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을 뛰어넘어
차트무당 마코 6월 12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6월12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11일 수요일 비트코인의 관점을 복기 해보면 큰 추세에서는 횡보장 마무리
작은 추세에서는 지지라인 터치 후 버티는 모습까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구간에서 간단하게 중요 포인트만 기재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1.상승하기 위해선 109,227 구간을 터치 한 후 저항없이 버텨야 합니다.
비트코인이 상승하기 위해선 위의 캡쳐본에서 보이는 저항대들
109,227 구간의 각 시간대 저항선 중앙선 음운저항구간을
버티면서 양운으로 바뀌고 중앙선 위에 안착해야 다음 패턴으로 넘길 수 있는 자리들 입니다.
이 구간에서 버티지 못한다면 조정의 가능성이 있는 자리들 입니다.
2.6시간 8시간 12시간 MACD 눌림구간 주의
현재 MACD 눌림구간들이 유지가 되고 있으며 이 구간에서 강하게
상승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자리들 입니다.
이 구간들을 해결하고 가는게 가장 좋으며 이 구간이 해결 되려면
강하게 상승하던지 각인이 완료가 되야 하는 구간들 입니다.
3.하단에 주요 지지구간 체크!!
위의 캡쳐본의 양운의 지지구간 각 시간대 중앙선 지지선의
반등구간별로 체크 해놨으며
같이 보셔야 하는 구간을 정리 하자면
MACD 각인 + 지지구간 터치 유무
MACD 각인 전 + 지지구간 터치 유무
등 여러가지의 요인들이 많습니다.
이 요인들은 앞으로 교육 퍼블리쉬를 통해서 공개 할 예정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Point of InflectionWe are at the important range.
Seems that LAST LEG is ing.
Not sure it will be with new ATH,
but High probability of Triangle ending.
This means that movement in the price of box-range, accompanied by extreme volatility, is expected. Trading without a clear price criteria can be continuous loss. So, we should pay attention to Bitcoin dominance and the narrative of Altcoins. Keep in mind that alt season won’t be the same with past.
No more chasing pumps. Just diversity portfolio and stay adoptable.
차트무당 마코 6월 11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6월 11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10일 관점 공유 글에서는 지지구간인 108,594 구간을 잘 지지해주며
횡보장으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108,594 구간을 이탈 할 경우 하락 추세 위험까지 설명 드렸는데
다행히 지지 해주며 마무리 되었고 현재 자리에서 중요 포인트 몇 가지
짚어 보겠습니다.
금일은 CPI 발표가 있는 날 이며 큰 변동성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21:30 USD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MoM) (5월) 0.3% 0.2%
21:30 USD 소비자물가지수 (MoM) (5월) 0.2% 0.2%
21:30 USD 소비자물가지수 (YoY) (5월) 2.5% 2.3%
1.현재까지는 상승우위 패턴이지만 108,330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굉장히 위험한 구간이 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지지구간인 109,358 자리는 각 시간대 구멍을 메워준 후의 움직임을
두번째 지지구간인 108,330 구간은 일봉차트까지의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으로
현재 4시간차트 MACD 가 불안정한 구간이며 이 구간들을 이탈할 경우
하방으로 힘이 모이는 작업이 진행되면서 강하게 눌림이 나올 수 있는 자리이니
조심하셔야 하는 구간 입니다.
캡쳐본에서도 보이시겠지만 4시간 MACD 는 위험한 구간이며
각 시간대 구멍을 메워주는 1번 지지구간 2번 지지구간에서 반등하지 못한다면
순차적 MACD 눌림으로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구간 입니다.
금일은 108,330 자리가 중요 포인트 구간이니 이 구간을 중점적을 봐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2. 최대 바텀구간인 105,517
바텀구간인 105,517 구간은 각 시간대 양운이 밀집되어 있는 구간으로
12시간차트의 중앙선까지 모두 포함된 강한 지지구간 입니다.
금일 CPI 의 영향으로 강하게 눌림이 나온다면 강하게 반등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구간으로 이 구간의 반등여부를 유심히 보셔야 합니다.
현재 전체적으로 상승우위 패턴은 맞지만 하나의 지지라인 이탈로
추세가 바뀔 수 있는 구간이며 이 구간이 위에서 언급했던
1번 지지구간 2번 지지구간을 볼 수 있습니다.
