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파동 구조를 활용하여 도출할 수 있는 두가지 시나리오비트코인은 현재 삼각수렴을 하면서 지겨운 횡보성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늘 안에 상단을 돌파하던 하단을 이탈하는 움직임이 나올 것 같습니다. 전 50대 50의 확률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통 이런 상황엔 No trading zone이죠. 오늘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저의 bullish와 bearish 카운팅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 차트는 저의 bullish 상승 관점입니다. 이미 1 소파동이 형성되고 현재 3 소파동이 진행되고 있는 시나리오 입니다. 현재 1시간, 4시간 봉 차트에 하락 다이버전스가 출현했습니다. 당분간 삼각형의 상단에 어느정도 눌릴 확률이 높다는 시그널입니다. 현재 1시간봉 55 이평선이 잘 지지를 해주고 있습니다. 패턴의 상단을 돌파하고 상승할 경우 경우 저는 크게 타겟을 $8000 그리고 $8300으로 설정했습니다. 본 카운팅은 $7260을 이탈하면 무효해집니다.
위 차트는 저의 bearish 하락 관점입니다. Bullish 관점과 비슷하게 1 하락 소파동이 형성된 후 3 하락 소파동이 진행되고 있다는 시나리오입니다. 전 본 수렴 삼각형 패턴의 하단을 이탈하면 적어도 $6900~$7000 까지는 열어두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악의 경우 $6450이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본 카운팅은 $7730을 돌파하면 무효해집니다.
어느 상황이던 잘 대응하시려면 패턴이 깨지는 순간을 잘 캐치해 트레이딩을 하셔야합니다. 보통 삼각수렴 이후 많은 거래량이 동반되면서 급상승 혹은 급하락할 확률이 높습니다. 보수적인 트레이더분들은 캔들이 삼각형 돌파 후 위에서 종가가 마감되면 추격 매수 혹은 롱 진입하시면 되겠고, 아래에서 마감되면 손절 혹은 숏 진입하시면 되겠습니다.
Bitcoin-btcusd
30분봉에서의 삼각수렴, 그리고 비트코인의 단기적 추이 파악(20180526)1. 이번 삼각수렴은 직전저점(7262)의 이탈 이후 추가 하락을 점칠 수 있는지에 대한 중간 시험대로서 그 의미를 강하게 둘 수 있는 중요한 구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2. 주말장의 특성 : 이미 정해진 추세에 대해 더 힘을 실어주는 형태로 장이 진행됨.
3. 주말에 직전 저점을 이탈하여 더 큰 매도세를 줄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되겠습니다.
4. 거래량은 극단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추세가 터지기 전까지는 단타도 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진행에 따라 실시간 코멘트로 대응합니다.
[장기분석] 비트코인의 미래는? 2만5천불 시나리오.전 엘리엇 파동 이론을 종교처럼 믿는 트레이더입니다. 본 이론을 활용하여 저는 주로 중단기 기술적 분석을 해왔습니다. 오늘 트레이딩뷰에 처음으로 장기분석을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미국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대학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제가 예전부터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이 정말 많아 본 기술의 근본적인 펀더멘털 조사 및 공부도 많이 하고 서울대 교수님들께 블록체인 강의도 꽤 했습니다. 전 이 막강한 블록체인 기술이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라고 굳건히 믿고 있고, 세상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이 블록체인 기술의 대표적인 상품인 암호화폐에 대한 확신이 없었으면, 시장의 우상향 추세를 의심했으면, 이 시장에서 애초에 트레이딩도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런 믿음을 가지고 전 암호화폐 시장이 향후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거라는 것을 장담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관점으로 접근해봅시다. 차트만 보셔도 큰 그림에서 저희는 아주 약간의 조정을 받고 있는 정도입니다. 본 차트는 주봉 로그차트입니다. 많은 애널리스트들이 다른 관점으로 파동 카운팅을 접근하겠지만, 저의 관점으로는 현재 크게 두가지 카운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대 5 파동(노랑)의, 중 3 파동(초록)의 소 2파동(파랑)이 진행중인 시나리오고 두번쨰는 아직 대 4 파동(노랑)이 진행중인 시나리오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대 3 파동(노랑)의 0.618~0.65 되돌림, 소 1파동(파랑)의 0.718 되돌림, 중기 상승 추세선(흰색), 그리고 주봉의 55 EMA가 모두 겹치는 구간($6900~$7200)에 도달하였습니다. 엄청난 저항 구간입니다. 스윙 트레이더 혹은 장기적으로 투자하실 분들은 이번에 진입을 많이 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보다 더 떨어져 봤자 전 $6900~$7000 에서는 무조건 반등을 할 수밖에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더 떨어질지는 모르겠지만 만약에 진입 시기를 아직 기다리시는 분들은 이 구간에서 매수하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중 1파동과, 소 1,2 파동 구조에 피보나치 연장 툴을 사용하여 저의 장기적 타겟을 설정해봤습니다. 그 결과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하는 지점이 $15800, $21500, 그리고 $27000이라고 생각합니다. 향후 소중 파동 구조가 형성되면 더욱 구체화 되겠지만, 현재로써 제 대 5파동의 최종적인 타겟은 $21500~$27000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 저점인 $6000을 이탈하지 않는 이상 저의 타겟은 유효합니다.
현재 겪는 조정장은 암호화폐 시장이 성장하기 전에 잠시 겪는 성장통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니 FUD 하지 마시고 위에서 물려계신분들 괜히 밑에서 손절하지 말고 조금만 참으세요!
댓글과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무서운 C 파동아래 차트는 브리핑방에 제가 엊그제 올려드렸던 중장기 타겟입니다. 워낙 많은 악재들이 겹쳐 많은 FUD가 발생한 상황입니다. 저도 어느정도 $7200~$7600까지는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빠른 시간 안에 도달할 줄은 몰랐네요. 보통 엘리엇 파동 이론상 C 파동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하락 공포심을 느끼고 패닉셀을 해 파동이 연장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시간봉상 RSI가 올해 1월 17일 이후 최저점을 기록했습니다. 지금 조금씩 회복을 하고 있지만 아직 과매도 구간에 있습니다. 상승 파동 사이클의 0.618 되돌림 구간인 $7800을 가볍게 돌파하고 노란색 중기 하락 추세선을 돌파한 후 파란색 장기 상승 추세선에 반등했습니다. 그리고 노란색 추세선이 이제는 지지선이 아닌 저항선으로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저의 2차 타겟까지 현재 도달한 상황입니다. 파동의 좁은 채널과 기울기를 고려하면 추가 하락에 대비 하셔야 합니다. 세력들이 기어코 $6900~$7200 자리를 만들려나 봅니다.
