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평 및 변형된 反일목 (Reverse Ichimoku) 의 진행방향을 맞물려 볼 때, " 28.2 ~ 30K " 를 어우르는 Resistance Section은 단기적으로 이어온 가격상승의 Market-Trends를 지속 가능하게 만들어줄 구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LTF에서의 Trend Continuation이 HTF에서의 Market Break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시사. ※ Market Break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엔 단기적으로 발생한 Trend Reversal-impact의 지속으로 이어질 수...
1. 힘의 비축과 발산. 2. 조정으로의 접근. 3. HTF에서의 위치. ※ 분기점에서의 Resistance or Break 여부에 따라 진행 여부가 결정.
👉 기존 퍼블리쉬를 이어서. 1. 이전의 시장구조 전환시 강하게 뚫어주었던 터닝포인트를, 같은 모습으로 뚫어주며 저항구간이었던 Neutral Section에 대한 테스트를 마치고 다시 터닝포인트 구간까지 회귀한 상황입니다. 2. 터닝포인트에 해당했던 구간은 앞 쪽의 시장구조와 연계하여, 구조적으로 LTF의 Support Section으로서의 역할을 더욱 단단히 합니다. 하지만, Neutral Section을 테스트하며 발생한 LTF의 지지구간 또한 Resistance Section으로서의 구조로 완성됩니다. 3. 이는 해당하는 구조 안에서 박스 또는 수렴의 형태를 만들거나, 4. 테스트를...
1. 하락채널 돌파 실패 및 Support Section #1 이탈 시, Support Section #2 리테스트 가능성. :: Support Section #2 = W-20EMA 라인 & 3D-50SMA, 3D-200SMA 크로스라인 2. Neutral Section에 대한 재도전을 위해서는 직전에 강하게 뚫어주며 추세 구조 전환이 일어났던 구간을 다시 한 번 강하게 뚫어주는 모습이 필요. :: 실패 시, " 1 "에서 언급한대로 하단부 Support Section에 대한 테스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P.s > BTC Daily Level Accumulation-Potential
1. 중단기 방향의 전환을 의미하는 중요한 엑스칼리버가 뽑혔기 때문에. (이탈했기때문에) 2. 가까운 지지구간에의 리테스트를 염두에 두고 매매진행을 결정해볼 수 있겠습니다. 3. 캔들의 위치 또한 여러 단기이평들의 아래에 위치하여 "위"로의 저항이 심할 수 있는 관계로, 4. 이평이 한 번 더 꺽이면서 힘을 비축하는 "낚시질"이 나올 수 있음을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평을 낚시줄 삼아 다른 이평을 걸어 올리는 행위 = 이평 낚시질 5. 낚시질을 해가며 신나게 흔들어서 좀 더 지치게 하는 그림이 나온다면 다음과 같을테고, 6. 이는 더 큰 차트에서 나왔던 움직임을 반복하는...
1. HTF 시장구조 및 Trend Line & Three-Bottom possibilities 2. Daily Candles 지지구간 3. ZigZag ABC 출현의 가능성 4. 수렴형태를 표방한 복합조정의 가능성 1) 2) 해당 방식의 수렴형태도 가능. 2-2) 또는 곧바로 상승형으로 이어지는 형태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 오전 12시경 작성한 부분이 전부 날아가버려 재작성합니다. 1. 해당부분 ABC or ABCDE 상승 후, ABC 조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모습이라 가정하고 의견을 작성합니다. 2. 동인(Impulse) 파동의 의견은 아래에 기술하도록 하고, FLAT ABC의 관점으로 접근하면 내려온 작은 ABC 하락을 큰 A파로 가정할 때, 현재 올라가고 있는 움직임은 B파로 1) Regular FLAT 또는, 2) ZigZag 의 가능성에다한 풀이가 가능합니다. 3. 해당 가능성을 토대로 큰 파동 또한 ABC로 접근한다면, 다음과 같이 FLAT 또는 ZigZag 에 대한...
1. 확장형 패턴의 가능성 (Expanding Symmetrical Triangle) 2. 부분적 감소의 경우 (Partial Decline)
1. HTF Moving (완성된 움직임) 2. Wicks Resistance (캔들 꼬리 저항 라인) 3. Similar Pattern Possibilities(유사패턴 출현 가능성) 4. LTF expected Move (단기 움직임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