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2]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나스닥 분석입니다.
현재 하락 페레럴 채널을 타며 아래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어제는 저점이었던 10800지점을 갱신하면서 새로운 저점 10710을 형성햐였고, 저점갱신을 했으나 제대로 된 반등 없이 이 자리 근처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10월초 10830부터 11660까지 올라간 파동에 비해 더 강한 추세 파동으로 보여지며, 현재 구간에서 아래로 더 내려갈 경우, 당분간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
현재 구간에서 반등이 나와, 페레럴 채널 상단선을 돌파해주면 당분간은 상승할 것으로 예측할 것 같습니다.
매물대 저항은 11250정도에 위치해있으며, 저 구간까지 돌파해준다면 상승에 더욱 힘을 실어줄 것 같습니다.
결론은 지금 구간에서 변동을 잘 체크해야한다는건데요, 오늘과 내일 마침 중요한 이벤트가 있습니다.
나스닥이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는 미국 ppi(생산자물가지수)와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인데요, 이는 곧 금리관련이슈와 직결되는 발표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시장에 큰 변동성을 가져다 줍니다.
변동이 크기 때문에 먹는 것도 많이 먹을 수 있지만, 그만큼 잃는 것도 크게 잃을 수 있습니다.
휩쏘(페이크) 무빙이 많은 이런 이벤트는 관망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매매를 해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비중/배율을 평소보다 낮게 조절하여 큰 변동성에서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합시다.
Analysis
[On-chain 글래스노드 주간 뉴스레터] 고난의 시험대에 오른 지금..안녕하세요 :) Yonsei_dent 입니다.
Glassnode Insights 플랫폼의 주간 뉴스레터를 번역 / 분석해보는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이번 주도 크립토 시장의 글로벌 위축세가 강하게 이어지고 있는데요, 특히 단기 투자자들의 경우 BTC 20K 지지선이 무너질까 노심초사하는 상황입니다. 오늘 다룰 36주차 내용은 “STH”들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습니다.
서론에서 간단히 결론을 언급하고 본론으로 이어가겠습니다.
주 내용은 여러 지표들을 통해 세세하게 분석하여 양이 상당히 많음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
0. 서론 & 간단 정리
지속적인 달러 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DXY 지수는 20년 만에 110.27로 최고치를 달성했고, 지난 한 주 간 모든 자산 시장의 유동성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유럽 (유로존)의 경우 무역수지 적자, 에너지 부족에 대한 우려 등으로 유로화가 USD 패리티 아래로 더욱더 추락하면서 시장의 압박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달러 강세로 인한 거의 대다수의 국가 통화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주식, 채권 및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압력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경우, 단기적 시장 관점에서는 여전히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 거시경제와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 전망으로 본다면 오히려 일관성이 있으며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적음)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1) 거시적 관점에서 매집(accumulation) 추세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2) 단기적, 국소적으로는 코인 분산 (Distribution)과 시장 참여자들의 행동 심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다룰 예정입니다. 또한 HODLer, STH 집단을 포함한 다양한 BTC 보유군 별로 현 상황을 분석하여 크립토 시장의 압력이 각각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6주자 결론
1) 여전히 약세장이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매집세는 건재하다.
2) STH 들이 제일 스트레스 받는 시기일 것이다.
3) 20K 지지/저항 선이 무너지느냐, 딛고 상승하냐는 현재 STH 집단에 달려있다.
--------------------------------------------------------------
--------------------------------------------------------------
I. Local Distribution (국지적 분배, 분산 현황)
먼저 현재 가격대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Accumulation / Distribution 정도를 평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차트는 BTC : ATC 를 나타내고 있는데요, ATC는 축적 (Accumulation) 추세 지표를 의미합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의 소비 행동패턴을 함고할 수 있으며, Price action에 대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지난 12개월 동안, ATC를 통해 4단계의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는데요,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1단계(매집 단계 : Accumulation) : 2021년 11월에 신고점 (ATH) 가 등장한 후, ATC 지표는 최고 수준 (1.0)을 보였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ATH 갱신으로 인해 한껏 부풀어 오른 심리와 더불어,일시적 하락 (dip)이 보일 때마다 코인을 계속하여 매집하였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 2단계(분산 단계 : Distribution) : 하지만 결국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가격은 하락했으며, 이로 인해 (1)단계에서 코인 자산을 축적했던 투자자들의 피해가 늘어났습니다. 이에 따라, 정말 하락장 (bearish market) 이 되었다는 현실을 투자자들이 체감하면서 코인 분산이 이어졌고, 결국 이전의 기대 심리는 공포 및 매도 심리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3단계(매집 단계 : Accumulation) : LUNA 사태가 이 시기에 발생하면서, 산업 전반에 걸친 부채 (레버리지)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습니다. 이는 결국 광범위한 탈-부채화 (디레버리징) 추세로 어졌습니다. 이미 (2) 단계에서 하락장으로 약해진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30K, 20K 두 Capitulation (항복 매도) 구간이 형성되었습니다. 즉, 투자자들이 버티지 못하고 매도하면서 새로운 바닥이 형성된 것입니다. 이에 시장 참여자들은 해당 구간을 매집 기회로 보아 코인 축적에 나섰고, 이는 ATC가 1.0의 진한 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 4단계(분산 단계 : Distribution) : 몇 달 간의 매집세가 이어진 후 시장은 $24K를 회복하며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이전 두 뉴스레터에서 언급한 내용대로, 시장 참여자들은 이를 탈출 기회인 “출구 유동성” 으로 생각하며 분산, 매도를 이어가는 상황입니다.
자, 이번엔 앞서 말씀드린 ATC (매집 추세가 얼마나 되는가)를 코호트 분석을 통해 코인 보유 크기 (지갑) 별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일 주목하셔야 할 부분은, 고래 (10K - 1만 개 이상 보유자) 집단인데요, 현재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그나마 존재하는 유동성 (출구 유동성)을 이용하여, 최대 24.5K 범위 안에서 코인을 공격적으로 분산 (distribution)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코인을 제일 많이 가진 집단인 고래가 코인을 분배하고 있으니 공급은 초과되어 계속 유입되는 중이고, 이미 줄어든 수요는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방금 고래 집단에 대해 이야기 했으니, 한층 더 자세히 고래들을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지표는 “Whale - Exchange Net Position Change (1K 이상 BTC 보유자)” 로, 거래소로 유입 / 유출 되는 코인 만을 고려하여 고래들의 지갑 코인 잔고 변화 (30일 당)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값 ( 🟢) 은 고래 집단의 코인 지갑 잔고 증가 (거래소에서 지갑으로 유입- 보관)를 나타냅니다.
● 값 ( 🔴 ) 은 반대로 코인 지갑 잔고 감소 (지갑에서 거래소로 인출)를 나타냅니다.
