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린더] 6200~6300대와 이틀 간 6400대에서 매수 구간 뒤 매도할 수 있는 6600대 저항(11월 7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와 그저께 6400대에서 매수를 권해드렸고 상승 중에 있습니다.
이에 대해 추세와 단타의 입장에서 매도 구간을 확인할까 합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6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7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 차트에서 이전에도 말씀드린 저항들이 6600대에 몰려있습니다.
현재 베이스라인이 6652달러에 있습니다. 또한 7 MA도 6884달러에 있기 때문에 이 강력한 저항이 있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서 저항받을 21 MA가 6674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같은 6600대에 있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 어제 캔들이 다시 한번 긴 양봉이 나오면서 매수세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교수형 캔들은 무효화되었다고 보고 우선은 상승 추세를 먼저 염두에 두게 됩니다.
4. 장기 추세선
장기 추세선에서 하락 추세를 돌파하였으며 현재에 상승 추세를 확신할 수 없지만 염두에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현재 파란색 0.886 비율인 6659달러 부근에서 저항받을 수 있으며 같은 6600대입니다.
앞선 4시간봉의 마감에서 BTC/JPY의 보라색 0.886 비율을 돌파한 뒤에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현재 R1을 돌파 도전하고 있으며 종가 마감에 따라 의미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우선 각각의 자리들을 확인하시며 R2는 6598달러 부근에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8.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50 EMA의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으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가 매도 시그널에 도달 중에 있습니다.
9.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에선 아직까지 ADX가 횡보 중에 있어 상승 추세로 바뀔지 확인하게 됩니다.
아직 Aroon과 TRIX에선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베이스라인이 깨지지 않고 다시 한번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을 도전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자리에선 매수하긴 껄끄러운 자리입니다. 재매수를 하더라도 조정받거나 볼린저밴드가 더 벌어졌을 때 사야 합니다.
11.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서 매수 시그널로 바뀌었으며
오실레이터 중 우선 RSI에서 과매수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곧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2.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 EMA에서 모두 6400대에서 지지받고 상승 중에 있습니다. 더 상승한다면 다시 한번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 매도 시그널이 나올 수 있습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0.5%
환율: USD 1122원, JPY 9.88원
SFD: 3%
Bitcoin-btcusd
[캘린더] 6400대에서의 지지 자리와 6600대에서의 저항 자리들(11월 6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확실히 요즘 트레이딩뷰 인기가 많이 줄어든 것 같습니다. 뷰 수나 좋아요가 많이 줄어들었다는 것은 비트코인과 따로 가는 코인들을 찾아다니는 것 같습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1월 6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6일 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음봉 캔들이 만들어지면서 교수형 캔들로 해석할 수 있는 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교수형 캔들은 상승에 대한 하락 반전형 캔들입니다. 물론 교수형 캔들은 유성형 캔들보다 의미가 크진 않지만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 장기 추세선
아직도 염두에 두어야 하는 장기 추세선이며 하락 추세를 벗어났음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의 지지받는 6425달러와 BTC/JPY의 보라색 0.886 비율에서 저항을 받고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못한채 횡보한 모습입니다. 위아래로 단타의 목표가가 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위아래 P와 R1 사이에 있으며 각각 지지와 저항 자리 확인하시면 됩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매도 시그널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별다른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진 않고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일봉 EMA에서 다시 21 EMA 지지가 뚫렸기 때문에 이제는 저항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됩니다.
현재 647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ADX가 내려가기 때문에 추세가 약해지고 있으며
Aroon 지표나 TRIX지표도 아직 매수 시그널이 나오진 않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이 뚫렸기 때문에 저항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되며 현재 647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긴 하였으며 오실레이터에서 크게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복잡하게 있지만 우선 아래로 모두 지지받을 자리들로 있습니다.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6400대에 지지받을 자리들이 있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3%
환율: USD 1122.4원, JPY 9.91원
SFD: 2.5%
대응 방안
몇 달 간 말씀드린대로 6200~6300달러대에서 매수 구간이었고 반등하였으며
어제 말씀드린대로 월봉과 주봉에서 6600대의 저항이 강력하게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말씀드린대로 피보나치 비율, 피봇 포인트,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 4시간봉의 EMA 들이 6400대에 있어 지지받고 상승하였습니다.
단타로서 접근하거나 손절 잡고 매수하기엔 6400대도 나쁘지 않은 매수 자리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점 어제와 관점 비교하면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크게 다른 점 없고 6200~6300대는 추세로 가져갈 수 있는 자리, 6400대에서도 단타로 가져가거나 지지들 손절 잡고 매수해볼 수 있는 자리, 6600대는 강력한 저항들이 있는 자리입니다.
[캘린더] 다시 돌아온 캘린더, 여전한 매수 자리였던 6200~6300달러대와 6600대의 큰 저항들(11월 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일주일 간 필리핀에 다녀오느라 그동안 분석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말씀을 미리 드렸어야 하는데 인터넷 상황이 좋지 못해 말씀드리지 못했네요.
다시 돌아왔으니 또 한번 열심히 분석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난 분석 글인 10월 25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1월 5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 차트에선 우선 캔들로서는 위꼬리를 길게 단 캔들이 만들어지며 음봉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매도세가 아직도 여전함을 확인할 수 있는 캔들 형태입니다.
그리고 7 MA를 뚫지 못했으며 종가 마감에 있어 볼린저 밴드의 베이스 라인이 뚫리게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저항선으로 받아들일 예정입니다. 현재 각각 6872달러와 664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종가 마감은 세력들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저항 자리들을 확인하고 있어야 합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의 21 MA 또한 여전히 저항으로 남아있으며 현재 6670달러 부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에서도 저항받을 베이스라인은 6696달러에, 지지받을 수 있는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은 623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재 월봉과 주봉에서 6600대에 저항들이 많음과 6200대에 지지받을 자리가 있음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어느 정도 모닝스타 캔들로 해석할 수 있는 캔들 형태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모닝 스타 캔들은 하락 추세에 대한 상승 반전형 캔들이며 상승 반전을 염두에 둘 수 있습니다.
