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든 선택에서 자신에게 이익이 되기 위해 작든 크든 위험을 겁니다. 투자에서도 마찬가지죠 (효용에 관한 예시) 예를 들어 포지션의 크기가 100달러인 트레이더 응애가 있다고 합시다. 그가 50%의 이익을 냈을 때 50달러를 얻게 됩니다 자산이 50달러나 증가한 응애는 기분이 매우 좋을 겁니다 과정을 반복하여 계좌에 든 돈이 500달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포지션의 크기는 여전히 100달러입니다 계속해서 50달러의 이익을 남기지만 처음 같은 기분은 아닐 겁니다 이것을 50달러의 효용이 줄어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계속 반복하여 계좌에 든 돈이 1000달러가 되었을 때는 감흥이 더 줄어들었을 겁니다. 50달러의 효용 또한...
우리는 과정과 결과에서 감정을 느끼는 존재입니다 인간은 이성과 감정이 있다. 이것이 공리라면 우리는 이성과 감정의 조화로 결정을 내립니다 트레이딩에서도 마찬가지죠 그런 이유로 우리는 감정적으로 매매를 하게 되는 뇌동매매에 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내일은 시험이니깐 놀고 싶어도 공부해야지 와 같은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즉 감정과 충동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포지션에 대한 판단도 마찬가지로 돈을 잃지 않기 위해서 조절해야 합니다 감정을 삭제하는 것이 아닌 자아인식을 통해 조절하는 것이 좋다는 뜻 입니다 차트를 보고 강한 감정이 들어서 또 그리고 나서 주문 창을 열고 주문을 하려는 때 다른 사람이 되어서...
서론 작년 6월말부터 7개월간 이어져오는 하락장에 현물투자자분들의 심리적 피로도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에 보여준 알트코인의 반등세는 다시한번 기대를 모으지만 지난 몇개월 간 그랬듯 환희의 순간에 절망적인 하락반전이 일어나진 않을까 두려우실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현물투자의 적정기를 알 수 있는 방법을 한가지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본론 이번 포스팅에선 비트코인 도미넌스와 금 시세변동률을 비교하여 알트코인의 투자시점을 찾아보겠습니다. 메인화면에 보시면 녹색과 주황색으로 영역이 표시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은 주황색과 흰색이 있습니다. 각 영역은 두 선의 커플링 혹은 디커플링은 표시한 것입니다. 녹색이 커플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