보시면, BTC 가격이 루나 사태 때 17.6K 까지 매도세가 이어져 하락 되었다가 급격히 역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최근 형성된 단기 고점 부분을 말하는 것인데, 해당 24K 고점 부분에서 지표 값은 (-)로 전환되는 것을 넘어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24K 고점 형성 시, 10K 이상의 고래 코인 보유자들은 루나 사태 폭락 이후 거래소로 코인을 이동시켜 매도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24K 이후 하락세는 10k+이상 코인 보유 집단 (고래) 에 의해 나타났다는 점을 의미하며 위 코호트 분석과도 경향이 일치합니다.
--------------------------------------------------------------
II. Macro Accumulation : 크게 보면, 매집은 계속 이어지고 있답니다
자 이제 거시적 관점에서 생각해봅시다. 수 년 동안 Accumulation / Distribution 수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볼 텐데요, BTC의 장기적 추세 변화를 거시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Liveliness (활성도) 지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veliness 지표는 전체 네트워크 활동을 살펴볼 때 사용되며 all-time CDD (Coin Day Destruction) 과 all-time CDC (Coin Day Creation)를 고려하여 나타내며 장기 보유자들의 행동을 통해 추세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Liveliness =
Liveliness 지표의 추세와 기울기를 토대로, 시장의 현 심리 상태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락 추세인 경우는 HODLing (속칭 ‘존버’), 상승 추세인 경우는 코인 소비 (매도)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현재 강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2019 지표 고점으로 형성된 지지선을 뚫고 내려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CDD 보다 CDC가 우세하다는 것으로, 코인 소비 보다는 코인 축적 (accumulation)이, 매도보다는 HODL 경향이 대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자 이번엔 코인 시장의 “공급” 측면을 살펴봅시다.
Liveliness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HODLer Net Position Change 지표를 사용하곤 하는데요, HODLer (존버족 : 장기 보유자) 들에 의한 공급량이 월마다 어떻게 변하는지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2020년 11월부터 2021년 4월 까지의 상승장으로 인해 HODLer 들이 코인을 매도하려는 경향이 생겨 코인 분배 (Distribution) 가 활발히 일어났습니다. 코인 분배량은 2021년 1월 경 150K/월 정도로 큰 값을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현재는 2020년 3월 이후로 가장 큰 값인 40K/월 수준의 코인량 매집 추세를 보이며, HODLer의 매집 (Accumulation) 정도가 최고 수준에 달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즉, 현재 약세장 및 보합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는 상승에 대한 확신 (conviction) 정도가 오히려 더욱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앞선 두 지표가 보이는 경향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 한번 더 평가해보겠습니다.
위 차트는 HODLer 집단의 Cumulative position change 지표인데요, 순 공급량 변화 (net supply change)를 토대로 HODLer 집단의 유입/유출량을 알 수 있습니다.
2020~2021년에 나타났던 강세장의 시작점인 2020년 11월 이후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Phase 1 (빨간 선- 하락) : 2020년 1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HODLer가 공격적으로 코인을 소비하고 이익 실현을 하면서 몇 개월 만에 -394K에 달하는 BTC 유출 (outflow)이 발생했습니다.
● Phase 2 (파란 선 - 상승) : 2단계: 2021년 5월부터 현재까지 +394K 에 달하는 수량의 BTC 유입 (inflow)이 관찰되어 이전 분산 (distribution)에서 소비된 코인량이 충분히 재매집 됨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말 시작된 강세장에 힘입어 나타났던 Distribution 기간은, 현재 그 두배에 이르는 시간 동안 HODLer 집단 등이 꾸준히 매집을 시도함으로써 균형을 잡은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즉, 비트코인에서 단기 거래로 수익을 보려했던 일시적 집단들은 이제 거의 사라지고 장기 투자자가 남은 상태로의 전환 : Exuverance Detox 기간을 거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번에는 LTH (장기보유자) 집단의 공급량을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차트의 노란 선이 해당 공급량을 의미하는데, 최근 단기 저점에 비해 250K 만큼의 BTC 공급량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전고점과 30K 정도로 격차를 좁힌 것인데요,
LTH-STH 여부를 결정하는 코인 수명이 155일 인 것을 감안하면, 약 5개월 전이니 2022년 4월 초 매수한 코인이겠군요.
2022년 4월은 46K 근처까지 BTC가 상승했을 때인데, 이전 차트들에서도 보듯 Distribution이 활발히 이루어질 때였으며 루나 폭락 사태가 일어나기 직전이었습니다.
즉, 루나 폭락이 있던 2022년 5월이 지나야, 폭락한 가격을 보고 매집 (accumulation)이 시작 되었기 때문에, 2022년 5월 중순 즈음 매수된 코인이 155일이 되는 10월 중순까지는 LTH 공급량이 정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엔 보다 포괄적으로 공급 수준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LTH 공급량을 누적 어드레스 수 (Number of Accumulation Addresses) & 비유동성 공급량과 비교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비유동성 공급은 소비 이력이 거의 없거나 소비한 적이 없는 지갑에 보관된 코인이 얼마나 되느냐 (즉, 거래되지 않고 아주 장기간 보관된 코인) 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누적 주소 수는 2회 이상 코인을 수령했지만 반대로 소비는 한 적이 없는, 받기만 한 주소 수를 나타냅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155일을 기준으로 (STH : LTH 구분시점) 음영이 다소 달리 표현되어 있는데, 해당 분기점 이후부터 비유동성 공급량 / 누적 주소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더욱이 두 값 모두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군요.
이렇게 되면 장기 보유되는 코인이 많아진다는 뜻이니, LTH 공급량이 앞으로 몇 개월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란 가정에 무게가 실립니다. 앞에서 Liveliness 지표로 잠시 언급한 HODLer 집단의 매집 추세와 합류된다면 그 정도는 더욱 커질 것입니다.
결국, 끝없는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HODLer 집단은 Conviction(확신) 경향이 아주 강합니다.
LTH supply 지표, Livelinee, HODLer net 지표 등에서 확실한 반전 변화가 나타나지만 않는다면, BTC의 장기 전망은 건설적이라 할 수 있겠군요.
그렇다면 단기 보유자 집단 (STH) 은 어떨까요? 최근 약세장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단기 투자자들 때문일까요?
--------------------------------------------------------------
III. Short-Term Stress Test : 단기 투자자들이 얼마나 견디는지, 시장은 테스트 중
위에서 보이는 Entity-Adjusted URPD (Unspent Realized Price Distribution) 지표는 단기보유자 (STH : 빨간색) 및 장기 보유자 (LTH : 파란색) 으로 나누어 공급이 얼마나 분배되고 있는 지 알려줍니다.
