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린더] 다이버전스의 반복에 의한 계단식 하락, 확인 매매에 필요한 기준들(11월 26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카포크 커브에서 -40이 되긴 하였지만 대응 방안에 말씀드린 것처럼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를 무효화시키는 고점을 높이는 움직임, 상승 반전 캔들이 나오고 들어가도 늦지 않다고 말씀드렸으며
이는 안전한 매매에 필요하다 말씀드렸습니다.
먼저 지난 분석 글인 11월 23일 금요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26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주봉에서 앞서 7 MA와 볼린저밴드의 베이스라인에 저항받은 뒤에 하락하고 있으며 이러한 월봉 7 MA의 돌파는 제가 생각하는 상승장의 기준이 된다고 말씀드려왔습니다.
그리고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은 현재 3400대에 있습니다. 공격적 트레이더는 이 부근에서 지지받을 수 있고 뚫리면 손절을 잡고 매수받을 수 있습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캔들은 음봉 캔들이 나오며 아직까지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지 않았으며
우선 상승 반전을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볼린저 밴드에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손절하기엔 껄끄러운 자리이며 반등이 나올때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서 매도 할 수 있습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아직까지 상승 반전형 캔들이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상승 반전형 캔들을 확인하고 진입해도 늦지 않습니다.
4. 장기 추세선
장기 추세선 마감에 있어 앞서 뚫렸었고 다시 올라가는 휩소가 있었지만 다시 뚫리게 되면서 저 추세선은 저항선이 되었습니다.
앞선 분석 글에서 저 추세선을 기준으로 매수를 들어갔다면 손절을 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5. 피보나치 비율
역시나 올라가면 저항받을 가격대를 같이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6. 피봇 포인트
앞서 4시간봉의 S3까지 모두 뚫렸었고 새로운 피봇 포인트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현재 지지받을 수 있는 S1은 3700대, S2는 3200대에 있으며 위로는 저항받을 P가 4400대에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토요일의 하락에도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며 어제 상승을 하였습니다.
지난 분석 글의 제목과 대응 방안에 말씀드린 것처럼 상승 다이버전스와 하락 다이버전스의 반복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이점 계속 모니터링을 해주셔야 하며
고점을 높이며 하락 다이버전스를 무효화시키기 전까진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8.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역배열인 것도 하락 추세임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올라간다면 저항받을 21 EMA는 5100대에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에 있습니다.
9.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Aroon 지표에서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고 상승 추세로 바뀌고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베이스라인의 저항을 계속 받고 있으며 역시나 뚫고 나서 위로 벌어지는 것까지 확인하고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이는 하락 다이버전스를 무효화시키는 고점을 높이는 것과 함께 확인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11.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역시나 고점을 4529달러보다 높이기 전까지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한 하락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12.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21 EMA에서 저항을 받고 있으며 현재 4210달러 쯤에 저항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13. 카포크 커브
카포크 커브에서 -40을 찍었으므로 다시 지속적인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으며
저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제 기준에 충족하는 확인 매매를 기다린다고 말씀드렸습니다.
14. 김프, 환율, SFD
김프: 1.6%
환율: USD 1130원, JPY 9.98원
SFD: -1%
Bitflyer
[캘린더] 하루 남은 카포크 커브,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 뒤에 만들어진 다이버전스와 확인매매(11월 23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카포크 커브는 -39.8까지 되었고 하루 정도면 -40 이하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제 염두에 두었던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한 반복 하락이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필요한 것은 고점을 높이는 움직임입니다.
그리고 문제는 일봉 종가 마감에 있어 장기 추세선의 지지가 뚫리게 되었습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22일 목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23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에 있기 때문에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자리입니다.
우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은 5100달러에 있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지 못해 아직도 하락 추세를 가고 있습니다.
상승 반전형 캔들이 출현하고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3. 장기 추세선
장기 추세선에서 지켜주는 모습이었고 지지를 기대했으나 종가 마감에 있어 우선 좋지 못한 움직임을 보인 것 같습니다.
확대해서 보자면
장기 추세선에 대해 일봉의 종가 마감이 아래에 마감되었고 다음 시가도 장기 추세선 아래에서 시작됨으로써
이제는 저항선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부근에서 매수하신 분은 종가가 아래 마감되었으니 손절을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 대해 모두 저항선으로 바뀌어 이 자리들은 저항선 자리들이 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S3까지 지지가 모두 뚫리고 지지선에서 저항선으로 바뀌었으며
세 차트 모두 저항받는 모습입니다. 매도에 대한 기준 자리로 둘 수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은 5300대까지 내려왔으며
RSI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올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11월 20일보다 저점을 낮추게 되었는데 그날의 RSI였던 10.39보다 높은 상태입니다.
물론 RSI가 10.39보다 낮아진다면 상승 다이버전스는 무효화되겠지만 성공할 확률이 높은 상승 다이버전스입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역배열이고 하락 추세이며 올라간다면 저항받을 21 EMA는 471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곧 다시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 매수 시그널이 나올 예정입니다.
8.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두 지표 모두 그대로 하락 추세이기 때문에 상승 추세가 만들어지고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하락 추세를 걷고 있으며 베이스라인 부근에서 다시 저항받고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그다음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대해 저항받았고 다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부근에 도달 중에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서 다시 과매도권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다만, 머니플로우 지표에서 내려가지 않는다는 것은 거래량은 붙으며 매집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11.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 역배열이고 4700대에 저항선이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도 다시 매수 시그널이 나오려는 모습입니다.
12. 카포크 곡선
카포크 곡선에선 -40를 찍으면 다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기 때문에
현재는 -39.8인 상태입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0.8%
환율: USD 1131.5원, JPY 10.02원
SFD: -2.5%
[캘린더] 초장기 추세선과 다이버전스의 반복, 중간의 4900달러대의 저항 자리들(11월 22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카포크커브는 -38 정도 되었고 어제 말씀드린 약간의 상승 다이버전스로 약간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과거부터 이어졌던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한 반복 하락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초장기 추세선을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21일 수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22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볼린저 밴드의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에 있기 때문에 반등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자리이며
현재는 5200대에 있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양봉 팽이형 캔들이 출현하게 되었지만 아직까지 상승 반전형 캔들이 출현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상승 반전형 캔들이 출현하고나서 확인 매매에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3. 장기 추세선
비트코인 시장의 장기 추세선에서 파란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조금만 더 확대해서 보자면
앞서 지지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파란 추세선은 매수와 손절에 대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과거 저점들이 모두 저항을 받을 예정입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저항받을 S3에 대해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으며 현재 가격대는 BTCUSD 기준으로 479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현재 5500대에 저항이 출현한 상태입니다.
