므로 저점 구간을 형성하였다고 해석합니다.
BW(100), BW(0) 지표의 지점을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캔들이 3개 이상에 걸쳐 수평선을 이루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지와 저항 지점의 역할이 약하기 때문에 거래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고점 구간이나 저점 구간을 표시해 주는 지표가 하나 더 있습니다.
그 지표는 HA-Low, HA-High 지표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StochRSI와 OBV로 보는 앞으로의 전망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기 위해 트레이딩뷰의 인덱스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
(BTCUSD 1M 차트)
OBV가 고점선(High Line)을 상향 돌파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다음 달의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고점선(High Line)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상 상승하였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된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지 살펴봐야 합니다.
1M 차트의 지표의 움직임을 볼 때,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
(1W 차트)
1W 차트의 움직임 때문에 BTC를 분석하는데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StochRSI 지표가 100 지점에 유지되고 있고, StochRSI EMA 지표가 100 지점에 접근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StochRSI EMA는 현재까지 확인해 본 결과 100 지점을 터치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이에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하락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OBV지표가 고점선(High Line) 이상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서, 다음 주에 고점선(High Line)이 생성된다면, 고점선(High Line) 내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이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BTC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StochRSI 지표와 OBV 지표로는 하락폭을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하락이 시작된다면, MS-Signal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1D 차트)
BW(100) 지표가 101197.25 지점에 생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01197.25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가능합니다.
OBV 지표가 고점선(High Line) 부근에 근접해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서, 101197.25 이상 상승할 때 OBV 지표가 고점선(High Line)을 상향 돌파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서, 50 지점 이상 상승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BTC가 95961.82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HA-Low지표나 BW(0) 지표가 생성된다면, 그때, 그 지표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
(BTCUSDT 1D 차트)
12월 3일경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95904.28-98892.0 구간 부근에서 다음 변동성 기간까지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따라서, 95904.28 이하로 하락하지 않는한 횡보(sideways)하면서 1W 차트의 StochRSI 지표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BTCUSDT 1D 차트에서 말씀드린 내용이 핵심입니다.
BW(100) 지표 지점인 101109.59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하고, StochRSI 지표가 50 지점 이상 상승한 상태에서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로 전환된다면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앞서 1W 차트에서 말씀드린대로 1W 차트의 StochRSI EMA 지표가 100 지점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결국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이라는 겁니다.
아래에 적어둔 큰 그림에 대한 설명처럼 2025년말까지 코인 시장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단기 하락을 하든 아니면 하락세를 보이더라도 결국 현재의 가격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
BTC의 전 구간을 확인하기 위해서 트레이딩뷰의 INDEX 차트를 사용하였습니다.
(BTCUSD 12M 차트)
큰 그림상으로 볼 때 2015년부터 하나의 패턴을 따라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즉, 3년 상승장을 유지하고 1년 하락장을 맞이하는 패턴입니다.
이에 따라서, 2025년까지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LOG 차트)
LOG 차트로 보면, 상승폭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46K-48K 구간이 초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44K-48K 이하의 가격을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왼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5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즉, 상승 파동의 첫번째 파동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오른쪽의 피보나치 비율은 2019년부터 시작된 상승 추세의 피보나치 비율입니다.
따라서, 이 피보나치 비율은 2026년까지 사용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누가 뭐라해도 차트는 이미 만들어졌고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전망하고 대응해 나갈 것인가는 본인의 몫입니다.
신고가(ATH)를 갱신하게 되면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기 때문에 피보나치 비율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은 차트 분석을 하는데 유용하지만, 지지와 저항 역할로 활용하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피보나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선택 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떻게 선택 지점을 지정하였느냐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차트 분석상으로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거래 전략에 활용하기에는 애매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
거래(Trading)를 시작하기 위한 조건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내일 외부 일정 관계로 미리 퍼블리쉬합니다.
이에 따라서, 오늘 퍼블리쉬한 아이디어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
위의 차트에 표시된 진행 방향을 표시하게 된 근거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분석과 차별화하기 위해서 차트에 표시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표시하게 된 근거를 말씀드리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왜 그 지점, 그 구간을 설정하였는지를 이해하게 되면 결국 설명을 끝까지 보지 않더라도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추세선을 추가적으로 작도하므로서 변동성 기간을 선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과정을 모두 차트에 표시해 두니 차트가 지저분하다 어지럽다는 얘기가 많아 최대한 줄여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차트가 두가지 버전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생기고 있습니다.