하단에 지지라인이 아직은 견고한 자리이지만 추세가 바뀌면서 눌림이 나온다면
최대 바텀구간까지 힘의 꼬리로 밀릴 수 있는 지표가 CPI 입니다.
하단에 지지구간까지 변동폭이 크게 나올 수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 참고하시면서 여러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관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주식 시장과 코인 시장의 거래 차이점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가볍운 마음으로 읽어 주세요.
-
주식 시장에서의 거래와 코인 시장에서의 거래는 같아 보이지만 크게 다릅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1주씩 사고 팔아야 하지만, 코인 시장에서는 소수점 단위로 사고 팔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매수나 매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가능하면 낮은 가격에서 상승하려고 할 때 매수하여야 합니다.
그 이유는 1주 단위로 매수하다 보니, 매도한 다음 매수하려고 할 때 더 많은 자금이 투입되어야 1주를 매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코인 시장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되지만, 소수점 단위로 매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의 매수 시점보다 높은 가격에서도 매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매도하였는데 더 상승하여 매도한 금액으로 다시 매수해도 코인(토큰) 갯수가 줄어들 뿐 아예 못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그러므로, 코인 시장에서는 사실상 전 가격대에서 거래가 가능한 투자 시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수익 실현 방식으로 볼 때, 주식 시장은 현금 수익을 얻는 방식으로만 거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1주 단위로 거래를 해야 하기 때문에 거래에 제약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코인 시장은 현금 수익을 얻는 방식 이외에도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가는 방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의 최대 장점은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고, 거래를 진행할 때 매수 평균 단가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다는 것 입니다.
매수 단가별로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금액(+거래 수수료 포함) 정도 매도하게 되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이 남게 됩니다.
이러한 코인(토큰)은 매수 평균 단가가 0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발생하더라도 언제나 수익에 해당됩니다.
또한, 가격이 하락하여 다시 매수하더라도 매수 평균 단가가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매수 시기를 찾고 거래를 시작하기에 좋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당연히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나 적을 때는 매수 평균 단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갯수가 늘어날수록 그 진가를 알게 될 것 입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갈 때도 약간의 현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매도할 때 매수 금액 + 거래 수수료 X 2~3 정도 합산하게 되면, 약간의 현금 수익도 얻을 수 있습니다.
현금 수익을 얻게 되면 그만큼 남게 되는 코인(토큰) 갯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잘 조정하시면 됩니다.
수익이 클 때는 현금 수익을 약간 더 늘리고, 수익이 적다고 생각될 때는 현금 수익을 줄이면 됩니다.
-
따라서, 주식 시장에서 처음으로 코인 시장으로 넘어와 거래를 진행하게 되었을 때 뭔가 모르게 거래가 잘 안되는 경험을 겪게 됩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어느 정도 상승 및 하락의 제약을 두고 있지만, 코인 시장은 제약이 없기 때문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거래 단위의 차이에 있다는 것 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거래시에는 차트 이외에 각종 발표나 이슈를 확인하고 이러한 정보가 거래하려는 종목이나 테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거래가 코인 시장처럼 24시간 365일 진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거래하지 않는 기간에 발표나 이슈가 발생하게 되면, 주식 시장이 개장되었을 때 큰 폭으로 상승하거나 하락하여 거래가 시작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주식 차트에서 저의 차트를 활용할 때도 마찬가지로 기본 거래 전략은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추가 매수하고 싶다면, 1D 차트의 M-Signal > 1W 차트의 M-Signal 인 상태일 때 1W 차트의 M-Signal 지표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추가 매수가 가능합니다.
주식 차트에서는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가 정배열일 때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1주 단위로 거래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매수 시점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코인 차트에서는 사실상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거래를 진행하면 됩니다.
하지만, 24시간 365일 거래가 가능하다 보니,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였다 하더라도 변동성에 의한 심리적 불안감이 증가되기 때문에 기본 거래 전략대로 거래를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HA-Low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저점 구간에서 상승하였다는 의미이고,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에서 하락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반대로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HA-Low 지표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시간을 투자하여 실시간으로 상황을살펴봐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비트코인 단기 하락 관점 BTC short view, wave analysis지난 4월 22일 올린 마지막 비트코인 포스트에서 말씀드린대로 큰 상승이 진행되었습니다.