오실레이터의 과매도권에서 반등이 나올 수 있으며 아직까지 일봉에선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하진 못한 상태입니다.
바닥권을 잡고 싶지만 보수적인 입장에선 기다려볼 수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일봉의 EMA에서 21 EMA의 저항을 받을 수 있으며 현재엔 4909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8.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Aroon 지표에선 아직도 하락 추세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9.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4시간봉의 볼린저 밴드 저항받을 베이스라인은 4908달러에 있어 21 EMA와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고 5088달러 부근에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어제 상승 다이버전스에 의해 상승 뒤에 현재 하락 다이버전스의 여력이 남아있습니다.
RSI에서 36을 넘어가면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11.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의 21 EMA 또한 4909달러 부근에 있어 4900달러대에 저항이 많음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12. 카포크 커브
카포크 커브에선 현재 -38입니다.
-40 이하를 찍으면 다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고 알려져있습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2.1%
환율: USD 1129.6원 JPY 9.99원
SFD: -0.2%
[캘린더] 공포를 확인할 수 있는 카포크 커브 현재 -37, 약간 나오는 상승 다이버전스(11월 21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카포크 커브도 -40에 도달 중에 있는듯 합니다. 현재 -37입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20일 화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21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 차트에선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은 3466달러 부근에 있는 모습입니다.
3500달러 부근에서 지지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 음봉 캔들이 계속 만들어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상승 반전형 캔들이 출현한 뒤에 매수를 진입하셔도 늦지 않을 듯 합니다.
3. 장기 추세선
장기추세선에서 과거 길게 로그눈금으로 있던 장기 추세선 지지에 도달 중에 있습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저점을 계속 낮춰가고 있으며 올라가면 저 가격대는 모두 저항선이 될 예정입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일봉, 4시간봉 모두 S3가 뚫리게 되며 이제 지지받을 자리들이 없습니다. 모두 올라간다면 저항선이 될 예정입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선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지 못한채 과매도권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역배열로서 하락 추세를 이어나가고 있고 올라간다면 5100달러대에서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올라가면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저항받으면서 다시 저항받고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다시 올라가더라도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인 4770달러에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선이 될 예정이며 현재 5088달러에 있습니다.
그리고 오실레이터에서 작게나마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일봉과 마찬가지로 저항받을 예정이며 현재 5100달러 부근에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수 시그널은 사라진 상황입니다.
11. 카포크 커브 - 바닥권 확인
바닥권을 확인하는 카포크 커브는 -40 이하를 찍었을 때 다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고 하며
현재 -37입니다. -40부터 매집을 할 수 있으며 이는 가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약 10개월짜리 가중 이동평균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의 이동보다 시간의 이동이 필요합니다.
12. 김프, 환율, SFD
김프: 2.8%
환율: USD 1131.4원 JPY 10.02원
SFD: -3.6%
[캘린더] 시장의 공포에 대한 냉정한 기준의 카포크 커브, 냉정한 대응 방안이 필요한 시기(11월 20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비트코인 시장이 많이 얼어붙고 공포에 느끼는 듯 합니다.
먼저 지난 분석 글인 11월 19일 월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20일 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 차트에서는 7 MA와 볼린저 밴드의 베이스라인에 저항을 받으며
이제 나머지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의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3500달러 부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서 21 MA를 뚫어야만 올라갈 수 있으며 밑으론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가 많이 없습니다.
볼린저 밴드에서도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올라올 수 있는 자리에 도달하게 될 것입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 다시 한번 장대 음봉이 나오면서 하락 장악형 캔들이 나오게 되었고
상승 반전형 캔들은 아직 출현하지 않았습니다. 보수적인 입장에선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고 진입할 수 있게 됩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저점을 모두 낮춰버리면서 이제 저 부근은 모두 저항선이 되었습니다. 올라가면 저항받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5. 피봇 포인트
4시간봉의 피봇 포인트에선 한 봉마다 지지받았다가 뚫리면서 저항을 받고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 지지받을 수 있는 S3는 현재 4795달러에 있지만 지지받는다고 확신하긴 어려운 상태입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선이며
오실레이터에서 과매도권에 도달하는데 머니플로우 지표마저 과매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과거 차트에선 RSI보다 머니플로우 지표의 과매도에서 반등이 나오곤 하였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 역배열이 아직도 하락 추세이며 6000대에서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8.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Aroon 지표에선 아직도 하락 추세이며 TRIX도 마찬가지입니다.
9.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벌어지면서 하락 추세를 이어나가고 올라간다면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선 저항받을 예정이며
현재 5256달러에 있는 모습입니다.
10.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5400대까지 저항이 내려왔으며
오실레이터에서 모두 과매도권까지 다시 내려온 상황입니다.
11.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의 EMA도 모두 저항이고 올라간다면 모두 저항임을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12. 카포크 커브
카포크 커브 곡선을 통해 하락장과 공포의 끝자락이 어딘지 설명해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40이 와야 진짜 공포이며 현재는 -36까지 내려온 상황입니다.
14-15년 하락장에서 -40 이하로 내려갈때 바닥 한번 찍고 다시 한번 바닥 찍은 뒤 상승한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이 200불에서 쭉 올라오는 모습을 보였었지요.
210, 294, 231일로 세팅한 것이며 본인만의 바닥권잡으려는 기준에 있어 기준으로 둘 수 있습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2.6%
환율: USD 1128.3원, JPY 10.02원
SFD: 1.1%
[캘린더] 매집의 반응과 새로 생기는 지지&저항선들, BTC마켓에 없는 코인들(11월 19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상황이 여러 상황으로 좋진 않은 상황입니다.