아래의 차트가 변동성 기간을 선정하기 위해 지지와 저항 지점이 많이 표시되어 있고, 추세선을 그려놓은 차트입니다.
따라서, 지지와 저항 지점의 표시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글로 말씀드린 지점이나 구간을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거래를 시작하기 위한 조건은 보기 보다 간단합니다.
다만,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때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거래를 시작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더라도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해당 가격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면 거래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이점을 잊지 마시고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자신에서 맞는 조건을 찾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예시로 봐주시면 좋습니다.)
거래를 시작하기 위한 조건은
1. 매수 시기 조건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할 때
- BW 지표가 최저점(0)에서 수평선을 이루고 있을 때
- OBV 지표가 0 지점 이하에서 상승할 때
- DMI 지표가 0 지점 이하에서 상승할 때
2. 매도 시기 조건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할 때
- BW 지표가 최고점(100)에서 수평선을 이루고 있을 때
- OBV 지표가 0 지점 이상에서 하락할 때
- DMI 지표가 0 지점 이상에서 하락할 때
위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해당 가격 부근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서 거래를 진행합니다.
현재 가격 위치에 60672.0-61099.25 구간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금 60672.0 이하로 하락 중이므로 현물 거래에서는 손절 이외에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선물 거래시에서는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입이 가능합니다.
-
위에서 말씀드린 거래를 시작하기 위한 조건이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BW 지표가 최저점(0)이나 최고점(100)에서 수평선을 이루는지를 확인하고, 이때,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확인하여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OBV와 DMI로 상승이나 하락 강도를 확인하면서 변동폭을 계산하여 수익을 얻기 위한 분할 매도 구간을 선정하시면 좋습니다.
-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아직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지 않은 상태이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이기 때문에 전환되는 모습이 나오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BW지표가 최저점(0)으로 하락하여 수평선을 만드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이렇게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OBV, DMI 지표가 0 지점 이하에서 상승하게 되면 공격적인 매수(스캘핑, 단타 거래(day trading)에 준하는 빠른 대응이 필요한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만일 공격적인 매수를 진행하지 않는다면 기다려야 합니다.
-
선물 거래에서 현재 매도(SHORT) 포지션을 진입하는 것은 별로 좋지 않습니다.
다만, 공격적인 거래(스캘핑이나 단타 거래(day trading))를 진행한다면 거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왜 거래하기 별로 좋지 않은 상태냐면, 위에서 말씀드린 거래를 시작하기 위한 조건 중에서 1. 매수 시기 조건 부분에 가격이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익이 적거나 오히려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현재 어떠한 거래도 진행하고 있지 않는 상태라면, 거래를 진행하게 되는 구간은 61K 부근에서 상승할 때라 생각합니다.
그 전에는 더 하락할 것 같아 매수를 진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점, 즉, 실제 거래를 진행하는 되는 지점이나 구간을 심리적인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심리적인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이란 지금이라도 거래하지 않으면 안될 것은 심리가 적용하는 구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점은 결국 저점이나 고점에 해당되기 때문에 매수를 진행하게 되면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은 구간에 해당되기도 합니다.
앞서 말씀 드린 61K 부근은 저점 구간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은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에 손절하거나 매도(SHORT) 포지션으로 진입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은 구간에 해당됩니다.
-
60672.0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순간적으로 급격한 하락이 발생하여 59K 부근을 터치하고 상승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fake나 휩쏘에 해당될 수 있는 움직임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현상에서 손실을 입지 않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 보조 지표들 입니다.
보조 지표는 후행성이기 때문에 가격의 급격한 변동에서 큰 움직임을 나타내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제가 말씀드리고 있는 내용은 차트 분석을 하는 방법이 아니고 거래를 하기 위한 기준을 잡는 방법의 예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위의 내용을 차트 분석에 대한 것으로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차트 분석과 거래는 다르기 때문에 차트에서 보는 것도 다릅니다.
이 다름을 서로 보완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1M, 1W, 1D 차트에서 그린 지지와 저항 지점입니다.
지지와 저항 지점이 없는 차트는 차트 분석을 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 차트에서 거래 시점을 찾으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다음 변동성 기간 : 10월 5일경 ~ 10일경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현재 BW지표가 중간지점(50) 부근에서 수평을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60672.0-61099.25 부근에서 거래를 진행하기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만일 60672.0-61099.25 부근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할려면 짧고 빠른 대응이 필요하겠습니다.