패턴 관점에서는 장기적으로 헤드앤숄더가 형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지금 아무리 반등을 한다고 한들 넥라인 부근인 $7800~$7900이 강력한 저항구간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현시점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 정리본 차트는 저의 Bearish(하락 관점) 카운팅입니다. 근 몇일 간 상승 했던 파동을 5-3-5 구조인 B 조정 파동으로 고려하여 추가 하락(C 파동)을 열어두는 시나리오입니다. 이 경우 많은 트레이더들이 기다리고 있는 자리인 7700~7800불까지 갈 확률이 높습니다. 8600불 돌파 시 본 카운팅은 무효화됩니다.
저의 bullish(상승 관점) 카운팅입니다. 상승 파동을 5-3-5-3-5 구조로 해석하여 조정이 끝나고 본 파동을 새로운 충격 파동으로 고려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지금 하락하는 파동을 1 소파동의 조정파 (2 소파동)으로 간주를 해야겠죠. 본 시나리오는 8600불 돌파 시 신뢰성이 높아지고, 7925불 이탈 시 무효화됩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4시간 캔들 피보나치 0.5 되돌림(8070) 공성전, 그리고 최근 비트코인 추세 파악(20180518)< 이전까지의 흐름 >
1. 이전까지는 강한 장대 양봉 이후 매수세를 바탕으로 대세 상승채널을 형성하였고, 그 과정에서 더 강한 매수세의 여파로 가속 채널을 형성하였습니다.
2. 그러나 9900달러대에서 강한 저항을 맞고 이후 유도된 하락은 가속 채널을 붕괴시키고 강한 조정을 주었습니다.
3. 이후 기본적인 상승채널과 상승 평행추세의 하단을 지키면서 가격을 유지하나 싶었지만 업비트발 악재 및 여러 기술적 분석 이외 요인으로 강한 패닉셀이 발생, 대세 상승 추세선 자체가 깨지게 되었습니다.
< 이제부터의 흐름 >
1. 패닉셀 이후 상승추세가 완전히 망가지면서 대세 하락으로 변경(직전 저점을 이탈한 강한 하방이 관측되었으므로)되었습니다.
2. 이후 강한 하방으로 0.382 되돌림(8523) 자리를 강하게 하락 돌파, 이후 리테스트를 겸한 하락 추세선 저항을 맞고 다시 하락을 이어주고 있습니다.
3. 이 과정에서 새로운 하방 패러렐 채널 형성 가능성을 열어두게 됩니다.
4. 현재는 0.5 되돌림(8070) 자리의 지지, 이탈에 대한 공방이 치열하게 이어지는 흐름입니다.
< 앞으로의 대응 >
1. 신규 매수 포지션의 자리는 현재로선 없다고 생각합니다.
2. 0.618 되돌림은 강한 지지선으로 작용하므로 매도 포지션을 갖으신 분은 해당 자리에서 청산 후 단기 매수 관점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3. 지난 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8370대에서 매도 포지션을 잡으신 분은 해당 자리에서 1차 청산이 나갈 수 있으며, 이후 물량은 본절 및 청산의 전략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캘린더]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캘린더입니다.
오늘은 제 실패에 대한 반성과 원인 분석을 해야 합니다.
먼저 어제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월 22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우선 음봉 캔들이 나왔습니다. 전날의 캔들보다 고점은 높이긴 하였으나 저항을 뚫지 못하고 하락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캔들 모양으로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2. 장기 추세선
BTC/JPY의 장기 하락 추세선은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추세선입니다. 우선 당장엔 거리가 있지만 추가로 하락한다면 확인을 할 예정입니다.
3. 단기 하락 추세선
단기 하락 추세선에 대해 벗어났지만 하락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하락한다면 지지받을 수 있는 추세선입니다.
4.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는 보라색 0.382의 저항을 받았으며 분홍색 0.382의 지지를 테스트한 뒤에 추가 하락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파란색 0.618과 보라색 0.5 비율이 있는 8210달러에선 우선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가 됩니다.
BTC/JPY에서는 분홍색 0.382 비율이 지지받을 수 있는 위치가 되며
FXBTC/JPY에서도 분홍색 0.382비율의 지지를 테스트한 뒤에 하락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5. 패턴
쐐기형 패턴의 아랫 추세선은 우선 지지받을 수 있는 추세선입니다. 현재 지지를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역헤드앤숄더 패턴의 넥라인은 넥라인의 지지를 해주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6.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의 P는 지지가 뚫린 후 하락하고 있습니다. 우선 저항선이 되었으며 P는 현재 844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하락하게 된다면 S1은 808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계속 나타내고 있습니다.
차트의 고점은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높아지는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유효했으며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알고도 간과한 점 중 하나입니다.
21 EMA의 저항을 받고 내려오게 되었습니다. 현재엔 8611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역배열을 유지하고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수 시그널은 사라졌습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현시간에 베이스라인의 지지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1시에 지켜줄지 확인하게 됩니다. 그리고 표준편차 1짜리의 하한선을 한번 테스트하고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지켜주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각각 8356달러와 8249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현재 매도 시그널이 출현하고 있습니다. 오실레이터에서 다이버전스를 현재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에선 세 차트 모두 21 EMA의 지지를 지켜주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현재엔 836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MACD에선 데드크로스가 나오려 하고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 2.2% 정도입니다.
환율 : USD 1085.4원, JPY 9.76원
SFD : 4.1%
대응 방안
어제의 공격적인 매수에 있어서 실패한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제가 잘못한 것입니다.
피보나치 비율, 피봇 포인트, 역헤드앤숄더의 넥라인, 4시간봉의 50 EMA의 지지를 기대했었지만 저항 또한 많은 것을 간과하고 있었습니다.
하락 다이버전스도 보고도 간과하지 않았나 반성합니다.
어쩌면 객관적인 해석이 아니라 주관적인 해석을 한 후 자기의 예측을 정당화시키려고 하지 않았나 반성합니다.
공격적인 매수를 한 시드 중 1.5% 정도 손절이 나갔습니다. 적지 않은 금액이었으며 이를 채우기 위해선 이번 잘못을 통해 배움을 가지고 다신 이런 실수를 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배움에 대한 값이 되겠지요.
제가 전문가라고 단 한번도 칭하지 않고 아직도 부족하다고 생각하며 여러분과 함께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이지요.
어제 오늘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고 다시 한번 초심으로 돌아가서 다양한 관점에서 모두 충족할 때, 보수적인 트레이딩을 할 예정입니다.
다시 한번 어제의 공격적인 매수에 대해선 제가 실수하였으며 앞으로 더 성장하는 캘린더가 될 것입니다.
현재 4시간봉의 MACD에서 데드크로스가 나오기 일보 직전이어서 좋은 상황이 아닙니다. 물론 쐐기형 패턴의 아랫 추세선이나 볼린저밴드의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이 지지선으로 남아있긴 하지만 어제의 지지선이 오늘의 저항선이 되며 좋은 상황이 아닙니다. 이점 고려하시며 매매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단기적 관점에서의 파동 카운팅과 청산 타겟현재 저의 파동 카운팅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에 본 상승 파동이 조정파동의 B파동이라면 3 파동까지만 (5-3-5 구조) 상승하고 다시 하락하겠죠. 중장기 하락 추세선을 돌파함으로써 새로운 평행 채널(노란색)을 형성했다고 봅니다. 단기적인 상승 추세선 (오렌지) 역시 강한 지지를 해주고 있습니다. 현재 노란 평행채널의 상방과 오렌지 상승 추세선과의 수렴이 이루어지고 있고 오늘 안에 하단을 이탈을 하거나 상단을 돌파할 확률이 높습니다.