비트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코인들로 관심이 많이 쏠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먼저 지난 분석 글인 11월 16일 금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19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서 21 MA의 저항은 그대로 6600달러대에 있을 것이며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올라가는데는 오래 걸릴 것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 아직까지 매도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계속 지지해주던 6000달러대가 뚫린 터라 개미들의 손절이 많아 오래 걸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까진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지 않은 상황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선 이전 저점이었던 5755달러에 저항을 받고 있으며 FXBTC/JPY에서도 지지와 저항 자리들의 가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4시간봉의 피봇 포인트에서 새로운 판이 만들어지며 저항과 지지가 생겼으며
현재 저항받을 P는 5864달러에 있고
S1는 5455달러에 있습니다. 올라가면 분할 매도를, 내려가면 분할 매수를 들어갈 수 있는 자리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매도 시그널이고 6329달러에 저항선이 만들어졌지만
오실레이터에선 아직도 과매도권에 있으며
머니플로우 지표에서 아직 받쳐주고 있단건 거래량은 아직 유지해주면서 버텨준다는 의미입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모두 저항받을 수 있으며 가장 아래에 있는 6130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Aroon 지표에선 여전히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TRIX는 오히려 내려가며 이평선들이 다 내려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수축하며 볼린저 바운스에 의해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에서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엔 5566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이 5928달러 부근에 있고
오실레이터에서 과매도 부근을 벗어나고 있긴 하지만 머니플로우 지표에서 어느 정도의 매집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올라가게 되면 하락 다이버전스가 출현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앞선 분석들에서 항상 말씀드린 것처럼 EMA에서 저항받을 수 있다고 말씀드려왔고 현재 5708, 5927,6128달러에서 저항받을 수 있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1.7%
환율: USD 1125.5원, JPY 9.99원
SFD: 0.5%
[캘린더] 개미들은 손절하는 자리, 저항에서 분할로 매도하는 자리들(11월 16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트레이딩뷰에 다시 관심들을 많이 가지시는 것 같네요.
우선 여러 대응 방안에 대해 세밀한 적용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15일 목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16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볼린저 밴드에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은 매수할 수 있는 자리라 말씀드렸습니다.
현재 5650달러에 있고 현재 가격은 5700대이니 반등을 먹으려 매수를 들어갈 수 있는 자리입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 음봉 캔들이 출현하면서 우선 하락을 이어나가고 있지만
다른 관점들에서 바닥권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 앞선 저점에 대해 종가가 뚫리게 되어 사실 저점을 낮추고 상황이 좋지 못한 상황이긴 합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S2가 뚫리며 FXBTC/JPY의 S3에 지지를 테스트 중에 있으며
FXBTC/JPY도 피봇 포인트가 사실 잘 지켜지는 자리 중 하나입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선이며
오실레이터에서 과 매도 도달하고 있어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자리입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역배열은 그대로 이루어져있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도 곧 매수 시그널이 나올 예정입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지표와 Aroon지표에선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TRIX도 어제와 마찬가지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어제 말씀드린대로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저항받을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현재 5774달러에서 저항받게 되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이 5991달러에 형성되었으며
과매도권에서 어제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하면서 일부 상승한 모습입니다.
10.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저항들이 6028, 6232, 6341달러에 있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 매수 시그널에서 반등이 나온 뒤 사라진 상태입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2.7%
환율: USD 1128원, JPY 9.94원
SFD: 1.1%
[캘린더] 낮춰진 저점과 대응 방안, 필요한건 냉정함과 비트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알트코인(11월 1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우선 손절 구간으로 잡았던 6100이 깨진 상황이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리고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비트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알트코인을 찾는 것을 말씀드렸었습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14일 수요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15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21 MA의 저항은 아직 강력했으며 하락장이 벗어나지 못했었음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주봉의 볼린저 밴드에서 우선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이 뚫리고 있으며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부근에선 바닥권으로 확인하고 매수 들어갈 수 잇습니다.
현재 5689달러대에 있습니다.
2. 일봉 캔들
하락 장악형 캔들은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확인하셔야 합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 이전 저점이었던 5755달러에 대해 그 자리에서 반등이 나오긴 하였습니다.
즉, 저점을 낮추긴 하였으나 아직 지지를 지켜주는 부분이라 무조건 3K간다 그런식의 상황은 아직 어불성설이라 생각합니다.
종가마감에 있어 5700대가 뚫린다면 그럴 수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BTC/JPY에서도 2월 6일의 저점이었던 자리에서 종가를 지켜주었습니다.
FXBTC/JPY에서도 아직 지켰기 때문에 괜찮다고 보고 있습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4시간봉이 아닌 일봉으로 보았을 때 지지 자리가 뚫리긴 하였으며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S2는 580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RSI의 과매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두 가지 매매 전략을 가져갈 수 있는데 과매도권에 도달했으니 현물로서 조금씩 분할 매수에 들어가거나
상승 다이버전스까지 확인하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의 역배열로서 아직 하락 추세임은 계속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Aroon 지표에선 하락 추세가 나타났으며
TRIX에서도 아직 매수 시그널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보시면 아직 팔기엔 껄끄러운 자리들입니다.
반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저항을 받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받고 하락하게 되었으며
오실레이터에서 과매도긴 하지만 다이버전스까지 확인하고 매수 들어갈 수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의 저항받을 수 있는 자리인 6200대에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도 매수 시그널이 나오고 있는 상태입니다.
11. 엔빌로프 지표
이전에도 한번 설명드렸지만 엔빌로프 지표에서 아래로 벗어났을 때 바닥권을 잡으려는 트레이더는 매수할 수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아직까진 거리가 조금 있는 상황이며 5500대에 있습니다.
12. 김프, 환율, SFD
김프 : 3.8%
환율: USD 1133.6원 JPY 9.99원
SFD: 0.1%
[캘린더] 계속되는 횡보의 비트코인과 매매 전략, 비트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알트 찾을 것(11월 14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말씀드린대로 비트코인 횡보가 조금씩 이어나가면서 알트들 중에 펌핑이 나오는 것들이 있습니다.
우선 비트코인에 따라가는 알트들과 아닌 알트들의 구별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13일 화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14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BITFINEX와 BITFLYER의 거래소가 다른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BITFLYER의 거래소에서는 음봉 캔들이 만들어지며 어느 정도 반대의 움직임을 이어나갔습니다.
