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USDT.5S 트레이딩 아이디어
Ethereum (ETH) - 7월 3일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USDT 1W 차트)
현재 위치는 이전 고점 구간입니다.
이전 고점 구간은 심리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입니다.
따라서, 714.29-823.56 구간과 1475.0-1728.74 구간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에 의해서 중요한 추세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714.29 이하는 중장기 투자 영역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한 트레이딩이 필요합니다.
1049.0 지점을 기준으로 상승폭과 하락폭을 보면 상승폭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049.0 지점은 분할 매수를 시작하기에 메리트가 있는 지점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매수를 시작하게 될 지점은 1728.74 지점 이상 상승할 때 부터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714.29 부근까지 하락한다는 생각으로 분할 매수를 진행하게 된다면, 보통의 개인 투자자들보다 최대 140% 이상 수익을 보고 있을 겁니다.
투자를 시작할 때 중요한 것은 매수를 시작하는 지점입니다.
하지만, 매우 낮은 가격대에서 매수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 내에 있을 때 서서히 분할 매수하여 평균 단가를 낮추는 방식으로 매수를 시작해야 합니다.
두번째로 중요한 것은 항상 현금을 보유해야 한다는 겁니다.
모든 현금을 사용하여 매수하게 되면, 결국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Stop Loss를 하게 되어 이중 손실을 입기 쉽습니다.
또한, 새로운 좋은 기회가 왔을 때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세번째로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심리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한 거래 방식을 만들어 두는 겁니다.
분할 매수 지점, 분할 횟수, 매수 금액, Stop Loss 지점, 매도 지점 등 매수를 진행하기 전에 대략적인 구상을 해 두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매수를 시작하게 되면, 가격의 흐름에 따라 판단 기준이 계속 변하기 때문입니다.
차트의 흐름을 읽고 투자를 진행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하지만, 차트의 흐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거래 방식이 수립되어 있는지 입니다.
거래 방식이 수립되어 있다면, 어느 지점에서 매수를 시작하더라도 손실은 적게 수익을 크게 얻을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차트의 흐름을 읽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표는 후행성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거래를 진행하다 보면, 생각보다 더 높은 지점에서 매수를 할 가능성 높습니다.
그러므로, 지표와 가격 차트의 지지와 저항 지점을 설정하여 이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1D 차트)
1049-1128.53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 추세선을 따라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 모든 지표는 후행성 지표입니다.
따라서, 가격과 거래량의 움직임에 따라 지표가 따라서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단지, 편의상 지표에 대한 해석을 위해 뒤집어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 차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MRHAB-T 지표는 아직 공개하지 않은 우리채널의 지표입니다.
** OBV지표는 oh92님께서 공개해 주신 지표인 DepthHouse Trading 지표를 수식을 응용하여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에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지지나 저항은 1D 차트의 종가 기준입니다.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이더리움] 주봉 로그차트 피보나치 분석#크랙 #이더리움 #바이낸스 #로그차트 #피보나치 #1주봉
안녕하세요 크랙입니다.
지난 비트코인 주봉 로그차트 분석글에 이더리움 분석 요청을 해주셔서 오늘은 바이낸스의 ETHUSDT 1주봉 로그차트를 이용하여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피보나치 되돌림과 피보나치 추세 확장을 이용하여 저항과 지지의 가능성이 보이는 자리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 저점 이후 ATH 를 형성한 뒤 조정이 출현하고 있는 시점에서 되돌림 0.382레벨의 지지가 실패한 비트코인과는 다르게 0.382레벨의 지지를 지켜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현재 지지 중인 1061-960 구간은 여러 피보나치 레벨들과 상승채널의 중심선이 겹치는 구간으로 강한 지지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주 양봉 마감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주 매도세가 출현중인 모습으로 정확한 지지의 여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1061-960 구간의 지지가 성공하며 반등할 경우에는 1717-1899 저항이 존재하고 잇으며, 해당 저항구간은 21년도 5월~7월 강한 지지의 역할을 하였으므로 저항 작용 시에도 강한 저항이라 예상됩니다.
상승채널 중심선을 지켜준 채 지속된 상승세가 진행 된다면 다음 ATH는 7677-8226이 아닐까 싶습니다.
허나 상승채널 중심선의 지지가 실패 한다면 740-647 또는 426-384 까지의 하락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비트와 이더의 공통적인 AB=CD 패턴상단의 메인 차트에서 찾아볼 수 있듯, 일봉 스케일에서 비트와 이더가 각각 AB=CD의 비율을 만족하는 구간에 임박합니다.
비트의 경우엔 2.24 이외에 2.618 등의 다른 비율도 가능하지만 저점을 살짝 깨고 반등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없습니다.
작년 11월부터 진행된 하락의 모습이 ABC 혹은 WXY 임은 현재로써 가장 유력한 카운팅이기 때문에 AB=CD 패턴의 PRZ에서의 반등을 기대해봄직 합니다.
특히 비트의 경우 훨씬 작은 스케일이긴 하지만 아래의 차트와 같이 4시간봉 스케일에서 Bullish Shark Pattern 또한 존재하며 이 샤크 패턴과 일봉에서의 AB=CD 패턴의 PRZ는 서로 겹칩니다.
이더리움에서는 AB=CD 이외에 PRZ를 공유하는 추가적인 하모닉 패턴은 발견할 수 없었지만 파동카운팅으로부터 기대되는 반등과 AB=CD의 반등 구간이 일치합니다.
이더리움의 파동카운팅에 대해서는 이전 아이디어에서 다루었으니 아래의 차트 하나로 남기겠습니다.
만일 PRZ에서 반등에 성공해준다면 피보나치 비율 되돌림만큼은 조정을 주지 않을까 합니다.
시장 상황이 약세장인 만큼 떨어지는 것을 바로 잡기보단 지지 후 반등을 확인한 후 안전하게 접근해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더리움 개인적으로 비트코인보다는 이더리움이 파동이 더 빠르고 선명하게 나오는 것 같습니다.
이더리움을 기준으로 시장이 움직이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 지지 저항 체크도 이더 기준으로 하고있습니다.
아침부터 반등이 나왔으나 주가는 저항대에 이미 도달했고, 이 가격대를 넘어서면 회복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보다 더 큰 반등폭을 기대할 수 있는 각이 나옵니다.
반면, 여기서 강한 저항을 받고 1170달러 부근까지 재차 떨어질 경우, 6월중순에 나왔던 바닥을 리테스트하는 자리가 나올 수 있습니다.
양방향 가능성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오전에 1170달러 부근 추세돌파 신호에 롱을 잡았다면, 양방향매매로 1210달러부터 숏을 동시에 잡아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돌파실패시 나올수 있는 조정파동을 예상한 차트입니다.
올해 약세장 반등에서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 모두 파랑색 이평선 리테스트를 하는 쌍바닥이 자주 나온 바 있습니다.
그리고, 그때마다 쌍바닥찍고 반등한 후에는 저점을 갱신했었습니다.
7월에 큰 반등을 뽑아내는 회복장세로 가려면 파랑색 이평선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하는 파형이 나와선 안됩니다.
희망적인 부분이 있다면, 피보나치 서클 저항을 금일 오후에 상승돌파하였다는 것입니다.
하락추세의 돌파는 긍정적이나, 저항대를 넘지못하면 결국에는 혼조세가 이어지거나 조정시나리오 대로 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