4. 장기 추세선
앞서 돌파했던 BITFINEX의 장기 추세선에 대해 지지를 받고 다시 상승 중에 있습니다. 지지 받았으며 다시 내려와도 지지받을 수 있는 추세선 중 하나입니다.
5.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6425달러의 저항을 다시 한번 뚫게 되었으며 현재엔 BTC/JPY에선 보라색 0.886 비율 저항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합니다.
6.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새로운 판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현재 저항받을 R1은 6530달러에, P는 6421달러에 있음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각각 저항과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들입니다.
7.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6796달러 부근에 저항으로써 남아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MFI 지표의 과매도 부근에서 다시 반등 중에 있습니다.
8.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21 EMA의 저항을 받다가 다시 한번 어제의 종가 마감에 있어 21 EMA의 저항을 뚫었기 대문에 지지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됩니다.
현재엔 다음 저항받을 50 EMA는 653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ADX가 내려가면서 추세가 약해지며 횡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Aroon 지표에선 아직 하락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TRIX에서도 0을 돌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매수 시그널이 발생하지 못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에 지지를 받고 반등하였으며 현재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 위에 종가 마감되며 조금씩 벌어지는 중입니다.
매수 받으려면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이나 베이스라인 부근에서 분할 매수를 들어갈 수 있으며 현재엔 6458달러와 641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1.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게 되었지만 오실레이터가 올라가는데 있어 아직 거래량이 붙지 않은 상태입니다.
12.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다시 한번 뚫게 되었으며 모두 지지받을 자리로서 현재 6421~6465달러 부근에 있습니다.
그리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는 매도 시그널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13. 김프, 환율, SFD
김프: -0.4%
환율: USD 1123.4원, JPY 9.93원
SFD: 2.6%
[캘린더] 어제 뚫린 EMA들과 피봇 지지, 비석형 캔들과 함께 하락 추세(10월 2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요즘 컨디션이 많이 떨어지는 것 같네요. 여러분들께서도 날씨와 컨디션 고려하시면서 건강 챙기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24일 수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5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비석형 캔들이 나오면서 어제 매도세가 나온 캔들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어제 지지가 뚫린 뒤 저항으로 바뀌면서 저러한 모양이 된 상황입니다.
아직까진 상승 추세보단 하락 추세를 먼저 염두에 두는 것이 맞습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에선 허공에서 계속 횡보하는듯 하지만
BTC/JPY와 FXBTC/JPY에선 파란색 0.886과 보라색 0.886비율에서 계속 지지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대 계속 모니터링을 권해드리고 있습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 또한 BTC/USD는 허공에서 움직이지만 BTC/JPY와 FXBTC/JPY에서 P에 저항받는 가격대입니다.
현재 피보나치 비율과 피봇 포인트 상으로 같은 자리에서 지지와 저항받을 자리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는 어제와 마찬가지로 다이버전스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특징으로 보자면 MFI에서 상승하는 것이 거래량이 조금 더 붙어서 그런 듯 합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일봉의 EMA에선 어제와 마찬가지로 21 EMA와 50 EMA에서 저항받고 있습니다.
현재 21 EMA는 6565달러, 50 EMA는 659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Aroon에서는 박스권 횡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직도 6200~6600대의 횡보를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TRIX 지표에서도 아직 0를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수축하면서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에서 저항받고 하락하고 있으며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이 아니라면
단타 말고는 매수하기 껄끄러운 자리들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진다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저점을 6525달러보다 낮추기 전까진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어제와 마찬가지로 4시간봉 EMA에서 저항받았으며 현재에도 마찬가지로 올라가면 저항받을 6575~6585달러입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1.4%
환율: USD 1,138.5원, JPY 10.16원
SFD: 1.7%
Bitcoin possibility of Bull & Bear Trend. Bearish pattern possible on BTC/USD.
Could potential go to $3000 - $4000 (mid line)
In worst case scenario, it may fall to bottom support line.
long term bearish target might be under $1000. (I highly doubt it)
Bullish pattern possible on BTC/USD.
Could potential go to $50000- $70000 (mid line)
In best case scenario, it may rise to top resistance line.
long term bullish target might be over $300000. (I highly doubt it)
Combining bullish & bearish pattern it clearly shows rising wedge pattern.
Overall, rising wedge pattern is bearish. However if support line holds, we may expect to see price go upward till hit another resistance line. Otherwise we may see price drop in large scale.
In my personal view, I think the price may bounce the rising wedge's support line and go upward, However I will be very cautious and take profit as soon as price gets close to resistance level.
[캘린더] 뚫리게 된 일봉과 4시간봉의 EMA와 피봇의 P, 저항 자리로서 인식해야 하는 가격대(10월 24일) 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요즘 새벽까지 일을 하고 있는데 너무 신경 쓸 것이 많아 예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23일 화요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4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음봉 팽이형 캔들이 만들어지며 아직은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어제와 마찬가지로 파란색 0.886 비율 아래에 있으며
BTC/JPY와 FXBTC/JPY의 파란색 0.886과 보라색 0.886 비율 부근의 지지를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BTC/JPY와 FXBTC/JPY에서 P가 아래로 뚫리게 되었습니다.
우선 저항받을 자리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서 다이버전스가 따로 만들어지진 않은 상태입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21 EMA가 뚫린 상황입니다.
6.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어제와 마찬가지로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Aroon 지표에서는 박스권 횡보를 이어나가고 있고
TRIX지표에선 아직 0을 돌파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수축하고 단타의 자리만이 되며 베이스라인 아래에서 표준편차 2짜리, 1짜리 하한선에서
매수 자리가 됩니다. 단타하시는 분들은 가격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오실레이터에서도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은채 가격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 EMA가 모두 뚫리게 되었습니다. 이제 저 가격대는 저항선으로 받아들이게 될 예정이며 단타하시는 분들이라도 저 저항 가격대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9%
환율: USD 1133.7원, JPY 10.08원
SFD: 2.3%
[캘린더] 어제와 마찬가지로 아직 정해지지 않은 추세, 관망 또한 매매의 전략이다(10월 23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요즘 진짜 쌀쌀한데 모기도 있고 참 잠들기 괴로운 밤인 것 같습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22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3일 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현재 주봉 차트에선 저항이 6680달러대에 계속 있는 모습입니다. 지난 주에 말씀드린 것처럼 이는 부대장 저항이므로 7300대의 대장 저항 전에 뚫어야 할 저항입니다.
