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_wonmilibili],강한 하락과 되돌림안녕하세요. 박만두입니다. 주말장 횡보이후, 강한 하락을 이틀간 지속 하였습니다.
거시적 차원의 큰 유동성 흐름으로 자산시장에는 과열이 되었고,
그 열기는 비트코인 시장에도 흘러들어오길 기대했지만,
시장에서 가장 먼저 하락의 신호탄을 쏜 것은 비트코인 이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언제나 다른 자산보다 먼저 반응합니다.
시장의 ‘유동성 민감도’를 가장 빠르게 드러내는 자산이기 때문입니다.
시장은 언제나 공포에서 매수하고, 탐욕에서 매도하는 자를 보상해왔습니다.
가격이 빠질 때 두려움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이틀간의 큰 하락이 공포를 느끼게 하였고, 다시 기회로 순환하길 기대합니다.
되돌림이 필요하다.
이번 하락이 원웨이로 강하게 나왔습니다. 이런 구간에서는 되돌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105K 이상으로의 되돌림 시도는 단기적으로 심리 회복 구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래 아이디어
11/5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4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인공지능(AI) 관련 종목들의 밸류에이션(평가가치) 부담이 부각되면서, AI 대표주인 팔란티어가 급락하는 등 기술주 전반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비트코인은 약 6% 급락했으며, 달러 가치는 5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105K 아래로 떨어지며 98.5K 부근까지 하락했다가 약반등하며 101K까지 회복한 상태입니다. 이후 105K와 20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한다면 추세 전환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하락 관점에서는 헤드앤숄더 패턴이 진행 중으로 보이며, 패턴대로 움직일 경우 96.8K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가 하락이 이어질 경우 95K 부근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일봉 차트상 또 다른 헤드앤숄더 패턴이 존재해 해당 패턴이 완성된다면 최종적으로 86K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비트코인 차트 분석: 4시간봉 동향 및 단기 반등 가능성현 시점 분석:
현재 4시간봉이 이전 장대 음봉 이후 의미 있는 아래꼬리를 단 양봉으로 마감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 양봉 마감을 전제로 단기적인 시장 움직임에 대한 관점을 제시합니다.
단기 반등 예상 및 목표 구간:
해당 양봉이 확정된다면, 이는 최근 하락세에 따른 단기적인 기술적 반등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목표 반등 구간은 107.5K에서 108.5K 사이로 설정합니다.
목표 구간 설정 근거:
이 107.8K ~ 108.5K 구간은 여러 중요한 기술적 요인들이 중첩되어 있어 유동성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방 추세선 저항: 현재 진행 중인 하방 추세선의 저항선이 이 구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매물대 저항: 과거 가격 움직임 상 의미 있는 매물대 저항 또한 이 구간과 일치합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저항 요인들은 가격이 해당 구간에 도달했을 때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유동성 집중 구간: 청산 히트맵 지표를 보면 해당 가격대에 숏 포지션 스탑로스 및 청산 물량이 상당량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는 가격 상승 시 해당 물량들의 강제 청산으로 인해 추가적인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현재로서는 4시간봉의 아래꼬리 양봉 마감을 통해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에 무게를 둡니다. 상기 목표 구간 도달 시 시장의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며 다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 시점에서 성급한 방향성 예측보다는 단기적인 유동성 흐름에 초점을 맞춘 접근이 유효해 보입니다.
“상승 엔진이 꺼졌다” – 지금 코인시장, ETF 유출이 불 붙인 하락 가속 루프의 전조 💣 “상승 엔진이 꺼졌다” – 지금 코인시장, ETF 유출이 불 붙인 하락 가속 루프의 전조
요즘 시장 이상하지?
뉴스는 여전히 낙관적인데, 정작 코인은 계속 미끄러지고 있어.
그 이유는 단순히 “조정장”이 아니라, ‘돈의 방향이 완전히 바뀌었기 때문’이야.
ETF 자금이 빠지고, OTC 거래가 마비되고, 고래들이 코인을 던지는 본격적인 구조적 하락이 시작된 거야.
(이어서 계속👇)
1️⃣ 🔻 –9억4,600만 달러 — 불과 일주일 사이에 비트코인 ETF에서 빠져나간 돈이야.
이건 “기관들도 일단 빠지자”는 신호야.
원래 ETF 자금은 장기 투자 자금이라 쉽게 빠지지 않는데, 이렇게 빠른 속도로 유출된다는 건 “리스크 회피 모드”로 바뀌었다는 뜻이야.
