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Y 트레이딩 아이디어
달러인덱스 중장기 전망 Dollar index (year frame) view Day candle2008년 이후(서브프라임 이후) 미국은 타 국가들(중국, 유럽)과의 격차를 더 벌렸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달러 가치에 많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지만, 2008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달러인덱스의 강세 사이클은 미국과 타 국가들의 경쟁력 및 주가상승력 격차에 기인한 바가 크다고 보는 바입니다.
물론 당장 미국이 추락할 것이라는 말은 당연히 아닙니다.
하지만 지난 수 년간에 비해서는 중국, 유럽, 인도와의 격차가 줄어들며 균형맞추기를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와 더불어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지속된 저금리 기조도 끝났다고 보는것이 합리적인데,
그에 따라 지난 수 년과는 다른 양상이 펼쳐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고금리가 지속되면 오히려 달러수요가 늘어 달러가치가 오르는 것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압도적인 저금리 기간 동안 달러가치는 이미 계속 올랐습니다.
낮은 금리와 미국의 기술발전에 힘입어 전 세계의 자금이 미국으로 몰리는 세월이었다면,
앞으로는 그 양상이 조금 바뀔 수 있겠다는 생각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런 생각은 시간프레임이 년 단위로 조금 크기에, 몇 달 정도의 상승반등은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는 아직..언젠가 금리 인하 시기가 되면, 엔캐리 트레이드가 잠재적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쓴 글이 있는데요. 최근 급락을 이와 연관시켜 해석하는 시선이 있더라고요. 다만 저는 생각이 달라서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1) 최근 BOJ에서 금리를 인상했을 때, 이거 좀 위험할 수 있겠다는 생각은 했었습니다. 2) 한편 어제 경제 지표 발표 후 많은 사람들은 금리 인하가 임박했다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둘을 합쳐서 해석하면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떠오르는 건 합리적인 추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추론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채권 금리가 급등하는 게 맞는데요. 왜냐하면, 엔 캐리 트레이드의 대표적인 투자처가 미국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트에서 볼 수 있듯, 미국채의 금리는 급격히 하락했고, 이는 금리 인하와 달러 역세에 대한 기대심리로 많은 투자자가 채권으로 몰려서 그런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제가 내린 결론은 엔 케리 트레이드의 청산은 ‘아직’인 것 같아요. 다만 BOJ가 예고한 9월에 금리 추가 인상이 실제로 일어나고,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경기침체에 대비해 9월에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정말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벌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따라서 향후 금리 인하 소식은 많은 사람의 기대와 달리 악재일 가능성이 큽니다.
./
어제오늘 정말 큰 하락이 있었고, 많은 전문가들의 다양한 리뷰를 봤는데 솔직히 그 어떤 견해도 딱히 와닿진 않았습니다. 잘 모르겠더라고요. 왜 이런 하락이 발생해야 했는지..어쩌면 지금의 가장 큰 위기는 왜 증시가 갑작스럽게 폭락했는지 그 이유를 아무도 모른다는 게 아닐까 싶네요ㅠㅠ
모두 슬기롭고 현명한 투자하시길. 이만 춍춍..
엔 캐리 트레이드는 아직..언젠가 금리 인하 시기가 되면, 엔캐리 트레이드가 잠재적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쓴 글이 있는데요. 최근 급락을 이와 연관시켜 해석하는 시선이 있더라고요. 다만 저는 생각이 달라서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1) 최근 BOJ에서 금리를 인상했을 때, 이거 좀 위험할 수 있겠다는 생각은 했었습니다. 2) 한편 어제 경제 지표 발표 후 많은 사람들은 금리 인하가 임박했다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둘을 합쳐서 해석하면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떠오르는 건 합리적인 추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추론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채권 금리가 급등하는 게 맞는데요. 왜냐하면, 엔 캐리 트레이드의 대표적인 투자처가 미국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트에서 볼 수 있듯, 미국채의 금리는 급격히 하락했고, 이는 금리 인하와 달러 역세에 대한 기대심리로 많은 투자자가 채권으로 몰려서 그런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제가 내린 결론은 엔 케리 트레이드의 청산은 ‘아직’인 것 같아요. 다만 BOJ가 예고한 9월에 금리 추가 인상이 실제로 일어나고,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경기침체에 대비해 9월에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정말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벌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따라서 향후 금리 인하 소식은 많은 사람의 기대와 달리 악재일 가능성이 큽니다.