역사적 고점을 넘긴 만큼, 적당한 조정 이후엔 재차 상승해야 지속적인 신고점 갱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가격움직임은 그러지 못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현재의 하락은 개미털기(?)에 불과하고 다시 빠르게 말아올릴 것이라고 말씀을 하시는데,
저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볼 필요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을 파동의 관점에서 표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은 길이도 꽤 길고,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면 이해가 힘들 수 있습니다.)
현재 제가 주의깊게 보고있는 파동은 꽤나 큰 프레임 두 가지로, 다음과 같습니다.
1번 파동: 2022년 11월 ~ 2025년 1월 까지 진행된 상승
2번 파동: 2025년 4월 ~ 5월 까지 진행된 상승
위 두 파동 중 2번은 높은 확률로 마무리 된 것으로 보입니다.
2번 파동 마무리에 대한 조정이 얼만큼 이뤄질지가 현재로써는 핵심입니다.
이 조정이 얼만큼 이뤄질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1번 파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1번 파동이 2022년 11월 ~ 2025년 1월까지 진행되고 끝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차트에 표시한 것 처럼)
그리고 그에 대한 조정이 2025년 1월 ~ 2025년 4월 까지의 하락으로 마무리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조정은 차트에 표시하지 않았음)
그래서 2번 파동, 즉 2025년 4월부터 5월까지 진행된 상승은 아예 새로운 파동의 시작이고, 따라서 현재 진행되는 조정(2025년 말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조정)은 개미털기이다, 조만간 빠르게 말아올리고 상승할 거다.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마 파동을 활용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이렇게 해석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해석엔 분명 일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번 파동이 2025년 1월에 끝난게 아니라 2025년 5월에 끝났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혹은 1번 파동이 2025년 1월에 끝났더라도 조정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1번 파동이 2025년 1월에 끝난게 아니라 2025년 5월에 끝난 것이라면, 2025년 1월~4월 진행된 조정보다 더 큰 조정이 지금부터 진행되어야 합니다.(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암묵적? 룰에 의해) - 이것을 A 시나리오라고 하겠습니다.
1번 파동이 2025년 1월에 끝났더라도 조정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면, 현재 진행되는 조정은 running flat 과 expanded flat 둘 중 하나여야 합니다.(물론 장기 상방 일 때 입니다, 현재가 역사적 고점이라면 해당 없습니다.) - 이것을 B시나리오라고 하겠습니다.
오랜 기간 가격움직임을 보면서 느낀 개인적 의견이지만, 가격움직임이 딱 한 가지 파동해석으로 완전하게 맞아떨어지는 경우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A시나리오라면 '아주' 약세인 상황, B시나리오의 running flat 이면 '아주' 강세인 상황, B시나리오의 expanded flat 이면 '아주' 혼잡한 상황 입니다.
그런데 이런 '아주' 의 경우가 상상하기 쉽기에 자주 거론되지만, 제 경험 상 현실에서는 이것 저것이 '짬뽕' 된 '적당한' 상황이 굉장히 자주 연출됩니다.
그리고 현재는 그 '짬뽕'된 '적당한' 상황일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그러면 그 적당한 상황이란 무엇이냐?
적당한 상황에서는 위에서 말씀드렸던 1번 파동이 정확히 2025년 1월에 끝났느냐, 아니면 2025년 4월에 끝났느냐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2025년 1월에 끝난거라면, 아직까지도 조정의 '힘이 남아있다' (어디가 조정의 진짜 끝인지는 상관없고) 는 것이고,
2025년 4월에 끝난거라면, 이제부터 어느정도의 조정이 또 있겠다, 근데 그게 꼭 2025년 1~4월 조정보다 클 필요는 없다.
뭐 이런 느낌입니다.
드디어 결론입니다.
장기 상방이 맞더라도 조만간 엄청 빠른 상승이 나와야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지금부터 꽤나 하락한다 하더라도, 그게 장기 상방이 아니라는 말도 아니다.
저는 대략 90k 정도까지의 하락은 충분히 가능하다 봅니다.
그 이후는 그 때 가서 또 판단할 생각입니다.
이번 하락 포스트는 확신이 아주 강하지는 않습니다.
틀릴 가능성이 있어서 조금 두렵긴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승 지속을 기대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반대 의견이라 의미가 있습니다.