이 6680달러대의 저항은 계속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합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BITFINEX와 BITFLYER의 차트가 다르게 나타나며 아직까진 상승 반전이나 지속이 나타났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BITFLYER에서는 고점을 낮춰가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아직까진 상승 추세보단 하락 추세를 먼저 염두에 두는 것이 맞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에선 파란색 0.886 비율이 6659달러에 있어 주봉 차트의 저항과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BTC/JPY와 FXBTC/JPY의 파란색 0.886 비율과 보라색 0.886 비율의 지지를 받고 있으니 매수 입장에서 이 가격대를 같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BTC/USD는 갭이 커서 아직까지 염두에 두긴 힘들지만
BTC/JPY와 FXBTC/JPY는 P에서 지켜주고 있으므로 이 가격대도 같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상승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어제 말씀드린 것처럼 21 EMA와 50 EMA의 사이에서 횡보의 가능성을 말씀드렷으며 우선 21 EMA 부근에선 지지받은 상태입니다.
방향성을 확신하긴 어려운 상태입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어제도 말씀드린 것처럼 수축했기 때문에 추세가 나타나지 않아 단타만을 권해드렸습니다.
베이스라인은 뚫리긴 했었지만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서 지지를 받으며 다시 반등 중에 있습니다.
역시나 단타 자리로 각각 자리 확인해주시기 바라며 현재엔 6557, 6586, 6615 달러에 각각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4시간봉에서의 오실레이터에서도 크게 다이버전스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오실레이터
EMA에서 어제와 마찬가지로 지지와 저항이 복잡하게 있으므로 확신을 가지긴 어려운 상태입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6%
환율: USD 1135.4원, JPY 10.08원
SFD: 2%
[캘린더] 너무 작은 단타 자리, 귀찮으면 하루는 관망하고 방향성 잡힌 뒤에 매매해도 늦지 않다(10월 22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10월도 거의 끝나가네요. 분석 글을 올린지도 참 오래된 것 같습니다.
먼저 지난주 금요일인 10월 19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2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저항이 6700대에서 6600대로 내려온 모습입니다.
아직까진 주봉에서 뚫지 못한 상황이며 이번주 또한 6600대에선 저항을 받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비석형 캔들이 나왔으며 지난 분석 글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하락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약간 오르긴 했지만 아직까진 저항을 뚫지 못했고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지도 못한 상태입니다.
3. 피보나치 비율
BTC/USD에선 6600~6800대의 피보나치 비율의 지지가 한꺼번에 뚫린 이후 어제 낮동안 오르면서도 6659달러의 파란색 0.886 비율에서 저항받은 모습입니다.
BTC/JPY와 FXBTC/JPY에서는 보라색 0.886 비율과 파란색 0.886 비율의 자리들을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새로운 판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BTC/USD 기준에선 P와 S1이 갭이 조금 큰 편입니다. 각각 6891달러와 6320달러에 있고 저항, 지지받을 자리가 되는데
BTC/JPY와 FXBTC/JPY에선 P에서 바로 지지받고 있습니다. 4시간봉 종가에서 뚫리는 것을 손절로 잡고 단타로 들어갈 수 있는 자리입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아직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21 EMA와 50 EMA의 지지와 저항 사이에 있으며 보라색 네모친 부분처럼 사이에서 며칠 간 횡보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사이에서 일부 시드를 가지고 단타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에선 아직 매수 시그널에 유지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이긴 하지만 Aroon에선 아직도 횡보 부근이며 TRIX에선 아직도 0을 돌파하지 못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수축하면서 베이스라인 부근에서 지지받는 중이며 추세보단 단타칠 베이스라인에 해당합니다.
현재 6589달러에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으로서 6759달러에 있고
오실레이터에선 다이버전스가 크진 않은 상황입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위아래로 지지, 저항이 복잡하며 각각의 단타만 할 수 있는 자리들입니다.
나머지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9%
환율: USD 1133.8원, JPY 10.08원
SFD: 1.6%
[캘린더] 내려온 6600대 초반과 지지와 저항이 혼재된 자리들(10월 19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오늘 너무 바빠서 분석 글을 어제도 못쓰고 오늘도 늦게 쓰게 되었네요.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먼저 이틀 전인 10월 17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9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지난주 분석 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주봉에서의 21 MA 저항은 그대로 유효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아직도 6700대에 있으며 6700대에선 제가 매수를 자제하라고 말씀드렸던 이유 중 하나입니다.
월요일까지 뚫지 못한다면 그대로 저항으로 남아있을 예정입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이틀 간 저항을 뚫지 못한채 음봉 캔들 형태가 나왔으며 아직까진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왔다고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BTC/USD에서 저항받고 내려오면서 BTC/JPY와 FXBTC/JPY에서 저항받을 자리, 지지받을 자리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R2에서도 저항받았으며 현재 R1에서도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P는 6428달러로, 피보나치 비율의 중요한 자리였던 6425달러와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100 EMA에서 저항받을 받는다고 말씀드렸으며 현재 50 EMA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대응 방안에서 써드린 것처럼 기다린 이유가 있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에 내려가게 되었으며 하락 추세가 시작될 수 있게 됩니다.
우선 하한선 밑에 있기 때문에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자리이며 올라간다면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저항받을 예정이고 현재엔 6671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이며 이 자리 또한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현재엔 6570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의 EMA 자리들이 복잡한 자리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각각 지지와 저항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라 확신을 가지긴 어려우며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 매수 시그널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2%
환율: USD 1133.5원, JPY 10.08원
SFD: 2.4%
[캘린더] 과거의 매물대와 현재 주봉 차트에서의 저항, 단타의 매수 자리와 포지션 좋은 사람들(10월 17일)안녕하세요. 캘린더입 니다.
요즘 환절기라 감기 조심을 꼭 하셔야 합니다. 저도 감기에 걸려 계속 콧물이 나오네요 ㅠㅠ
먼저 어제인 10월 15일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7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저항받을 21 MA에 대해 6747달러 부근에 있으며 아직도 저항받는 자리입니다.
