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WHO

1. 엘리어트 파동이론 상승패턴

교육
SUNWHO 업데이트됨   
BINANCE:BTCUSDT   Bitcoin / TetherUS
BTCUSDT

엘리어트 파동이란?
ㅁ. 랠프 넬슨 엘리어트가 고안한 이론. 그는 주가가 파악가능한 패턴에 따라 오르내리는것을 발견하고 이를 정리하였다.
ㅁ. 시장의 모든 결정은 의미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시장의 결정이 다시 의미있는 정보를 만든다. 이러한 순환구조는 인간의 사회적 속성에 영향을 받으며 이로인해 일정한
형태를지니고 반복적으로 나타나게된다.

1. 임펄시브 웨이브(Impulsive wave)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며 1,3,5의 상승파동과 2,4의 조정파동으로 구성된다.
2파동은 1파동을 많은경우에 61.8% 되돌린다.
4파동은 3파동을 많은경우에 38.2% 되돌린다.

임펄시브 웨이브가 갖는 절대적인 법칙
2파동은 1파동의 시작점을 넘지 않는다.
3파동은 가장 짧은 파동이 아니다.
1파동과 4파동은 겹칠 수 없다.

임펄시브 웨이브에서 나타나는 특성
연장 - 대부분의 임펄스 파동은 1,3,5 세개의 파동중 하나에서 연장이 일어난다. (하나의 파동이 다시 하위 다섯파동을 포함한 형태를 띈다)
절단 - 5파동이 3파동의 고점을 넘지못하는 경우


2. 종결쐐기형(Ending diagonal)

앞선 파동들이 너무빨리, 너무 많이 나아갔을 때 5파동이나 , 조정의 C파동에서 나타난다.
두개의 수렴하는 선에서 쐐기형태를 띠며 다섯개의 하위파동은 각각 3파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3-3-3-3-3 의 패턴을 나타낸다.
쐐기형 파동의 다섯번쨰 파동은 종종 상단 추세선을 돌파한다.
쐐기형 파동은 상승동력을 소진하고 추세전환을 뜻한다.
1,4파동은 항상 중복된다.

3. 선도쐐기형(Leading diagonal)

파동1과 A의 위치에서 종종 나타난다.
역시 두개의 수렴하는 선에서 쐐기형태를 띠는점은 같으나 하위파동은 5-3-5-3-5의 패턴을 나타낸다.
이는 현재 진행중인 추세가 지속될것임을 암시한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차트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피보나치 황금비율을 결합해 만들어졌습니다. 황금비율은 자연에서 많이 등장합니다. 우리 인간또한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황금비율을 쫓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다섯파동의 상승과 이를 되돌리는 ABC세 파동의 조정파동으로 구성됩니다. 조정파동은 상승분을 전부 되돌리지 않기때문에 결국 시장은 항상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파동과 무관하게 단순히 생각해봤을 때 시장에 참여하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본인이 구매한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되팔아야 이익이 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시장이 망하지 않는 한 항상 상승압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부족하지만 위의 내용이 독자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당신의 성공적인 투자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코멘트:
한가지 내용 추가합니다.
임펄스웨이브나 조정파동 움직임의 방향은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시장의 흐름과 같은 방향으로 임펄스웨이브의 방향이 나타나게 되고 시장의 흐름을 역행하는 움직임에서 조정파동의 모습이 나타납니다.
면책사항

이 정보와 게시물은 TradingView에서 제공하거나 보증하는 금융, 투자, 거래 또는 기타 유형의 조언이나 권고 사항을 의미하거나 구성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