2.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선 6425달러를 지켜주고 있지만 BTC/JPY와 FXBTC/JPY에선 지지 자리가 뚫리게 되었습니다.
3. 피봇 포인트
BTC/USD에서 P에 저항을 받게 되었으며
BTC/JPY에선 S1의 지지가 뚫리고, FXBTC/JPY에선 지지를 지켜주었습니다.
자리가 복잡하므로 다음 시간봉 마감에 따라 판단 기준을 정할 수 있습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역시나 21 EMA를 뚫지 못했으며 저항받을 자리로서 있을 예정입니다.
6.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표준편차 1짜리 상하한선이나 베이스라인은 제외하고 표준편차 2짜리 상하한선을 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어제 방송 중에 4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졌고 지금은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BTC/USD는 위아래로 계속 테스트 중에 있으며 BTC/JPY와 FXBTC/JPY는 저항받을 자리에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1%
환율: USD 1131.9원 JPY 9.94원
SFD: 2.4%
[캘린더] 며칠째 반복되는 횡보와 매수&매도 자리, 오늘 염두에 두어야 하는 이브닝 스타 캔들(11월 13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비트코인 횡보가 진짜 오래 걸리고 있네요.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12일 월요일 분석 글 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12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에선 위로 6698달러 부근에 저항, 6230달러 부근에 지지받을 수 있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이 있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십자형 음봉 캔들이 나오면서 도지형 캔들로서 추세가 전환될 수 있는 캔들 형태가 나왔고
만약 큰 음봉이 나온다면 이브닝 스타 캔들이 출현할 수 있으며 이는 하락 반전형 캔들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들이 있습니다.
과거에 의미있던 6425달러, BTC/JPY와 FXBTC/JPY에서 각각의 자리들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요즘엔 피보나치 비율은 잘 들어맞지 않으니 이점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저항받을 P에서 저항받았으며 현재엔 지지받을 수 있는 S1에 대해 BTC/JPY부터 먼저 도달 중에 있습니다.
각각의 자리들 위치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위로 올라가면 저항받은 21 EMA는 6467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시나 저항이 많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1짜리와 베이스라인보단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과 하한선을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선이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어제 6480달러에 저항을 받기도 했지요.
그리고 오실레이터에서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긴 했지만 이미 떨어진 것이라 지나간 것은 크게 확인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모두 저항받을 자리가 되었고 저항받고 다시 한번 떨어지게 되었으며 지지받을 자리는 없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3%
환율: USD 1136.7원, JPY 10원
SFD: 1.8%
[캘린더] 계속 들어맞는 매도와 매수 자리들, 6600대와 6200~6300대, 6400대 초반(11월 12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주말에 장염으로 고생 좀 하고 겨우 살아났습니다.
진짜 많이 힘들었네요 ㅠㅠ
먼저 지난주 금요일 분석 글인 11월 9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12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저항받을 21 MA가 6682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600대에서 아직도 강력한 저항이 있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매수를 권해드렸던 6400대 초반과 6200~6300대에서 반등이 나왔으며
캔들에선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왔느냐에 대해선 주관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약간의 휩소가 있었지만 현재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온 상태입니다.
그러나 요즘 트렌드는 피보나치 비율의 정확한 자리보다는 매물대에서 움직임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매매를 권해드리는 매물대에서 분할로 진입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새로운 판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아침부터 P에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저항받을 P는 6473달러에, 지지받을 S1은 637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오실레이터
EMA에서 역배열로서 하락 추세는 그대로 유지 중이며
저항받을 21 EMA는 현재 6472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매도의 자리 중 하나가 된다는 점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에서 반등이 나왔으며 현재엔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과 베이스라인 사이에 있으나
촘촘히 있기 때문에 단타로도 수수료 떼면 큰 수익을 내긴 어려워보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예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시그널이 되기도 하지만 지지, 저항선의 역할이 되기도 한다고 했습니다.
현재 저항으로서 일봉 21 EMA와 비슷한 자리인 6480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실레이터에서 역시 특별히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자리가 복잡하고 너무 짧게짧게 있어 큰 흐름에 있어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분석 관점에서 제외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
환율: USD 1130.7원, JPY 9.92원
SFD: 2.3%
[캘린더] 6600대의 매도 자리 이후 다시 한번 재매수 자리(11월 9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장염때문에 계속 고생 중에 있네요ㅠㅠ
우선 이전 분석 글에서 제가 6600대에서 매도하라고 말씀드렸던 것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7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9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 차트에서 저항받는 베이스라인이 6600달러대에 있어 6600달러대의 저항을 확인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서도 21 MA의 저항이 6600대에 있어 강력한 저항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하락 장악형 캔들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하락 반전형 캔들 중에 하나입니다.
4. 피보나치 비율
BTC/JPY의 보라색 0.886 비율에서 한번 지지받았다가 이제는 다시 한번 뚫리고 있는 모습이며 이는 다시 올라가더라도 저항받을 자리가 됩니다.
5. 피봇 포인트
R2에서 저항받게 되었으며 R1도 뚫리며 현재 각각의 자리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매수 받을 수 있는 자리는 6400대 초반에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딱히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진 않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다시 21 EMA가 뚫리게 되었으며 6487달러에 있고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도 시그널에서 매도세가 나왔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베이스 라인이 뚫리고 현재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과 베이스라인 사이에 있기 때문에 이들은 단타의 매수, 매도 자리가 될 수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하락 다이버전스가 딱히 만들어지진 않았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BTC/USD에선 다 뚫리게 되었으나 BTC/JPY와 FXBTC/JPY에선 지지받기 때문에 이러한 자리들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4%
환율: USD 1125.4원, JPY 9.88원
SFD: 2.8%
대응 방안
앞선 분석 글에서 6600대에서 매도를 권해드렸고 이에 대해선 월봉과 주봉의 강력한 저항, 피보나치 비율 등에서 큰 저항이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대로 6600대에서 저항을 받고 하락하게 되었으며 다시 6400대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재매수에 대해선 6400대 초반이나 6200~6300대를 이전과 마찬가지로 권해드리며 이에 대한 근거는 피보나치 비율, 피봇 포인트, 볼린저 밴드, 앞선 매물대가 있으며
역시나 손절은 6100이 뚫리면 하며 이 자리대의 매수는 추세로 가져가도 될 듯한 매수 자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캘린더] 6200~6300대와 이틀 간 6400대에서 매수 구간 뒤 매도할 수 있는 6600대 저항(11월 7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와 그저께 6400대에서 매수를 권해드렸고 상승 중에 있습니다.