이번주 끝날때까지 계속 저항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양봉 캔들이 출현하긴 하였지만 아직까지 상승을 확신하긴 어려운 캔들입니다.
BITFINEX에서 위아래꼬리가 길긴하기 때문에 다른 거래소 일봉 캔들도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는 의미있던 자리들이 6600~6800대에 많이 있습니다.
앞서 6400~6600대의 매물대가 많았기 때문에 내려온다면 반등이 나오고 지지받을 수 있는 매물대입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R2 부근에서 계속 저항과 지지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현재엔 4시간봉 위에 마감되면서 지지받을 자리에 있습니다.
다른 두 차트에선 P 돌파 뒤에 R1부근으로 계속 달려나가고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받을 자리이며
오실레이터에선 RSI에선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타나진 않은 상황입니다.
6. 일봉 지표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계속 100 EMA에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앞서서 두번은 며칠 뒤에 100 EMA를 돌파하긴 하였으나
계속 저항받을 자리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현재 6789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긴 하나 아직 Aroon 지표에선 평행 움직임으로 보고 있고
TRIX에서도 0을 아직 돌파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어제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 부근에서 분할 매수의 일부를 권해드렸으며 아직까진 아래로 통과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다음 지지받을 베이스라인은 6600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었지만
오실레이터에선 하락 다이버전스가 아직 만들어지진 않은 상황입니다. 만들어지는대로 코멘트해드리겠습니다.
만약 RSI가 더 올라가는 모습이 보인다면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질 것입니다.
10. 4시간봉 지표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어제에 이어서 BTC/JPY와 FXBTC/JPY까지 100 EMA를 돌파한 상황입니다.
나머지에선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5%
환율: USD 1124.2원, JPY 10.01원
SFD: 2.3%
[캘린더] 아무리 쏴도 종가와 저항 자리는 그대로 유효하다, 주봉과 월봉에서의 중요한 상승장의 조건(10월 16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참 많은 일이 있었네요. 우선 급상승이 있었으며 아마 6200~6300달러대 추세로 가져갈 매수 자리는 쉽사리 안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점 참고하셔서 포지션 좋으신 분들은 그대로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어제인 1 0월 15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5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월봉 차트
월봉차트에선 지난 4월부터 계속 저항받았던 7 MA이었습니다. 이번달 또한 저항받을 자리이기도 합니다.
제가 상승장에 대한 기준으로 마지막 대장 저항으로 잡은 이 7 MA였습니다. 현재 7300대에 있으며 이번달 마감에 있어 위에 마감되어야만 저항을 뚫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7300대는 계속 저항받을 자리가 될 것입니다.
2. 주봉 차트
주봉 차트는 우선 21 MA든 볼린저 밴드의 베이스라인이든 저항받을 자리이며 모두 6700대에 있습니다. 이 또한 저항받을 자리이며 이번주에 마감에 있어 뚫을지 아니면 아래에 마감될지 확인해야 합니다.
제가 어제 방송에서 6600~6700대 위에서 사면 안된다고 했던 이유 중 하나입니다.
3.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BTC/USD는 모닝 스타 캔들로 해석할 수는 있겠지만 입출금이나 테더 문제에서 자유로운 BTC/JPY와 FXBTC/JPY는 모닝 스타 캔들이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른 거래소에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상승 반전이 나타났다고 확신하시면 안됩니다.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 각각 과거부터 중요한 자리들이었습니다. BTC/JPY와 FXBTC/JPY에선 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니 각각의 자리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BTC/USD에선 마지막 저항인 R3의 저항을 받았으며 현재엔 R2까지 저항을 받게 되었습니다.
현재 6743달러에 있으며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R1은 6623달러, P는 6428달러에 있음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BTC/JPY와 FXBTC/JPY의 P자리를 확인하셔도 괜찮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저항받을 자리이며 현재는 6960달러에 있습니다.
어제 실시간으로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시그널을 바꾸지 않으려는 세력에 의해 저항받는 모습이었습니다.
고점은 높이고 오실레이터도 올라가면서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진 않았습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100 EMA의 저항받고 아직 저항을 뚫지 못했으니 내려온다면 지지받을 수 있는 21 EMA, 50 EMA는 각각 6543, 6599달러에 있습니다.
8.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보이는 듯 하지만 아직 Aroon 지표에선 상승 추세를 확신하고 있진 않습니다.
TRIX지표 또한 아직 0을 돌파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9.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공격적 매수를 할 수 있는 자리인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현재 6704달러에 위치하고 있으며
만약 추격매수를 한다면 이 부근에서 매수를 할 수 있는 것이지요. 물론 6200~6300대의 매수가 아니기 때문에 전량 매수가 아닌 분할 매수에 들어가야 하며
다음 매수 자리는 베이스라인인 6481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4시간봉의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긴 하였지만 오실레이터에서 RSI, MFI 지표의 과매수 부근에서 조정이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11.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BTC/USD에선 모두 뚫긴 하였지만 아직 BTC/JPY와 FXBTC/JPY의 100 EMA 부근에서 지지와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12. 김프, 환율, SFD
김프: -0.3%
환율: USD 1126.5원, JPY 10.05원
SFD: 2%
[캘린더] 현재의 매수 자리와 손절 구간, 추세와 단타로 가져갈 물량(10월 12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현재 제가 말씀드린 6200~6300달러대의 분할 매수 자리입니다.
며칠 전부터 계속 매일같이 말씀드리고 있으므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11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2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어제 말씀드린대로 주봉에서 현재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서 지지받을 수 있음을 말씀드렸습니다.
현재 6218달러에 있는 모습입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교수형 캔들 이후엔 하락 반전이 나타날 수 있음을 말씀드렸고 하락 반전이 나타났으며
장대 음봉이 출현한 상태입니다. 현재 하락 추세가 진행됨은 변함이 없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 각각의 중요한 자리들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지와 저항받을 수 있는 자리들입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마지막으로 S3가 뚫리긴 했지만 4시간봉 마감에 있어 다시 돌아오게 된다면 지지받을 수 있습니다.
1,5,9시에 끝나는 4시간봉 종가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하락하면서 저점을 낮추면서 상승 다이버전스는 만들어질 수 없게 된 상황입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21 EMA까지 모두 뚫리게 되었으며 아마 다시 올라가도 6500달러대는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MACD에선 데드크로스가 출현한 상태입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에 있으면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자체가 내려가면서 벌어진 상황입니다.