저의 롱 포지션 타겟은 다음과 같습니다.
1차: 8580~8620
2차: 8680~8730
3차: 8780~8840
참고로 본 파동 카운팅과 타겟은 8380불을 이탈하면 무효해집니다.
추천과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캘린더] 5월 21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 (추세 전환에 대한 기준)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월요일이 시작되었네요. 우선 어제 반등이 시원하게 나와주어 상황 자체는 좋은 것 같습니다.
우선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5월 21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캔들
우선 주봉 캔들 자체는 망치형 캔들로 해석할만한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음봉의 몸통이 길었으나 주봉 종가 마감에 있어 상승이 나오며 아래 꼬리가 달리고 몸통이 작은 망치형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이는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기대해볼만 하며 양봉이었으면 더 좋았겠으나 우선 음봉이어도 기대는 해볼만한 캔들이라고 생각합니다.
2. 일봉 캔들
어제 분석 글에서 오늘의 일봉 캔들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고 일봉 캔들에서 매수세를 알리는 오픈 마루보주, 즉 윗꼬리가 길게 달리지 않은 몸통이 긴 양봉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아침에 7시쯤 일어나서 눈 비비며 가격대를 체크하였었는데 종가 마감 세력들이 내리게 되었었습니다.
우선은 캔들 형태론 상승세를 기대해볼 수 있는 캔들 형태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3. 장기 추세선
비트 플라이어의 BTC/JPY에 대해서 장기 하락 추세선의 지지를 받고 현재 상승하고 있으며 아직까진 안심하긴 이른 상태입니다.
며칠 간은 멀어질 때까지 지켜볼 예정이며 하락한다면 지지받을 수 있는 추세선이 됩니다.
4. 단기 추세선
어제 코멘트를 통해 말씀드린 것처럼 로그눈금으로 보았을 때에도 단기 하락 추세선은 상승 돌파하게 되었습니다.
5. 피보나치 비율
BTC/USD와 FXBTC/JPY에서 분홍색 0.382에 대해 상승 돌파 후 현재엔 지지를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반등이 나온다면 추가 상승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됩니다.
6. 패턴
쐐기형 패턴 1에 대해선 세력들이 선형눈금으로 보는지 로그눈금으로 보는지 아직 확실한 판단이 서지는 않습니다.
일봉 차트에서 장기 추세이기 때문에 로그눈금으로 보지 않을까 생각이 들긴 하지만 장담하지 못하며 우선은 염두에 두는 패턴이 될 것입니다.
쐐기형 패턴 2의 윗 추세선은 단기 하락 추세선이었으므로 상방 이탈한 상태입니다.
우선 당장엔 상승을 염두에 두는 패턴이 되겠습니다.
1시간봉에서 역헤드앤숄더 패턴이 완성되었습니다. 넥라인까지의 돌파가 되었으며 현재엔 넥라인의 지지를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지지를 받고 상승하게 된다면 목표가는 9000달러가 되겠으며 만약 넥라인이 뚫려 하락한다면 패턴은 무효화가 됩니다.
7.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는 현재 새로운 판이 만들어져 P의 지지를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P는 현재 844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S1은 8070달러, R1은 881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BTC/USD, BTC/JPY, FXBTC/JPY의 P가 모두 같은 위치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일봉 보조지표
일봉 차트의 파라볼릭 SAR은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지만
차트의 고점이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높아지는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고점이 8884달러보다 높아지기 전에는 유효한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입니다.
추가 상승을 이어나간다면 지수이동평균선은 모두 저항선이 됩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21 EMA는 8648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조금씩 모이고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수 시그널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9. 4시간봉 보조지표
4시간봉의 볼린저밴드에선 두번째 노란색 부근에서 파란선을 한번 돌파 한뒤 베이스 라인의 지지를 테스트 하고 다시 한번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한번 더 뚫게 되며 볼린저 밴드는 다시 윗쪽으로 벌어지게 될 예정입니다.
현재엔 파란선의 저항을 받고 있으며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은 현재 8403달러, 베이스라인은 8258달러에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4시간봉의 파라볼릭 SAR은 매수 시그널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4시간봉의 EMA에 대해선 50 EMA를 상승 돌파 하였고 100 EMA의 저항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MACD는 골든크로스가 나온 뒤 상승을 이어나가고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 1.5%
환율 : USD 1081.9원, JPY 9.75원
SFD : 4.2%
대응 방안
앞서 9900달러에서 역헤드앤숄더 패턴의 넥라인에서 저항을 받고 내려오며 헤드앤숄더 패턴이 완성되었었고 목표가인 8000달러까지 도달하였었습니다.
그동안 하락 추세가 지속되었고 지수이동평균선은 데드크로스가 나오게 되었지요.
그러나 BTC/JPY의 장기 하락 추세선의 지지를 확인하였고 여러 지지받을 곳에서 반등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어제 아침의 8200달러대에서 공격적인 매수 자리에 대한 근거였습니다.
현재엔 단기 하락 추세선의 저항을 뚫어내었고 상승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아직까진 상승 추세로 완전히 바뀌었다고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공격적인 트레이더와 보수적인 트레이더의 방향이 나뉘게 됩니다.
공격적인 트레이더라면 현재의 8440~8470달러대는 두번째 공격적인 매수 자리가 됩니다. 1시간봉의 역헤드앤숄더의 넥라인, 피보나치 비율의 8474달러, 피봇포인트, 4시간봉의 50 EMA의 지지를 기대하는 자리입니다.
손절은 짧게 잡으면 종가가 8400달러 아래에 마감된다면 손절을 해야 할 수 있고 길게 잡는다면 8200달러대까진 손절을 열어두고 매수할 수 있는 공격적인 자리가 되겠습니다.
보수적인 트레이더라면 우선 100 EMA의 저항을 뚫어내는 것을 확인하고 골든 크로스가 나오는 것을 확인한 후에 안정적인 자리에서 매수받아도 늦지 않습니다.
이후 변화에 대해선 코멘트에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등한 파동 살펴봅시다. 어제 제가 게시글을 통해 공유한 청산 목표 타겟을 정확하게 도달했습니다. 반등한 파동이 아주 이쁘게 5파동으로 형성되었습니다. 본 파동이 전체 조정장의 B 파동이던, 조정장이 끝난 새로운 충격 파동이던, 이 5파동의 사이클에 초점을 맞춰 가능한 단기 목표 청산가를 설정해봤습니다.