25.0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NSUSDT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20.93-25.06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만일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지지 구간인 11.86-14.61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생각해 두어야 합니다.
다만, 20.93 지점은 매물대(volume profile) 구간에 해당되므로 이 부근으로 하락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상승시 시작되면,
1차 : 28.15
2차 : 33.54
위의 1차, 2차 부근이 저항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기본 거래 전략으로 사용되는 지표는 HA-Low 지표와 HA-High 지표 입니다.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이 기본 거래 전략에 해당됩니다.
단,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HA-Low 지표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계단식 상승세의 끝은 하락이고, 계단식 하락세의 끝은 상승입니다.
그러므로,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때 매수한다면 짧고 빠른 대응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서, 첫번째 매수 시점으로 HA-High 지표에서 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단타 거래(day trading)에 익숙하면 HA-High 지표도 매수 시기에 해당될 수는 있습니다.
현재 HA-Low 지표는 14.61 지점에 형성되어 있고, HA-High 지표는 23.12 지점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
캔들의 배열에 따라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20.93-25.06 구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현재 HA-High 지표의 위치에 상관없이 25.06 이상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만, 매수 구간과 저항 구간이 가깝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요구될 뿐 입니다.
그러므로,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이 중요한 거래 전략 지점에 해당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작도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거래를 시작한 다음에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은 자신의 심리상태가 반영되어 신뢰할 수 없는 지지와 저항 지점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차트무당 마코 6월 10일 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6월 10 일 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어제 9일 비트코인의 움직임을 복기 해보자면 현재 구간에서
적당히 올려서(일봉 중앙선터치까지 탑구간) 차트를 만들어야 하는
비트코인이 너무 많이 올리면서 과매수 구간의 조정의 가능성까지 있는 자리로 만들었습니다.
현재 구간에서 상승 우위 패턴은 맞으나 하단에 일목균형표상의
구멍을 어떻게 메워 줄것인가 금일의 관건이 될 듯 합니다
현재 구간에서 몇 가지 중요한 구간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1.현재 구간에서 지지 받게 된다면 전고점 재탈환 여부를 중점적으로
보시겠지만 현재 전체적으로 과매수 구간의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전고점 재탈환 후 움직임에서 강하게 조정이 나올 수 있는 점은
항상 염두해 보시길 바랍니다.
2.108,594 자리의 각 시간대 일목균형표 상 구멍을 메워 줄것인가?
현재 108,594 구간을 보시면 각 시간대 구멍들이 모두 나와 있습니다.
12시간 차트까지 모두 같은 선상의 일목균형표가 유지 되고 있으며
이 구간을 메워준 후의 움직임이 굉장히 중요해 보입니다.
108,594 구간을 터치 하게 된다면 4시간 차트 MACD 눌림구간이
서서히 시작하는 단계의 다다르며 이 구간에서 반들하지 못한다면
그 다음의 조정구간을 살펴 보셔야 하며 이 구간에서 각 시간대
중앙선 지지선의 역할이 어떻게 나올지 체크 하셔야 합니다.
하단에 106872 구간은 각 시간대 지지선 및 중앙선의 지지구간이며
105,504 구간은 각 시간대 양운의 지지구간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힘이 받쳐주고 있는 자리들 이니 이 구간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23.03-28.93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INTC 1D 차트)
중장기 매수 구간인 18.69-21.33 구간 이상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상승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28.93 이상 상승하여야 하기 때문에 마음의 여유를 가져야 합니다.
28.93 지점은 1M 차트의 HA-Low 지표 지점으로 이 지점을 상향 돌파할 때 돌파 매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가격이 위치해 있으므로 단기 거래로 짧고 빠른 대응해 가면서 상황을 살펴봐야 합니다.
따라서, 중장기 매수 구간에서 매수하지 못하였다면,
1차 : 1M 차트의 M-Signal 지표
2차 : 28.93
위의 1차, 2차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18.69 이하로 하락하면 거래를 중지하고 상황을 살펴봐야 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변동성 기간 : 6월 13일경(6월 12일-14일)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NB는 BTC, ETH와 같이 장기 투자가 가능한 코인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얘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느 한순간에 거래소가 폐쇄될 수도 있지만, 그 확률이 상당히 낮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
(BNBUSDT 1M 차트)
가격이 많은 상승으로 인해 거래량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변동성이 언제든 발생하여도 이상할 게 없는 상태라 생각됩니다.