보면 붉은색 (STH)들에 의한 공급량이 현재 가격대인 10K 주위에 극단적으로 몰려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20K 아래에서 보합 국면을 보임에 따라 STH 코인 공급량 중 대다수는 사실 이미 손실을 입은 상태 (미실현 손실) 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STH 집단, 경제적으로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겠군요.
위 차트의 노란 선은 Percent Supply in Profit 지표를 가리킵니다. 해당 지표는 공급되는 코인 수량 중 “이익”이 실현된 비율을 나타내는데, % 값이 줄어들 수록 손해 보고 시장에 공급된 코인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우측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두 지점을 비교해보면, BTC 가 24K → 19.6K 로 급감하자 64% → 51%로 값이 따라 급감하면서 약 2.55M 개의 코인 (13.3% 에 해당) 이 현재 가격대에서 손해를 본 상태로 거래됨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차트는 전체 공급량 중 손실권에 해당하는 코인의 수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24.4K 에서 하락세가 나타나자, 1.53M 에 달하는 STH 집단 보유 코인들이 손익분기점 밑으로 위치하게 된 상태입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2.55M 에 해당하는 코인 중 60%에 달하는 15.3M 만큼이 STH 집단에서 공급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STH 집단의 공급량은 사실 순환 공급량 전체에서 보면 고작 16% 만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토록 많은 비율이 Loss로 나타난다는 것은, 현재 단기적 코인 하락세는 STH 집단에 의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STH 집단의 손실권 코인 비율을 살펴봅시다. 최근 24K 단기 고점에서의 하락으로 인해, 총 STH 공급량 중 절반 가까이가 며칠만에 손실을 입게 되었습니다.
현재 96% 까지 상승한 상태인데 이는, STH 집단이 매도하는 코인 (공급하는 코인) 은 대부분 손해를 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실제로 단기 투자자들이 99%에 달하는, 거의 전부를 손해보고 매도하던 시기가 있었는데 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해당 99% 구간이 나타날 때 단기 바닥을 형성했다는 점입니다.
Capitulation (항복) 구간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해당 구간에서 STH 중 누군가가 매도하면 또 다른 STH가 이를 매수하면서 바닥이 유지되게 되기 때문입니다.
HODLer 들이야 장기적인 관점에서 확신에 차있으니 계속 매집을 이어가는 중이고, 결국 현재 20K 저항선을 유지하느냐 마느냐는 STH 집단이 어떻게 행동 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최근 나타나는 일일 거래량 상승이나 이탈은 세력들이 좋은 진입 시점을 재는 중인 것을 고려하면, 진정한 바닥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IV. Plunge Protection : 혹시 모를 추가 하락을 대비하라
최근의 Price action이 다소 미적지근함을 감안할 때 Capitulation 이 다시 등장할 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결과를 대비하는 것이 현명하며, 추가 가격 하락이 발생할 경우 다음 지표들을 참고하면 대응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균형 가격 (Balanced Price ) 지표 는 BTC의 공정 가치 (Fair value) 를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Realized Price와 Transfer Price (CDD의 누적 가치)의 차이를 계산하여 생성됩니다.
Difficulty Regression Price 지표는 비트코인 채굴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는 지표로, 코인의 생산비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최근 Capitulation 으로 인한 단기 최저점에서 두 지표는 지지 역할을 했으며, 현재 두 지표가 더욱 가깝게 모이는 것으로 볼 때,
추후 하락이 더 일어나더라도 17K 근방에서 지지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
결론
가격이 저점 부근에서 계속 머무르는 이유는 현재 글로벌 약세장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락장 가운데 일시적 상승이 발생할 때에는, 이를 틈타 고래들이 출구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격적인 분산 (distribution) 경향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수 년의 거시적 관점으로 보면, 매집세는 여전히 건재하며 HODLer 및 장기 보유자는 현재 경제 상황에 동요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HODLer의 신념이 확고하자, 시장의 스트레스는 가장 약한 집단인 STH로 옮겨갔습니다. 결국 가장 최근의 가격 하락으로 인해 대다수의 STH 들은 손실을 입고 코인을 매도하여야 했습니다. 즉, 지금 20K선을 유지하느냐 마느냐는 STH 집단에 달려있습니다!
현재 시험대에 오른 STH에게 주어진 길은 두 갈래 뿐입니다. 못 견디고 무너지느냐, 아니면 시련을 이겨내고 강해지느냐!
[09/06]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1시간봉 기준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은 각각 형성한 패턴에서 이탈하는 모습은 나와주지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 머지 이슈로 인해 슬슬 변동폭이 커지기 시작하는데요,
요즘 움직임에서 대체적으로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을 선행하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같은 상승라인에서 상승폭(매수세)의 차이도 확연하게 드러났었고, 비트코인의 시장지배력이 조금 떨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일단 차트적으로 비트코인은 오늘 슈팅 이후 급격하게 하락하며 상승분을 모두 뱉어내었고, 현재 수렴 하단선 가까이 와 있는 모습입니다.
수렴의 규모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하단선을 이탈할 경우 큰 추가하락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상단선 돌파시 큰 추가상승이 동반될 수 있음)
이더리움은 머지 이슈의 영향으로 계속 상승세를 타고 있긴합니다.
세 번째 올려드린 그림은 이더리움 5분봉인데, 단기 상승추세라인으로 체크할 수 있겠습니다.
저 라인을 이탈하기 전에는 이더리움 숏 포지션은 조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오늘 나스닥 또한 개장하기 때문에, 지금부터 시작해서 변동폭이 클 것 같습니다.
절대 뇌동매매하지 않도록 자기만의 매매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을 고수합시다!!
에이다(ada) 더 상승 가능?에이다는 현재 8월 29일 화살표 모양으로 체크해놓은 부근에서 2020년부터 이어진 상승추세선 지지받고 상승중이며,
현재 1차 저항부근 0.5050 ~ 0.5100 부근 저항에 맞고 떨어짐 비트코인이 하락하는 와중에 잘 버티고 있으며 9월 22일 하드포크 호재가 있습니다.
1차 저항은 0.5050 ~ 0.5100 부근 2차 저항은 0.5350 ~ 0.5500 부근에 피보나치와 저항선에 맞고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중요저항 부근은
일봉상 저항구간이기도 한 0.54부근이라고 생각됩니다. 0.55를 뚫어준다면 0.58까지도 열려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Joescrypto🐬] 비트코인 주봉으로 보는 다음 주 거래 전략 + 증시 이슈와 결합하여 체크
🚩 안녕하세요, 투자자이자 차트 교육을 진행하는 JOE입니다. 🐬
금주 주봉과 더불어, 다음 주 주봉에 대한 예상 시나리오를 잡아보고
거기에 맞는 대응 방법이 무엇일까? 를 찾아보는 분석글 입니다.