현재 큰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는 초록색 중단기 하락 추세선을 돌파 시도 중에 있습니다. 눌리고 8050~8150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렇게 될 시 위 차트처럼 추가 하락한 파동을 c 파동으로 고려해야겠죠.
저의 단기적 목표 청산가는 8400불, 8600불, 8750불이 되겠습니다.
추천과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캘린더] 5월 20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종가 마감 세력의 장난질)안녕하세요. 캘린더입니다.
우선 오늘도 콘서트에 가서 실시간 코멘트를 해드리지 못할 것 같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저도 주말엔 문화 생활 좀 즐겨야죠 ㅎㅎ 돈보다 제가 더 중요합니다.
먼저 전날의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코멘트까지 다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럼 5월 20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세 차트가 다른 모양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BTC/USD는 십자 도지형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윗꼬리가 길다는 점이 특징이지요. 이는 어제 9시의 4시간봉 마감 전 종가 마감 세력의 장난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여튼 십자 도지형 캔들이 만들어졌다는 것은 매수세와 매도세가 방향 갈피를 잡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캔들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BTC/JPY는 음봉 몸통이 조금 있는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매도세가 약간 더 강하다고 볼 수 있겠지요. 역시나 큰 의미를 둘 캔들은 아니며 오늘의 캔들이 중요합니다.
FXBTC/JPY는 매도세가 조금 더 나오게 되었습니다.
일봉 캔들로는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주봉 캔들의 마감하는 날이기 때문에 마감 전 세력들의 종가 관리가 나올 수 있습니다.
2. 장기 추세선
비트플라이어의 BTC/JPY의 장기 하락 추세선입니다. 역시나 세력과 트레이더들이 의미를 두고 있는 추세선이며 현재는 지지받을 수 있는 추세선입니다.
나가는데 고비가 있었던 추세선이므로 지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내일 9시 마감에 86만엔까지는 지켜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 단기 추세선
어제 오후 9시의 4시간봉 마감 전 장대 양봉이 출현했었습니다. 이는 종가 마감 세력의 장난질이었지요.
어제 코멘트를 통해 말씀드렸던 단기 하락 추세선에 대한 선형눈금과 로그눈금의 차이입니다. 첫번째는 선형눈금이고 두번째는 로그눈금입니다.
여러분에게는 어떤 것이 더 잘 맞는다고 생각하시나요? 어떻게 보고 싶으신가요?
결국 현재를 이탈했다고 볼지, 다시 안에 들어왔다고 볼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저는 세력들이 현재 의식하고 있는 것은 로그눈금이라고 생각합니다. 세번째 만남에서 더 잘 맞기 때문이지요.
결국 저 추세선의 이탈은 로그눈금에서 확인할 예정입니다.
4. 피보나치 비율
마찬가지로 어젯밤의 코멘트를 통해 말씀드렸던 것 처럼
BTC/USD는 분홍색 0.382에 저항받고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봉 종가는 파란색 0.618과 보라색 0.5 비율이 있는 8211달러대 위에 마감하게 되었지요. 현재에는 지지를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BTC/JPY도 분홍색 0.382 위에 종가가 마감되었으며 현재 지지를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FXBTC/JPY는 파란색 0.618 아래에 종가가 마감되었으며 현재엔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이탈하는 방향으로 방향이 정해질 수 있으며 다른 관점과 함께 지켜보아야 합니다.
5. 패턴
쐐기형 패턴 1입니다. 선형눈금으로 보았을 땐 아직 이탈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로그눈금으로 보았을 땐 이탈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서도 어떤 추세선으로 보는지 1시간봉으로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분에게는 어떤 추세선이 더 잘 맞는거 같나요?
쐐기형 패턴 2의 이탈 여부는 3번의 단기 추세선에서 설명드렸습니다.
6. 피봇 포인트
BTC/USD에서는 우선 S1 아래로 내려가게 되었으며 8290달러는 저항, 7950달러는 지지선이 될 예정입니다.
BTC/JPY와 FXBTC/JPY는 S1의 위치가 같으며 현재 지지를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피보나치 비율과 거의 비슷한 위치이며 지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7.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EMA는 역배열이며 8600달러대는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 대해서는 일봉 차트에 대해 잘 맞는 비율을 찾고 있습니다. 최대한 찾는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어제 코멘트 이후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은 뚫렸으며 현재엔 베이스라인의 지지를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현재엔 8218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아래 선은 각각 8322달러와 8114달러에 있습니다. 계속 달라지는 위치이니 실시간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파라볼릭 SAR은 우선은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어제 분석글과 코멘트에 써드린 것처럼 고점이 8482달러보다 높아지지 않으면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후 계속 음봉이 나오며 하락하고 있으며 현재엔 해석할만한 다이버전스는 보이지 않습니다.
50 EMA의 저항을 받고 내려오게 되었으며 현재엔 21 EMA의 지지를 지켜주지 못하고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저항받을 예정이며 8264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 1.6%입니다.(어제 보다 1.1% 빠졌으며 수익을 그만큼 덜 보거나 손해를 그만큼 더 봤을 수 있습니다.)
만약 조정이 끝난거라면?많은 트레이더들이 외치고 있는 7800불과 7200불. 모두가 Yes를 외칠 때 No를 외치는게 비트코인이라고 제가 항상 말했습니다. 요즘 세력들은 일부로 차트 예쁘게 그리지 않습니다. 툭하면 불트랩 베어트랩 그려서 개미들 멘붕시키죠.
본 차트는 저의 bullish 관점입니다. 하락 쐐기형 패턴의 하단을 터치하고 반등할 때 전 8200불을 돌파 못할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매수세가 좋아 반등 후 거의 8280불까지 도달한 후 약간의 조정을 받는 중입니다. 오렌지 색 단기 상승 추세선이 잘 지지를 해준다면 초록색 중장기 하락 추세선 돌파를 재시도할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거래량 적은게 조금 마음에 걸리네요.
8300~8350불이 일봉상 300이평선임과 동시에 현재 중장기 하락 추세선 인근이기 때문에 큰 저항 구역입니다. 만약 300 이평선 위에 (8300불) 캔들이 마감될 경우 앞으로 적어도 몇일 간 상승세를 기대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렌지 색 단기 추세선 이탈 시 단기적으로 반등이 가능한 구간은 8050불~8100불입니다.
저의 bearish 관점의 파동 카운팅은 다음과 같습니다. 솔직히 전 이쪽에 더 무게를 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항상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트레이딩에 임해야합니다. 적어도 크게 bullish와 bearish 시나리오 정도는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캘린더] 5월 19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 (연휴의 시작)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말씀드린대로 오늘 어머니와 콘서트에 가게 되서 추가 코멘트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너무나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면 폰으로라도 코멘트해드리겠습니다.
분석 글에 앞서 전날의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전날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월 19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우선은 양봉이 만들어졌으며 형태로는 망치형 캔들로 보기는 어려운 형태입니다. 몸통이 짧고 꼬리가 길었으면 좋았을텐데요.