-
BW지표가 최저점(0)이나 최고점(100)에서 수평을 이루게 되면, 가격 차트에 BW선이 생성됩니다.
이 BW선을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하여 거래를 진행하면 보다 안정적인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다음 BW선이 생성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이전 BW선 (61759.99)을 터치하였을 때 지지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함께 보는 것이 StochRSI 지표입니다.
StochRSI 지표는 어떠한 경우에도 파동을 만들기 때문에 거래를 진행할 때 참고할만한 지표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 StochRSI 지표가 과매도 구간에서 상승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하면 매수 시기에 해당되고,
- StochRSI 지표가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고, StochRSI < StochRSI EMA인 상태를 유지하면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만, 변동폭의 크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수익이 적거나 오히려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1M, 1W, 1D 차트에서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말씀드린 움직임이 나올 때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그러면, 대략적인 변동폭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를 진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60672.0-61099.25 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승과 하락폭을 표시해 보면 위의 차트와 같습니다.
-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 과매도 구간으로 확실하게 진입할 것인지
- StochRSI 지표의 기울기의 변동이 있는지
- StochRSI EMA가 중간 지점(50) 이하로 하락하는지
위의 내용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하고 다음 움직임에 따른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겠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국장을 망가뜨리는 것은 무엇인가...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Renko 1D 차트)
56000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장기적인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1M 차트)
-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두었습니다.
63300 지점에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생성되었기 때문에 이 부근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57400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57400 지점은 1W 차트의 HA-Low 지표 지점이므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44150 지점은 12M 차트의 HA-High 지표 지점입니다.
따라서, 앞서 Renko 차트에서 말씀드린 것 처엄 56000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44150-48650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64748.70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이전 아이디어의 내용 중 StochRSI 지표의 변동성 시기에 대한 내용이 있으므로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BTCUSDT 1D 차트)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64748.70 지점에 생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서, 64748.70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을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이전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대로
- 63118.62.64000.0
- 60672.0-61099.25
위의 구간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63118.62.64000.0 부근으로 1D 차트의 M-Signal이 지나고 있으므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되고,
60672.0-61099.25 부근으로 1W 차트의 M-Signal이 지나고 있으므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다만, 하락이 지속되면, 61759.99 부근으로 1W 차트의 M-Signal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 부근도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됩니다.
-
(1D 차트)
1D 차트의 HA-High 지표를 터치하였기 때문에 HA-High 지표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HA-Low 지표를 터치할 가능성이 있씁니다.
따라서,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가 어느 지점에 생성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생성되지 않는다면, 56204.13 지점 부근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중요한 구간이 존재하므로 쉽게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변동성 기간이 10월 5일경-10일경 (최대 10월 4일-11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66676.87-68249.88 구간이나 56150.01-56950.56 구간 중 어느 구간을 넘어서게 될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고 횡보(sideways)한다면,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인 상태가 유지된다면, 1M 차트의 M-Signal 부근에서 수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움직임이 있을 때 다시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M 차트)
새로운 달의 캔들이 생성되는 날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내용은 새로운 캔들이 생성된 다음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다음 변동성 기간 : 10월 11일경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63118.62-64000.0 부근에서 횡보(sideways)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벗어나게 되면,
- 상승시 65920.71-67614.25
- 하락시 60672.0-61099.25
위의 구간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StochRSI EMA가 거의 100 지점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변동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전 아이디어에서 말씀드린 것 처럼 이번 StochRSI 지표의 초기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향후 추세를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BTCUSDT.P 1h 차트)
손가락이 가리키는 구간은 1D 차트의 5EMA 이하로 하락한 다음 HA-Low 지표를 터치하고 상승한 모습입니다.
이번에 1D 차트의 5EMA 이하로 하락하게 되었을 때, HA-Low 지표를 터치하고 상승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60651.2-61149.2 구간을 기준으로 1D, 1W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지나가고 있으므로 하락시 이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시
1차 : 65922.3
2차 : 67612.8-68215.5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지금 당장 상승할 것인가 하락할 것인가를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다만, 차트에 그려진 1M, 1W, 1D 차트의 지지와 저항 지점을 어떻게 돌파하는지에 따른 다음 지지 구간이나 저항 구간을 예상할 수는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위치에서 상승시 하락시에 대한 대응 전략을 가지고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 자신의 거래 전략이 확립되어 있어야 합니다.