시장으로 치면, 엔진오일이 다 새서 차가 더는 굴러가지 않는 상태지.
2️⃣ 📉 –1억8,700만 달러, 11월 3일 하루 만에 빠져나간 규모야.
리테일(개인 투자자)이 먼저 공포에 휩싸였고, 기관까지 같이 팔기 시작한 거야.
하루 만에 이런 숫자가 찍힌다는 건 “공포가 숫자로 변했다”는 의미야.
ETF 자금이 빠지면, 단순한 차트 조정이 아니라 실물 비트코인이 시장에서 바로 팔리는 구조라서 즉시 가격이 내려가.
3️⃣ 🧨 –1억3,570만 달러, 같은 날 이더리움 ETF에서도 돈이 빠졌어.
BTC만 문제가 아니라 ETH까지 같이 빠진다는 건 “시장 전체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뜻이야.
비트코인이 중심이라면, 이더리움은 ‘시장의 체온계’거든.
이 둘이 동시에 식는다는 건, 시장이 전반적으로 냉각기에 들어섰다는 의미야.
4️⃣ 🏦 ETF 유출 → 현물 매도 직결, 이건 그냥 구조적인 공식이야.
ETF를 산 투자자가 ‘매도 버튼’을 누르면, ETF 운영사는 그만큼의 실물 비트코인을 시장에 내다 팔아야 해.
즉, 누군가 ETF를 팔 때마다 실제 비트코인이 시장에 던져진다는 거지.
그래서 ETF 자금이 빠질 때는 가격 하락이 즉각적으로 반영돼.
이게 바로 “ETF 유출 = 하락 가속 페달”인 이유야.
5️⃣ 🚪 OTC 거래량 27% 감소, 이건 기관들이 “이 가격엔 못 사겠다”는 뜻이야.
OTC는 장외 거래라 대형 기관이 조용히 사고파는 통로야.
보통 가격이 급등하면 OTC에서 먼저 매수해서 시장 가격을 안정시키는데,
지금은 OTC 데스크가 조용해. 매수 주문이 없다는 건, ‘받아줄 손이 없다’는 말이지.
결국 남은 매도 물량이 그대로 거래소로 밀려 들어오고 있어.
6️⃣ 🐋 6,326 BTC (약 9,700억 원), 11월 1일 하루 동안 고래가 Coinbase로 옮긴 물량이야.
고래들이 이런 식으로 코인을 거래소로 보낸다는 건 “이제 팔 준비한다”는 뜻이야.
보통 장기 보유자(OG)들은 OTC로 조용히 거래하지만, OTC가 막히면 거래소로 직접 던져.
이건 시장에서 가장 무서운 ‘매도 신호’ 중 하나야.
7️⃣ 💥 210,000 BTC, 10월 한 달 동안 채굴자들이 거래소로 옮긴 총량이야.
채굴자들은 코인의 ‘공급자’야. 그들이 코인을 내놓는다는 건 시장에 새로운 매도 압력이 생긴다는 뜻이지.
보통 상승장이 오기 전엔 채굴자들이 물량을 잠그는데, 지금은 반대로 “팔 기회가 있을 때 팔자”는 움직임이야.
이건 진짜 시장의 신뢰가 무너졌다는 증거야.
8️⃣ ⏳ 84.0% → 74.5%, 단기보유자(Short-term Holder) 중 수익권 비율이 이렇게 떨어졌어.
이건 ‘남은 투자자들도 손실 구간에 들어가기 시작했다’는 거야.
사람 심리가 그렇잖아, “수익일 땐 버티지만 손실 나면 공포를 느끼고 판다.”
지금 시장이 딱 그 심리선에 걸려 있어.
실현손실로 돌아서면 연쇄 매도가 나오고, 이게 ETF 유출과 맞물려 더 큰 낙폭을 만든다.
9️⃣ 🧮 $104,800,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야.
한 달 전만 해도 $121K였는데, 지금 13% 이상 빠졌어.
딱히 악재가 없어 보이는데도 이렇게 떨어지는 이유?
ETF 유출, 고래 매도, OTC 마비가 한꺼번에 겹쳐서 ‘하락 가속 루프’가 만들어진 거야.
$100K 지지선이 깨지면 공포심리가 폭발해서 “도미노 매도”가 나올 수도 있어.
🔟 🧭 금리 인상 확률 63%, 이건 거시경제 쪽 압박이야.
Fed가 “빠른 금리 인하는 없다”고 하니까, 달러 강세가 유지돼.
지금 원/달러 환율이 1,439원이야.