🚩🚩🚩🚩🚩🚩🚩🚩🚩🚩🚩🚩
그 전에 먼저,
메인 분석 시점인 4시간 봉과 함께
주봉과 일봉에 대한 차트를 같이 첨부합니다.
주봉 -> 일봉 -> 4시간봉의 흐름,
그리고 주봉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4시간 -> 일봉-> 주봉 의 흐름을 '동시에 생각하시면서 보시면 좋습니다.'
🚩 비트코인 주봉
🚩 비트코인 일봉
✅ 1. 상승 시나리오
: 양봉 등장, 큰 저항 23500불 터치 후 조정
: 종가상 23500을 넘는다(상승시나리오)
-> 일봉에서 종가 고가 갱신 -> 4시간 봉에서 피보나치 겹치는 주요 저항대 확인
✅ 2. 애매한 시나리오(양 포지션 둘다 망하는 경우)
: 위 아래꼬리가 달린 도지캔들 등장: 23500-21800 가격 구간 약 10% 차이
: 휩소로 인해 고배율 거래자 청산 가능성 계산 (5배 - 약 18-19%, 10배 - 약 8.5-9%, 20배 - 약4.5%)
: 그 다음주 주봉 예상이 힘들어짐
✅ 3. 하락 시나리오
: 주봉에서 양봉의 시가인 21000불 밑으로 떨어진다면
: 일봉 상 장대양봉을 하락장악하며 하락장악형 캔들 출현(마감 시)
: 4시간봉 상 0.382 최후 반등구간
: 이후 하락할 가능성 높아짐
: 추가로 하락할 경우, 5배율 청산구간 전저점 부근
✅ 기타 사항 체크
: CME 선물 갭 28000불, 35600불
: 주말-월요일 갭 뜨는지 체크
[07/22]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Beast Trading
어제 늦은 밤에 비트코인이 갑자기 급등하며 다시 23k를 회복했습니다.
현재 비트는 폴링웻지 패턴을 그리며, 상승이 나왔고, 현재는 라이징 웻지 패턴을 그리고 있습니다.
라이징웻지 패턴 이후에는 하락이 나왔던적이 많습니다. 이에 새롭게 롱 포지션 진입하시는 분들은 조심하셔야겠습니다!
현재 거래량 측면에서 분석해보자면, 거래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곧 한쪽으로 튈 가능성이 있는데,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폴링웻지 패턴이 출현하는(하락 - 리딩 다이아고날),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라이징웻지 패턴이 출현하는(하락 - 2파 후 3파하락)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그 밖의 일봉 스토캐스틱, 4시간 스토캐스틱은 고점에서 하방으로 고개를 꺾은 상황이니 롱 포지션 진입을 보고 계신 분들은 섣불리 롱 포지션을 잡지말고, 아래에 걸려있는 지지선에서 나오는 반응을 보고 진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07/21] BT 세현 비트코인 시황
#오전시황 #Beast Trading
비트가 어제 밤에 24.2k까지 상승 후, 테슬라 실적 발표에서 테슬라가 9억달러 가량(테슬라 비트코인 보유량의 약 75%) BTC을 매도했다는 기사에 강한 하락이 나왔습니다.
여전히 18.9k부터 엘리엇파동 기반 카운팅으로 분석하기에는 확률 높은 카운팅이 보이지 않습니다.
추세선과 지지/저항 매물대 위주로 대응합시다!
먼저 파란선입니다. 48k부터 출발한 하락추세선이자, 현재는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18일날 이 추세선을 상방이탈한 후, 살짝 내려오며 리테스트(다시 내려와서 지지선으로 작용하는지 확인)까지 마친 상황입니다.
두 번째로 빨간색 동그라미 고점들을 이어서 형성된 채널인데요, 위쪽 상단선은 상승추세선이자, 저항선으로 작용할 것 같고, 아래에 있는 하단선은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중단선은 지지/저항 모두 적용가능
세 번째로 매물대가 밀집되어있는 구간인데요, 21.7k에 매물대지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봉 스토캐스틱 ( 533 )이 다시 한 번 고점에서 아래로 고개를 꺾었습니다. 이는 원래는 하락을 암시하는 징조인데, 상승세가 워낙 강하다보니 선들과 함께 체크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며칠 째 계속 시황을 선 위주로 올려드리는데, 급격한 상승 이후 방향 잡기가 어려워 대응 위주로 매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톡방에서 계속 중요자리 실시간 대응 진행하겠습니다!
[Joescrypto🐬] 비트코인 4시간 흐름 분석
🚩 안녕하세요, 투자자이자 차트 교육을 진행하는 JOE입니다. 🐬
지난 분석 글 이후, 비트코인이 하락 채널을 돌파하며 알트를 포함한 반등장세가 연출되었습니다.
주봉 마감과 동시에 양봉으로 치솟는 모습입니다.
큰 방향성에 대한 관점은 변함 없으나, 계속 변화하는 과정에 따라 세부적인 관점을 분석했습니다.
물론, 일개 개인의 의견이기에 본인에 맞게끔 취사선택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하락 추세 돌파로 인한 상승세
크게 설명할 필요가 없는 대목입니다.
파란색 장기 하락채널을 돌파하며 새로운 국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상승으로의 완전한 전환이 아니라, 하락추세 진행 중 반등장 전환입니다.
여전히 비트코인의 가격이 하락추세인 점은 변함없습니다.
✅ 피보나치 상 지지, 저항 값 찾아보기
저는 차트를 분석할 때 주로 피보나치를 많이 활용합니다.
피보나치를 봤을 때, 흰색 fib는 가격 흐름 예상도를 표기한 것이며 주황색 fib는 이전 전고점 돌파 시점으로 고점을 잡았습니다.
내부 비율들이 각각 지지/저항의 역할을 해 주는 것으로 봤을 때, 현재 표기한 피보나치대로 가고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현재는 흰색 피보나치의 0.382구간에서 저항을 받는 모습입니다.
이후의 지지 구간은 흰색 fib의 0.5구간이자 이전 전고점인 약 22500불 근처가 되겠으나,
간단한 지지/저항 정도는 쉽게 휩소로 무시해버리는 비트코인의 특성 상 보수적으로 한 단계 아래쪽에 지지구간을 표시했습니다.
흰색 fib의 0.618과 주황색 fib의 0.618이 겹치는 구간으로, 다시금 돌아 내려와 돌파했던 하락추세를 리테스트 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 파동 상 3번의 상승, 이후 조정 국면이 중요하다
저는 엘리엇 파동을 크게 신뢰하지는 않는 편입니다.
그러나, 3번 상승과 3번 하락이라는 3이라는 숫자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신뢰를 두고 있습니다.
