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1380~1510$) 숏(x) 롱tp(o)안녕하세요 웨이입니다.
연관 아이디어 있는 이더리움 매수관점을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지난 아이디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이 바닥에서 어떠한 반등도 하지 않았을 때 이더리움의 매수신호(이는 단기~중기에 해당함)가 존재한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포스트 코멘트에는 이미 1400$대에 타겟가 도달이라고 명시해놨습니다만, 비관적으로 보더라도 위로 1500~1520$ 정도까지는 기술적 반등만으로 충분히 갈 수 있을 자리로 보여집니다.
저항에 대한 근거는 모두 화면에 보이시는 두 피치팬의 교차점입니다.
1375$는 매도세의 절대적 우위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 다음 레벨인 1520$까지 반등할 수 있음을 염두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포스팅의 취지는 이더리움 숏타점을 보는 것이 아닙니다.
이더리움은 굳이 숏관점으로 접근할 이유가 없습니다.
앞으로 못해도 비트코인과 커플링으로 움직일 메이저 코인이고 잘하면 비트코인의 자리를 빼앗을 종목 이기 때문에 반등구간이나 조정구간에서 앞으로 상대적으로 강세를 유지할 여지가 있어 이더리움에 대한 숏포지션은 리스크가 있다 고 봅니다.
그저 800~1100$ 사이에서 이더리움을 매수하셨는데 단타 로 들어간 경우, 수익실현 자리 를 볼 뿐입니다.
단, 이더리움이 1530$를 돌파하지 못하고 재차 1200$를 하방이탈 한다면, 이더리움에 대한 매수를 보류해야 할 것입니다.
ETHUST.P 트레이딩 아이디어
이더리움+40%?(MA, 피보나치서클)
저번 이더리움 아이디어에서 1170달러 지지 실패시 전저점 테스트를 한다고 코멘트에 남겼던 대로 되돌림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12시간봉에서 이평선이 주가밑으로 깔리고 있는 것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2월 24일 이후로 주가밑으로 이평선이 깔려서 지지를 형성해줬던 적이 없습니다.
그만큼 자주 나오는 자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4월초부터 이더리움은 저항값에서 확실하게 저항을 받는 모습을 비트코인보다도 잘 보여줬습니다.
3시간봉 이더리움차트에서 노랑색 이평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이 나왔던 자리들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3시간봉으로 보자면, 상단에 저항이 있는 것이고, 12시간봉으로 보자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수기회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평만으로는 애매한 감이 있어서 피보나치 서클을 하나 추가했습니다.
서클의 지지 저항이 지금까지는 아주 잘 맞고 있습니다.
서클밑으로 뚫리면 리스크 감수하고 매수하지 않으면 될 것 같습니다.
이평선 저항을 굳이 빨리 건드리지않고 서클을 깨지않는선에서 바닥을 천천히 잡아돌리면, 롱포지션이 유리한 양상이 될 것 같습니다.
추세전환이 된다면 40%정도까지 반등을 기대합니다.
+
1.
이평선을 개량해 제가 쓰고있는 지표입니다.
아직까지는 이더리움 차트상에서 밴드 수렴조차 되지않은 모습이기 때문에 숏포지션이 상대적으로 불리해보입니다.
2022_07_11 ETH 단기 관점2022_07_11 ETH 관점 첫 퍼블리쉬
안녕하세요. UFO입니다.
퍼블리쉬 시각 23시 25분 입니다.
ETH 관점 공유입니다.
지지와 저항 / 매물대 / 트렌드 라인 / 피보나치 되돌림
을 근거로 자리(초록색 원)오면 롱 들어갑니다.
1차 T.P (진입 포지션 반)
2차 T.P (남은 포지션 반 or 모두정리)
3차 T.P (스윙)
감사합니다.
이더리움 어센딩 트라이앵글이전 아이디어에서 올린 비트코인 하락채널이 상방돌파 되었지만 딱히 상승 임펄스로 보이지도 않고 힘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아래 차트와 같이 5월부터 이어져 온 채널의 상단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 또한 불안합니다.
특히 이더리움은 메인 차트에서 볼 수 있듯,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더블탑에서 꺾여 어센딩트라이앵글을 그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가능한 경로는 두 가지입니다.