이건 전 세계 자금이 달러로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고,
달러가 강할수록 비트코인 같은 위험자산에는 돈이 안 들어와.
결국 유입은 막히고, 하락은 더 깊어진다.
💬 정리하자면,
ETF 자금이 빠져나가고, OTC가 멈추고, 고래들이 던지고 있어.
이건 그냥 조정장이 아니라 “돈의 순환이 역전된 구간”이야.
리테일은 공포에 팔고, 기관은 빠지고, 채굴자는 현금화하고, 남은 건 유동성 구멍뿐이야.
🚨 결론은 간단해.
ETF 유출이 멈추지 않는 한, 시장은 절대 오르지 않아.
지금 필요한 건 ‘욕심’이 아니라 ‘생존’.
지금은 버티는 사람보다 리스크 줄이는 사람이 이기는 구간이야.
[비트코인] 선택의 기로에 놓인 비트코인.. (25.11.04)안녕하세요 전업 트레이더 Dusk입니다.
8년차 현역 트레이더 | 전 Tradingview Top Author
2025년 누적 수익률 35,000% 달성 | 월별 손실 X
“제가 만약 매매로 돈을 벌지 못한다면요?
그 순간 제 인생은 끝났다고 얘기할게요”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 와 "부스트"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INANCE:BTCUSDT
⚪최근 흐름
비트코인은 25년 7월 상승을 시작했던 구간까지 되돌아온 모습입니다
이 구간내에서 미중 무역전쟁, 미국 정부 셧다운, 금리인하, 양적긴축 종료 등
많은 이벤트들이 존재했던 구간입니다
최근 파월은 "12월의 금리인하는 확정이 아니다" 라는 언급과
양적긴축 종료로 인플레이션 압박 등 앞으로 연말과 연초는 굉장히 어수선하고
큰 변동성까지도 고려해야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주요 레벨
다음은 주요 레벨입니다 설명할게 많기에 꼭 차근차근 곱씹어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첫번째 주요 지지 구간입니다
25년 6월 "전저점"을 부수고 한 층 더 내려온 상승 파동의 0.5 ($100K) 가격대로 보여집니다
이 구간은 $100K로 심리적인 지지까지도 함께 존재합니다
그러나 "누구나 보는 가격은 도달하지않거나, 한번에 지나친다" 라는 말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이 가격대는 기술적,심리적 지지구간이지만 누구나 예상 할 수 있는 구간이므로
이 구간에선 단기반등 혹은 바로 지나칠 가능성은 꽤나 높을것으로 보여져
매매를 하나로 묶어 1차 매수 후, 0.382에 추가 진입과 같은 개념보단
0.5에서 매매를 끝낸 뒤 다음 0.382 구간에서 다시 한번의 매매를 진행하는것이
보다 안정적일것으로 보여집니다
두번째 주요 지지구간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박스 하단을 지지해주지 못한다면
최종 목적지로 보고있는 구간대입니다
당시 평일이지만 CME의 운영시간 23시간중 장이 닫히던 단 1시간내
상승을 보이며 CME Gap이 발생하였고 이는 빈 가격구간 즉
기관들의 돈이 유입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구간이 발생하였다는걸 의미합니다
또한 항상 지지 및 저항이 발생하였고 중요하다고 말했던 구간 "0.382" 의 되돌림자리이며
바로 위 심리적 지지구간 $100K에서 매수받는 시장 참여자들이 많으므로
$90K ~ $94K 구간대를 최후의 방어선으로 보고있습니다
추가 브리핑 및 안내는 프로필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1월 4일 비트코인 분석 그래서 불장이라며?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비트코인 대알약 시나리오
비트코인은 6개월동안 100K 이상 월봉마감을 해주고있지만 이상한만큼 조용합니다
수많은 유튜버 채널에서 말하는 근거로는 92K / 98K 더 딥하게 40K 까지 보고 있습니다.
코인스쿨에서 보는 관점은 하락관점보다도 상승데이터 가 더 많다고 봅니다.
물론, 단기적으로 일부 고래가 매도세로인해 매도를 하고있어 단기적으로는 악재가 맞습니다.
이렇게 조용한 이유는 미체결약정이 아직 대기중이라고 고래들은 매집을 기다리고 있다고 보고있습니다
결국 건강한 바닥 다지기 구간이다
⭐️⭐️⭐️ 트레이딩 관점 + 심리
CRYPTOCAP:BTC 4시간봉
단기 반등후 상승채널 생성 후 예상시나리오까지 하락이 나왔습니다.