이번 상승에서 비트코인이 다소 위아래 휩소를 치며 올라가긴 했지만, 결국 3번째 상승 이후 꺾인 것은 차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가격 조정, 혹은 기간 조정이 들어갈텐데,
최근 급하게 가격이 올라가면서 발생했던 여러 보조지표의 과열이나 가격 상승에 대한 피로감을 어느정도 해소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네요.
이번 분석은 주, 일봉은 잠시 생략하였으며,
상승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부적인 내용과 현황을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작성된 분석글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던 대로 큰 관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전 아이디어와 동일하며, 끝이 안보이는 휩소가 끝난다면 시원한 변동성 장세를 기대해봅니다.
오늘도 제 분석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와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2만퍼센트 오른 먹방계의 대가 찰스 ADA코인 (바닥은 존재 하지 않는다)ADA코인은 17년도 당시 부터 시가총액 상위를 유지했던 코인이며, 당시 버블이 끝난후 원화 2000원부터 30원 부근까지
굉장히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폭락 했습니다. 세계 여행을 다니며 음식 사진을 인증하던 찰스 호킨스에 배신감을 느낀 홀더들은 -99퍼센트의 손실을 기록한 채 시장을 떠나기 시작했고, 장 기간 매집국면이 시작되어 21년 버블장에 저점대비 2만 퍼센트를 기록하는 메이저 코인중에서 월등한 성적을 내게 됩니다.
코인 시장 특성상 상승장과 하락장에 온도차는 극심하고 잔인하기 때문에
하락장에서는 바닥이 존재한다는 생각 초자 하면 안되는 것 같습니다.
경험과 실력으로 무장한 숙련된 트레이더만이 살아 남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이고 먼 미래에 상승장이 온다면 생존 자체만으로도 큰 기회라는 생각이 듭니다.
<두 가지 방향성 존재>
1. 현 구간 4시간 캔들상 4차례 바닥을 지지하고 있고 타 메이저 코인 또한 강한 지지라인 구간입니다.
다시 말해 현 구간을 이번주 지지가 나온다면 다음주 부터 본격적인 반등장이 연출되리라 생각이 들며
2. 현 구간 지지라인이 뚫릴 경우 하단 -40퍼센트 구간이 추가로 열리게 됩니다.
몇 거래일 이내로 큰 트렌드가 형성 되리라 생각이 들며 현명한 대응 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매수 매도에 대한 추천글이 아니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 또한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좋아요와 팔로우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BTC]BTCUSDT 관점공유합니다.안녕하세요
우리는 차트 분석을 전문적으로 하는 팀입니다
항상 매매에 도움이 되실 수 있도록 차트를 분석하여 제공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많은 매매법들이 존재하고 또 그에 수반되는 좋은 기술들이 많지만 추세선은 정말 강력하다고 자신 있게 말씀드립니다.
관점을 잘 읽어 보시고 선을 눈에 익히시면 선 하나하나가 적응이 될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
차트 분석 내용-
모두들 저희 팀과 같이 방향을 4군데로 보실겁니다.
하락하는 흰색 추세선이 저항을 강하게 주고 있는 모습이지만 노란색 라인에서 지지해 주고 있습니다.
캔들은 빨간색 상승추세선을 하락돌파하고 힘겹게 올리고 있지만 다시 빨간색 상승추세선에서 저항을 받고 내릴것으로 우리팀은 예측하고 있다.오렌지 색
비트코인 금주 주요 이슈에 흔들리지만 않으면, 추가 상승 기대 안녕하세요 AM 송승재 입니다.
지난주는 시장을 뒤흔드는 이슈들이 굉장히 많아, 시장이 많이 흔들렸습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 결과적으론 상승 우세로 시장이 진행 되고 있습니다.
전 주 금요일을 기점으로 비트코인은 저점에서 추세 전환을 기대하는 강한 반등을 보였으며, 금일 새벽 추가 상승을 보여줬습니다.
이로써 비트코인은 주봉 마감 또한 긍정적으로 마감이 되어 이번 한 주도 기대가 됩니다.
비트코인 기술적 분석 공유 전, 금주 주요 이슈를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금주에는 주요 기업 실적 발표와 1월 소비자 물가 지수(CPI) 발표가 예정 되어 있습니다.
금주 실적 발표 예정인 기업들은 지난 주 처럼 빅 테크 기업들은 아니지만, 나름 주요 기업이기 때문에 실적 결과에 따라 시장 영향을 충분히 미칠 수 있습니다.
지난 12월 CPI 지수는 7.0%로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 하면서, 현재 고 인플레이션의 심각성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
이를 더해 이번 1월 CPI 지수 예상 또한 7.2% - 7.3%로 추가 상승 할 것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저번 CPI 발표에는 높은 지수에도 불구 하고, 충분히 예상했던 수준 이였는지 시장에는 큰 타격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발표에 대한 시장 반응은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이니, 해당 일정 참고 하셔서 투자에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요 기업 발표는 7일 ~ 11일까지 화이자, 월트디즈니, 코카콜라, 트위터 등이 예정 되어 있습니다. CPI 발표는 한국 시간으로 이번 주 목요일 22:30 입니다.
다음 비트코인 기술적 분석 공유 드리겠습니다.
주봉 관점 입니다.
금일 주봉 마감이 이루어졌고, 종가가 43,056를 넘진 못했지만 캔들 형태는 모닝스타 패턴을 형성하며, 긍정적으로 마감되었기 때문에 금주 추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43,056은 주봉 상 추가 급락이 나온 시가이기 때문에 주요 라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주 주봉 마감에서 돌파 마감을 지을 경우 주봉 상 반등 추세가 진행 됩니다.
다음 일봉 관점 입니다.
기존 봐왔던 3파 움직임과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현재 43K부근까지 도달 했으며, 하락 추세 중 형성 된 저항 매물대를 흡수 하고 있습니다.
주요 저항은 앞서 말씀 드렸 듯, 43,245입니다. 현재 42K에서 단기적 지지를 받고 있으며, 43K 지지가 되면 추가적으로 강한 상승이 나오지만,
현 저항 매물대는 추세 전환에 있어 중요한 매물대가 되므로, 저항을 받게 되면 조정 후 상승 관점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저항이 나온다면, 41.5K ~ 40.5k 정도(최대 39.8K) 구간에서 지지 해줄 것이라 보고 있으며, 조정 시, 해당 구간을 지켜주게 되면 예상 추세대로 지속적인 상승을 전망 하고 있습니다.
주봉 마감도 잘 되었고, 일봉 차트 또한 굉장히 불리쉬한 상황이니, 시장 상황에 맞는 트레이딩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상승 사이클 이후 조정 파동안녕하세요 AM Management 송승재 입니다.
약 6년째 가상자산 시장을 경험하면서 얻은 노하우와 개인적인 분석 기준에 따라 전략을 세웁니다.