현재 자리에선 올라간다면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저항받을 예정이며 현재는 6347달러 부근에 머물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에선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과매도부근에서 버텨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현재 약간이나마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가 모두 뚫렸으며 현재 있는 6400~6500달러대는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선 매수 시그널에 도달하였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2.11%
환율: USD 1135.8원, JPY 10.11원
SFD: 0%
대응 방안
현재 제가 권해드리는 6200~6300대의 분할 매수 구간은 상승 추세로 바뀌어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하락 추세임은 변함이 없지만 매월 지지받았던 구간, 그리고 월봉과 주봉에서의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를 고려했을 때의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손절은 6100달러가 뚫린다면 반등이 나오는 구간에서 본절가에 매도 및 손절하면 됩니다.
그리고 본인은 추세로 가져갈 것이 아니라 한번 정도 매도를 하고 싶다 생각하시면
현재 6300대의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 및 피봇 포인트 S2가 바로 앞에 있는 저항 자리이니 분할 매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캘린더] 어제의 교수형 캔들과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의 결과, 현재의 반등 구간(10월 11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어제 비트코인이 꽤나 불안하게 움직인다고 말씀드렸는데 역시나는 역시나네요.
아침부터 하락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먼저 어제인 10월 10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1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저항받을 21 EMA의 저항을 받았으며
현재 자리에선 지지받을 수 있는 볼린저밴드의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이 있으며 현재엔 6220달러 정도 있습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어제 교수형 캔들이 만들어진 뒤에 하락 반전형 캔들이라고 설명드렸고 하락 중에 있습니다.
상승 반전형 캔들이 나오기 전까진 하락 추세를 계속 염두에 두게 됩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결국 저항을 뚫지 못하고 하락 하고 있으며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는 여러분 모두 아시는 6000달러대가 있습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는 현재 BTC/JPY와 FXBTC/JPY는 모두 뚫렸으며 BTC/USD에서만 지지받을 수 있는 S3에 도달 중에 있습니다.
현재 6275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어제도 말씀드린대로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함을 말씀드렸습니다.
현재 상승 다이버전스는 저점이 뚫렸기 때문에 만들어지지 않을 예정입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현재 21 EMA가 뚫리게 되었으며 오늘 종가 마감된다면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 밑으로 가고 있으며 기술적 반등은 나올 예정입니다.
올라간다면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저항받을 예정입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4시간봉 종가가 마감되는대로 매도 시그널로 바뀔 예정이며
오실레이터에선 과매도 부근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역시나 기술적 반등은 나올 수 있는 자리일 예정입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BTC/JPY와 FXBTC/JPY에서 모두 먼저 뚫린 뒤에 저항받을 자리가 되었으며 BTC/USD에서도 따라서 뚫리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저항받을 4시간봉 EMA들이 되겠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1.5%
환율: USD 1141.5원, JPY 10.18원
SFD: -6%
[캘린더] 고점을 낮춰가는 이유, 일봉의 교수형 캔들과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10월 10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비트코인이 꽤나 불안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여러 이유들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틀 전인 10월 8일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10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캔들 자체로는 교수형 캔들로 해석할만한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교수형 캔들이란 상승에 대한 하락 반전형 캔들 패턴 중 하나로 아래꼬리가 길게 달리고 몸통이 짧으며 앞선 추세가 상승 추세라면 하락 반전이 되는 캔들입니다.
교수형 캔들에 의한 하락의 가능성을 봐야 합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앞서 말씀드린 자리였던 파란색 0.886 비율의 6659달러와 BTC/JPY와 FXBTC/JPY의 주황색 0.236 비율 부근이 계속 저항을 내는 자리였습니다.
물론 잠깐의 휩소가 있었지만 아직까지도 저항으로 보고 있는 현실입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어제 제가 방송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매수는 P위치인 6591달러를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지지 받을 수 있는 자리이며 다른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와 비슷합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이번에도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일봉에서의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는 꽤나 영향력이 큰 관점임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일봉 50 EMA가 아직까진 지켜주고 있습니다.
물론 매수 받을 수 있겠지만 히든 하락다이버전스가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뚫릴 가능성을 함께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6.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의 베이스라인에 지지는 받았지만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의 저항을 뚫지 못하고 다시 하락 중에 있습니다.
매수 받을 것이라면 베이스라인과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 자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이긴 하다만
4시간봉에서도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 중에 있습니다.
상승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진다면 말씀드리겠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의 EMA에서 BTC/USD에선 21 EMA가 지켜줄듯하지만 BTC/JPY와 FXBTC/JPY에서 먼저 뚫리는 중에 있습니다.
4시간봉 종가가 결정할 예정이기 때문에 1시에 끝나는 종가가 중요할 듯 합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0.3%
환율: USD 1132.1원 JPY 10.01원
SFD: 1.6%
[캘린더] 그대로의 6600,6800대의 저항과 고점을 낮춰나가는 움직임(10월 8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며칠째 가격은 횡보를 이어나가며 그 자리에 그대로 있습니다.
먼저 지난주 분석인 10월 5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8일 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캔들에서 도지형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도지형 캔들이란 시가와 종가가 거의 비슷한 위치에 마무리 된 것이며 매수세와 매도세가 비슷했음을 의미합니다.
추세가 변화할지에 대해선 확신할 수 없으며 요즘말로 심상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저항받던 21 MA는 6788달러에 있으며 자리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지난 주와 마찬가지로 볼린저 밴드의 베이스라인과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 사이에 있으며 6760달러와 6244달러 사이에 있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2. 일봉 캔들
앞선 분석 글에 말씀드린 것처럼 모닝 스타 캔들이 만들어진 뒤에 지지가 깨지지 않고 다시 상승뒤에 박스권 횡보하고 있습니다.
박스권 횡보는 계속 이어나가고 보고 있게 됩니다.
3. 중기 추세선
중기 추세선에선 삼각 수렴 아래로 벗어나긴 했지만 아직도 위 추세선과 아래 추세선의 저항을 뚫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위꼬리를 달면서 저항받고 있기 때문이지요.
