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점에서 75% 빠진 알리바바 이제 반등할까? 25.01.02안녕하세요. 그리디올데이입니다.
차트 스타일을 새롭게 단장했습니다.
조금 더 독특하게 보여드리고 싶었는데, 오늘 분석은 **알리바바(BABA)**입니다.
주봉 차트 분석
차트 링크:
알리바바의 주봉 차트를 보면, 2014년부터 시작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격 움직임에서 특정한 수급 구간들이 눈에 띕니다:
파란색 박스와 빨간색 박스:
이 구간들은 약 $58에서 $125까지 비슷한 수급 범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이 범위 안에서 약 120%의 등락이 있었습니다.
주황색 박스:
이전 수급 구간을 상방 돌파하며 강한 상승세를 보여준 이후 형성된 구간입니다.
상승 시 주봉 내에서 소규모 매물대가 생성되었지만, 하락 국면에서는 일방적인 하락세가 나왔고, 이를 하나의 수급 구간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범위: $138에서 $318, 약 130%의 변동성.
장기 저항 추세선
차트 링크:
알리바바의 장기 저항 추세선을 그리면 중요한 시사점이 드러납니다:
최근 저항:
알리바바는 2024년 9월 말, 해당 추세선에서 저항을 받았으며, 그 이후 약 30% 조정을 받았습니다.
빨간색 박스 수급 구간:
현재 주봉 20 EMA와 60 EMA 아래에서 저항을 받고 있으며, 곧 데드크로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방 가능성:
이러한 하락 구조가 유지된다면 가격은 노란색 박스 근처의 지지선, 약 $75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알리바바 매수 시점은 언제?
차트 링크:
알리바바의 최적 매수 구간을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가격보다 하락할 경우:
1차 매수 구간: 노란색 박스 ($75)
이 구간은 2022년 10월부터 이어진 상승 추세선과 일치합니다.
페넌트 패턴의 지지선 역할을 하며 반등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자리입니다.
2차 매수 구간: 녹색 박스 ($58)
역사적 저점 구간으로, 이전에 약 110% 반등했던 이력이 있습니다.
이 구간은 장기 투자자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58 이하:
만약 $58 이하로 하락한다면, 하락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예측하기 어려워지므로 추가 매수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현재 가격보다 상승할 경우:
1차 진입: 저항 추세 돌파 (빨간색 박스)
현재 가격이 계속 횡보하면 2026년쯤에야 해당 추세선을 돌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차 진입: $103 돌파
과거 주황색 박스에서 저항을 받았던 구간으로, 이 구간에서 진입하면 약 20%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차 진입: $125~$138 상방 돌파
이 구간을 돌파하면 상승세가 회복되었음을 의미하며, 고점을 향한 추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결론
알리바바는 현재 명확한 저항 및 지지선이 있는 동시에 높은 변동성을 가진 주식입니다.
하락 관점:
주가는 여전히 하락 추세에 있으며, $75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상승 관점:
$75와 $58은 장기 투자자에게 좋은 매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강력한 지지 구간입니다.
반면, 상승 돌파 시 $103과 $138에서의 진입은 단기적으로 매력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인내심을 갖고 알리바바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큰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준비합시다. 🚀
Alibaba
알리바바 <May.J 관점>1)기술적 분석
알리바바 차트입니다.
알리바바 차트는 현재 삼각수렴이 진행중입니다. 이러한 경우 이탈되는 방향을 따라 매매를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되며, 그때 포지션을 잡아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 전까지는 수렴중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기본적 분석
알리바바는 참 재미있는 회사입니다. 우리에게는 이제 좀 익숙한 마윈 회장이 세운 회사로, 일본 소프트뱅크 대표인 손정의의 자본이 기반이 되어 설립된 회사입니다. 그리고 또 상장은 미국에서 했기에, 어떻게 보면 굉장히 다국적(?) 회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매출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일으키기에 중국회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며, 전자상거래 뿐만 아니라 반도체, 인공지능으로 사업을 매우 빠르게 확장하고 있어 미래가 기대되는 회사이기도 합니다. 다만 단 하나의 리스크가 있다면, 마윈회장이 퇴진함으로써 회사의 방향성이 앞으로 어떻게 정해질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애플이 스티브 잡스가 물러난 뒤로 이전만큼 혁신적인 행보를 보여주지 못하는 것 만큼, 알리바바도 그러한 길을 걸을 수 있기에. 현재 투자자들은 알리바바의 다음 행보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는 듯 합니다.
단순히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넘어서 다음 행보는 어떤 것을 보여줄지, 이에 따라서 회사의 미래가 결정될 수 있는 알리바바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중미-인터넷 기업들의 수익율 대비현재 미국에서 주식 상장한 중국과 미국의 인터넷 대기업이라면 중국에서는 아리바바, Tencent, 바이두, 징둥 등 4개 기업이 있으며 미국은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알파벳이 있습니다.
아리바바의 영업 수입은 아마존의 4분의1이지만 순 이익은 아마존보다 30% 더 많은것으로 발표되였습니다. 주요 원인은 아마존에서 수익 대대분을 미래의 투자로 전환한것으로 보입니다.
아리바바 영업 수입 3768.4억, 순 이익 878.9억
징둥 영업 수입 4620.2억, 순 이익 24.9억
Tencent 영업 수입 3126.9억, 순 이익 787.2억
바이두 영업 수입 1022.8억, 순 이익 275.7억
아마존 영업 수입 15983.5억, 순 이익 691.3억
페이스북 영업 수입 3832.3억, 순 이익 1517.6억
알파벳 영업 수입 9390.2억, 순 이익 2109.5억
애플사 영업 수입 18270.8억, 순 이익 4095.3억
마이크로소프트 영업 수익 7302.1억, 순 이익 1095.4억
미국 대통령 트럼프는 지난 10일 중국산 수입제품 2000억 달러 상당에 대해 종전 10%의 관세를 25%로 올릴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에 맞서 중국도 미국 수입품 600억 달러에 최대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미중 무역전쟁이 격렬한 가운데서 중국 증시서 최근 1주일 동안 27억6000만 달러의 자금이 출금 되였으며 이는 자금유출 규모로는 4년만에 최대라고 IIF(국제금융협회)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