이에 대해 추세와 단타의 입장에서 매도 구간을 확인할까 합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6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7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 차트에서 이전에도 말씀드린 저항들이 6600대에 몰려있습니다.
현재 베이스라인이 6652달러에 있습니다. 또한 7 MA도 6884달러에 있기 때문에 이 강력한 저항이 있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서 저항받을 21 MA가 6674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같은 6600대에 있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 어제 캔들이 다시 한번 긴 양봉이 나오면서 매수세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교수형 캔들은 무효화되었다고 보고 우선은 상승 추세를 먼저 염두에 두게 됩니다.
4. 장기 추세선
장기 추세선에서 하락 추세를 돌파하였으며 현재에 상승 추세를 확신할 수 없지만 염두에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현재 파란색 0.886 비율인 6659달러 부근에서 저항받을 수 있으며 같은 6600대입니다.
앞선 4시간봉의 마감에서 BTC/JPY의 보라색 0.886 비율을 돌파한 뒤에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현재 R1을 돌파 도전하고 있으며 종가 마감에 따라 의미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우선 각각의 자리들을 확인하시며 R2는 6598달러 부근에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8.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50 EMA의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가 매도 시그널에 도달 중에 있습니다.
9.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에선 아직까지 ADX가 횡보 중에 있어 상승 추세로 바뀔지 확인하게 됩니다.
아직 Aroon과 TRIX에선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베이스라인이 깨지지 않고 다시 한번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을 도전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자리에선 매수하긴 껄끄러운 자리입니다. 재매수를 하더라도 조정받거나 볼린저밴드가 더 벌어졌을 때 사야 합니다.
11.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서 매수 시그널로 바뀌었으며
오실레이터 중 우선 RSI에서 과매수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곧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2.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 EMA에서 모두 6400대에서 지지받고 상승 중에 있습니다. 더 상승한다면 다시 한번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 매도 시그널이 나올 수 있습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0.5%
환율: USD 1122원, JPY 9.88원
SFD: 3%
[캘린더] 6400대에서의 지지 자리와 6600대에서의 저항 자리들(11월 6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확실히 요즘 트레이딩뷰 인기가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뷰 수나 좋아요가 많이 줄어들었다는 것은 비트코인과 따로 가는 코인들을 찾아다니는 것 같습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6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6일 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음봉 캔들이 만들어지면서 교수형 캔들로 해석할 수 있는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교수형 캔들은 상승에 대한 하락 반전형 캔들입니다. 물론 교수형 캔들은 유성형 캔들보다 의미가 크진 않지만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 장기 추세선
아직도 염두에 두어야 하는 장기 추세선이며 하락 추세를 벗어났음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의 지지받는 6425달러와 BTC/JPY의 보라색 0.886 비율에서 저항을 받고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못한채 횡보한 모습입니다. 위아래로 단타의 목표가가 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위아래 P와 R1 사이에 있으며 각각 지지와 저항 자리 확인하시면 됩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매도 시그널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별다른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진 않고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일봉 EMA에서 다시 21 EMA 지지가 뚫렸기 때문에 이제는 저항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됩니다.
현재 647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ADX가 내려가기 때문에 추세가 약해지고 있으며
Aroon 지표나 TRIX지표도 아직 매수 시그널이 나오진 않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이 뚫렸기 때문에 저항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되며 현재 647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긴 하였으며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복잡하게 있지만 우선 아래로 모두 지지받을 자리들로 있습니다.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6400대에 지지받을 자리들이 있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3%
환율: USD 1122.4원, JPY 9.91원
SFD: 2.5%
대응 방안
몇 달 간 말씀드린대로 6200~6300달러대에서 매수 구간이었고 반등하였으며
어제 말씀드린대로 월봉과 주봉에서 6600대의 저항이 강력하게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말씀드린대로 피보나치 비율, 피봇 포인트,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 4시간봉의 EMA 들이 6400대에 있어 지지받고 상승하였습니다.
단타로서 접근하거나 손절 잡고 매수하기엔 6400대도 나쁘지 않은 매수 자리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점 어제와 관점 비교하면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크게 다른 점 없고 6200~6300대는 추세로 가져갈 수 있는 자리, 6400대에서도 단타로 가져가거나 지지들 손절 잡고 매수해볼 수 있는 자리, 6600대는 강력한 저항들이 있는 자리입니다.
[캘린더] 다시 돌아온 캘린더, 여전한 매수 자리였던 6200~6300달러대와 6600대의 큰 저항들(11월 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일주일 간 필리핀에 다녀오느라 그동안 분석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말씀을 미리 드렸어야 하는데 인터넷 상황이 좋지 못해 말씀드리지 못했네요.
다시 돌아왔으니 또 한번 열심히 분석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난 분석 글인 10월 25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5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 차트에선 우선 캔들로서는 위꼬리를 길게 단 캔들이 만들어지며 음봉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매도세가 아직도 여전함을 확인할 수 있는 캔들 형태입니다.
그리고 7 MA를 뚫지 못했으며 종가 마감에 있어 볼린저 밴드의 베이스 라인이 뚫리게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저항선으로 받아들일 예정입니다. 현재 각각 6872달러와 664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종가 마감은 세력들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저항 자리들을 확인하고 있어야 합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의 21 MA 또한 여전히 저항으로 남아있으며 현재 6670달러 부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에서도 저항받을 베이스라인은 6696달러에, 지지받을 수 있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은 623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재 월봉과 주봉에서 6600대에 저항들이 많음과 6200대에 지지받을 자리가 있음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어느 정도 모닝스타 캔들로 해석할 수 있는 캔들 형태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모닝 스타 캔들은 하락 추세에 대한 상승 반전형 캔들이며 상승 반전을 염두에 둘 수 있습니다.