4.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는 지난 분석 글에서와 마찬가지로
BTC/USD의 파란색 0.886 비율과 BTC/JPY, FXBTC/JPY의 주황색 0.236 비율에 계속 저항받고 있습니다.
6600대의 쫄병 저항 중 하나라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5.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새로 판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앞선 P자리가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지지받을 수 있는 P는 6591달러에, 올라가면 저항받을 6712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하락 다이버전스를 벗어나지 못하고 하락 중에 있습니다.
높여야 할 고점은 6741달러와 6826달러입니다. 올리지 못할 때까지 계속 고점을 낮추며 하락할 수 있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난주부터 계속 마찬가지로 50 EMA의 저항을, 21 EMA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각각의 자리는 6635달러와 6583달러에 있으니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에서 지지받고 다시 상승 중에 있으며
현재엔 너무 촘촘히 있어 단타만 하고 추세로 가져갈 자리를 찾기엔 힘들 것 같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4시간봉도 여전히 오실레이터이며
4시간봉에서의 오실레이터에서도 하락 다이버전스가 반복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식나봉의 EMA 또한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에서 계속 왔다갔다 하면서 6500대에 있습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인 자리이기 때문에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2%
환율: USD 1130.6원, JPY 9.93원
SFD: 2.2%
[캘린더] 6800달러대, 6600달러대의 저항과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10월 5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횡보가 계속 길어지는 것이 저도 판단하기가 쉽지 않네요.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0월 4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5일 금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앞서 만들어진 모닝 스타 캔들에 대해 아랫부근에서 지지를 지켜주며 다시 상승한 모습입니다.
다시 모닝스타 캔들이 만들어졌냐에 대해서는 트레이더마다 관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앞서 10월 2일 음봉에 대해 중간값은 넘어섰지만 음봉의 시가를 장악하지 못했다는 점에선 모닝스타 캔들이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상승에 대해 확신을 할 수 없습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아직까진 6659달러를 뚫지 못하고 사이에서 횡보 중에 있습니다.
각각의 중요한 자리들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포인트에선 아직까지 P의 지지를 지켜주고 있으므로 지지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됩니다.
횡보에 대해 지켜주는 자리로서 있습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앞서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에 대해 고점을 6826달러보다 아직 높이지 않았기 때문에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수 있음을 계속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RSI가 53보다 높아지면 꼭 인지하셔서 매도를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어제 분석 글에 말씀드린대로 50 EMA는 앞서 며칠동안 저항받은 것처럼 계속 저항받는 선입니다.
현재 6638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6.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밴드에선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 부근에 있으면서 저항과 지지를 동시에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린 6604달러에 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저항 자리입니다. 현재 6642달러에 있습니다.
저항받으며 뚫고나선 매수 시그널로 바뀔 예정입니다.
그리고 현재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고점을 6648달러보다 높이기 전까지 유효합니다.
8.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다시 돌파하며 지지받을 자리에 있은 뒤에 계속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지지받을 6562~656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0.4%
환율: USD 1129.8원, JPY 9.91원
SFD: 2.4%
[캘린더] 6800달러대 부대장 저항을 뚫기 전 뚫어야 하는 쫄병 저항들(10월 4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 매일 차트 분석 글이 도움이 되신다면 아이디어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아요(👍) 버튼은 ↗ 여기 방향에 있습니다 . ----------------------------------
휴일 잘 보내셨기 바랍니다.
먼저 이틀 전 분석 글인 10월 2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4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 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어제 캔들까지 계속 음봉이 나오긴 했지만 아래꼬리는 길게 달리며 지켜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직까지 앞서 만들어졌던 모닝스타 캔들까진 도달하지 않았으며
오늘 또한 며칠 간 하락하였던 것에 대해 모닝 스타 캔들이 또 출현할지 관건에 두어야 합니다.
2. 중기 추세선
중기 추세선에선 아래로 하락 돌파된 뒤에 다시 현재 상승에 있어 추세선에 저항 받을 자리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이 점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선 과거의 의미있던 자리였던 4월 1일의 저점인 6425달러 부근에서 반등이 나오며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6659달러, 6754달러, 6831달러 이 부근도 의미 있던 자리이고 저항받을 수 있음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다시 한번 P의 돌파를 도전하고 있으며 4시간봉 종가가 위에 마감된다면 다시 지지 받을 자리로 확인하게 됩니다.
4시간봉 종가가 마감되면 다시 한번 언급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고
앞서 언급드린 것처럼 6800달러대보다 고점을 높이기 전까지는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한 하락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는 앞선 50 EMA를 뚫지 못하고 하락했던 것처럼 오늘 또한 50 EMA에 저항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6641달러에 있습니다.
그리고 MACD에서 골든 크로스가 나올 것 같지만 아직도 만들지 않으려는 세력들에 의해 저항을 받으며 골든 크로스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 부근도 저항받을 자리이며 현재 6612달러와 666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자리 또한 시그널을 바꾸지 않으려는 세력들에 의해 저항선이며 현재 6642달러 부근에 있고
당장에 우선 하락 다이버전스는 고점을 높이며 무효화되긴 하였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는 이번에 한꺼번에 뚫는다면 다시 지지받을 자리가 되며 4시간봉의 확정봉이 필요합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0.5%
환율: USD 1127.6원 JPY 9.86원
SFD: 1.7%
[캘린더] 어제 분석 글의 추세의 자리와 현재 횡보에서의 단타의 자리(10월 2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 매일 차트 분석 글이 도움이 되신다면 아이디어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아요(👍) 버튼은 ↗ 여기 방향에 있습니다. ----------------------------------
어제 분석 글에 중요한 내용들을 많이 담았습니다. 진짜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 분석 글인 10월 1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10월 2일 화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모닝 스타 캔들이 만들어진 뒤에 아직까진 음봉이어도 아래꼬리를 달면서 지지해주는 모습입니다.
아래 관점인 추세선을 지켜주는 것도 있지만 모닝스타 캔들의 영향도 어느정도 있을 듯 합니다.