매수 시그널로 받아들이려면 전날 음봉의 시가였던 8336달러를 넘어주면 좋겠지만 우선 중간값인 8195달러 위에 마감되는 것이 나쁘지 않은 형태입니다.
만약 종가 마감 전에 8195 달러 밑으로 내린다면 그만큼 매도 세력의 힘이 세다고 해석하면 될 것 같습니다.
2. 장기 추세선
어제 말씀드렸던 비트플라이어의 BTC/JPY의 장기 하락 추세선에서 지지를 받은 모습입니다. 우선 다시 하락하더라도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위치가 될 것이며 하락한다면 다시 한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단기 추세선
단기 하락 추세선은 아직 저항을 받을 수 있는 추세선입니다. 내일까지 8324~8190달러에 유지된다면 만날 수 있을 것이며 실시간 위치는 제 아이디어 퍼블리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피보나치 비율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BTC/JPY의 파란색 0.618과 보라색 0.5 비율의 지지를 받고 반등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에는 BTC/USD와 FXBTC/JPY의 저항도 뚫어내는 매수세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우선 하락하더라도 8200달러쯤은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위치가 되었습니다.
5. 패턴
우선 일봉에서의 쐐기형 패턴 1은 다시 종가가 안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패턴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아래 추세선의 이탈이 패턴의 완성이 될 예정입니다.
4시간봉에서의 쐐기형 패턴 2에서도 이탈했다가 다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위 추세선은 앞서 3번에서 말씀드린 단기 추세선과 같으며 단기 추세선을 뚫어내면 매수세를 기대할 수 있게 됩니다.
6.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는 BTC/USD에서는 S2의 지지를 받아 상승하게 되었으며 현재엔 S1의 저항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8290달러에 위치하고 있지요.
그리고 떨어진다면 S2의 7940달러 정도에 저항을 받을 수 있습니다.
BTC/JPY와 FXBTC/JPY의 S1은 피보나치 비율과 위치가 비슷하다는 점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7.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유지 중에 있으며 오실레이터는 별다른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모두 역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오늘 매수세가 붙는다고 하더라도 8700달러대에선 저항을 받을 예정입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의 지지를 받고 반등하였으며 현재엔 베이스라인 위에 마감되었습니다.
베이스라인은 지지받을 수 있는 선이 되며 상승하면 표준편차 1짜리의 상한선에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현재엔 각각 8223달러와 833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엔 810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8482달러보다 고점이 높아지기 전 까진 하락 다이버전스는 유효합니다.
새벽의 매수세는 MACD의 골든크로스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21 EMA에 저항받았으며 아직도 눈앞의 저항으로 남아있습니다. 현재엔 8262달러에 위치하고 있지요.
그리고 더 상승하게 된다면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 시그널을 나타낼 예정입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 2.7%
환율 : USD 1082원, JPY 9.75원
SFD : 4%
대응 방안
어제 반등이 나올만한 자리에서 반등이 나왔으며 4시간봉의 MACD에서 골든크로스가 나오며 새벽에 매수세가 나오게 되었지만 아직 하락 추세라는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추세가 바뀐다는 명분이 없습니다.
4시간봉의 EMA도 계속 저항선으로 있으며 피봇 포인트도 눈 앞에 저항으로 남아있기도 하지요.
공격적인 트레이더는 피보나치 비율, 피봇포인트, 볼린저 밴드 등의 지지받을 자리에서 반등이 나올만한 부근에서 매수를 받을 수 있으며 지금 당장보다는 조금 더 하락하였을 때 매수받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자리는 각각의 관점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보수적인 트레이더는 추세가 바뀌고 매수받아도 늦지 않으며 우선 당장은 EMA의 저항을 뚫어내고 올라가는 것을 확인 후에 매수받아도 늦지 않습니다.
[캘린더]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 (쐐기형과 하락 다이버전스)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현재 트레이딩뷰 벌크 가입 신청 을 시작하였습니다.
분석 글 아래에 트레이딩뷰 벌크 가입 신청 양식이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오늘 중에 여러분이 궁금해할만한 점 모두 녹화 영상을 업로드해드릴 예정입니다.
분석 글에 앞서 전날의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5월 17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망치형 캔들로 해석될만한 캔들이 나왔습니다. 망치형 캔들은 몸통이 작고 아래꼬리가 길수록 더 명확해지며 이는 음봉에 대해 매수세가 잡아먹은 캔들 형태입니다.
물론 음봉이 아닌 양봉이라면 더욱 의미가 컸을 것이며
어제 음봉에 대해서는 볼린저밴드, 피봇포인트, 쐐기형의 아래 추세선, RSI의 과매도 등 반등이 나와야 하는 자리에서 반등이 나와 꼬리가 달린 것입니다.
2. 단기 하락 추세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단기 하락 추세선입니다. 뚫기 전까진 계속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실시간 위치는 제 아이디어 퍼블리싱 차트의 재생 버튼을 누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는 현재 분홍색 0.382(8473달러)는 저항선, 빨간색 0.618(8211달러)은 지지선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BTC/JPY는 위치가 달라 분홍색 0.382 비율이 지지선으로 위치하고 있지요.
FXBTC/JPY는 파란색 0.618비율이 지지, 분홍색 0.382 비율이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패턴
어제 반등 나왔던 이유 중에 하나인 쐐기형 패턴입니다.
패턴의 완성은 아래의 추세선이 돌파되는 것까지가 패턴의 완성이며 그 전까진 아래 추세선은 지지선으로 작용합니다. 패턴을 완성시키지 않으려는 세력들의 의도이지요.
지지를 기대하고 매수 받을 수 있는 추세선이며 종가에서 뚫리면 손절을 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어제 분석 글에 올려드린 쐐기형에 대해서 위치 변경을 하였습니다. 파란색 원까지 하락하였었기 때문에 저 자리를 의미를 둔다고 판단하고 모양을 바꾸었습니다.
아래 추세선은 지지받을 예정이고 위 추세선은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상방 이탈을 하면 쐐기형의 완성입니다.
그러나 보통 2/3에서 이탈하는 것이 보통이나 앞선 부근에서 저항을 받아 내려왔기 때문에 실패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앞선 헤드앤숄더 패턴의 목표가였던 8000달러 정도 까지는 거의 도달하였었습니다.
5. 피봇 포인트
어제 조그만 반등이 나올 것이란 이유 중에 또 하나는 BTC/JPY와 FXBTC/JPY에서 S1에 지지를 받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었습니다.
BTC/USD는 뚫렸었으나 다른 두 차트에서 지지받는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이었습니다.