-----------------------------------------
(USDT.D 1D 차트)
USDT 도미넌스가 중요한 구간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할 수 있는지를 지켜봐야 합니다.
코인 시장이 상승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USDT 도미넌스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USDT 도미넌스가 4.97 이하로 하락하여 유지되거나 하락세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코인 시장의 상승세가 시작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DMI와 OBV를 추가한 취지는 추세의 강도를 알아 보기 위해서 입니다.
이에 맞게 최종적으로 수식을 변경하였습니다.
0 지점을 기준으로
- 0 이상 상승시 상승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0 이하 하락시 하락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 하는 것은 2나 -2 지점을 터치하였을 때 입니다.
이때, BW지표와 StochRSI 지표의 움직임을 확인하여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거래 시점은 차트에 그려진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에 따라 진행되어야 합니다.
지표의 움직임은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좋은 시간되세요.
감사합니다.
--------------------------------------------------
- 큰 그림
본격적인 상승세는 29K 이상 상승하여야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 불장에서 터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인 81K-95K 입니다.
#BTCUSD 12M
1차 : 44234.54
2차 : 61383.23
3차 : 89126.41
101875.70-106275.10 (오버슈팅 시)
4차 : 134018.28
151166.97-157451.83 (오버슈팅 시)
5차 : 178910.15
앞으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지점들입니다.
이 지점들을 상향 돌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버슈팅 구간에서 새로운 추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 구간을 터치하였을 때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BTCUSD 1M
2025년까지 대세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57014.33 부근까지 상승한 이후에 눌림목 패턴(pull back) 패턴을 만들고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차 : 43833.05
2차 : 32992.55
-----------------
추세를 알아볼 수 있는 지표 : MS-Signal 지표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LINKUSDT 차트)
차트의 구성은 가격과 거래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차트 분석은 각기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우선 가격 부분을 살펴보면, 가격의 캔들과 이동평균을 기본적으로 하여 추세와 각종 지표들이 생성되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캔들의 배열과 가격 이동평균선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지 않는다는 결국 차트를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것 입니다.
가격 캔들의 배열, 즉, 캔들이 연결되어 형성되어지는 고점과 저점을 가지고 각각의 추세선을 그려 현재 가격의 움직임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하지만, 낮은 타임 프레임 차트일수록 그 고점과 저점을 찾기 쉽지 않기 때문에 자칫 잘못된 추세선을 그릴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잘못된 추세선의 의미는 자신이 추세선을 그렸지만, 그 추세선을 가지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잘못된 추세선을 많을 수록 차트 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줄어들게 되고, 그렇게 줄어든 정보로 인해 만들어진 거래 전략은 효용가치가 없어지게 되므로 추세선을 그릴 때도 확고한 근거가 필요합니다.
추세선을 그리는 방법에 대한 확고한 근거를 가지고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본 차트에 표시된 MS-Signal지표는 MACD지표의 수식을 활용하여 만들어져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추세선을 그리는 연습을 하기 전에 MS-Signal지표를 활용한 해석 방법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MS-Signal지표는 MACD지표의 수식을 활용합니다. MACD지표의 수식을 보면 이동평균선을 활용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였다면, MACD지표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MS-Signal지표는 M-Signal지표와 S-Signal지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M-Signal지표 > S-Signal지표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은 상승 추세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승 추세에 있을 때, 가격 캔들이 MS-Signal지표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앞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거래량을 활용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하는 지표에 대해서도 설명해드렸습니다.
그 지표는 HA-MS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OBV지표입니다.
OBV지표은 가격 변동에 따른 거래량의 변화를 표시한 지표로서 OBV지표의 핵심 지점은 0 입니다.
거래량에 대한 해석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격 차트 부분에 대한 설명이 마무리되어져 갈 때 자세히 말씀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본 차트에서는 'Vol & Trend' 보조지표에 거래량을 활용한 지표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설명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위에서 설명드린 MS-Signal지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MS-Signal지표는 트레이딩뷰 수식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수식을 알고자 하신다면 찾아보시면 됩니다. (HA-MS 지표)
MS-Signal지표는 M-Signal지표와 S-Signal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두개의 지표 중 핵심 지표는 M-Signal지표입니다.
따라서, 1M, 1W, 1D 차트의 M-Signal지표를 따로 표시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를 활용하여 1D 차트 이하에도 가격 차트의 전체적인 추세를 바로 알 수 있도록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4h 차트)
위의 4h 차트는 1D, 1W, 1M 차트의 M-Signal지표만 표시되도록 설정한 차트입니다.