2. 중기 추세선
어제 분석 글에서 써드린대로 아래 추세선은 지지, 위추세선은 저항선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어제 아래 추세선의 지지를 지켜주고 있으며 역시나 4시간봉에서 종가 마감에 있어 아래 추세선이 뚫린다면 손절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고 그 전까진 지지해주는 추세선으로 확인하게 됩니다.
뚫리게 되면 코멘트로 브리핑해드리겠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의 각각 자리들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보시다시피 의미를 두고 움직이곤 합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어제 BTC/USD에선 P가 뚫리는 듯 했지만 다른 차트에선 지켜주면서 다시 돌아온 모습입니다.
몇 번을 말씀드리지만 피봇 포인트에 있어 세 차트를 모두 모니터링하시는 것을 권해드리는 이유입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어제는 큰 움직임이 없어 오실레이터에서 다이버전스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가격은 올라가지않는데 머니플로우 지표가 올라간다는 것은 어느정도 분산활동이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선 어제 그대로 21 EMA와 50 EMA 사이에서 횡보중에 있습니다.
사이에서 단타의 자리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일봉 지표 3 - DMI, Aroon, TRIX
DMI와 Aroon에선 고점과 저점을 높이거나 낮추지 못하면서 박스권 횡보를 이어나간다고 보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하한선까지 갔었지만 지지받고 반등이 나왔으며
현재엔 베이스라인 위로 올라와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까지 도달하고 있습니다.
단타 하시는 분들은 지표 모니터링하시기 바랍니다.
9.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은 그대로 매수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고점을 6660달러를 넘기 전까진 하락 다이버전스가 만들어질 예정입니다.
10.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 EMA의 정배열이 지지를 지켜주고 있습니다.
역시나 단타의 입장에서 매수의 자리가 될 수 있습니다.
11. 김프, 환율, SFD
김프: 0.4%
환율: USD 1115.3원, JPY 9.79원
SFD: 1.4%
[독학차트분석] 하락채널 이탈, 상승형 리테스트 진행중, 알트분석의 방법론 /BTCUSD 중단기분석 전문* 하락채널을 이탈했고, 상승형 리테스트가 진행중인 상황입니다.
이를 통해 대략적인 목표구간을 설정해 볼 수 있습니다.
* 오늘 차트는 모두 비트멕스 차트입니다.
----------------------------------------------------------------------------------------
** 지난 분석 피드백 **
상승다이버전스 --> 중단기 저점 대비 240 $ 상승
----------------------------------------------------------------------------------------
* 오늘자 분석 시작합니다.
- 주요저항선 및 Fib구간은 컬러박스와 차트 오른쪽 숫자 확인바랍니다.
일봉(장기,중장기) log
- 지난 분석 참고
4시간(중기) log
- 상승다이버전스 이후 반등했습니다.
- 6585에 하락형 리테스트 구간이 존재합니다. 저항입니다.
- 중단기 상승형 리테스트가 진행중입니다. 6450 레벨의 지지가 중요합니다.
- 그 아래 메이져 지지구간으로 6300 중반 구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1시간(중단기)
- 중단기 하락채널을 이탈했습니다. 강하게 상승이탈한것은 아니며, 옆으로 흘러나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6434 라인의 지지가 동반되어야 좋습니다.
- 6580 저항선 위에는 중기 하락추세선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 종합 코멘트
* 하락형 리테스트는 6580이 최종 저항으로 작용할것이고,
상승형 리테스트는 6434라인이 기본적인 위치입니다.
* 하락채널 이탈했으므로,
6434 라인 지지가 동반되면 1차 6580 테스트 + 6600대에서 만나게 될 중기하락추세선과 테스트 하게 됩니다.
* 6434가 붕괴되거나 상승하더라도 고점갱신에 실패하고 재하락할 경우,
저점갱신과 다이버전스 연장개념으로 지켜볼 수 있겠습니다.
* 오늘의 핵심은 비트코인보다도 비트코인캐쉬 입니다.
한국 코인시장에서의 알트분석 방법론에 대한 솔루션을 정립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성과가 있던 대표적인 코인은 얼마전 에이다와 최근 비캐 입니다.
차트의 일관적인 비교가 필요한데, 방송에선 가능하지만 트뷰에서는 업비트 차트는 이용 불가하여
첨부할 수가 없는 점이 아쉽습니다.
추후 방법론에 대한 소개정도는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10월이 다가옵니다. 트레이딩뷰 분석페이지 하단의 시그니쳐 항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매일 열심히 분석하고 보람 느끼는 부분은 구독, 추천밖에 없는듯 합니다.
더 빠르고 부지런하고 정확한 분석에 큰 힘이 됩니다.
[캘린더] 모닝 스타 캔들과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9월 28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 매일 차트 분석 글이 도움이 되신다면 아이디어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아요(👍) 버튼은 ↗ 여기 방향에 있습니다. ----------------------------------
환절기가 되면서 컨디션 꼭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어제인 9월 28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9월 27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 어제 염두에 두었던 모닝 스타 캔들이 출현하였습니다.
모닝 스타 캔들은 하락에 대한 상승 반전형 캔들이며 고점 저항을 뚫어주는 것에 대한 매수세를 붙이는 캔들 패턴이 될 수 있습니다.
상승에 대해 긍정적인 신호 중 하나입니다.
2.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비율에서는 어제 말씀드린 파란색 0.886 비율에 대해 지지받고 상승하고 있으며
모든 차트에서 전 고점에 도달 중에 있습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에선 P를 뚫어주는 모습을 보였고
현재엔 FXBTC/JPY 차트에서 R1의 저항을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4시간 봉 마감때 자리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서 가격 상승과 함께 상승 중이며 하락 다이버전스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앞선 고점이었던 6840달러보다 고점을 높이는 파동을 만들지 못한다면 하락 다이버전스에 의해 하락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일봉 EMA에서 다시 한번 50 EMA 위로 올라가면서 지지받을 수 있는 선이 되었고 현재는 6661달러 부근에 있습니다.
6.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선 표준편차 2짜리 상한선 위에 있기 때문에 당장에 매수 받기엔 껄끄러운 자리에 있습니다.
매수를 받는다면 조정이 나오거나 볼린저 밴드가 위로 올라가면서 표준편차 1짜리 상한선에 맞닿을때 매수를 할 수 있습니다.