이론에 나와있는 정석적인 분석과 거리가 있어도 한 투자자의 관점 정도로 생각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존 비트코인은 하락삼각형(descending) 조정 파동을 보였지만, 이번 강세장 이후 고점에서 플랫형 조정 패턴이 많이 보여 공유 하고자 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조정 파동의 종류는 약 3가지 입니다.
지그재그형, 플랫형, 삼각형
#A구간 - 확장형 플랫 (21-11-10 69,182.5 달러 고점 형성)
고점 조정 파동 : ABC (3) > ABC (3) > 12345 (5) - 추가 고점을 갱신 할 때 거래량 감소 및 하락 다이버전스를 만들며, 고점 형성
#B구간 확장형 플랫 (21-04-14 64,990 달러 고점 형성)
고점 조정 파동 : ABC (3) > ABC (3) > 12345 (5) - 추가 고점을 갱신 할 때 거래량 감소 및 하락 다이버전스를 만들며, 고점 형성
-------------------------------------------------------
#현재 장기 추세
ABC (3) > ABC (3) > 12345 (5) 진행중 - 1번째 고점 20.04 > 2번째 고점 20.11에서 마찬가지로 고점 갱신 했으나, 거래량 감소 및 하락 다이버전스 형성
#기본 플랫 관점
조건 : A 이탈이 나오지 않아야함
VPVR 매물대상 31,000부근을 지켜야만 A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조정 파동을 마무리 지을 수 있다.
마무리가 되면 작년 11월 고점 ~ 마무리 지점에 대한 기술적 반등을 기대 할 수 있다. (fib-61.8%)
기술적 반등 이후 이전 처럼 건강한 조정에서 지지가 강하게 되면 추세지속 가능성을 보고 이에 맞게 전략을 구사 할 수 있다.
조정 마무리 후 추세반 전을 보일 때와 추세를 지속하기 위한 주요 저항대를 돌파 할 때 거래량이 동반 되는지 확인
#확장 플랫 관점
조건 : A 시작점을 넘는 B 고점이 형성 되면서 반작용에 의해 매도 압력이 거셈 > A를 이탈하는 C 파동이 나옴.
확장 플랫 관점으로 가는 경우 A 이탈 전, 하락분 38.2% 부근까지 반등 후 저점 이탈 하며, 5파 진행
(*A 이탈 전 반등은 매도압력이 거셀 경우 23.6%에서 종료 될 가능성도 있기에 염두해야함.)
5파 및 플랫 C파동 마무리는 A파동의 1.236 ~ 1.382 구간 예상 (*20,168달러 - 14,874달러)
(*보통 1.618로 예상을 하지만, 최근 비트코인 플랫형 조정을 봤을 때 1.382부근에서 마무리 지어짐)
조정 마무리 후 추세 반전을 보일 때와 추세를 지속하기 위한 주요 저항대를 돌파 할 때 거래량이 동반 되는지 확인
#정리
우선 약 3만 달러를 지지하면, 반등은 나올 것으로 예상.
기본 플랫 관점으로 보면서 대응을 하다가 하락분 38.2%를 넘지 못할 경우 확장 가능성을 두고 대응 할 수 있음.
조정 마무리가 되고, 추세 반전을 보일 때 거래량 주시.
[SAND] 예시로 알아보는 온체인 데이터 분석
안녕하세요
지난 11월에 SAND를 고점인 2.278$에 매수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는 매수한 타점이 다신 안올 저점이 맞긴 했지만, 확신을 가지고 매수를 받은 이유를 풀며
온체인 데이터에 관해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코인은 주식과 다르게 (각 트랜잭션(거래)쌍이 공개가 되기 때문에) On-Chain Data의 분석이 가능합니다
즉 언제 어떤 지갑에서 어떤지갑으로 얼마만큼의 물량 이 흘러갔는지 판별이 됩니다 (주식은 불가)
-- 온체인 데이터란? 예시--
예시 Ex ) 0x0....A 이라는 지갑 주소에 1년동안 DOGE가 나오지는 않고 들어가기만 합니다
1년동안 1500억이 넘는 물량의 DOGE가 0x0....A라는 지갑으로 입금만 되었고, 출금된 금액은 없습니다
즉 0x0....A는 고래입니다
-- 맨위 차트의 빨간 네모를 보면 --
1번과 2번 앞부분에서 매집을 한 누군가가 차트를 0.8 $ -> 3.4 $ 까지 올렸고(빨간네모),
대부분의 사람들이라면 세력이 매집->뻠핑해서 먹고 튀었구나 라고 생각할 수 가 있습니다
저때의 빨간색 부분이 아래의 빨간색 네모 부분입니다
위 차트는(바이낸스의) 개미와 고래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차트 아래쪽에 나와있듯이
주황색 : 100$미만의 (지갑) 개미
초록색 : 1,000$ 미만의 (지갑) 개미
....
