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 반등 지속 조건안녕하세요.  Yonsei_dent  입니다.
오늘은 10.23일 기준  BTC의 반등 지속 조건에 대한 분석 을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어제 업로드 하였던   를 기반으로 기타 기술적 분석, 온체인 분석과 매크로적 이유를 근거로 분석하였습니다. 
-------------------------------------------------------
< 목 차 >
I. 상승 가능성
 I-1. 반등 최대치
 I-2. 추가 상승 조건
 I-3. 무효화 (Invalidation)
II. 하락 가능성
 II-1. 하락의 트리거 (Trigger)
 II-2. 하락 시 유력한 재 반등 레벨 
III. 주목해야 할 요소 
 III-1. 기술적 분석
 III-2. 온체인 분석
 III-3. 매크로 분석 
IV. 결론 
-------------------------------------------------------
-------------------------------------------------------
 I. 상승 가능성 
-------------------------------------------------------
 I-1. 반등 최대치 
어제 업로드 하였던  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시장은  inefficiency 를 채우는 경향성을 보입니다.
  
이러한 전제 하에
◆ Weekly FVG fliing의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Weekly FVG = 26900~29300 
→ Mid level = 28k
-------------------------------------------------------
 I-2. 추가 상승 
  
 ◆ 조건  
:  Weekly FVG를 넘어,  Weekly Swing High 32.4k 위에서 주봉 마감 시. 
→ 이는 반등이 아닌  새로운 상승 으로 간주합니다.
Comment :
① Market Structure 관점에서  Structure Break 가 나타났다는 뜻입니다.
② 이는  하락 ▶ 상승 구조의 전환 이 나타났다고 판단.
③  ★ 반등 = 일시적 gap filling / 상승 = Structure Break 
 ◆ Market Reversal (Structure Break) 의 고려 사항. 
1) 기술적 분석과는 별개로 현재의 세계 경제 시황 및 지정학 이슈를 무시하기 어려움
2) 따라서, 무조건적인 가격 상승의 확신보다는, 반등에서 상승으로의 전환 가능성 확인 정도로 이해.
-------------------------------------------------------
 I-3. 반등 분석 무효화 (Invalidation) 
  
 ◆ 조건 
 : 6월 형성 저점(June Low) 보다 아래에서 주봉 마감 시 
→ II장에서 명시할  하락 트리거(trigger) 와 연계해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II. 하락 가능성 
-------------------------------------------------------
 II-1. 하락 트리거 (Trigger) 
  
 ◆ 반등 무효화 (Invalidation) = 하락 트리거 (Trigger) 
: 반등을 위한 매수 전략이, 위의 June low 기준에 의해 무효화 되었다는 뜻은, 하락 트리거가 함께 발동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Inefficiency  
 ① 17k 아래 부터는 월봉 단위의 inefficiency 
② 유의미한 Demand(수요)의 부재
→  빠른 하락이 진행될 수 있음 을 명시합니다. 
-------------------------------------------------------
 II-2. 하락 시 유력한 재 반등 레벨 
 ◆ 16200 Swing Point 
: 많은 매수 포지션의  스탑 헌팅 을 기대해볼 수 있는 구간
→ 해당 레벨에서 체결되는  반대 매매가 상당히 많을 가능성 
→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강력한 반등 가능성. 
  
 ◆ 근거 = 중장기적 포지션의 기관들 
: 일반적으로 위 기관들의 경우,  주봉 단위 Swing Point를 기준으로 스탑 설정 
→ 따라서, 해당 레벨 도달 시, 많은 매수 포지션의 청산을 동반한 반대매매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일시적으로 강력한 반등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Monthly FVG 12000~13200에서 강한 반등의 기대 
 Comment   ( ※ 추가 근거 )
① 이전 글에서 기술했던 바와 같이,  가격은 결국 합리적인 구간을 찾으러 간다 는 근거 하에,  FVG 까지의 하락 가능성  역시 유력합니다.
 ②  하모닉 bat pattern 
  
 ⓐ B 값 42000을 하방 돌파 하며, BAMM Trigger가 진행 중인 상황.
→ bat 패턴이 완성되는 가격 
= 코로나 저점 - 21년 11월 고점의 0.886 되돌림 레벨인
 = 11500 
 ⓑ 연 단위에 걸쳐 완성된 Bullish harmonic pattern 이기 때문에,  중장기적 상승의 유의미한 시작점 이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이는 즉,  하락의 종착지와 가까운 구간일 수도 있다 는 것을 의미합니다. 
-------------------------------------------------------
 III. 주목해야 할 요소 
-------------------------------------------------------
 III-1. 기술적 분석 
 ◆ 21년에는 나타났고 현재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 Absorption 
= Spring reaction / Bullish reaction 
이는 2021년 여름 Consolidation과의 차이점을 의미합니다.
  
● 21년 여름,  긴 아래 꼬리의 반복 출현 
 = 매도 물량의 흡수 확인 
따라서, 고점을 갱신하며, 69k를 향하는 새로운 상승 추세를 볼 수 있었습니다.
●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consolidation에서는 이러한  캔들 형태 (긴 아래 꼬리)를 확인하기가 힘든 상태 입니다. 
-------------------------------------------------------
 III-2. 온체인 분석 with CVD 
  
 ◆ CVD 
 = 매도 물량의 흡수 판단 
→ 매도 물량의 흡수가 원활하지 않은 상태.
 → 하락 시 매도 우세, 상승 시 매수 우세로 현재 장기적 추세는 하락세를 유지 중에 있습니다. 
-------------------------------------------------------
 III-3. 매크로 분석 
 ● WSJ, "11월 연준 75bp 금리 인상 후, 이후의 금리 인상 폭에 대해 논의하려 한다" 
→ 미국 국채 2년물, 10년물 금리 하락  및 나스닥 상승 마감. 
● 연준 금리 경로에 대한 시장 기대치
 = 23년 12월 금리 인하 기대 
● 연준 금리 인하? 
= 단순 상승의 의미보다는, 그만큼  경제가 긴축을 버티질 못하는 상황 을 의미.
→ 즉,  경기침체 상황 을 의미할 수도 있음.
● 유럽 위기, 러우 전쟁 등.
 세계 경제 및 지정학적 정세가 좋지 않으며, 이에 따른 시장 변동성을 꾸준히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
 IV. 결론 ★ 
-------------------------------------------------------
1. 기술적 분석, 온체인 분석, 매크로 분석을 모두 고려 시 가까운 미래의 가격이 오른다면 
→ 이는, 새로운 상승 추세보다는,  중단기적인 Bear market rally / dead cat bounce 로 여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BMR / DCB 가 나타나는 이유는?
 → 추가 하락을 피하기 위한 기관들의 Exit을 위해 나타나는 인위적인 펌핑일 가능성 이 높습니다.
3. 위의 분석에서 새로운 상승 추세가 확인되기 전까지,  상승이 아닌 반등 구간에서는 
 ① 손실 구간의 회복
② 분할 익절 
등의 기회로 활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활용 방안으로 생각 됩니다.
※ 개인 투자자가 현명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세력 / 기관 등의 거대 자본 포지션을 따라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risk 투자 보다는 시드를 지켜나가는 투자가 가장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
 Yonsei.dent의 게시글은 자산의 매수/매도 등을 추천하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매매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