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15 00:10 아직까지는 저점 갱신을 열어두고 매매를 해야될 것 같습니다. 어제 하루는 거의 1분봉 단타를 위주로하여 30분 이상 포지션 유지를 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굉장히 저배로 어제 같은 구간은 번다기 보다는 잃지 않고 연습한다는 마인드로 매매에 임했으며, 이제는 슬슬 저배율로 중기 포지션을 잡으려고 합니다. 원하는 타겟 포인트는 52.4k 부근이며, 51.7k 부터는 각 분봉 1,5,15 프레임 하락다이버전스마다 아주 저배로 차곡 차곡 모을예정이며, 53.5k 상방 이탈 시 추가 하락 숏관점은 버리고 다시 관망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번 숏 스탑로스 53.5k 가 나가지 않는다면 지속적으로 하락우위, 즉...
2021-05-13 00:57 우선 지난 매매에 대해서 복기를 해보겠습니다. 그래야 설명이 쉬워질 것 같아서... 우선 5/11일자 분석에는 55k대에서 지속해서 반등을 예상하고 롱을 잡았었습니다. 1차로 55.7k에 롱을 진입 후 55.3k 스탑로스가 나갔고, 그 뒤에 저점 스탑을 걸고 재차 반등시에 54.9k에 롱을 진입했습니다. 그 때 말했던게 저점을 다시 갱신하면 롱 관점을 포기하고 쉰다고 했었고, 롱이 나오게 된다면 4시간봉 20이평 57~58k대에는 1차 저항이 나오게 될테고 거기를 뚫지 못하면 롱관점을 포기하려고 했습니다. 우선 5/12일날은 57.3k대에서 롱을 전량 익절하면서 동시에 같은 자리에서 롱물량 보다는 적게...
2021-05-11 20:29 분석 프레임은 일봉 및 시간봉 프레임으로 꽤 큰 프레임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전에 계속해서 54200 롱을 홀딩하고 있었으나 59k대에서 한순간에 내려왔습니다. 53k대에 크게 터진 거래량으로 한동안 고민을 조금 했습니다. 거래량이 크게 터졌다는 것은 조정이 그 것으로 조정이 끝난 거나 거래량이 줄어들 때 까지 조금 더 조정을 주겠다는 신호입니다. 그래서 추가적인 숏 가능성을 열어두고 53k 찍고 반등에 올라온 55k대에서 기존 롱물량을 정리하였습니다. 그후 계속해서 중요 다이버자리마다 숏을 진입하였으나 부분 익절 후 계속 되는 스탑로스로 인해서 롱힘이 아직 강하게 살아있다는 느낌을...
2021-05-07 21:57 어제는 이 구간에서는 파동분석이 크게 필요 없다고 말했었다. 아니 나도 파동분석과 rsi 거래량 등을 이용해 매매를 하고 있지만, 어디서부터 누구 때문에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정확히? 파동분석을 하게된다면 진행방향의 tp를 구할 수 있다고 생각들하지만, 내가 쓰는 매매법에서는 조금 많이 잘 못 된거아닌가 싶다. 왜냐하면, 가령 상승장이라 하면 파동을 공부하시는 분들이 1.618 및 2.618 지점등을 임펄스 파동을 카운팅하며 계산하려고 하는 것을 많이 본다. (물론 나도 하지만, 파동을 절대적으로 기본 베이스 분석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15분봉 프레임 1시간봉 프레임을 통해 많이들 분석을 하시는데,...
2021-05-06 23:46 Aqua_D 금일자 사실 파동적 분석이 필요없는 곳, 또한 파동적으로 분석할 줄 알지만 신뢰하지 않는 구간. 분석의 스킬적인 부분보다는 리스크관리 베이스 매매를 해야하는 것이 원웨이장에서의 유일한 대처법.. 금일은 분석이라기보다는 기록으로 남겨둘 예정 5,15분봉 작은 스케일의 분석으로 잦은 단타보다는 최근 47K 저점을 기준으로 최소한 ABC 상승은 나와야 하지만 말이 최소한 ABC이지, 적어도 전고점을 뚫어야 하는 무빙이 나와야한다. 물론 현구간에서 롱은 절대적으로 위험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저배율로 접근한다면 53K는 스탑을 걸어야하며, 최근 단타는 마무리짓고 54.2K에서 어제 오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