./
어제오늘 정말 큰 하락이 있었고, 많은 전문가들의 다양한 리뷰를 봤는데 솔직히 그 어떤 견해도 딱히 와닿진 않았습니다. 잘 모르겠더라고요. 왜 이런 하락이 발생해야 했는지..어쩌면 지금의 가장 큰 위기는 왜 증시가 갑작스럽게 폭락했는지 그 이유를 아무도 모른다는 게 아닐까 싶네요ㅠㅠ
모두 슬기롭고 현명한 투자하시길. 이만 춍춍..
어설픈 엘리어트파동 - 달덱 롱 관점2023년 12월 말 달덱의 하락을 끝내고
새로이 생긴 상승채널을 따라 올해 이동하고 있습니다.
최근 삼각수렴을 하면서
이 상승 채널을 잠시나마 이탈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5월 cpi,ppi 의 좋은 결과 + 무사히 fomc를 끝남에 따라
주가는 연일 상승하고 있는데 반해
달덱은 추가적인 상승을 하며 다시 채널 안쪽으로 들어왔습니다.
6월물이 정리되는 다음주 쯤에
옵션을 끝까지 빨아먹기 위해 주가를 상승시킨뒤
대선랠리 전 1-2개월간의 조정이 생각되며
달러인덱스는 이를 따라 채널 상단 근처까지 상승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7-8월까지 달러인덱스 108전후로 마무리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4/06/28 달러의 매도 기회를 찾아보자🔥안녕하세요 6월28일 불타는 금요일이네요🔥
오늘은 달러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먼저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리며 부스트와 팔로우 눌러주시면 감사 하겠고
바로 차트 분석 시작할게요
🔴4시간/미국달러인덱스
차트를 보면 달러 차트의 중요한 포인트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초록밑줄) 표시의 동일선상 고점의 유동성을 만들어주고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초록밑줄)의 이 구간은 8시간상의 IMB SIBI 구간의 상단이었기에 더욱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현 부근에서 동일선상의 고점을 한번 더 치고 올려주는지 아니면 이대로 내부 움직임이 하락으로 바뀌어 외부 유동성을 가지러 가는지 MSS 구조를 LTF로 살펴봐야 할 거 같습니다.
저는 하단의 OB+ FVG 4H(파란색 밑줄) 구간에서 반등이 나오며 동일한 고점을 형성해 준 것과
OLD NY am H (빨간 동그라미)의 유동성을 가져가며 만들어준 고점이기에 현구간에서 내부가 하락 측면으로 바뀔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매수보다는 매도에 대한 거래 기회를 찾아볼 계획입니다.
두 번째는 4시간의 Range 외부 구간의 프리미엄 영역에 속해있다고 판단했기에 매도포지션의 계획을 가지고 있는 두 번째 이유가 됩니다.
그렇기에 화살표의 표시처럼 내려와 준다면 첫 타겟으로는 Sell Side Liquidity로 잡을 것이며
그 아래에는 OB+ / FVG 1H의 대한 영역이 있기에 추후 생각한 대로 가격이 형성 시
가격의 변동을 체크해 봐야 할듯합니다.
달러의 분석은 여기서 마치고 제 관점이 틀리더라도 너그러이 봐주시고, 예상과 맞게 흘러간다면
추가로 코멘트 남기겠습니다.