현재에는 셋 다 비슷한 위치에 있으며 S1은 8290달러 정도 위치하고 있고 P는 885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유지중이며 오실레이터는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현재 모두 저항선이 됩니다. 가장 밑에 있는 50 EMA는 8763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1 EMA와 50 EMA는 수렴하며 데드크로스가 나올 수 있게 됩니다. 데드크로스가 나올 때 매도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어제 반등이 나왔던 이유 중 또 하나도 볼린저 밴드의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으로 내려갔기 때문에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위치가 되었습니다.
반등은 나왔고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 위로 올라갔으며 내려온다면 지지받을 수 있는 선입니다.
현재 각각 8284달러는 지지 8485달러는 저항선이 됩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수 시그널이 나오게 되었지만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점 고려하셔야 합니다.
4시간봉의 EMA도 모두 동적 저항선입니다. 각각 저항받을 수 있는 선이며 현재 FXBTC/JPY에서 더 잘 확인하는 점이 있습니다.
BTC/USD 기준으론 8456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수렴하고 있긴 합니다. 골든크로스가 나올 때 매수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대응 방안
하락 추세는 진행되고 있으며 반등이 나올만한 자리에선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하면 패턴의 아래 추세선이나 볼린저밴드, 피봇 포인트 등의 자리에서 매수 받을 수 있는 자리가 나올 수 있게 됩니다.
공격적인 트레이더는 각각의 자리에서 단타의 매수 자리는 나오며 단타로 부분 익절을 해나가면 됩니다.
보수적인 트레이더는 추세 전환이 확실해지기 전까진 현금 관망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저는 매매 스타일을 바꾸려고 합니다. 원래는 공부하며 상승장에 대한 확신이 들 때 매수 하려 했으나 '상승장'에 대한 확신이 아닌 '추세 전환'에 대한 확신이 들 때 매수하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요즘 좋은 코인들이 많이 나와 ICO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점에 대해 확신이 들면 곧바로 매수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그 전까진 단타로 시드만 늘릴 예정이고요.
그리고 요즘 다양한 보조지표들 연구중에 있습니다.
피봇 포인트와 같이 재밌는 지표들이 많은데 암호 화폐 시장에 적용되는지 확인을 해야 여러분께 소개해드릴 수가 있습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알트 코인 분석에 대해서는 원래 펀더멘털 좋은 코인에 대해 분석해드리려 했으나 아직 트레이딩뷰가 차트를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조금만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시총이 높고 여러분이 좋아할만한 코인은 현재 차트를 정리 중에 있습니다. BTC 차트와 USD 차트 모두 정리하고 있어 시간이 조금 걸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상승 추세로 전환 될 때 많이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주봉 데드크로스의 가능성, 그리고 비트코인의 재반등은?(20180513)1. 로그눈금에서는 슬슬 데드크로스의 가능성이 보이고 있고, 하락장의 신호탄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업비트발 악재도 적용된 시점입니다. 현재에는 당장 분봉의 몇십불 단위의 흐름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보다 긴 관점에서 주봉의 흐름에 주의해야할 시기라고 봅니다.
2014~2015년 데드크로스 후 회복 뒤 반등
ema로 보면 ma로 보는 것보다 더 이격이 좁아진 상태에서 가격이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단기적으로는 상승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주봉의 이평선 또는 지수이동평균선 흐름은 낙관적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이 점에 유의하시어 투자하십시오.
3. 주봉을 이용한 단타자리 : 50ma 하단
새로운 하락 추세선의 형성, 그리고 플래그 패턴과 비트코인의 하락 가능성 분석(20180516)<연관 아이디어 링크>의 후속 분석입니다. 읽고 와주세요.
1. 오늘의 단기적 관점 분석은 간략하게 진행합니다.
2. 업비트 악재발 패닉셀에서 시작된 상승 평행추세의 이탈은 강한 장대음봉의 연속형태로 진행되었고, 이후 중요한 피보나치 지지레벨이였던 8732 자리를 강하게 하방이탈하였습니다.
3. 이후 반등이 이어졌으나, 결과적으로 보면 8732 자리는 다시 저항선으로 변환, 다시 하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 Retest 자리에서 8732 자리는 4h봉에서 보여지는 하락 추세선의 돌파 가능성도 겸하는 자리였으나, 실패한 것으로 실망매물이 등장, 장대음봉의 형태로 다시 하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5. 오늘은 0.5(8384) 자리에 대한 도전과 이의 돌파 유무가 관건이 되는 장입니다.
단기적 관점에서 매도 포지션을 잡을 때 참고 가능한 위치입니다.
[캘린더] 5월 16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십자 석별형 캔들과 단기 하락 추세선)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먼저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전날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5월 16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십자 석별형(Evening Doji star)이 만들어졌습니다. 보통 석별형(Evening star)가 만들어지곤 하는데 이는 가운데 몸통이 작은 스타(star)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십자 석별형은 석별형의 변형 형태로 전일에 스타가 아닌 십자형이 출현하는 것입니다.
물론 정석적인 형태는 전일의 십자 모양이 이틀전과 당일의 몸통에 못 미치는 것이지만 굳이 따지자면 십자 석별형 캔들로 해석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석별형(evening star)보다 더 강력한 하락 추세로의 전환 캔들이기도 합니다.
2. 단기 하락 추세선
어제의 분석 글과 저녁 마지막 코멘트를 통해 말씀드린 것처럼 계속 단기 하락 추세선에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올라가더라도 저항받을 수 있는 선입니다.
P.S. 어제 류는 저거 뚫을 거라고하고 저는 못 뚫을 거라고 했는데 내기하자는거 빤쓰 팔아서 배팅할걸 그랬네요 ㅠㅠ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서는 분홍색 0.382 비율에서 계속 지지를 지켜주다가 새벽에 분홍색 0.382 비율 아래에 종가가 아래에 마감되며 앞선 1시간봉에서 종가에 저항을 받은 모습입니다. 그리고 다시 올라가더라도 저항을 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BTC/JPY에서는 아직까진 위아래로 거리가 있습니다.
FXBTC/JPY에서도 마찬가지로 분홍색 0.382 비율에서 지지받다가 현재는 다시 저항받게 되었습니다. 다른 두 차트보다 피보나치 비율에 대해 잘 지키는 편인 차트입니다.
4. 패턴
현재 일봉에서 상향 쐐기형으로도 볼 수 있는 패턴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우선 아래의 추세선은 지지를 지켜줄 수 있는 선이지만 뚫리게 된다면 하락을 이어나가게 됩니다. 보통은 수렴하는 끝점의 2/3에서 추세선의 돌파가 이루어지며 하락 반전 패턴 중 하나입니다.
4시간봉에서는 짧은 형태의 하향 쐐기형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아래의 추세선에 대해 지지를 받고 다시 상승을 이어나갈지 지켜보게 됩니다. 이는 반대로 상승 반전 패턴 중 하나입니다.
패턴은 제가 많이 발견하지 못하는 것도 있습니다. 혹시나 의견 있으신분들은 아래에 댓글로 차트 링크를 올려주시면 의견을 나누는데 함께 공부가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5. 피봇 포인트
코멘트에 올린 것처럼 P에 다시 한번 저항받고 떨어졌으며 S1에는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BTC/USD 기준으로 P는 8850달러대에 있으며 S1은 8290달러 정도에 있었습니다.