현재로서는 702.30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은 533.90-587.58 구간입니다.
따라서, 하락하더라도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1W 차트)
중기 하락 추세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661.74 부근에서 지지 받고 702.30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고 하락한다면, 58758-595.0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중요한 변동성 기간은 7월 21일 포함된 주 전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1D 차트)
단기 상승세를 따라 상승하여 675.54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변동성 기간인 6월 13일경(6월 12일-14일)을 지나면서 661.74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만일 하락하게 된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면서 다시 추세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583.54-595.0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중요한 구간이 533.90-587.58 구간에 해당되기 때문에 강한 하락이 발생한다면, 중요한 구간을 터치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
장기 투자를 진행하기에는 많은 상승을 한 상태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현재로는 단기 투자를 진행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은 매수 단가별로 가격이 상승하면 매수 원금(+거래 수수료 포함)만큼 매도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게 되면, 현금 수익은 거의 없거나 작겠지만,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코인(토큰) 갯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만든 코인(토큰)은 매수 평균 단가가 0인 상태이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였을 때 매수 시기에 매수하기에 심리적인 부담감을 줄여주게 될 것 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0.019249-0.024672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JASMYUSDT.P 1D 차트)
중장기 하락 추세선(1)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1M 차트의 M-Signal 지표 이하에 위치해 있으므로 거래시 짧고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0.019249-0.024672 구간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 상승세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하여도 하락 추세선 (1)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결국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으로 상승하기 위한 상승이 있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변동성 기간은 6월 24일경으로 BTC 변동성 기간과 비슷하므로 BTC의 움직임에 영향이 클 것으로 보여집니다.
0.014447 지점에 1D 차트의 HA-Low 지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 받는다면 공격적인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차트무당 마코 6월 09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6월 9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저번 주 목요일 남겨 드린 구간이며 금요일 코먼트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5일 남겨드린 주요 지지구간 및 저항구간 체크구간
1.12시간차트 양운이 음운으로 변경시 위험구간
2.아직까지 3일차트 MACD 데크 눌림구간 4일차트 MACD 진행형
3.각 시간대 지지선 하방열려있음
4.상승하기엔 아직 부족한 추세(추세가 바뀌기 위해선 강한 지지구간 터치 또는 4시간 저항선 주변에서 버텨주면서 시그널 만들어야 합니다)
5.최대 일봉차트 지지선까지 지지구간이나 이 구간에서 상승하지 못하면 추가 하락 가능성 있음
6.상방에 각 저항구간들은 약한 저항 아니니 참고!!
6일 남겨 드린구간 체크 구간
현재 일봉지지선 및 2일 중앙선 터치 지지구간이고
오늘 캔들 생성됫기 때문에 각인 후 반등구간으로 일요일 오전이나 월요일 가능성
4일차트 macd 눌림 풀리기 위해선 지금 현재구간부터 지지 받아야 합니다
제 예상구간은 93k 2일3일 양운지지구간 및 지지선 반등구간까지는 보고 있으나
금일 반등여부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 있습니당
어느정도의 반등(4시간 저항선)이 나오지 않는다면 4일차트 MACD 눌림구간은 유지 되면서 하락우위의 패턴이 우세한 자리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1일 지지선 및 2일차트의 중앙선 터치 지지구간이기 때문에 반등 할 수 있는 구간으로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1일 지지 2일 중앙의 반등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3일 및 4일차트 MACD 눌림은 해소되지 않으며 하락우위에서 추세 받을 수 있는 자리 입니다
2일차트와 3일차트중앙선을 터치 한 비트코인이기 떄문에 반등구간으로써
반등이 나와주어야 하는 자리였고 말씀드린대로 지금 현재 반등이 나온후 움직임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현재자리에서 주요 지지구간 체크 해보겠습니다.
1.105,502 구간이 깨지면 안돼는 자리 입니다.
105,502 구간은 6시간차트의 양운의 지지구간이며 각 시간대 중앙선이 위치한 구간 입니다.
만약 이구간이 깨진다면 저항선을 터치 하지 못한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조정의 가능성도 분명히 있는 자리 입니다.
이에따라 105,502 자리까지 눌림이 나오더라도 지지구간
반등이 나와주어야 하는 자리이며 이 구간이 깨질 시 최대 바텀구간까지
눌림이 나올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애 각 지지라인의 반등구간을 체크 하셔야 합니다.