24.05.02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파월 의장 발표이후 달러인덱스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금리 유지 기간이 조금더 있을것으로 예상되며, 오늘자로 금리 인하 확률은 9월 19일(한국시간기준)의 미 금리결정에서 동결 49.5%, 25bp 인하 확률 40.7%로 나타나고 있으며, 9월까지 밀린모습입니다.
구인건수는 3년내 최저치로 노동수요가 둔화된 모습입니다.
다만 FOMC 회의결과에 대해 QT 속도조정 부분에서 6월부터 월별 국채 보유규모 축소 한도를 하향조정하여 600억달러에서 250억달러로, MBS는 기존 월별 축소한도 350억달러를 유지한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차트상 달러인덱스에서는 현재 큰 틀에서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큰 평행선 흐름의 하단을 이탈하였다고 생각되며, 지지라인은 105.568 ~ 105.539 라인으로 생각됩니다.
현재는 어느정도 박스권 움직임 (105.539~106.269)을 보이고 있지만,하단의 지지 라인이 돌파 될 경우를 예상하며, 104.619 라인까지도 하락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였습니다.
지지라인 105.568 ~ 105.539 라인에서 지지가 될 경우 다음 상단 저항라인은 고점 근처였던 106.320 라인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24.04.08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는 3월14일 ~ 4월 2일 상승 평행선 구간을 하락돌파하여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주 5일 소폭 상승구간이 나타났지만, 상승추세를 벗어나 전체 추세가 하락세로 돌아설것으로 예상되며, 하락시 추세는 103.767 라인으로 예상됩니다.
전체 상승추세의 50%라인과 피봇라인이 겹치는 포인트로 1차 지지라인 형성이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시간기준 4월 10일(수) 21:30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며, 11일(목) 03:00 미국 FOMC 회의록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4.02.26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2월 14일부터 달러인덱스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큰 상승세에서는 조금 벗어난 모습입니다.
이후 움직임은 박스권 횡보후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전 단기 하락세에 대한 되돌림 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상승 저항라인은 104.437 라인이 될것으로 예상되며, 하단 지지라인은 1월말~ 2월초의 상단 저항 라인으로 작용하였던 103.800(S1) 라인으로 예상됩니다.
예상 상단 저항 : 104.437
예상 하단 지지 : 103.800
감사합니다.
23.12.18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는 지난주 미국 금리결정 이후 상승 평행선에서 이탈하며 하락세로 전환된 모습입니다.
금리결정 발표후 내년 금리인하 언급으로 인하여, 내년 3월 금리결정 확률은 오늘자로 인하(25bp) 가능성이 61.6%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달러인덱스와 함께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 또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내년 미국 금리인하를 예상한 움직임으로 전반적인 하락세가 나타날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준가격은 R1 라인 102.875으로 설정하였으며,
하락시 목표가격대는 101.490 라인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23.11.27 DXY 달러인덱스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달러인덱스의 큰 흐름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주 하단 지지라인(103.180)부터 소폭 상승세가 나타났지만, 다시 하단지지라인 근처까지 하락하였습니다.
이번주 또한 단기 상승세는 103.602 라인까지 예상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흐름은 하락세를 이어갈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락 예상라인은 11월 21일 저점(103.180)보다 낮은 102.990 라인 근처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23.11.15 DXY 달러인덱스 Momantic_Fx 입니다.
공개 차트분석입니다.
해당 분석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트레이딩뷰 공개 아이디어에 🚀 버튼을 눌러주세요.
어제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이후 달러인덱스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느정도 큰 평행선이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되며, 소비자 물가지수 하락에 대하여 투자은행 코멘트로는 BOA의 경우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된것으로 연준 금리경로 전망을 수정하였으며, 바클레이를 제외한 투자은행들의 관점은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전체 흐름은 하락세로 생각되며, 오늘 단기 상승 포지션은 어제 하락분에 대한 되돌림 상승으로 목표 가격대는 105.097 라인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