4시간봉 기준으로 파란색 박스위로 안착 해줘야 좋은 흐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결국엔, 중요한 자리가 될겁니다.
지금으로써는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자리로 보고 있습니다.
이 구간을 Fake out으로 본다면 이 하단부를 이탈하지 않고 상승 해야 합니다.
아직은 심리상으로도 어려운부분은 있지만 SL 손절가는 짧게 대응하고 있고 손익비 좋은자리에서는 큰 반등도 기대할 수 있다라는 믿음은 있습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단기저항 118.6K 돌파유무 공통 저항구간
해당구간에 막히게 되면 추가 하방 열어두세요
중요저항 113.5K / 115.8K
둘중 어디서 눌리더라도 111.4K 지지받는게 포인트⭐️⭐️
주요지지 105K 이 자리를 이탈하게 되면
103.5K - 104.2K 1차 하단
101k - 102k 메이저 매수⭐️⭐️
🔍🔍🔍 보유포지션
LONG 106,325 5만달러
(순환매로 평단가 조절)
11/4 미국 증시와 비트코인3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나스닥지수가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는 아마존 등 주요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강세에 힘입은 것으로, 아마존과 오픈AI가 380억 달러(약 54조 원) 규모의 컴퓨팅 파워 계약을 체결하면서 AI 관련주에 대한 투자 열기가 다시 높아진 영향으로 보입니다.
다만 연준 내 위원들 간에 향후 금리 인하를 둘러싼 의견 차이가 드러나면서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된 점은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두 달 연속 금리 인하 이후 완화 기대가 커졌지만, 최근 들어 매파 성향의 발언이 다시 부각되며 통화정책의 향방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하락하며 105K 부근까지 내려갔다가 106K 부근에서 가격을 형성 중입니다. 이후 반등에 성공해 107.4K 위로 회복하고, 110.5K와 200일 이동평균선 저항 구간을 테스트한다면 추세 전환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105K에서 강한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으나 하방 압력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 하락 위험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지선이 붕괴된다면 98.5K까지 하락 구간을 열어두고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거래하는 방식의 예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거래를 진행하면서 언제나 수익으로 거래를 마감하면 가장 좋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 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분할 거래를 통해 수익을 확정해 나가면서 거래를 유지하게 됩니다.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거래 내용에 따라 생각하다 보면, 한번 손실로 전환되었을 때 다시 수익으로 전환되기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거래를 진행할 때 매수 단가별로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꽤 귀찮은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그렇게 진행하지는 않게 됩니다.
-
차트에 표시한 부근에서 매수를 진행하였다면, 예상 매수 평균 단가가 현재 가격에 비해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게 됩니다.
따라서, 거래를 진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수 단가별로 거래를 진행해야 합니다.
1번과 2번의 매수 단가는 상당히 높은 가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3번의 매수 단가 부근에 현재의 가격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만일 수익으로 전환된다면, 3번 부근에서 매수한 금액만큼 매도하여 수익을 확정지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익으로 확정지은 금액만큼 1번이나 2번의 매수 금액에서 차감해 나가므로서 손실을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코인 시장은 소수점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거래 방식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매수 금액 단위로 거래를 진행해야 한다는 겁니다.
매수한 코인 갯수 단위로 거래를 진행하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3번 지점인 106431.68 지점에서 100 달러 매수하였다면,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도를 100달러 만큼 매도해야 합니다.
이러한 거래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하게 되면, 빠르게 손실에서 벗어날 수 있고 오히려 손실을 기록하는 중에도 수익이 발생하게 될 것 입니다.
-
거래를 진행하고 있는 종목(코인, 토큰)이 손실 중인 상태이든 수익 중인 상태이든 상관없이 변동성이 발생하게 되면 언제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굳이 거래 종목(코인, 토큰)을 늘려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
------------------------------------------------
그러기 위해서는
1. 1M, 1W, 1D 차트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두는 일 입니다.
2. 그렇게 작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으로 기본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3. 욕심을 버리고 거래 전략에 따라 분할 거래를 진행합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변동성 기간 : 최대 11월 10일까지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BTCUSDT 1D 차트)
이번 변동성 기간은 최대 11월 3일-9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중에서 첫번째로 11월 3일-5일사이의 움직임을 확인해야 합니다.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인 104463.99-108353.0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지만, 그 구간 내에서도 106431.68 부근에서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106431.68 지점은 DOM(-60)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
DOM 지표는 DMI + OBV +MOMENTUM 지표를 종합 평가한 지표입니다.
