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반등 C파가 강하게 나오지 않아서, 어쩌면 다이아몬드 우측편이 짜부러지면서 더 좁고 작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바로 급락 할 수도 있어 보입니다. 다만, 힘이 떨어지는 형태라 하더라도 어느정도는 가격적인 반등이 나온 이후에 제대로 된 조정이 나올것 같습니다. 하락 목표가는 이전의 관점들과 다를 바 없네요.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상승 각도를 높인 상태에서 처음으로 저점을 낮추는 형태를 한번 가졌고, 상승채널의 상단 지지선에 한번 닿고 나서 반등중입니다. 주말동안에 비트코인이 삼각수렴하면서 도미넌스가 상승채널의 안쪽으로 돌파하는 모양이 나온다면, 알트코인들의 순환 펌핑을 노려봄직 하다고 생각됩니다. 항상 그렇지만, 알트는 펌핑의 끝까지 먹으려고 욕심을 내는것이 아니라 적당히 먹고, 출발직전의 알트코인을 탐색하여서 먹는게 수익율이 좋습니다.
낮의 단기 상승 시나리오는 역시나 모든분들이 싫어하는 관점이었던것 같습니다. 크크크......저도 싫긴 합니다. 일단 30.4K 단기 상승 시나리오는 폐기입니다. 아래에서 추가설명 현재 판단의 관점 1. 즉각적인 하락이 크게 나오지 않을 모양을 그리고 있음, 매수세가 절대 죽지 않음......게다가 매도세 물량 자체가 없어서 거래량이 안나오는 횡보 2. 낮에 올린 단기 상승 시나리오의 30.4K 상승파동은 폐기 (이유는 삼각수렴이 하방으로 깨어져서 이탈되었음, 트랩의 문제가 아니라 그냥 강세조정이 깨진거임) 3. 롱 관점으로 본다면, 눌림목이었던 27,772달러를 하방 이탈하고 약 27,360달러 부근의 강한 상승파동 시작지점 매물대에서...
예쁘게 쭉 내려줄거라 생각했지만, 마지막 고점 영역이 삼각수렴이 아닌 라이징 웻지가 되면서 이상하다~~~ 했드만 차트가 이상하게 흘러가네요. 이렇게 이상하게 흘러갈때에는 이상한 현 상황에 맞게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게 중요한것 같습니다. 고점에서 떨어지는 형태는 강세 WXY 조정 형태로 보이고, 이후 한 파동 더 상승하고 난 다음에 큰 조정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큰 조정의 목표가는 이전 시나리오와 동일함) 다만, 아직 삼각수렴의 형태가 잡혀있지 않아서 횡보의 흐름을 더 보고 나서 현재의 흐름대로 진행이 된다면 개인적으로 짧게 손절 잡고 롱을 진입 예정입니다. (생각한 모양이 안나오면 당연히 그냥 관망 -_- ) cf) 차트에서는...
작은 봉으로 본 세부 카운팅입니다. 고점 돌파후 지지 나온다면, 이 복합조정 관점은 폐기입니다.
1-1. 엔딩 다이아고널은 관점 폐기 1-2. 익스팬딩 트라이앵글 관점 폐기 2. 2월2일~3월10일 기간동안의 진행을 익스팬딩 플랫조정으로 X파로 두는 관점입니다. 드물게 관찰되는 형태이지만, 지난 관점 글에서처럼 익스팬딩 플랫으로써의 마지노선을 지켜주었다는 관점입니다. 3. 28K 부근에서 차트가 수렴중이며, 19.5K에서부터 올라온 상승을 W-X-Y-XX-Z 형태로 보았습니다. 현재 마지막 Z파 수렴 4. 좀 차트를 크게 두고 보면, 19.5K에서부터 올라온 상승을 1파 연장된 임펄스로 느낄 수 있습니다. 5. 조정 목표가를 피보나치 0.382구간으로 25K, 0.5구간으로 24K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1파 연장 임펄스 형태로...
퍼블리쉬가 서툴러서 엉뚱한 차트가 올라가서 재등록 합니다 ㅠㅠ ================================================================================================== 1. 2월2일을 1파의 고점으로 봄 문제점 - 엔딩 다이아고널 패턴처럼 보이지만, 추세선 이탈후 즉각적인 급락이 없어서 애매함 희망회로 - 바닥에서 9천불 급등할때의 형태가 5파동 연장에 5-5파가 엔딩...