보라색 : 12 ~ 120억의 물량의 지갑 (고래)
갈색 : 120억 이상인 물량의 지갑 (쌉고래)
의 데이터 흐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AND는 30%이상이 바이낸스에서 거래되는 종목이라 위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습니다
즉 0.8 $ -> 3.4 $ 까지 오른 급상승 봉에서 (빨간네모)
익절한 것은 주황색 개미 (주황색 다털림)
그 물량을 받아먹은걸로 추정되는 거대고래인 (갈색 고래)가 출현하였습니다
네 이 상승 자체도 매집봉이라는 소리입니다
누군가에게는 세력이 털고 나가는걸로 보일 수 있지만,
앞전의 매집봉들을 보고 근거를 쌓고 또 각종 온체인 데이터들을 비교해본 결과
-> 이 상승 또한 매집봉임을 확신하고 눌림목에 매수를 받았습니다
초거대세력의 매수가 이하로 들어간다면 언젠간 띄워줄거니까 말이죠
아래는 반대의 예시입니다 (DOT)
고점에서 많은 물량이 매도되었는데, 이번엔 개미가 아닌 고래의 물량으로 보입니다
그때부터 급격히 개미들의 물량이 증가했구요
이 경우 개미밭이기 때문에 정말 오래 횡보할 '킹능성'이 있습니다
----------------------------------------------------------------------
온체인 데이터는 매도매수의 근거가 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시장 전체의 장기추세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내가 분석한 결과에 + 온체인데이터라는 승률을 얹어 사용한다면 승률/수익에 큰 도움이 된다고 자신합니다
----------------------------------------------------------------------
다시 안올 저점인 2.278$에 매수한 SAND는 3.5달러에 풀매도 하였으니 배아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내가 팔고 곧바로 8.5달러까지 갔다)
더 많은 온체인 지표들을 소개 해 드리고 싶지만 방법이 없네요
다양한 사이트들을 링크했다가 하우스룰 규정위반으로 12시간 정지를 먹고왔습니다
아쉬우니 텍스트로나마 전체적인 시장분위기(중장기적 관점)를 보기좋은 온체인데이터 지표들을 추천드리고 마치겠습니다
1 MVRV - (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2 NUPL - (Net Unrealized Profit/Loss)
3 LTH PNL - (Long-Term Holder 의 PNL)
4 LTH holder - (Long-Term Holder 의 물량)
5 STH PNL - (Short-Term Holder 의 PNL)
6 STH holder - (Short-Term Holder 의 물량)
7 SVAB - (Spent Volume Age bandes)
위 7개는 매일 아침마다 출근하기전 꾸준히 보는데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는데 도움이 됩니다
(7월 2주차) BTC 모범답지 - 오랫만에 시작된 LONG장BINANCE:BTCUSDTPERP
안녕하세요 Zint입니다
요근래 시황을 개인 요청하시는분들이 많아
아이디어스에 박제합니다
7월은 장이 너무 쉬웠습니다
정직하게 움직였고, 1시간봉 기준으로 특별한 휩쏘나 개미털기, ABC의 절단도 안나오는 굉장히 쉬운 장이었지만
일봉의 삼각수렴 끝부분이기 때문에 유동성이 적어 단타용 장으론 적합하지 않다고 안내 드렸습니다
32k를 못뚫고 (두번째 파란)ABC를 그린 순간 이제 한주간의 그림은 38k 오버까지 올라가는게 확정이 되었고
고배율 매매하시는 분들을 위해 15분봉으로 보자면
이런식으로 33k 초반까지는 ABC 조정주고 3파 출발하지 않을까 싶네요
33.5k ~ 32.5k 롱을 모아놓으신다면
가장 맛있는 3파 임펄스 먹기 쉬운 장입니다
(위 값은 단순 피보나치 0.618기준 값이며, 정확한 저점 값은 청녹색 B파가 나오면 코멘트로 알려드릴게요)
너무 정직하고 쉬운 롱장입니다
3파 출발한다고 절대 FOMO하지 마시고, 못타셨다면 3-2파 눌림때 타시면 됩니다
트레이딩 스킬이나 교육에 관련하여 궁금한걸 개인적으로 물어보시는건 OK
뜬금없이 연락주셔서 오를지 내릴지 물어보는건 조금만 줄여주시면 제가 매매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Elliott Wave Principle] BTC Leading Diagonal, 2021-06-28지난 번 상승 다이버전스(Bullish Divergence) 발생으로 4파의 마무리가 되었고 새로운 추세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했을 때,
충격(Impulse) 파동의 시작으로 선도쐐기형(Leading Diagonal) 패턴으로 작은 1번 파동이 시작되었고,
상승 임펄스의 시작을 알렸다고 볼 수 있다.
현 관점은 더 이상의 저점 갱신은 없다고 본다.
-------------------------------------------------------------------------------------------------------------------------
최근 하락장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는
우지한의 비트메인과 값 싼 산업용 전기료로 인해 채굴의 중심이 되었던 중국....
(국가가 모든 것을 통제하려고 하는 공산국가인) 중국의 비트코인 거래 및 채굴에 대한 규제는
비트코인이 탈중앙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당연한 순리이며,
이로 인한 해시레이트 하락은 단기적으로 가격에 악영향을 미쳤을 뿐,
결국 중국 외 채굴자들에게는 더 쉽게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는 기회이기에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해결될 것이다.
(이미 중국에서 사용된 채굴기들은 중국이 아닌 타 국가에서 엄청나게 매입 중인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중국에서는 더 이상 나올 악재가 없다는 점도 엄청난 호재라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엘 살바도르의 600만명의 국민(성인)에게 $30 상당의 비트코인 지급...
(엘 살바도르는 이를 위해 엄청난 비트코인 매입이 불가피하며 단번에 600만명이 비트코인 생태계로 들어오게 되었다.)
브라질 및 두바이 나스닥에서의 비트코인 ETF 거래...
파라과이 비트코인 법정화폐 도입안...
시티뱅크 자산운용 부문 디지털 자산 그룹 신설...
멕시코의 Ricardo Salinas Pliego...
(개인적으로 조만간 승인 될 것이라 확신하는) 반에크의 비트코인 ETF 승인 등등등
수 많은 호재와 더불어
비트코인의 펀더멘탈은 여전히 살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흔히들 말하는 "시즌 종료"를 언급하기엔 아직 시기상조라 생각이 들며,
PlanB의 "Bitcoin Stock to Flow Model - S2F Chart"처럼 아직 이번 시즌 피날레는 오지 않았다 확신한다.
* 물론 기술적인 분석을 통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세우고 이에 대응하는 것은 늘 강조한다.
[차놀자] 21-05-14 하락시나리오 이후 비트코인 단기 관점
안녕하세요 차트야 놀자 차놀자입니다.
지난번 거시적인 분석 올려 드린 이후 하락 시나리오대로 흘러갔고,
그 시나리오에 맞춰 차트가 진행되고 있는데 현 시점에서의 단기 관점을 공유합니다.
단기 관점이기에 짧습니다 ^_^
우선 연관 아이디어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반등 지점의 중요 지점이었던 51000라인 이탈 이후,
전저점이었던 47000까지 떨어지면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이후 반등하며 차트를 그리는 모습이 LL 패턴(Low-and-Low)를 형성하며 만들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가장 중요했던 자리가 무너지면서 패닉셀이 발생한 구간으로,
중요했던 지지 자리는 곧 저항 자리가 됩니다.
또한 하락폭의 0.618자리에 해당하는 피보나치 되돌림 자리이기 때문에, 신뢰도를 좀 더 높게 보고 있습니다.
현재 가격대는 지지가 곧 저항이 된 가격대 (51000-52000)를 완전히 돌파할 때까지 신규 매수는 가급적 하지 말아야 하는 구간이며,
밑에서 매수했던 물량을 일부 청산 후 홀딩, 혹은 전 물량 홀딩(홀딩 시 익절로스 혹은 본절로스를 걸어둠) 등 트레이더의 성향에 따라 관찰해야 되는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중요한 저항 가격을 돌파하더라도 53000, 55000에 다시 저항대 가격이 있는 것을 고려했을 때 신규 진입을 고려한다면 롱 관점으로 봤을 때 리스크가 있는 가격대로 생각됩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알트들의 움직임이 더 강하면서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계속 제자리를 멤돌고 있는 것을 봤을 때 신규 포지션 진입에 유의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곧 크립토퀀트를 통한 제 개인적인 해석에 대한 관점도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오늘도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에 대한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4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가 가격에 시현될까?안녕하세요 SigmaJ입니다.
어제 밤에는 재미있는 흐름이 등장하였습니다.