DOM(-60) 이라는 의미는 3개의 지표가 저점에 도달하였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상승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DOM(-60) 지표가 처음으로 생성된 이후에 가격이 상승하였다가 다시 DOM(-60) 지표를 터치하였다면 지지를 받지 못하고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만일 DOM(-60) 지표에서 지지 받고 상승한다면, 어느 정도 횡보를 보이므로서 지지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
그러므로,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106431.68-108353.0 구간에서 어느 방향으로 벗어나는지, 어느 지점에서 지지를 받는지 저항을 받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거래를 진행하는데 자신만의 기본 거래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이 대신해 줄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를 진행하여야 후회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의 기본 거래 전략은 DOM(-60) ~ HA-Low 구간에서 매수하고 HA-High ~ DOM(60) 구간에서 매도하는 것 입니다.
다만, HA-High ~ DOM(60) 구간에서 상승하게 되면 계단식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고, DOM(-60) ~ HA-Low 구간에서 하락하게 되면 계단식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 방식은 분할 거래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
DOM(-60) 지표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매수 시기에 해당되지만, 앞서 말씀드린대로 DOM(-60) 지표가 생성된 이후에 두번째로 DOM(-60) 지표 부근으로 하락하였기 때문에 추가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 입니다.
104463.99 이하로 하락하면서 추가 하락으로 이어진다면, 1M 차트의 M-Signal 지표를 만나면서 다시 추세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중요한 구간인 왼쪽 피보나치 비율 2.618(87814.27) ~ 왼쪽 피보나치 비율 3.14(93570.28) 부근에서 지지 여부입니다.
만일 가격이 하락하면서 HA-Low 지표가 새롭게 생성된다면, 그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가격이 상승 추세에 있던 하락 추세에 있던 거래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추세에 따라 거래 기간에 차이가 있을 뿐 입니다.
따라서, 자금의 흐름을 확인하고 현재 형성된 지지와 저항 지점에서의 지지 여부에 따라 거래가 가능한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중요한 지점이나 구간을 상향 돌파하여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1. StochRSI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과매수 구간으로 진입하지 않은 상태여야 좋습니다.
2. TC(Trend Check)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0 지점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좋습니다.
3. OBV 지표가 상승세를 보여야 합니다. 가능하면, High Line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좋습니다.
위의 3개의 지표를 만족할 때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OBV 지표가 EMA 3 > EMA 2 > EMA 1 > OBV 인 상태로 Low Line 부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매도세가 우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HA-Low 지표 부근에 위치해 있으므로 관심을 가지고 상황을 확인해야 합니다.
기본 거래 전략에 따라 DOM(-60) ~ HA-Low 구간에서 지지 받는다면, 매수 시기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 큰 그림에 대한 설명입니다.
(3년 상승장, 1년 하락장 패턴)
자세한 내용은 하락장이 시작되었을 때 다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BTCUSD(LONG)_매수유동성 청산후 반등가능성.비트코인은 10월27일 115.4k대의 오더블럭을 완화시키며 가격을 하락시키고 106.2k대에 EQL(Equal Low) 매수유동성을 형성시켰다.
이후 106.2k대에 밀집되어있던 매수유동성을 청산시킴과 동시에 105.6k의 오더블럭을 완화시켰고 가격이 반등하고 있는상황. 반등이 계속 이어져 111.2k를 돌파해 구조적전환(Choch)을 일으킨다면 가격은 한번더 고점갱신으로 향해갈 가능성이 있음.
결론ㅡ 111.2k를 돌파하여 구조전환(Choch)발생 시, 11월28일까지의 상승흐름을 기대할 수 있음.
비트코인 지금은 흔들리는 구간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아르키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최근 지속해서 상승과 반복을 큰 폭으로 오고가며,
심리적으로 공포감을 조성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냉랭한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날봉상 바라볼시, 106.2k 부근에서 지지라인이 형성되었는데
반등의 힘은 다소 약한 편이며,
반등을 하더라도 약 111.2k 부근에서 지속적으로 흔들리며
지속적으로 하락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현재 10월 말 부터
3일 연속 순유출이 집계되고 있습니다.
총 $15억달러가 유출되었는데요.
이는, 비트코인 ETF만 바라볼 경우
누적 순 유출이 약 11억 5천만달러가 집계되었습니다.
기관 투자자들은 이미 풋옵션을 통해 리스크를 헷지했거나
수익 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마련해뒀다는 점에서 단순 유출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같은 개인 투자자들은 해당 정보성은 알아보기 힘듭니다.