2.현재 각 시간대 저항선을 터치 하지 못한 비트코인이며 이에따라
저항선을 터치 할 경우 조정에 대한 움직임도 생각 하셔야 하는 구간입니다.
106,283 자리의 6시간 8시간 차트의 음운 저항구간 체크 하여야 하며
이 구간이 양운으로 바뀌어야 상승할 수 있는 명분이 있는 자리 입니다.
6시간 차트 생성시간은 오후3시 오후9시 새벽3시 오전 9시 움직임 체크
8시간 차트 생성시간은 오후 5시 새벽1시 오전 9시 움직임 체크
그 다음 저항구간은 최대 탑구간까지 이며 탑구간인 107,163 자리는
각 시간대 저항선이 밀집되어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에서의 조정여부를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지지와 저항 구간 : 104463.74-106133.74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W 차트)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HA-High 지표가 99705.62 지점에 생성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HA-High 지표가 생성되었다는 의미는 고점 구간에서 하락하였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즉, 97705.62 지점 부근이나 그 이하로 하락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현재의 캔들이 99705.62 부근으로 하락하였다가 상승한 셈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캔들이 생성되었을 때 이대로 상승할 수도 있씁니다.
우리에서는 고점을 판단할 수 있는 여러 지표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DOM(60), StochRSI 80, HA-High 지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점에 해당되는 구간은 104463.99-104984.57와 97705.62 입니다.
그러므로, 하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104463.99-104984.57 이하로 하락하여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시작될 가능성이 있고, 97705.62 이하로 하락하면서 하락세가 확정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반대로 생각해 보면, 104463.99-104984.57 부근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결국 새로운 고점을 만들게 될 것이다라는 것 입니다.
-
차트를 처음으로 공부할 때 우리는 가격 이동 평균선을 배우면서 차트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그 만큼 차트를 볼 때, 평균값을 얼마나 잘 파악하느냐에 따라 차트에 대한 이해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차트 분석에서 처음 배웠던 가격 이동 평균선으로는 거래를 진행하는데 애매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부터 온갖 다른 분석 기법들을 공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더욱 더 차트 분석이 어려워지게 되면서 차트 분석을 포기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됩니다.
어째되었든 끝까지 차트 분석을 포기하지 않고 나름대로 공부를 해 왔다면, 돌고 돌아 결국 평균값에 수렴하게 된다는 것을 깨달게 됩니다.
어떠한 지표나 분석 기법을 가지고 와도 결국 평균값에 수렴하였다가 발산되어 진다는 것을 알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가장 쉽게 편하고 알아보기 쉬운 방법을 가지고 차트를 분석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차트 분석은 결국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한 수단일 뿐 그 이상의 이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
저의 차트에서의 기본 거래 전략은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HA-Low, HA-High 지표는 하이킨아시 차트에서 거래하기 위해 만든 지표로서 결국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HA-High 지표는 고점 구간을 나타내는 평균값이고, HA-Low 지표는 저점 구간을 나타내는 평균값입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되고, HA-High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매도 시기에 해당됩니다.
단, 평균값이다 보니, HA-High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HA-Low 지표 부근에서 저항 받고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거래 방식을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보조지표인 StochRSI 지표는 결국 50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움직이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tochRSI 지표값이 50 이하에 위치해 있을때는 매수 시점을 찾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고, 50 이상에 위치해 있을때는 매도 시점을 찾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는 과매도 구간이나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였을 때 입니다.
보조 지표인 OBV 지표는 가격에 따른 거래량의 차이를 합산한 지표입니다.
OBV 지표를 High Line, Low Line으로 구분하여 OBV의 움직임을 파악해 보면 가격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지표들이 정확하게 가격의 추세를 따라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지표로만 모든 것을 판단하려고 하여서는안됩니다.
OBV 지표를 오실레이터 형식으로 표현해 보면, MACD의 오실레이터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는 앞서 말씀드렸 듯이 차트의 결국 평균값에 수렴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질을 활용하여 OBV 지표에 MACD 형식의 오실레이터을 결합하였습니다.
