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태롭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패권을 쥐고 있는 초강대국 미국과 인덱스 중 가장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다우산업지수. 과연 미국은 언제까지 현상황을 유지할 수 있는지, 우리는 현재 어느 정도 위치까지 도달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초장기 파동을 작은 사이클부터 확장해가며 카운팅 1. 1982~현재까지 사이클 두차례의 오일쇼크와 스태그플레이션에 의한 경제후퇴가 일어났던 1970년대와 그 영향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1982년부터 새로운 파동이 시작. 파동을 어디서부터 카운팅할지 기준점이 애매할 경우에는 다른 유의미한 경제지표로 주가의 왜곡을 제거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다우지수를 실질 GDP로 나눈 지표를 보면 1965,1966년쯤...
$32760 부근에서 5파동을 완성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점을 갱신한 후 롱 포지션 자리를 찾을 것입니다.
모두가 아는 뉴스는 이미 시장에 반영이 된 듯, 금리 동결후 시장의 추세가 깨지고 말았습니다. 그렇지만 오늘 새벽 미국장은 반등하여 34000선을 회복한 것을 의미있게 봐야 합니다.
1900년도부터 엘리어트 파동으로 살펴본 다우존스,나스닥,비트코인입니다.
포스코홀딩스 005490 은 어제 새로운 광고를 넥슨의 제작으로 발표했습니다 판타스틸 Fanta Steel이란 슬로건으로 용의 화염을 강력한 기가스틸과 경량화된 방패로 막아내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주도주 LEADING STOCK를 이 포스코홀딩스 005490 이라고 간주하고 금일 한국장에서 양봉으로 플러스 마감한다면, 쉽게 다우의 상승전환(변곡점)에 베팅을 걸어 볼 수 있습니다. #DOW #005490 #POSCO
나스닥100이 방향 대표성을 다우지수에 비해 잃어버린 듯합니다. 시장은 금리인하를 예상하는 강한 행보를 보였습니다. 어제 포스코홀딩스는 긴 음봉을 나타냈습니다. 따라서 어제와 오늘은 (이차전지의) 매수기회일 것입니다. 다우지수와의 불일치는 강력한 매수기회라 생각합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3인자로 알려진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금리인하와 관련된 입장~~ 7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윌리엄스는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플레이션에 하향 압력을 가할 만큼...
시장 분석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상승 채널 상단에서 Head&Shoulder Pattern 발생-> 2023.07.06에 만들어진 저점을 돌파하면 하락 예상 Nasdaq: Wave-4로 판단 -> 수렴 혹은 14310까지 하락 예상 차트 분석 Harmonic Pattern: Butterfly Pattern -> 36000저항 2022.08.16에 만들어진 고점 갱신 2023.02.14에 만들어진 고점 갱신 RSI Divergence Elliott Wave: Wave-ABC의 Wave- C 완성 결론 고점과 저점이 올라가고 있는 상승 추세에 있다. 2가지 기술적 분석에 의해 단기적...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친 후, 미국의 주가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했습니다. 이것은 연준이 시장붕괴를 막기 위해서 채권매입을 지속적으로 했고, 결국은 모두가 알듯이 무한 양적완화의 딜레마에 진입했습니다. 이 똥산?이 단기간의 금리 조정으로 커버가 될거같진 않아보입니다. 제대로 터트려서 모든걸 원점으로 돌리지 않고서는 대안이 없어보입니다. 그만큼 장기간에 많은 양의 달러를 찍어냈다는거죠...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시장이 조정된것 같았지만, 차트를 보면 조정은 커녕 아직도 불장같아 보입니다... 개인적 의견이지만.... 연준의 금리 인상 종료를 기점으로 전 고점을 맞고 떨어지거나, 아니면 전고점을 깨고 일시적 슈팅을 (마지막 5파 상승) 마무리...
납회일인 지난 목요일, 연속하여 KOSPI는 큰 폭의 하락을 만들었습니다. 반면 다우지수는 큰폭의 상승을 하진 않았지만 하락을 버티는 모습입니다. 미국시장은 상승으로 갈 가능성이 높지만 한국 kospi 시장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중립전환). 납회일의 음봉이 그리 기분이 개운하지 않은 음봉이라 순연하여 10시에 개장되는 새해 한국시장을 눈여겨 봐야 할 거 같습니다.
그동안 어마어마한 달러가 풀린 영향일까? 엄청난 유동성을 자랑하는 US30 이에대한 대응책으로는 1. 검은색 확산파동으로 현재 D지점에 이미 위치해있다는 가정 2. 빨간색 확산파동으로 D지점이 남아있을수도 있다는 가정 미국주식을 보유하고있다면 상단에서는 최대한 포지션 정리를 하단에서는 적극 매수를 추천합니다. 특히나 31600-31900구간은 UP / DOWN 결정 구간으로서 해당구간에서는 신중을 기하여 트레이딩에 주의를 요합니다.
성장주의 시대가 가고, 가치주나 자산주의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확신합니다. 따라서 다우지수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조정 5파로 마무리 된 것으로 조심스럽게 보여 상승을 예상해 봅니다. KOSPI의 경우 월봉챠트에서 매수시점에 대한 시그널을 줬기 때문에 추가조정보다는 상승에 무게를 둡니다. 즉, 미국시장이 추가조정을 보인다고 해도 차기주도주들(저PER,저PBR)은 상승을 이어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로그차트 기준 5파 진행중 전고점 or 1파의 1:1 지점부터 숏 모아갈만한 구간 5파의 끝이 완성되면 장기간 스윙포지션 취할만한듯
다운트렌드라인브레이크 피보나치 78.6반응 삼각수렴후 위로 브레이크 리테스트확인후 진입 가까운 박스 1차타겟 위에 큰박스 2차타겟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입니다. 찰스 다우와 하모닉 이론이라는 주제로 오늘은 이야기를 풀어나가볼까 합니다. 찰스 다우(1851년 ~ 1902년) 는 기술적 분석학의 아버지라 불리웁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학의 뿌리는 여기에서부터 이루어졌다 볼 수 있습니다. 현대의 기술적 분석은 1900년대에 미국의 월스트리트(월가)에서 유행하며, 이후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많은 이론들로 발전하였는데요. 여기의 중심에는 월스트리스에서 활동했던 찰스 다우가 있습니다. 찰스 다우라는 인물은 특히 아래의 몇 가지로 유명합니다. 1. 월스트리트 저널 창간 -그는 뉴욕타임즈, 워싱턴 포스트와 함께 미국의...
엘리엇파동이론 ( Elliot Wave Principle) 저서에 등장하는 사례를 실제 차트에서 찾아본다 대각삼각형 - 선도 쐐기형01 (리딩 다이아고날) 다우존스산업평균 지수 일단위 차트 1979년 11월 ~ 1979년 12월 P.58 그림 1-21에 소개된 리딩 다이아고날 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