1. 2월2일을 1파의 고점으로 봄 문제점 - 엔딩 다이아고널 패턴처럼 보이지만, 추세선 이탈후 즉각적인 급락이 없어서 애매함 희망회로 - 바닥에서 9천불 급등할때의 형태가 5파동 연장에 5-5파가 엔딩 다이아고널이었다고 본다면, 이후의 ABC 익스팬딩 플랫 조정이 가능함 2. ABC 익스팬딩 플랫 조정이 이미 끝났을지도 모름 교과서적인 B파 고점이 1.382를 넘지 않았고, 피보나치 A파-C파의 외부적 확장이 1.618을 정확히 찍어준 점으로 볼때, 충분히 익스팬딩 플랫으로 볼 수 있다고 고려됨 3. 28,350 달러 19K중반에서 상승했던 근래의 급등을 임펄스 C파로 볼 여지가 있음 임펄스 5파가 다이아고널 형태로 볼 수 있음 15.5K...
일단 지난번의 3월 11일 업데이트에서 시나리오 1번의 흐름대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온갖 악재들속에서, 무슨 말도 안되는 관점이냐고 많이들 생각하셨을거라 생각합니다. 현재의 상승세 속에서 큰 하락을 이야기 해야 하는 저는 또 한번 괴롭군요 -_-; 시나리오1 : 플랫의 A파동으로 보고, 동시에 익스팬디드 플랫 형태로 고점 갱신후, 저점 갱신한다는 시나리오 이때의 상승 B파동은 지그재그 또는 더블 지그재그 정도가 가능할것으로 보임 단, 고점 갱신후의...
2월달의 중장기 관점과 큰 차이는 없이, 꽤나 큰 하락폭을 보이면서 숏 타겟 지점은 도달 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가장 중요하게 관찰하고 있던 하락의 추세 여부를 WXY 복합조정 형태인 것으로 최종 결론 지었습니다. 조건 1. 첫번째 wxy에서의 w파동 대비 x파 반등이 정확히 0.5 찍어준 점 조건2. 두번째 보다 큰 스케일에서의 WXY 파동에서의 W파동 대비 Y파의 확장 비율이 1.618 보다 살짝 낮게 찍어준 점 조건3. 조건2에서의 WXY에서 X파동의 일반적인 되돌림 0.382를 도달하지 못하고 미달형태로 마감하면서, 딱 그만큼 Y파동이 조금 더 길어졌다고 볼 수 있다는 점 조건4. 보다 작은 스케일들(특히 1분봉 단위)에서 죄다...
마지막 Z-Z파동이 삼각수렴인가 싶었는데, 아니어서 그럼 폴링웻지냐? 했더니 그것도 아니고, A-B(삼각수렴)-C파로 abc 형태인가 봅니다. Z파 삼각치고는 삼각형의 크기가 좀 작아서, 요상하네 했더니만....아니었군요. abc 지그재그 - 삼각수렴X - 플랫 abc 마감이네요. 현재의 가격권 차트가 분봉이나 시간봉 등등 개떡같지만, Y파가 23500~23550 정도에서 강한 반등이 나오리라 생각합니다. 아무튼 저점을 낮추지 않으면서 고점을 높이는 타점에서 롱 진입 예정입니다. 뭐 지금 대충 롱 타도 될것 같긴 하지만요.......일단 안전제일, 대응제이 완료된 복합조정 하락조정에 대한 되돌림 X파동은 최소 전체 되돌림 0.382이며,...
WXYXXZ 형태로 하락중, 마지막 Z파 진행중으로 보입니다. (Z파도 WXYXXZ로 구성중, 마지막 삼각수렴 Z-Z파 종결) 반등 X파가 나오고 다시 하락 추세를 이어 나가느냐? 아니면 고점갱신 트라이 하러 가느냐? 반등파동을 보고 판단해야겠습니다. 시간봉이나 일봉 등등 RSI 하락 다이버전스가 아직 진행중이므로, 일단 반등 X파 가능성이 월등히 더 높아 보입니다. 일단 저점이 더 이상 안깨지고 삼각수렴 상방돌파시에는 숏 최소 하루정도는 아주 조심해야 할것 같습니다. (차라리 X파 반등뒤에 숏 포지션이 나아보임) 참고. 5분봉이나 1분봉상에서의 카운팅이므로, 15분봉의 차트상에서는 다소 매끄럽지 않을 수 있음
전제 : 1월~2월초까지의 23.3K부터 24.3K까지의 모양을 엔딩 다이아고널 형태로 판단 결과 : 정석적인 형태로 급락해서 20K초반까지 내려와주지 않음 의문 : 혹시 15K대 바닥에서 올라온 9천달러 상승 파동이 임펄스가 아닐 수도 있을려나......그렇다면 고점 갱신은 필수인데......... 결과 : 어설픈 하락후, 21K대 초반에서 반등 후, 고점갱신 의문 : 고점갱신을 하였다면, 1만불 상승파동이 임펄스건 WXYXXZ건 간에 급락하던가, 계단식 하락을 하던가 해야되는데, 어센딩 트라이앵글을 그리네.... 결과 : 인덱스 차트로 보면, 25250달러 고점갱신 못하고, 하락하네......어! 이거 엔딩 다이아고널도 아니고 어센딩...