0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0 이하에 위치하였다면 매도세가 높다는 것이고, 0 이상에 위치해 있다면 매수세가 높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어떠한 지표, 어떠한 분석 기법을 공부하더라도 평균값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력이 탄탄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아무리 좋은 지표나 분석 기법을 배웠다 하더라도 결국 실제 거래를 진행할 때는 자신이 공부한 대로 분석하여 거래 전략을 만들 수 없게 될 것 입니다.
-
(1D 차트)
HA-High 지표지점인 108316.90 이상 상승하여야 상승세가 다시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104463.99-106133.74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상승하는데 실패한다면, 결국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될 것 입니다.
HA-High 지표를 만나고 하락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HA-Low 지표를 만날 때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HA-Low 지표가 89294.25 지점에 형성되어 있지만,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HA-Low 지표는 새롭게 생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이 하락할 때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보조 지표의 OBV가 Low Line 부근에 위치해 있고, OBV 오실레이터도 0 지점 이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결국 매도세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104463.99-106133.74 부근에서 지지 받을 때 OBV가 High Line 이상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나 OBV 오실레이터가 0 지점 이상 상승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모든 지표나 분석 기법을 지탱해 주는 것은 결국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서의 지지 여부를 확인하는 도구에 해당될 뿐 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표나 분석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캔들의 배열에 따른 지지와저항 지점이나 구간을 알마나 잘 이해하고 작도되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작도한 지지오 저항 지점이 얼마나 신뢰성을 갖느냐를 먼저 확인하고 그에 따른 거래 전략을 만드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결국 차트 분석이나 거래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얼마나 잘 작도되었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1W 차트와 1D 차트를 보면 공통적으로 6월 22일경이 중요한 변동성 기간임을 알 수 있습니다.
1W 차트의 변동성 기간은 6월 16일-29일까지 입니다.
1D 차트의 변동성 기간은 6월 10일-14일이고 6월 21일-23일입니다.
따라서, 1W 차트의 HA-High 지표가 99705.62 지점에 생성되었을 때, 1W 차트의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99705.62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1D 차트의 HA-High 지표가 108316.90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108316.90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이를 종합해 보면, 결국 변동성 기간에서 중요한 지지오 저항 구간은 99705.62-108316.90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구간 중에서 현재 가격이 위치한 104463.99-106133.74 구간에서 지지 받는지에 따라서 파동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104463.99-106133.74 구간이 99705.62-108316.90 구간의 중간 구간, 평균값에 해당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 267.07-311.48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TSLA 1D 차트)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내에서 지지 받는 모습이 확인되면 매수 시기에 해당됩니다.
다만, 강한 하락이 발생하게 되면, 172.6-234.59 부근에서 강한 매수세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기적인 투자에 있어서 중요한 매수 시기에 해당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변동성 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OBV Low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OBV High나 HA-High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OBV Low 이상 상승하는데 실패하면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대로 추가 하락으로 이어진다면,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이번 변동성 기간은 6월 6일경(6월 5일-7일)부터 시작하여 최대 6월 13일경(6월 12일-14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보조지표 OBV가 Low Line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다시 한번 더 큰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때, 99705.62 부근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면서 다시 추세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본 거래 전략은 HA-Low지표에서 매수하고 HA-High 지표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이 기본 원칙을 적용하면 102049.52 이상 상승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일 때 매수하고, 104938.72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이 기본 원칙이 정상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OBV가 상승세이고 StochRSI 지표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StochRSI 지표는 가능하면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여야 좋습니다.
다만, HA-Low 지표에서 저항받고 하락한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HA-High 지표에서 지지받고 상승한다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테스트를 할 때 OBV가 하락세를 보이고 StochRSI 지표가 하락하는 모습(가능하면, 과매수 구간에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면, 계단식 하락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HA-Low나 HA-High 지표를 만나고 나서 발생하는 계단식 상승세의 끝은 하락이고, 계단식 하락세의 끝은 상승입니다.
그러므로,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현물 거래에서 중요한 것은 코인(토큰) 갯수를 얼마나 늘리느냐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현금 수익을 얻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코인 시장은 소수점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데 유용한 투자 시장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기본 거래 전략에 맞게 거래를 진행하면서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갈 수 있습니다.
즉, 매수 단가별 매수 금액만큼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도하여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는 남겨두는 것 입니다.
이때, 주의해야 하는 것은 거래 수수료 만큼 매수 금액에 포함시켜 매도해야 한다는 것 입니다.