일부의 사소한 정보와 오로지 기술적 분석을 통해 느낄 수 있기 마련입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
해당 차트는 비트코인 1시간봉입니다.
아무런 작도도 하지 않았습니다.
MACD와 RSI 흔히 아시는 두가지 보조지표만 켜보았습니다.
여기서 제가 핵심 포인트만 체크해두었습니다.
MACD의 이격도가 벌어진 부분을 표시해두고,
RSI가 과매수가 겹치는 부분
이 부분이 동시적으로 나온다면 변곡의 방향성을 우리는 알 수 있기 마련 입니다.
현재는 이격도가 어느정도 벌어진 것 같지만 아직 진행중이다. 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착안하여 진입을 한다고 해도 조금은 기다려볼만 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는 비트코인 주봉입니다.
위에서 1시간봉으로 보았다면, 같은 느낌으로 더욱 멀리서 바라보겠습니다.
이는 이전 게시글에도 올려드린 싸이클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앞서 보신 것 처럼 MACD의 이격도가 벌어지고,
동시에 과매수인 부근에서 데드크로스가 일어난다면
대부분 변곡이 90% 발동합니다.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바라보면,
어느정도 MACD의 이격도가 벌어졌으며 하락이 진행중 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비트코인은 추가적인 하락이 나와도 전혀 이상할게 없다.
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시장은 결코 100% 정답이 없습니다.
정답이 있었다면 누구나 다 쉽게 돈을 벌 수 있었을 겁니다.
가장 중요한건 여러가지 근거를 종합하여,
나만의 명확한 근거 그리고
그에 따른 대응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합니다.
여러분들의 성장하는 트레이딩을 응원하며,
그 방법은 저 또한 이러한 관점을 올려드리면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항상 인사이트를 제공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예상전략 -3차 메모 -------------------------------------------------------
개인적인 분석 및 매수 매도 일지입니다 .
참고만하시고 따라서 투자는 하지마세요.
-------------------------------------------------------
저번 2차 메모에서
1차 변곡에서 하방을 살짝 깻다가 다시 돌파하여
2차변곡을 향해가다가 갑자기 유턴을떄림
하이힐 패턴이엿는데
그래서 2차 변곡을 바로갈까 싶엇는데
일목 상단을 자꾸 비비는 모습에
숏포지션 109.9k 오픈하여 현재 유지중
지금또 여러 지점이 교차되는
중요한 변곡 지점에 들어온것으로 판단되는데
하방으로 돌파진행시 조금 더 깊게 갈수도 있을거같음
전고 돌파까지 생각하고있다면 중요한 라운드 피겨 금액대인
10k를 한번 깨고 롱을 한번더 싹털고 가지않을까..
1차 롱 타점을 깨고 2차까지 가지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봄
10/17 하단 기준으로 전고 최상단까지 약 17%
10/27일 상단기준으로 하단 17%
약 9.5k대임
뭐 엘리어트 파동 피보나치 이런건 다른 형들이 많이 설명 해줫으니
그냥 다알거라고 생각하고 생략 * 카운팅 귀찮아서 아님 다하고있음
다른 관점을 제시하자면 크게 대 파동으로 하락N 파동으로 보고있음.
원래도 9.5 ~9.7k를 중요한 타점으로 생각하고있엇는데
만약 1차변곡점에서 2차를 바로가서 찍고 밑으로빼면 솔직히
롱 시즌아웃까지 갈거로 보고잇엇는데
2차변곡을 터치안하고 밑으로 뺴니 반등 지점 잘잡아서 롱오픈하면
전고 꺠러 가지않을까 싶음..
여기도 진짜 고수형들 많고
전문가형들 많던데 논리적으로 전문가 처럼
하나하나 설명드리고싶지만..
저는 그냥 차트충이라서요.
근거를 더 대라면....음.. ?
일단 현재관점은 숏 -> 이후 전고까지 크게가는 롱 이렇게 희망하고있음
좋은밤되십숑.
세줄정리
1.숏포지션 개꿀띠
2.이번에는 좀 깊게 뺄수도 ..있겟다
3.싹털고 전고돌파까지 함가자 ~ 가즈아!!
-끝-
[차플]암호화폐 시장 분석 - 유동성의 착시, 코인 시장을 멈추게 하다안녕하세요, 차플입니다.
"늘 그렇듯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지금 이 순간, 수많은 변수 속에서 '경제적 자유' 라는 목표를 향해 묵묵히 걸어가고 계신 우리 트레이더 여러분의 노력과 인내에 '진심으로 박수'를 보냅니다.