6.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이틀동안 먼저 50 EMA의 저항을 받고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21 EMA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21 EMA와 50 EMA가 데드크로스가 나오면 다시 한번 세 EMA이 역배열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MACD는 그대로 역배열이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7. 4시간봉 보조지표
밤에 내려오면서 베이스 라인 아래로 내려오게 되었고 다음 8시간에서 베이스라인에서 저항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내려가고 있으며 표준편차 1짜리와 2짜리의 하한선에서 지지를 지켜줄지 지켜보게 됩니다. 각각 8420달러와 8278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빨간선이 뚫린다면 다시 한번 하락 추세를 이어나갈 수 있게됩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이 우선 출현하게 되었으며 종가에 따라 바뀔 수 있긴 합니다.
그리고 어제 말씀드린 차트의 고점은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높아지는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에서는 해석할만한 다이버전스는 없습니다.
4시간봉의 EMA는 모두 역배열이며 21 EMA, 50 EMA, 100 EMA 모두 동적 저항선입니다. 각각 8594, 8779, 8895달러에 있습니다.
MACD는 데드크로스가 나오기 직전입니다. MACD는 후행지표로서 신뢰도가 다른 지표보다 높은 편입니다.
8. 김프, 환율, SFD
김프 : 3%입니다.(어제 5%에서 매수 받았다가 팔게 됬다면 수익을 2% 덜 보거나 손해를 2% 더 봤을 수 있습니다.)
환율 : USD 1080.3원, JPY 9.79원
SFD : 3.9%
대응 방안
넥라인에서 추세 전환이 이루어진 후 하락 추세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변함이 없습니다.
당연히 잠깐의 반등은 나오지만 다시 한번 추세 전환이 이루어진다고 확신을 가질 수 없습니다.
주봉 캔들은 이브닝 스타 캔들이 나오고 일봉 캔들도 하락 전환 캔들 형태이며 단기 하락 추세선은 그대로 저항받고 지수이동평균선은 역배열이 나타나며 파라볼릭 SAR은 계속 매도 시그널을 나타냅니다. 볼린저 밴드도 아직도 하락입니다.
당연히 어느 하락이든 반등은 항상 나옵니다. 우리 회사 직원에게도 이야기하는데 매수는 어디서 받든 상관이 없는데 문제는 반등때 잘 나올 수 있냐고 물어봅니다. 행복회로에 빠져있어 무조건 내가 사면 오를 것이라 믿고 싶어합니다.
차트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저도 매수받으면 올라간다고 믿고 싶지만 차트가 그렇지 않은 것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매년 컨센서스가 있을 때마다 상승했다지만 올해는 앞선 몇년과 다른 차트이기 때문에 확신을 가질 수가 없는 것입니다.
사람들 중에 문제 중 하나는 거래소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사야 할 것 같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자리가 중요한 것이지 언제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얼러트(alert)가 울리면 내가 사려고 했던 자리에서 사면 됩니다. 저 또한 흔들릴 때가 많지만 냉정하게 보려고 합니다.
다시 한번 추세는 아직 상승 추세로 간다고 확신할 수 없는 단계이며 냉정하게 차트를 보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캘린더] 5월 15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차트 분석에 앞서 전날의 분석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5월 15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십자형 도지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매수 세력과 매도 세력 간 공방이 치열한 것이며 힘의 균형이 무너지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할 가능성이 높은 캔들 패턴입니다.
보통 고점에서 십자형 도지 캔들이 만들어지면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며 저점에서 만들어지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캔들입니다.
2. 단기 추세선
장기 상승 추세선에선 하방 이탈을 한 뒤에 내려갔으며 단기 하락 추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방 이탈할때 매수세가 붙으며 상승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현재 하락 추세선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간 위치는 제 아이디어 퍼블리싱 차트의 재생 버튼을 누르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선 분홍색 0.382 비율 위로 올라왔으며 파란색 0.5 비율 부근에선 저항받게 되었습니다. 올라가더라도 8894달러 부근에선 저항받을 예정이며 하락하면 8473달러 부근에선 지지받을 예정입니다.
BTC/JPY에서는 분홍색 0.5 비율 까진 도달했었으나 현재엔 파란색 0.5 비율의 저항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FXBTC/JPY에서는 파란색 0.618비율 부근에서 지지받아서 분홍색 0.382 비율과 파란색 0.5 비율 사이에 있습니다.
4. 피봇포인트
피봇포인트는 새로운 판이 만들어진 후 S1의 지지를 받고 상승했으며 현재에는 P의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S1은 8290달러쯤, P는 8850달러쯤 위치하고 있습니다.
5.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다이버전스는 없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모두 동적 저항선이며 현재에는 50 EMA는 8807달러, 21 EMA는 8917달러, 100 EMA는 904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아직은 역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6. 4시간봉 보조지표
4시간봉의 볼린저밴드는 수축한 뒤에 표준편차 2짜리의 상한선을 상방돌파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우선 표준편차 1짜리의 상한선에 지지받는지 확인하게 될 것이며 표준편차 1짜리의 상한선은 8654달러, 베이스라인은 851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이버전스로는 차트의 고점은 낮아지지만 오실레이터의 고점은 높아져서 하락하게 되는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있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은 21 EMA는 동적 지지선이며 50 EMA와 100 EMA는 동적 저항선이 됩니다.
21 EMA는 8637달러, 50 EMA는 8841달러, 100 EMA는 893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MACD는 정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조금더 상승하였을 때 매도 시그널이 나올 예정입니다.
7. 김프, 환율, SFD
김프 : 5%(계속 오르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누구나 컨센서스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대심리 때문에 김프가 붙지 않았나하는 뇌피셜입니다.)
환율 : USD 1070.9원, JPY 9.76원
SFD : 4.3%(5%가 되면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대응 방안
우선 제가 하락을 외치는 것보다 상승을 외치는 것이 인기를 끄는데 더 도움이 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추세가 꺾이고 하락 추세선에 의해 하락하는 것에 대해 행복회로를 돌릴 수가 없습니다.
넥라인의 9800달러대에서 저항을 받고 상승 추세가 하락 추세로 바뀌었으며 하락 추세선도 있고 지수이동평균선도 데드크로스가 계속 나오며 저항선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반등에 대해서만 매수를 권해드리는 것입니다. 익절할 자리도 확인하고 있고요.
제가 해야 할 일은 살 자리보다 사지 말아야 할 자리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매수는 어디서 받든 상관 없을 수 있으나 사지 말아야 할 자리에선 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가 해야 할 일 중에 하나라고 생각을 하고요.
보수적인 트레이더들은 추세가 확실히 다시 상승 추세로 바뀌는 것을 확인하고 들어가도 늦지 않습니다.