M-Signal지표가 정배열 (1D > 1W > 1M)을 이루게 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승 추세에 있다는 것을 4h 차트만 보더라도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표시는 여러 차트를 확인할 때 확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트 분석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가격 변동에 의해 휩쏘에 빠질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차트 분석은 분석일 뿐,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 전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차트의 모양을 분석하여 지지와 저항 지점을 찾아야 가능하기 때문에 차트 분석은 지지와 저항을 찾는데 집중되어야 합니다.
차트 분석에 필요한 것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캔들의 모양과 이동평균선에 대한 개념만 있으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이 확립되어 있다면, 본 차트에 표시된 모든 지표들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차트 분석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고, 휩쏘와 같은 변동성에 의한 심리적 동요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라도 기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표들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MS-Signal지표에 대한 설명은 여러 차례 퍼블리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캔들, 이동평균선 이후에 반드시 눈에 익숙해져야 하는 지표는 MS-Signal지표입니다.
차트의 추세를 알아 보기 위해서는 MS-Signal지표만큼 좋은 지표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
이동평균선(MA),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 - 1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가격이동평균선(MA로 통칭함)은 차트를 구성하는 지표 중 기본적인 지표에 해당됩니다.
MA는 차트의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에 해당되기 때문에서 이를 활용하고 거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지와 저항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version=5
Line11 = request.security(syminfo.tickerid, "D", ta.ema(close, 5))
plot(Line11, title="5EMA in 1D chart", color=color.new(#FF0000,50), display=display.none, linewidth=4)
위의 수식에 활용한 request.security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5EMA의 예)
(1D 차트)
(1h 차트)
위의 함수를 활용하여 1D 차트의 5EMA선을 1D 차트 이하의 타임 프레임 차트에서 확인시 수평선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위의 1h 차트를 보면, 짧은 수평선으로 표현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MA로도 거래가 가능해지게 됩니다.
5EMA은 단타(day trading) 거래를 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MA입니다.
그러므로, 빠른 대응이 요구되므로 차트를 지속적으로 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으시다면, 도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어느 기간의 MA를 활용할지는 본인의 투자스타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많이 활용하다 보다 자신에게 맞는 MA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기본적으로 추천하는 MA는 26, 50, 200 EMA 입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한 공부를 하면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20 MA 입니다.
이는 주식 시장에서 활용되었던 방식이기 때문에 코인 시장에서 활용하기에는 너무 짧은 기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MACD의 수식에 활용되고 있는 26 기간을 활용한 26 EMA를 추천합니다.
1달을 기간을 26일로 환산함으로서 매수할 시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60EMA 대신 50 EMA을 활용합니다.
200 EMA는 중장기 관점으로 MA를 활용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200 EMA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격 변동이 있더라도 보유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지 못하고, 200 EMA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다면, 하락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보유하기 보다 분할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MA는 대부분의 지표에 포함되어 있을 만큼 차트 공부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를 무시하고 그냥 넘어간다면, 언젠가는 다시 공부하게 될 것 입니다.
그만큼 시간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캔들 공부 다음으로 이동평균선에 대한 공부를 필수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로 볼린저밴드, MACD 지표 등의 수식에도 이동평균선이 활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실제 거래하는데 활용하기 쉽지 않지만, 차트의 추세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MA를 활용하여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거래량(Volume)에도 이동평균선이 있지만, 잘 활용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 OBV나 PVT와 같은 지표를 활용하여 거래량의 추세를 확인합니다.
본 차트에 포함되어 있는 'Vol & Trend' 보조지표의 OBV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Vol & Trend' 보조지표의 OBV 지표의 해석 방법은
1. 녹색 폭 증가시 매수세 > 매도세
2. 적새 폭 증가시 매도세 > 매수세
위의 1, 2번 처럼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지표를 활용하여 거래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나와 있지만, 볼리저밴드의 핵심적인 해석 방법은 수축과 확장 입니다.
코인 시장에서 이러한 수축과 확장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20 보다 60 기간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가 수축하게 되면, 가격이 횡보(sideways) 구간에 진입하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축된 상태에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의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에 따라 추세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을 활용하는 방법은 수축 상태로 진입하는지를 확인하고 수축되었다면, 그때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지 저항 받는지를 확인하여 매수를 진행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 입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다른 사람의 노하우는 알아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됩니다.
** 저의 노하우로 작성된 차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