4. 장기 추세선
앞서 돌파했던 BITFINEX의 장기 추세선에 대해 지지를 받고 다시 상승 중에 있습니다. 지지 받았으며 다시 내려와도 지지받을 수 있는 추세선 중 하나입니다.
5.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6425달러의 저항을 다시 한번 뚫게 되었으며 현재엔 BTC/JPY에선 보라색 0.886 비율 저항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합니다.
6.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새로운 판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현재 저항받을 R1은 6530달러에, P는 6421달러에 있음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각각 저항과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들입니다.
7.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6796달러 부근에 저항으로써 남아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MFI 지표의 과매도 부근에서 다시 반등 중에 있습니다.
8.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21 EMA의 저항을 받다가 다시 한번 어제의 종가 마감에 있어 21 EMA의 저항을 뚫었기 대문에 지지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됩니다.
현재엔 다음 저항받을 50 EMA는 653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ADX가 내려가면서 추세가 약해지며 횡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Aroon 지표에선 아직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TRIX에서도 0을 돌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매수 시그널이 발생하지 못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에 지지를 받고 반등하였으며 현재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 위에 종가 마감되며 조금씩 벌어지는 중입니다.
매수 받으려면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이나 베이스라인 부근에서 분할 매수를 들어갈 수 있으며 현재엔 6458달러와 641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1.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게 되었지만 오실레이터가 올라가는데 있어 아직 거래량이 붙지 않은 상태입니다.
12.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다시 한번 뚫게 되었으며 모두 지지받을 자리로서 현재 6421~6465달러 부근에 있습니다.
그리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 시그널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0.4%
환율: USD 1123.4원, JPY 9.93원
SFD: 2.6%
[캘린더] 어제 뚫린 EMA들과 피봇 지지, 비석형 캔들과 함께 하락 추세(10월 2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요즘 컨디션이 많이 떨어지는 것 같네요. 여러분들께서도 날씨와 컨디션 고려하시면서 건강 챙기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24일 수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5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비석형 캔들이 나오면서 어제 매도세가 나온 캔들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어제 지지가 뚫린 뒤 저항으로 바뀌면서 저러한 모양이 된 상황입니다.
아직까진 상승 추세보단 하락 추세를 먼저 염두에 두는 것이 맞습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에선 허공에서 계속 횡보하는듯 하지만
BTC/JPY와 FXBTC/JPY에선 파란색 0.886과 보라색 0.886비율에서 계속 지지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대 계속 모니터링을 권해드리고 있습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 또한 BTC/USD는 허공에서 움직이지만 BTC/JPY와 FXBTC/JPY에서 P에 저항받는 가격대입니다.
현재 피보나치 비율과 피봇 포인트 상으로 같은 자리에서 지지와 저항받을 자리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는 어제와 마찬가지로 다이버전스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특징으로 보자면 MFI에서 상승하는 것이 거래량이 조금 더 붙어서 그런 듯 합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일봉의 EMA에선 어제와 마찬가지로 21 EMA와 50 EMA에서 저항받고 있습니다.
현재 21 EMA는 6565달러, 50 EMA는 659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Aroon에서는 박스권 횡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직도 6200~6600대의 횡보를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TRIX 지표에서도 아직 0를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수축하면서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에서 저항받고 하락하고 있으며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이 아니라면
단타 말고는 매수하기 껄끄러운 자리들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진다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저점을 6525달러보다 낮추기 전까진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어제와 마찬가지로 4시간봉 EMA에서 저항받았으며 현재에도 마찬가지로 올라가면 저항받을 6575~6585달러입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1.4%
환율: USD 1,138.5원, JPY 10.16원
SFD: 1.7%
[캘린더] 뚫리게 된 일봉과 4시간봉의 EMA와 피봇의 P, 저항 자리로서 인식해야 하는 가격대(10월 24일) 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요즘 새벽까지 일을 하고 있는데 너무 신경 쓸 것이 많아 예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23일 화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4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음봉 팽이형 캔들이 만들어지며 아직은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어제와 마찬가지로 파란색 0.886 비율 아래에 있으며
BTC/JPY와 FXBTC/JPY의 파란색 0.886과 보라색 0.886 비율 부근의 지지를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BTC/JPY와 FXBTC/JPY에서 P가 아래로 뚫리게 되었습니다.
우선 저항받을 자리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서 다이버전스가 따로 만들어지진 않은 상태입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21 EMA가 뚫린 상황입니다.
6.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어제와 마찬가지로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Aroon 지표에서는 박스권 횡보를 이어나가고 있고
TRIX지표에선 아직 0을 돌파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수축하고 단타의 자리만이 되며 베이스라인 아래에서 표준편차 2짜리, 1짜리 하한선에서
매수 자리가 됩니다. 단타하시는 분들은 가격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서도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은채 가격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 EMA가 모두 뚫리게 되었습니다. 이제 저 가격대는 저항선으로 받아들이게 될 예정이며 단타하시는 분들이라도 저 저항 가격대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9%
환율: USD 1133.7원, JPY 10.08원
SFD: 2.3%
[캘린더] 어제와 마찬가지로 아직 정해지지 않은 추세, 관망 또한 매매의 전략이다(10월 23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요즘 진짜 쌀쌀한데 모기도 있고 참 잠들기 괴로운 밤인 것 같습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22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3일 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현재 주봉 차트에선 저항이 6680달러대에 계속 있는 모습입니다. 지난 주에 말씀드린 것처럼 이는 부대장 저항이므로 7300대의 대장 저항 전에 뚫어야 할 저항입니다.
이 6680달러대의 저항은 계속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합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BITFINEX와 BITFLYER의 차트가 다르게 나타나며 아직까진 상승 반전이나 지속이 나타났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BITFLYER에서는 고점을 낮춰가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아직까진 상승 추세보단 하락 추세를 먼저 염두에 두는 것이 맞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에선 파란색 0.886 비율이 6659달러에 있어 주봉 차트의 저항과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BTC/JPY와 FXBTC/JPY의 파란색 0.886 비율과 보라색 0.886 비율의 지지를 받고 있으니 매수 입장에서 이 가격대를 같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BTC/USD는 갭이 커서 아직까지 염두에 두긴 힘들지만
BTC/JPY와 FXBTC/JPY는 P에서 지켜주고 있으므로 이 가격대도 같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상승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21 EMA와 50 EMA의 사이에서 횡보의 가능성을 말씀드렷으며 우선 21 EMA 부근에선 지지받은 상태입니다.