공격적인 트레이더들은 볼린저밴드의 표준편차 1짜리나 베이스라인, 피봇포인트, 피보나치 비율 등에서 공격적인 매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아마 6시까지는 실시간 코멘트해드릴 수 있을 것 같으며 큰 변화가 있거나 4시간봉의 마감때 코멘트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욕심쟁이 세력들의 음주운전. 니들이 원하는게 도대체 뭐니??어제 기술적인 문제 때문인지 아이디어 포스트가 안되어서 그냥 전 포스트에 업데이트 했습니다. Symmetrical triangle 패턴으로 삼각수렴 후 상방을 뚫고 상승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쉽게도 오늘 평행 상승 채널을 유지하며 잘 가다가 갑자기 하방 이탈을 한 후 8300불까지 하락했습니다. 8300불이 뚫리면 7800불까지는 추가하락을 열어둬야 하는데, 그나마 다행히 현재 8300불에서 반등을 했습니다.
4시간 봉으로는 전 3개의 캔들보다 긴 하락 장악형 캔들이 나왔습니다. 오늘 생긴 하락 때문에 현재 저의 관점은 다시 bearish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습니다. 제가 어제 올린 파동 카운팅과 타겟이 다 무효화가 되었습니다. 위에 차트는 저의 bearish 관점의 파동 카운팅과 타겟입니다. 전 최근 조정을 3-3-5 구조를 지닌 연장 플랫 조정으로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9980불 찍고 하락한 파동을 5개의 파동 (5-3-5-3-5) 구조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패턴 관점에서는 요즘에 자주 출몰하는 bearish flagpole 패턴을 또 형성한 듯 보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현 시점에서의 C 파동의 0.618 레벨과 동시에 최근에 매물대가 많이 매집되어 있는 9300불을 넘기 전에는 조정이 끝나고 충격 파동이 나왔다고 확정 짓기 어렵습니다.
저의 bullish 관점입니다. 조정이 끝나고 3대파동의, 1소파동의, 3소소파동이 진행중인 시나리오 입니다.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오늘 갑자기 하락하기 전에는 저의 메인 카운팅 이었는데 좋지 않네요. 이 경우 저의 첫번째 타겟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9300불이 되겠습니다. 본 카운팅은 1소소소파동(노랑)의 시작점인 8270불을 지지하지 못하면 무효화됩니다.
좋아요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캘린더] 5월 14일 비트코인 세 차트 분석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5시까지 술먹어서 너무 힘드네요.
먼저 어제의 분석 글을 먼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어제의 분석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발 안 읽고 딴 소리 하지 말고 현재의 방향보다 어제의 분석을 통해 이렇게 움직였다를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럼 5월 14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캔들은 우선 이브닝 스타 캔들로 해석될만한 캔들이 나왔습니다. 양봉, 팽이형, 음봉으로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이는 하락 반전형 캔들 형태입니다.
현재 파라볼릭 SAR은 이번 하락장에서 계속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동평균선 21 MA는 9914달러, 50 MA는 7525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고 각각 저항, 지지 받을 수 있는 선입니다. BitFlyer가 더 잘 맞는 편이며 그 자리에 가면 다시 한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가 매도 시그널이 나올 때 하락할 수 있지만 아직은 아닙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은 전날보다 큰 양봉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렇지만 이틀전의 음봉의 중간값이었던 8715달러보다는 아래에 종가가 마감되었습니다. 종가가 중간값 위에 마감되었으면 상승의 여지가 더 커지나 현재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3. 장기 추세선
FXBTC/JPY의 장기 추세선 중 하나인 초록 선에 대해 아래로 하방 이탈 한 후에 현재는 저항받고 있습니다. 올라간다고 하더라도 저항받을 수 있는 선이며 뚫는지 확인하게 될 예정입니다.
4.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선 우선 분홍색 0.382 비율에 저항받다가 위로 상방 돌파하였습니다.
BTC/JPY에선 분홍색 0.382 비율의 지지를 받은 뒤 현재에는 파란색 0.5 비율에 저항받고 있습니다.
FXBTC/JPY에서도 분홍색 0.382 비율 위로 상방 돌파하였습니다.
5. 패턴
상승하더라도 헤드앤숄더의 넥라인에 저항받을 수 있습니다.
6.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는 S3의 지지를 받고 올라와서 앞선 4시간봉에서는 S2의 저항을 한번 받았습니다. 그리고 다음 4시간봉에선 다음 판이 짜질 예정이며
다음 판에서의 P는 885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고 S1은 8290달러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 일봉 보조지표
파라볼릭 SAR은 그대로 매도 시그널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분석할만한 것이 없습니다.
50 EMA는 위에 올라가더라도 저항받을 예정이며 현재 위치는 8810달러입니다.
MACD는 아직 역배열 중이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수 시그널입니다.
8. 4시간봉 보조지표
볼린저밴드의 밴드는 다시 모이고 있으며 현재엔 매매 고려 시점입니다.
베이스라인 위로 올라간 뒤엔 베이스라인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파라볼릭 SAR은 어제 매수 시그널이 발생하였으며 오실레이터에서는 크게 해석할만한 다이버전스는 없습니다. 추가 상승이 나오면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해석할만 합니다.
우선은 21 EMA 위로 올라갔지만 페이크 아웃으로 다시 저항받을 확률이 있습니다. 현재에는 8666달러에 있습니다.
MACD는 어제 코멘트 해드린 것처럼 수렴 후 골든크로스가 나왔으며 이에 대해 상승이 나왔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 시그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 5.65% (김프가 꽤 많이 붙고 있습니다. 매수 받았는데 김프가 붙는다는 것은 추가 수익을 낸다는 것이며 하락을 할 때 김프가 빠지면 해외보다 추가 손실이 난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환율: USD 1066.3원, JPY 9.75원
SFD : 4.4%
대응 방안
역헤드앤숄더 넥라인 부근에서 저항받고 추세가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지수이동평균선의 역배열이나 볼린저밴드의 방향 등 여러 관점에선 큰 추세는 하락 추세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인 관점에선 상승할 여지를 확인하고 이틀 전에 공격적인 매수 자리를 권해드렸습니다. 현재는 제가 생각하는 1차 부분 익절 자리이며 비율은 본인이 정해야 하지만 30% 정도는 익절을 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어제 어쨌든 상승했던 것은 제 연관 아이디어에 있는 토요일에 오르고 일요일에 내리는 이유와 관련 있습니다. 주봉 마감이 일요일이 끝나는 월요일 9시에 마감되기 때문에 일요일부터 종가 관리를 시작하게 되며 음봉이라면 롱포지션들이 상승을, 양봉이라면 숏포지션 세력들이 하락을 시키는 것이지요. 물론 무조건 그런 것은 아닙니다.
방금 말씀드린대로 이틀 전 제 분석 글을 보고 공격적 매수를 들어가신 분들은 현재 자리에서 1차 익절을 권해드리며 다시 자리가 나면 말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