현금 수익보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나가는 방식을 취하기 좋은 코인은 BTC나 ETH 입니다.
추가적으로 BNB도 가능합니다.
나머지 알트코인들은 가능하면 현금 수익을 얻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자신이 생각하기에 중장기적으로 코인(토큰) 갯수를 늘리고 싶은 코인(토큰)이 있다면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늘려 나가는 방식으로 코인(토큰)을 늘려나가면 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62.39-63.98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 필요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CSCO 12M 차트)
CSCO 차트에서 가장 중요한 구간은 42.85 부근입니다.
따라서, 42.85 부근으로 하락하여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강한 매수세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
(1M 차트)
HA-High 지표에서 상승하면서 계단식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락의 시작은 HA-High 지표에서 저항 받는 모습을 보일 때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53.38-58.42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42.85 부근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락이 진행된다면,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HA-Low 지표 부근에서 지지 받는 모습을 보인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1D 차트)
가격이 어디까지 상승할 것인가는 사실상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피보나치 비율로 예상할 뿐 입니다.
피보나치 0.618(62.96) 이상 상승하였기 때문에 다음 목표는 1(94.26) 부근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우리는 고점을 가리키는 지표를 참고하여 대응할 시점을 찾고 그에 따라 세부 거래 전략을 수정해 갈 수 있습니다.
고점을 가리키는 지표로는 DOM(60), StochRSI 80, HA-High 지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기본 거래 전략에 활용되는 지표는 HA-High 지표입니다.
기본 거래 전략은 HA-Low 지표 부근에서 매수하여 HA-High 지표 부근에서 매도하는 것입니다.
다만, HA-High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HA-Low 지표에서 저항 받고 하락한다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추세 관점에 활용되는 1D, 1W, 1M 차트의 M-Signal 지표의 배열 상태와 가격의 위치에 따라 추세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62.39-63.98 구간 이상에서 가격을 유지한다면 상승세를 이어잘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58.42 부근이나 1M 차트의 M-Signal 지표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OBV 지표가 High Line 이하로 하락하거나 Low Line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때, 어느 지점에서 지지 테스트를 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신고가(ATH)를 갱신하는 종목은 실시간으로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고점을 가리키는 지표들을 사용함으로서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백금 상방 관점 Platinum view 4hour candle지난 5/13 실버 상승관점을 포스트 했었습니다.
당시 백금도 관점 올리고 거래할까하다 좀 더 기다려봐야겠다 생각했는데,
기다리던 움직임이 나온 듯 하여 포스트합니다.
먼저 제반상황을 보겠습니다.
백금은 산업적으로 보았을 때 디젤엔진의 촉매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디젤엔진 수요에 영향을 받습니다.
(휘발유 엔진에도 현재는 사용)
그리고 친환경 차량(수소 연료전지 촉매)에 쓰일 수 있습니다.
휘발유 엔진 촉매로 쓰이는 팔라듐과 종종 비교되는데, 팔라듐은 수소 연료전지에는 쓰이지 않는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수소 연료전지에는 지금 당장 많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기대감을 유지시킬 수는 있음.)
둘 다 화학산업에도 사용됩니다.
실버와 비교하자면, 실버는 안전자산 성격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백금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생각합니다.
산업 환경과 매크로에 영향 받는 정도가 크고, 기본적인 원자재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기본적인 원자재는 달러와 반대로 가는 경향이 어느정도 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이 강력하다고 생각하는데, 달러의 영향으로 에너지와 금속 원자재들이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듯 합니다.
물론 상품에 따라 시점과 상승폭에 차이가 있을 텐데, 금 은 백금 순으로 방향성이 늦게 정해진 듯한 느낌입니다.
지난 5/13 포스트한 달러인덱스 글에서와 같이 아직까지 달러 하방 전망을 갖고있기에,
달러가 떨어지면서 원자재에는 그에 따른 상방압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식품 원자재는 아직까진 온전한 상방을 보고있진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백금 주봉 정도의 큰 프레임 차트를 보면 주요 지지선을 상방돌파한 것으로 보이기에,
제반상황과 합쳐 보았을 때 추후 몇 개월(짧으면 1, 2개월 길면 6개월) 정도는 상승 추세를 지속할 확률이 높고,
그에 맞춰 좀 더 작은 프레임 롱 거래를 반복하기 좋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