1. 어센딩트라이앵글 패턴을 완성하며 전고점을 뚫고 반등하거나
2. 그대로 하락하거나
로 나뉩니다.
저는 2번째 경로인 하락에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가격의 고점은 그대로인데 RSI의 고점은 올라갔고, 이러한 경우에 대해 따로 다이버전스가 정의되어 있진 않지만 개인적으로 이것은 히든 다이버전스의 원리와 같은 논리로 하방으로의 확률이 높다고 해석했습니다.
07.08. ETH LONG entry아담과 이브 패턴을 그려주는 모양.
-> 강력한 반전 패턴. (+투바텀)
현재 1270 저항 맞고 내려가는 모양.
Neckline이었던 1178~1192 부근에서 반등이 나와줄 것으로 보고 있음.
**오늘 분석은 Swing에 가까움.
Risk ★★☆☆☆
LONG Entry
1) 1195
2) 1185
TP:
1) 1421
2) 1731 (Swing Position향후 올라갈 위치긴 하나, 정확히 언제 올라갈지는 좀 지켜봐야할듯)
SL 고려해볼만한 위치: 1160 (저배율이라면 1050 정도도 SL로 잡을 만 하다.)
이더리움 11번째 저항 돌파시도!안녕하세요 ATWAY입니다.
비트코인 시황은 오전에 올렸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은 지지보다는 저항값이 명확한 차트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저항: 20400~20700)
이더리움이 비트코인보다 규칙을 찾기쉽고, 일정한 틀안에서 움직임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더리움으로 추세를 가늠해보고 있습니다.
4시간봉기준 100EMA를 차트상에 표시해뒀습니다.
100EMA 저항 돌파를 실패했던 자리들 또한 보이실겁니다.
이번이 11번째입니다.
5월달에는 저항돌파시도 2번하고 죽었습니다.
이번에도 돌파실패하면 롱으로 수익보기 많이 힘들어집니다.
아직 돌파를 한 건 아니기 때문에 아이디어는 숏으로 표시해놓겠습니다.
7월6일 비트코인/이더리움 시황안녕하세요 ATWAY입니다.
오늘은 제가 최근에 개발한 지표를 가지고 왔습니다.
지표를 보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초록색 밴드가 한점으로 모인 가격대가 지지와 저항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1. 비트코인
비트코인의 경우 20.4~20.7K가 모두 저항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어제 20.7K까지 한번에 반등이 나와서 숏에 익숙해져 있다가 당황하는 분들도 계셨을 겁니다.
그러나, 지표를 통해서 봤을 때, 차트상으로 충분히 찍을 수 있는 자리였다고 보여집니다.
저항을 넘기지 못했고, 리테스트에 가까운 반등으로 마무리되었기 때문에, 밴드(구름대)에서 지지받고 재차 반등하는지를 우선 체크해야 하고, 밴드 하단을 이탈할 시 저점 갱신의 가능성을 체크해야합니다.
2. 이더리움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달리, 지지가 모두 살아있는 형태입니다.
1080달러와 1020달러 모두 지지구간이고, 어제 나스닥 개장 직전까지 조정을 주면서 지지구간을 체크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롱포지션을 잡는다고 했을 때, 손절라인을 잡는데 있어,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이 훨씬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결론: 비트코인은 20.4~20.7 저항을 리테스트, 이더리움은 1080달러 지지를 리테스트 하였습니다.
현시장이 이더리움을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데요.
이더리움이 1080달러를 이탈하지 않는다면, 롱포지션이 유리하다고 봅니다.
1시간봉 비트코인 기준, 롱포지션을 진입할 수 있는 자리들입니다.
19.7K는 이미 지나간 자리입니다만 밴드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승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진입가능한 자리여서 보여드립니다.
1시간봉 이더리움 기준, 이더리움은 어제 이미 밴드의 지지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다시 밴드까지 내려오기를 기다리기 보다,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을 지켜준다는 전제하에 롱포지션을 진입할 수 있었습니다.
이미 지나간 자리라고 보면되고, 오히려 여기를 깨면 저라면 손절 짧게 바로 나올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