간단하게 갑니다. 1. 1분봉으로 보면, 붉은 타원 영역이 임펄스 형태가 아님 (1분봉 카운팅 해드리려 했는데 트레이딩뷰에서 퍼블리슁이 안됨) 2. 15분봉으로 보더라도 임펄스 하락 형태가 아님 3. 전형적인 W-X-Y-XX-Z 형태의 복합조정임 (피보나치 확장 0.786 타겟가 도달 완료) 4. 주의해야 하는 점은 15분봉 스케일로 보면, W-X-Y 형태까지 나온거고, 반등 X파가 나와야 함 5. 4번 항목에서의 반등 X파는 메인 복합조정의 첫번째 하락추세 파동이고, 반등 X파는 첫번째 하락추세 파동의 되돌림 접속파동임 (이게 이해 안되면 공부 꼭 하셔야 함) 6. 일단 롱 버튼은 빼두시는게 좋아보임, 차라리 관망이 시드를 지키는 길 7....
오후 7시 현재, 비트코인은 추세를 잃고 방황중 1) 24.2K에서 하락했던 WXY 복합조정은 4시간봉 캔들 70개 소요 2) 21.35K에서 상승했던 ABC 고점돌파 상승은 4시간봉 캔들 18개 소요 (기간적으로 너무 짧음) 3) 1월22일의 23.3K 에서 24.2K 까지 엔딩 다이아고널 형태로 볼 수 있음(거래량도 크게 튄 게 안보임) 4) 대체로 엔딩 이후에는 급락 조정인데, 이게 1)에서 본것처럼 4시간봉 70개짜리 복합조정이었음 5) 고점갱신 하러 한번 더 간다는건데, 통상 이런 경우는 고점을 살짝 넘기고 abc 불규칙조정으로 C파가 폭포수 급락이 나오는 경우가 많음 6) 고점을 살짝 넘긴게 아니라, 1K 이상 고점을 더 높여둔...
단기 숏 이후, 롱 진입 비트코인 무빙이 하도 현란해서 계속 대응만 하면서 체크 했는데요, 25.2K 고점 돌파후의 지금 흐름은 WXY 복합조정이 맞는것 같습니다. (XX-Z가 더 붙을 수도 있음) 가장 큰 이유는 첫번째 떨어지는 파동이 임펄스가 아니라 abc 형태였고, 그 다음 반등파동이 아주 지저분한 X파동인걸로 보이며, 거지 같은 형태의 파동(일명 개파동)은 거의 대부분 B파/4파/X파/XX파 입니다. 그리고 이 반등파동이 높이가 너무 높아 보입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0.886인데, 이정도면 개미만 털고 가격은 크게 뺄 생각이 없는 무빙으로 생각되네요. 매크로 경제 이슈고 뭐시고간에 차트상 운전수는 상방을 보는것 같습니다. 딱...
25.2K 돌파 이후 조정 15K 구역에서 25K 구역까지의 강력한 상승 파동이후의 조정이 진행중으로 판단됩니다. 떨어지는 형태가 임펄스가 아니기 때문에 이번 조정파에서 15K 구역의 저점을 깨러 가진 않을 거라고 생각하며, 이번의 큰 조정이후에는 강력한 상승 임펄스 파동이 출현 할것으로 판단됩니다. (30K 넘어가는 형태) abc 하락 이후, 반등파 X 진행중 (대체로 0.382 지점이나 0.5 정도 되돌림 반등을 줍니다.) 여기서 중요포인트는 첫번째 하락 abc가 c파 연장 플랫(2.618) 형태이므로(임펄스가 아님을 주의), 당연히 Y파의 1감은 지그재그 형태입니다. 사실 이러한 Y파는 형태가 갖춰지기전까지 명확한 비율을 알 수가...
1.현재 매크로적인 시장 상황은 모두 배제하고, 순수하게 차트만 보고 판단한, 가장 교과서적인 상승 관점임을 미리 밝힙니다. 2.69K 최고점 이후의 하락 흐름을 ABC 조정 파동으로 가정하고, 17K~25K 구간 이후에 바닥 흐름을 "C파 엔딩 다이아고널"로 가정 했습니다. 3.현재는 엔딩 ABCDE 중에서 D파 반등으로 판단되고, 다이아고널 상단 추세 저항 라인까지의 롱 관점입니다. 4.바닥에서의 상승 흐름이 피보나치 확장 정확히 1:1 위치이며, 전형적인 ABC 반등 파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만, 1-2-1-2 패턴의 보다 큰 스케일의 임펄스로써의 A파동을 고려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재의 하락 흐름이 강한 조정 abc가 아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