*캔들, 거래량, 모멘텀, 구조, 프랙탈(심리)에 의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시장을 분석하고 대응하고 있습니다.
----------------------------
"암호화폐 시장만 빼고 불장이다"
이 말이 지금 시장의 분위기를 잘 대변합니다.
최근 비트코인을 비롯한 코인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그 원인은 단순한 기술적 흐름이 아니라 거시경제 정책 변화 에 있습니다.
QT(양적 긴축) 조기 종료 선언
연준은 이번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예상보다 빠른 QT 종료를 공식화 하며, 일시적으로 유동성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위험자산 전반에 호재로 해석될 수 있는 정책 조정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이는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니라, 시장 내 유동성이 이미 부족하다는 신호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QT 종료 = 유동성 공급이 아니다
QT를 멈춘다고 해서 유동성을 곧바로 공급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즉, 이번 발표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겠다” 가 아니라, “유동성 감소를 멈춘다” 는 수준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QT 종료는 긍정적인 신호처럼 들리지만, 실질적인 유동성 공급과는 다릅니다.
특히 연준은 간접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성장은 견조 하며, “AI는 닷컴 버블과는 다르다, 거품이 아니다” , 등 주식시장에 우호적인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그 결과, 한정된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몰리게 되었고, 상대적으로 코인 시장의 자금 유입 매력은 크게 떨어진 상황입니다.
지금은 시장 유동성이 부족한 구간이며, 코인 시장은 이 영향으로 단기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동성이 시장으로 다시 돌아오기까지는 분명히 시차가 존재합니다.
코인 시장은 본질적으로 ‘숏 커버링’(공매도 청산) 에 의한 반등 의존도가 매우 높은 시장입니다. 즉, 단기 급락 이후 한 번의 강한 반등이 나와야 시장이 안정되는 특징이 있죠
"이 조건이 성립되려면 107k 구간이 무너져야 할 겁니다."
그리고 107k가 붕괴되더라도 시장이 끝이 아닌, 숏 커버링에 따른 단기 반등 가능성 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는 유동성이 부족한 구간 이며, 코인 시장은 조정 국면에 있습니다.
따라서 무리한 매수보다는 시장 흐름을 준수하며 리스크 관리 중심의 대응 이 요구됩니다.
그리고 유동성이 시장으로 다시 돌아오기까지 “시간”이라는 시차 가 존재함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스스로의 기준에 맞는 전략 수립은 훌륭할 수 있겠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건 내 기준의 관점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맞았을 때 "얼마나 크게 가져가고", "틀렸을 때 얼마나 작게 잃느냐" 겠죠.
나의 기준은 흔들릴 수 있어도, 트레이더의 본질 은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위기의 순간, 용기와 함께 가진 현금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것처럼, 우리가 지켜야 할 건 ‘시장에 살아남는 힘’ 입니다.
"시장은 언제나 기회를 줍니다."
그 기회 앞에서 두려움 대신 준비된 자신으로 설 수 있다면, 결국 승자는 여러분이 될 것입니다.
언제나 여러분 편에서, 행운이 함께하길 바랍니다.
차플 드림
----------------------------
💬 코멘트, 🚀 부스트, 🔔 팔로우는
더 빠르고 깊이 있는 인사이트 공유에 큰 도움이 됩니다!
11/3 오후 비트코인 시황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107K까지 하락한 후 107.4K 위로 다시 회복한 상태입니다.
이대로 지지를 유지하며 반등에 성공한다면 110.5K와 200일 이동평균선(200MA) 부근에서 저항 테스트를 시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해당 구간을 돌파하고 113.4K 위로 안착한다면 117.2K 저항 테스트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하락 관점에서는 105K 부근에서 다음 지지선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추가 하락이 이어질 경우 98.5K까지 하락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비트코인 여기 뚫리는지 잘 보세요
큰 그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비트코인 주봉 로그 차트인데, 현재 노란색 중장기 상승 추세선의 지지 구간을 테스트 중이며, 이탈 시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아지는 구간입니다.
조금 더 가까이 들어가서 비트코인 일봉 차트를 보면, 고점은 비슷한 가격대에서 형성되고 저점은 점점 높아지는 어센딩 트라이앵글 형태로 흘러가다가 현재 수렴 하단 이탈을 시도 중입니다.