7.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아직 4시간봉이 마감되지 않았기 때문에 파라볼릭 지표는 매수 시그널로 바뀌었다고 확인하긴 어려우며
일찍이 말씀드린 것처럼 시그널을 바꾸지 않으려는 세력에 의해 저항선이 될 수 있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역시나 4시간봉 마감을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4시간봉의 EMA 저항들을 다시 한번 뚫어주면서 상승하였고 이제 다시 지지받을 수 있는 동적 지지선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시 한번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도 시그널 부근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0.3%
환율: USD 1110.4원 JPY 9.78원
SFD: 2%
[캘린더] 6500달러대에서의 4가지 저항들(9월 27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 매일 차트 분석 글이 도움이 되신다면 아이디어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아요(👍) 버튼은 ↗ 여기 방향에 있습니다. ----------------------------------
추석 연휴가 끝났네요. 끝나지 않을 것 같던 연휴가 끝나는 바람에 힘들긴 하지만
이틀만 일하면 푹 쉴 수 있으니 다들 같이 힘냈으면 합니다.
먼저 어제인 9월 27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9월 27일 목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선 양봉 캔들이 나오긴 했지만 위꼬리가 달리면서 아직까진 매도세가 있는 모습입니다.
역시나 상승 반전형 캔들이 출현해야 하며 오늘 이틀 전의 음봉을 장악하는 캔들이 나온다면 모닝 스타 캔들로서 상승 반전을 기대할 수 있고
그 전까진 하락 추세를 먼저 염두에 둡니다.
2. 피보나치 비율
어제 분석 글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앞선 피보나치 비율의 자리들에 따라 지지와 저항 자리들이 움직인다고 말씀드렸고
어제에 파란색 0.886 비율에 대해 현재 지지받을 자리들이라고 말씀드렸으며
정확히, 칼같이 지지받고 상승 중에 있습니다.
3.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서 저항받을 P인 6550달러 부근에서 저항받아 한번 하락한 모습입니다.
다시 한번 올라가더라도 저항받을 수 있는 자리이며 이는 4시간봉의 세 EMA와 볼린저밴드의 베이스라인과 비슷한 위치입니다.
4.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에선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5.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어제 또한 21 EMA에 저항받았고 오늘도 올라가면 저항받을 예정이며 6547달러에 있어 피봇 포인트와 비슷한 자리에 있습니다.
6.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볼린저 밴드에서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을 돌파 뒤에 베이스라인에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뚫고나서 재매수를 할 수 있고 그 전까진 매도, 수익 실현의 자리가 됩니다.
7.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매도 시그널이며
어제 분석 글을 쓸 때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가 있었는데 제가 발견하지 못했었네요.
6200~6300달러대의 매수에 대한 근거 중 하나로 잡았을 수 있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현재 EMA들이 수렴하게 되었지만 각각 다른 자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BTC/USD는 세 EMA가 모두 저항받을 자리로 6514~6536달러에 위치하고 있지만
BTC/JPY는 조금더 밑에 위치하고 있고
FXBTC/JPY에선 지지받을 자리까지 올라와있습니다.
이는 비트플라이어에선 올리려하지만 비트피넥스 차트에선 내리려는 모습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9. 김프, 환율, SFD
김프: 1.2%
환율: USD 1115.8원, JPY 9.9원
SFD: 1%
[캘린더] 추석 이후 다시 돌아온 6천 달러대 초반(9월 26일)안녕하세요. 캘린더 입니다.
---------------------------------- 매일 차트 분석 글이 도움이 되신다면 아이디어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아요(👍) 버튼은 ↗ 여기 방향에 있습니다. ----------------------------------
추석 잘 지내셨나요? 저는 고향인 군산에 내려가서 할머니댁도 찾아뵙고 부모님과 함께 국내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힐링도 하고 생각도 비우는 시간이 되었었습니다. 여러분께서도 힐링하는 시간이 되었었다면 좋겠습니다.
먼저 9월 21일 차트 분석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차트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제 보셨더라도 코멘트까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시는 김에 안 누른 좋아요도 부탁드립니다.
9월 26일 수요일 비트코인 차트 분석 시작하겠습니다.
1. 주봉 차트
주봉 차트에선 저항을 도달조차 하지 못한채 하락 중에 있습니다.
그러한 연유는 역시나 지금은 상승장이 아니라 하락장이기 때문입니다. 왜 하락하느냐에 대해선 하락장에서 벗어났다는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2. 일봉 캔들
일봉 캔들에서는 며칠째 하락하고 있습니다. 흑삼병이 만들어졌는지는 오늘 캔들에 따라 확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피보나치 비율
앞선 피보나치 비율의 자리들에 따라 지지와 저항 자리들이 움직인다고 말씀드려왔습니다.
파란색 0.886 비율에 대해 현재는 지지받을 자리입니다.
4. 피봇 포인트
피봇 포인트에선 P가 뚫린 이후 S1이 다음 지지받을 수 있는 자리입니다. 현재는 6267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5. 일봉 지표 1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그대로 매도 시그널이며
오실레이터 크게 해석할만한 것은 없습니다.
6. 일봉 지표 2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에서 50 EMA와 21 EMA에서 한번 정도씩만 지지받고 결국 다시 뚫리게 되었습니다.
역배열이라는 점에서 아직 하락 추세라는 점은 변함 없습니다.
MACD에서도 골든크로스가 나오지 못한채 역배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의 매도 시그널 부근에서 하락 추세가 나온 모습이며 아직 매수 시그널이 아닙니다.
7. 4시간봉 지표 1 - 볼린저 밴드
4시간봉 볼린저 밴드에선 계속 표준편차 1짜리 하한선에 저항을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엔 6446달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8. 4시간봉 지표 2 - 파라볼릭, 오실레이터
파라볼릭 지표는 다시 매도 시그널이 되었으며
4시간봉의 오실레이터에서 과매도 부근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승이 바로 나온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9. 4시간봉 지표 3 - EMA, MACD, 스토캐스틱 모멘텀
EMA도 모두 하락 추세가 되고 있으며 데드크로스만 되고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모멘텀 지표에서도 매수 시그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0. 김프, 환율, SFD
김프: 1.6%
환율: USD 1118원 JPY 9.9원
SFD: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