방향성을 확신하긴 어려운 상태입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어제도 말씀드린 것처럼 수축했기 때문에 추세가 나타나지 않아 단타만을 권해드렸습니다.
베이스라인은 뚫리긴 했었지만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서 지지를 받으며 다시 반등 중에 있습니다.
역시나 단타 자리로 각각 자리 확인해주시기 바라며 현재엔 6557, 6586, 6615 달러에 각각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4시간봉에서의 오실레이터에서도 크게 다이버전스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오실레이터
EMA에서 어제와 마찬가지로 지지와 저항이 복잡하게 있으므로 확신을 가지긴 어려운 상태입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6%
환율: USD 1135.4원, JPY 10.08원
SFD: 2%
[캘린더] 너무 작은 단타 자리, 귀찮으면 하루는 관망하고 방향성 잡힌 뒤에 매매해도 늦지 않다(10월 22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10월도 거의 끝나가네요. 분석 글을 올린지도 참 오래된 것 같습니다.
먼저 지난주 금요일인 10월 19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2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저항이 6700대에서 6600대로 내려온 모습입니다.
아직까진 주봉에서 뚫지 못한 상황이며 이번주 또한 6600대에선 저항을 받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비석형 캔들이 나왔으며 지난 분석 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하락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약간 오르긴 했지만 아직까진 저항을 뚫지 못했고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지도 못한 상태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선 6600~6800대의 피보나치 비율의 지지가 한꺼번에 뚫린 이후 어제 낮동안 오르면서도 6659달러의 파란색 0.886 비율에서 저항받은 모습입니다.
BTC/JPY와 FXBTC/JPY에서는 보라색 0.886 비율과 파란색 0.886 비율의 자리들을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새로운 판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BTC/USD 기준에선 P와 S1이 갭이 조금 큰 편입니다. 각각 6891달러와 6320달러에 있고 저항, 지지받을 자리가 되는데
BTC/JPY와 FXBTC/JPY에선 P에서 바로 지지받고 있습니다. 4시간봉 종가에서 뚫리는 것을 손절로 잡고 단타로 들어갈 수 있는 자리입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아직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21 EMA와 50 EMA의 지지와 저항 사이에 있으며 보라색 네모친 부분처럼 사이에서 며칠 간 횡보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사이에서 일부 시드를 가지고 단타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에선 아직 매수 시그널에 유지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이긴 하지만 Aroon에선 아직도 횡보 부근이며 TRIX에선 아직도 0을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수축하면서 베이스라인 부근에서 지지받는 중이며 추세보단 단타칠 베이스라인에 해당합니다.
현재 6589달러에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으로서 6759달러에 있고
오실레이터에선 다이버전스가 크진 않은 상황입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위아래로 지지, 저항이 복잡하며 각각의 단타만 할 수 있는 자리들입니다.
나머지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9%
환율: USD 1133.8원, JPY 10.08원
SFD: 1.6%
[캘린더] 내려온 6600대 초반과 지지와 저항이 혼재된 자리들(10월 19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오늘 너무 바빠서 분석 글을 어제도 못쓰고 오늘도 늦게 쓰게 되었네요.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먼저 이틀 전인 10월 17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9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지난주 분석 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주봉에서의 21 MA 저항은 그대로 유효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아직도 6700대에 있으며 6700대에선 제가 매수를 자제하라고 말씀드렸던 이유 중 하나입니다.
월요일까지 뚫지 못한다면 그대로 저항으로 남아있을 예정입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이틀 간 저항을 뚫지 못한채 음봉 캔들 형태가 나왔으며 아직까진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왔다고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에서 저항받고 내려오면서 BTC/JPY와 FXBTC/JPY에서 저항받을 자리, 지지받을 자리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R2에서도 저항받았으며 현재 R1에서도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P는 6428달러로, 피보나치 비율의 중요한 자리였던 6425달러와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100 EMA에서 저항받을 받는다고 말씀드렸으며 현재 50 EMA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대응 방안에서 써드린 것처럼 기다린 이유가 있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에 내려가게 되었으며 하락 추세가 시작될 수 있게 됩니다.
우선 하한선 밑에 있기 때문에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자리이며 올라간다면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저항받을 예정이고 현재엔 6671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이며 이 자리 또한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현재엔 6570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의 EMA 자리들이 복잡한 자리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각각 지지와 저항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라 확신을 가지긴 어려우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 매수 시그널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2%
환율: USD 1133.5원, JPY 10.08원
SFD: 2.4%
[캘린더] 과거의 매물대와 현재 주봉 차트에서의 저항, 단타의 매수 자리와 포지션 좋은 사람들(10월 17일)안녕하세요. 캘린더입 니다.
요즘 환절기라 감기 조심을 꼭 하셔야 합니다. 저도 감기에 걸려 계속 콧물이 나오네요 ㅠㅠ
먼저 어제인 10월 15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7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저항받을 21 MA에 대해 6747달러 부근에 있으며 아직도 저항받는 자리입니다.
이번주 끝날때까지 계속 저항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양봉 캔들이 출현하긴 하였지만 아직까지 상승을 확신하긴 어려운 캔들입니다.
BITFINEX에서 위아래꼬리가 길긴하기 때문에 다른 거래소 일봉 캔들도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는 의미있던 자리들이 6600~6800대에 많이 있습니다.
앞서 6400~6600대의 매물대가 많았기 때문에 내려온다면 반등이 나오고 지지받을 수 있는 매물대입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R2 부근에서 계속 저항과 지지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현재엔 4시간봉 위에 마감되면서 지지받을 자리에 있습니다.
다른 두 차트에선 P 돌파 뒤에 R1부근으로 계속 달려나가고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받을 자리이며
오실레이터에선 RSI에선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타나진 않은 상황입니다.
