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USD
비트코인 / 달러
리플 여러가지 악재로인해 BTC마켓 차트가 말도 안되게 떨어졌습니다 원래 이런 악재때 진입하는게 맞겠으나 비트코인차트도 우선 한번 더 떨어져야하기때문에 리플 사토시 방어 못하고 같이 떨이질 확률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리플시세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xrp/btc 현재 60일 이평선에 다다랐는데 과연 2017년 1월 6일일까, 3월 18일일까 단순 btc차트로는 2017년 1월 6일처럼 60일이평선을찍고 두달정도 조정 후 오르는게 맞는듯 싶다 우선 라이트코인이 아직 내가원하는 구간을 뚫지 못해서 진짜 알트장인가라고 백퍼 확신 할 순 없지만 하지만 나는 리플 차트를 2017년 3월 18일로 보고있다 근거1 라이트코인 리플코인 udst 차트로는 수렴후 상승 폭발하고있는 그림이다 또한 메이저코인 비캐,이오스 또한 수렴끝자락에서 출발을 준비하고있다 근거2 스파크토큰 에어드랍이 12월 12일 이므로 1달도채 안되는 기간을다시 크게 조정...
현재 XRP/BTC 는 과거와 굉장히 유사하게 차트를 그리고 있다 조건1 비트는 12월내로 전고 근처까지 찍고 조정 조건2 조건 1 충족이되면 리플은 12월 플레어 에어드랍전에 상승 에어드랍 후 약 조정 후 진정한 상승장 돌입 이 스크립은 성지가 될 것입니다 리-멘
구독과 좋아요는 퍼블리셔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모두가 트레이딩을 쉽게 할 수 있는 세상을 향하여, 모두의 트레이딩입니다. 비트코인보다 더 오를 코인, 제목이 자극적이죠. 오늘은 XRPBTC, 리플 사토시차트의 매수 관점에 대한 아이디어를 퍼블리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도 역시나 작은 프레임에서 매수 근거를 찾을 수 있고, 큰 프레임에서도 정합적인 근거를 찾을 수 있는지,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엔트리를 가져갈지 의논해보도록 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CharLAB Team의 차트어린이입니다. '팔로우'와 '좋아요'는 늘 힘이됩니다. 현 시점에선 중기 흐름을 판단해야합니다. (사토시 차트) 큰 시장흐름의 전제는 금일 비트시황과 함께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리플은 2020년 가장 모멘텀이 약했던 메이저 알트코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직전 초록색 박스구간에서 상승을 했다면, 정말 좋은 차트의 흐름을 만들 수 있었지만, 아쉬운 종목이 되었습니다. 현재 /BTC의 방향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무너지는지...
이번에 상방 돌파하였기에 추가 적인 추세를 노리겠습니다. 시장가 매수 : 2378 사토시 손절 : 2318 사토시
피보나치 비율을 활용하여 목표치 산정해봤습니다. XRP/BTC 차트이고 2017년 사이클 고점을 피보나치 비율 1로 잡으니 이전 고점의 피보나치 비율이 0.382에 맞춰집니다. 동일하게 2017년 사이클 고점을 0.382로 잡아보니 목표치가 그림과 같이 나오는 군요^^ 57,000~63,500사토시 동일 관점으로 사토시 하락 저점은 3,100사토시 정도가 나오네요.
안녕하세요 웨이입니다. 리플이 매집징후를 보인지는 꽤 오랜시간이 지났습니다. 2016년에도 리플의 주가폭락이 장기화되면서 자연스레 매집존이 형성된 바 있기 때문에 주가하락에 대한 인내를 감수할 수 있다하더라도 매집은 얼마든지 연장이 될 수 있기에 대체 이게 언제 올라가겠느냐는 시간예측 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리플이 과연 언제쯤 대세상승이 나올 가능성이 있을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이 가능하지만 저는 피보나치 타임존을 활용해보겠습니다. 피보나치 타임존 피보나치 타임존은 시간에 대한 되돌림과 확장을 보기 위해 사용되며 어떻게 써야한다는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 피보나치 타임존의 레벨 만큼 확장된다는 것은...
XRPBTC는 다시 약상승을 통해 0.00002150BTC 선에서 거래되고있습니다. 0.00002120BTC 선에서 지지선이 형성되길 바라지만, 그렇지 못할경우 0.00002030 혹은 그 이하로도 하락할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2019년 5월부터 이어져오던 장기 하락추세선을 상승 돌파한다면 큰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XRP 사토시 차트(TD9, KDJ 지표 활용) 분석 1. 지표 설명 가. TD9 지표: 한쪽 방향으로(위 혹은, 아래) 꼬리(윅)가 연속되게 생길 때 숫자가 부여되는 지표로 연속해서 9번 이상이 나올 경우 반대 방향성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아지는 지표입니다. 나. KDJ 지표: 스토캐스틱과 비슷한 개념의 지표로 추세의 방향과 강도 및 최적의 진입 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횡보 시에는 KDJ 지표 또한 횡보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지표와 동시에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2. XRP 초기~ 현재까지 주봉에서의 TD9 지표와 KDJ 지표 가. 그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