흐름을 지켜보며 분석 들어갑니드아~~
<어제 밤 재미 있는 5분봉 흐름>
4시간봉에서 지지선의 역할을 해줄 수 있는 6150 수준에서 종가 지지를 받고
호가를 긁어먹는 큰 물량흐름이 등장했습니다.
업비트 켰는데 단기로 20비트 넘는 매수세가 보여서 700만원 밑에서 매수를 받..아보렸숩니다....
현재까지도 재미있는 박스권 흐름이네요.
<일봉 이평선과 보조지표>
이평선이 양수로 고개를 돌리려면 꽤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0일이 고개를 돌리려면 20일이 필요하고,
60일이 고개를 돌리려면 60일이 필요하고,
120일이 고개를 돌리려면 120일이 필요합니다.
혹은,
아래에서 이평선을 모은뒤 횡보를 이어가는 것도 방법이겠죠.
(사실 이게 가장 좋을지도 모릅니다)
역배열 상태에서 장기 투자의 관점으로 접근할 수는 없습니다.
단기 반등을 먹는 정도의 흐름으로 접근해야겠죠.
RSI는 6000 이후 최저치를 갱신했습니다.
6000 에서 6100 으로 가격은 상승했는데,
RSI는 최저치를 갱신했으니,
이거슨 일봉 히든 상승 다이바쟌스?
6000 깨지면 꽤꼬닥입니다.
스토캐스틱 K D 모두 과매도 구간입니다.
크로스 나면 Buy Signal이 등장하겠지만,
첫 Buy Signal은 단기 반등이거나 속임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참고.
MACD signal 선이 음수로 고개를 돌렸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반등 흐름이 안나오는 것은 아닙니다만은,
하락의 힘이 더 강하다는 뜻이 되겠죠.
Plumvis 외바닥을 열심히 만드는 중입니다.
<일봉 일목균형표>
일목원전 2권을 다 읽었는데요,
솔직히 진짜 모르겠더라고요.
한 번에 이해될거라고 생각한 제 탓이긴 합니다.
많이 읽으면 이해되겠죠.
대등수치 관점에서 35일 변곡을 만들고 하락하는 형태입니다.
현재 저는 고점으로부터 기본수치 42일 변곡을 한 번 더 관찰해보고자 합니다.
기본수치 42일로는 6월 15일이고,
대등수치 35+9일로는 6월 16일입니다.
<4시간봉>
4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 출현하였습니다.
Plumvis 다이버전스도 보입니다.
스토캐스틱 4번째 Buy Signal 입니다.
그리고 글 쓰는데 올라가고 있네요.
흐름을 지켜봅시다.
<1시간봉 Plumvis 흐름>
Plumvis를 선형으로 표시한 선이 보라색 선입니다.
지속적으로 저항을 받는 모습을 연출하더니
저항 뚫고 있는 모습이네요.
단기 롱 관점이 유효할 것 같습니다.
퍼블리쉬가 1시간 가량 늦어져서 살짝 아쉽네요.
USDJPY 지지선 접근으로 상승!34안녕하세요, Tickmill 입니다.
USDJPY 달러 엔은 첫번째 지지선 105.6 가격 라인을 돌파하였습니다.
첫번째 지지선
1.수평 오버랩 지지
2.브레이크 아웃 레벨
이 라인 돌파는 주요 저항선 106.67 가격 라인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요 저항선
1.수평 스윙 하이 저항
2.피보나치 조정 비율 76.4%
3.피보나치 확장 100%
또한 중간 저항선 105.97 가격 라인를 돌파 할 경우에는 주요 저항선에 접근할수 있는 한단계의 신호라고 볼수 있습니다.
중간 저항선
1.수평 스윙 하이 저항
2.피보나치 조정 비율 50%, 61.8%
3.피보나치 확장 61.8%
RSI (34)에서는 가격 상승에 대한 전망을 볼수 있습니다
*주의: 보증금 마진 거래에는 투자 리스크가 높으므로 손실은 초기 보증금을 초과 할수 있습니다. 투자하시기전에 거래 리스크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NZDUSD 지지선 접근에서 바운스 효과로 상승!안녕하세요, Tickmill 입니다.
NZDUSD 는 첫번째 지지선 0.7260 가격 라인으로 접근했습니다.
첫번째 지지선
1.수평 오버랩 지지
2.피보나치 조정 비율 23.6%
3.브레이크 아웃 레벨
이 수평 라인에서 강력한 바운스 효과로 가격을 주요 지항선 0.7323 라인으로 상승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요 저항선
1.피보나치 확장 100%
2.수평 오버랩 저항
3.피보나치 조정 비율 78.6%
중간 저항산 0.7279 가격 라인을 돌파 할 경우에는 주요 저항선에 대한 한단계의 상승 신호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중간 저항선
1.수평 오버랩 저항
2.피보나치 조정 비율 61.8%
3.피보나치 확장 61.8%
그리고 RSI (89)는 저항선에 56% 접근하였으며 저항선 돌파는 가격 상승에 대한 전망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주의: 보증금 마진 거래에는 투자 리스크가 높으므로 손실은 초기 보증금을 초과 할수 있습니다. 투자하시기전에 거래 리스크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2017.8.23 USDJPY 달러엔 Daily Chart 일 차트 분석단기 (조정 시): 롱
중 장기: 쇼트
달러의 지속되는 하락세에 달러엔도 동반되는 하락
하지만 타 통화 대비 하락 비율이 낮음 편임.
현재 미국달러 인덱스 VS USDJPY -0.44% Correlation (상관관계지수) +높을수록 긍정적, -낮을수록 부정적
Currency USDJPY -0.44%
월 USDX 70.0%
일 USDX 52.9%
4hr. USDX 14.0%
현재 미국달러 대비 달러엔 통화 쌍의 상관관계 지수가 월 차트 기준 70%에서 일 차트 52.9% 그리고 점점 최근 짧은 시간 프레임으로 갈수록 4시간 기준 14.0%까지의 상관관계 지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관관계가 다시 원래의 지수로 맞춰진다는 가정 시, 아직은 달러인덱스 하락 대비, 추가 하락 폭이 더 있을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현재 달러엔은 108.58부근의 강한 지지선을 받고 조정구간에 진입 하였으며, 조정이 이어질 시, 저항선 구간은 111.62 부근
조정없이 지지구간인 108.58 무너진다면 추가 쇼트 포지션 하락 구간 폭이 커질 것 입니다.
현재 보조지표 MACD는 8/16일 자, MACD 라인이 시그널을 터치하여 상향 시도 실패 후, 다시 추가적으로 하락 하였지만, 현재 다시 지지선 터치 후, 조정 구간에서 근접 시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계속 업데이트 되는, 미국 경제지표 발표에 유의하여 위 기술적 분석을 참고하면서 대응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허쉬트레이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