6. 일봉 지표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계속 100 EMA에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앞서서 두번은 며칠 뒤에 100 EMA를 돌파하긴 하였으나
계속 저항받을 자리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현재 6789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긴 하나 아직 Aroon 지표에선 평행 움직임으로 보고 있고
TRIX에서도 0을 아직 돌파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어제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 부근에서 분할 매수의 일부를 권해드렸으며 아직까진 아래로 통과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음 지지받을 베이스라인은 6600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었지만
오실레이터에선 하락 다이버전스가 아직 만들어지진 않은 상황입니다. 만들어지는대로 코멘트해드리겠습니다.
만약 RSI가 더 올라가는 모습이 보인다면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10. 4시간봉 지표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어제에 이어서 BTC/JPY와 FXBTC/JPY까지 100 EMA를 돌파한 상황입니다.
나머지에선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5%
환율: USD 1124.2원, JPY 10.01원
SFD: 2.3%
[캘린더] 아무리 쏴도 종가와 저항 자리는 그대로 유효하다, 주봉과 월봉에서의 중요한 상승장의 조건(10월 16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참 많은 일이 있었네요. 우선 급상승이 있었으며 아마 6200~6300달러대 추세로 가져갈 매수 자리는 쉽사리 안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점 참고하셔서 포지션 좋으신 분들은 그대로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어제인 1 0월 15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5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차트에선 지난 4월부터 계속 저항받았던 7 MA이었습니다. 이번달 또한 저항받을 자리이기도 합니다.
제가 상승장에 대한 기준으로 마지막 대장 저항으로 잡은 이 7 MA였습니다. 현재 7300대에 있으며 이번달 마감에 있어 위에 마감되어야만 저항을 뚫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7300대는 계속 저항받을 자리가 될 것입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는 우선 21 MA든 볼린저 밴드의 베이스라인이든 저항받을 자리이며 모두 6700대에 있습니다. 이 또한 저항받을 자리이며 이번주에 마감에 있어 뚫을지 아니면 아래에 마감될지 확인해야 합니다.
제가 어제 방송에서 6600~6700대 위에서 사면 안된다고 했던 이유 중 하나입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BTC/USD는 모닝 스타 캔들로 해석할 수는 있겠지만 입출금이나 테더 문제에서 자유로운 BTC/JPY와 FXBTC/JPY는 모닝 스타 캔들이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른 거래소에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상승 반전이 나타났다고 확신하시면 안됩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 각각 과거부터 중요한 자리들이었습니다. BTC/JPY와 FXBTC/JPY에선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니 각각의 자리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BTC/USD에선 마지막 저항인 R3의 저항을 받았으며 현재엔 R2까지 저항을 받게 되었습니다.
현재 6743달러에 있으며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R1은 6623달러, P는 6428달러에 있음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BTC/JPY와 FXBTC/JPY의 P자리를 확인하셔도 괜찮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받을 자리이며 현재는 6960달러에 있습니다.
어제 실시간으로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시그널을 바꾸지 않으려는 세력에 의해 저항받는 모습이었습니다.
고점은 높이고 오실레이터도 올라가면서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진 않았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100 EMA의 저항받고 아직 저항을 뚫지 못했으니 내려온다면 지지받을 수 있는 21 EMA, 50 EMA는 각각 6543, 6599달러에 있습니다.
8.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보이는 듯 하지만 아직 Aroon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확신하고 있진 않습니다.
TRIX지표 또한 아직 0을 돌파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9.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공격적 매수를 할 수 있는 자리인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현재 6704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만약 추격매수를 한다면 이 부근에서 매수를 할 수 있는 것이지요. 물론 6200~6300대의 매수가 아니기 때문에 전량 매수가 아닌 분할 매수에 들어가야 하며
다음 매수 자리는 베이스라인인 6481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4시간봉의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긴 하였지만 오실레이터에서 RSI, MFI 지표의 과매수 부근에서 조정이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11.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BTC/USD에선 모두 뚫긴 하였지만 아직 BTC/JPY와 FXBTC/JPY의 100 EMA 부근에서 지지와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12. 김프, 환율, SFD
김프: -0.3%
환율: USD 1126.5원, JPY 10.05원
SFD: 2%
[캘린더] 분할 매수 구간에서의 상승과 6400대의 여러 저항들(10월 1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제가 말씀드린 6200~6300달러대의 분할 매수 자리에서 우선 꾸준히 상승 중에 있습니다.
먼저 지난주 금요일인 10월 15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5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음봉 캔들이 만들어지면서 우선 하락 추세에 대한 상승 반전이 나오진 않은 상태입니다.
상승 반전 캔들이 출현하고 진입하셔도 늦지는 않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교수형 이후 하락 뒤에 바닥 집게형 캔들이 나오면서 우선은 3일간 상승 중에 있습니다.
바닥 집게형 캔들도 상승 반전형 캔들이긴 하지만 큰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확신은 힘듭니다.
3. 장기 추세선
장기 하락 추세선에 대해서는 약간씩 휩소가 있었지만 돌파하진 못한 상태입니다.
하락 추세가 벗어남에 있어서 추세선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3월부터 중요한 자리들이었으며 매물대 또한 몰려있는 자리들입니다.
현재 위로 BTC/USD의 6425달러와 BTC/JPY, FXBTC/JPY의 파란색 0.886 비율이 저항으로 있습니다.
5. 피봇 포인트
월요일이 되어 피봇 포인트에서 새로운 판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S2는 지난 대응 방안에 적어드린 매도를 가져갈 수 있는 가격대였습니다.
6396달러에 있었으며
이제 올라가면 저항받을 P는 피보나치 비율에서 중요한 자리였던 6425달러와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21EMA는 저항받을 예정이며 6493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직도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에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수축 뒤에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에선 저항받고 있습니다.
각각의 단타 들어갈 수 있는 자리들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이 또한 저항선입니다. 현재 6453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실레이터에선 과매도 부근에서 반등이 나온 뒤 딱히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오실레이터
BTC/USD에선 21 EMA를 다시 올라가는 듯 하지만
다른 두 차트에선 저항받고 있습니다.
단타치시는 분들은 이 가격대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1%
환율: USD 1133원, JPY 10.1원
SFD: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