매물대 관점에서는 10.6만~10.7만 달러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저점을 만들어왔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이 구간이 뚫릴 경우 추가 하락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또한 어센딩 트라이앵글 하방 이탈 시, 10월 17일에 만들어진 저점(이전 POC와 0.886 되돌림 구간)을 지켜주는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해당 구간은 빨간색 박스로 표기했습니다.
하락 강하게 저낵되다면, 더 큰 그림에서의 지지구간은 99690~100310과 97380~ 98020 입니다.
반대로 상승 시 저항 구간은 최근 돌파된 흰색 추세선 리테스트 구간과 11.4만 달러 부근 LVP 매물대(114,060~114,620달러) 입니다.
돈은 이미 풀렸는데 왜 안 오를까? — 진짜 문제는 ‘유동성(Liquidity)의 방향(Direction)’이 아니🔥 “돈은 이미 풀렸는데 왜 안 오를까? — 진짜 문제는 ‘유동성(Liquidity)의 방향(Direction)’이 아니라 ‘속도(Velocity)’다💣”
요즘 시장 분위기 진짜 이상하지?
연준(Fed)이 QT(Quantitative Tightening, 양적긴축) 멈춘다 하고, 금리(Rate)도 내리고 있는데…
비트코인(Bitcoin)은 왜 자꾸 미끄러질까?
이건 단순한 조정(Correction)이 아니야.
돈이 ‘얼마 있느냐(Quantity)’보다 ‘어디로(Where), 얼마나 빨리(How fast)’ 가느냐가 완전히 달라지고 있는 중이야.
(이어서 계속👇)
1️⃣ 💵 $1조 1억 달러, TGA(Treasury General Account)에 갇힌 ‘잠자는 돈’.
미 재무부(Treasury) 계좌에 쌓인 돈이 1조 달러를 넘어섰어.
QT 멈췄다고 해도 이 자금이 시장(Market)으로 흘러나오지 않으면 유동성은 갇힌 거야.
쉽게 말해, 연준은 수도꼭지(Faucet)는 열었는데, 재무부가 호스(Hose) 밸브(Valve)를 꽉 잠가놓은 셈이지.
2️⃣ 🏦 SRF(Standing Repo Facility) 503억 달러, 사상 최대치(All-time high) 경신.
10월 말 기준, 은행(Banks)들이 단기 유동성 확보를 위해 SRF를 쓴 금액이 역대 최고야.
이건 “돈이 있다”는 신호가 아니라, “숨 막힌 곳에서만 돌고 있다”는 신호야.
한쪽은 목말라 죽는데 다른 쪽은 물이 넘치는 구조야.
3️⃣ 📉 RRP(Reverse Repo) 520억 달러, 팬데믹(Pandemic) 이후 최저.
2022년엔 2조 달러가 넘던 역레포 잔액이 지금은 520억 달러 남았어.
완충장치(Buffer)가 사실상 증발했어.
이제 새 돈(New Money)이 들어오지 않으면, 시장은 제로금리(Zero-rate) 시절처럼 버티기 어렵다는 얘기야.
4️⃣ 🇺🇸 셧다운(Shutdown) 35일째, 11월 16일 이후 종료 확률 49%.
6주째 예산 협상(Budget Negotiation)이 교착 상태.
공무원(Federal Workers) 67만 명 무급휴직, 경제활동 둔화, 데이터(Data) 집계 중단.
정치(Politics)가 멈추면 돈의 흐름도 멈춰.
셧다운은 지금 ‘유동성 병목(Liquidity Bottleneck)’의 핵심이야.
5️⃣ 📊 M2 통화량(Money Supply) $22조 2,125억, 전년 대비 +4.5%.
숫자만 보면 돈이 늘어난 것 같지만, 대부분은 정부 부채 상환(Debt Repayment)과 회계 조정(Accounting Adjustment)에서 나온 증가야.
시장에 돌 돈(Circulating Liquidity)은 아니라는 거지.
진짜 돈은 ‘시중(Main Street)’이 아니라 ‘장부(Ledger)’에만 있어.
6️⃣ 🔥 QT 종료 D-Day, 12월 1일.
연준이 드디어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축소를 멈춰.
“긴축 사이클(Tightening Cycle) 끝났다”는 신호야.
하지만 QT가 끝난다고 바로 QE(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 로 넘어가진 않아.
아직은 ‘돈을 푸는 게 아니라, 더 이상 걷지 않겠다’ 수준이야.
7️⃣ 📆 11월 13일 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시장을 뒤집을 변수(Variable).
이번 CPI는 10월 물가가 둔화됐는지를 확인하는 자리야.
예상치는 2.8%, 만약 이보다 낮게 나오면 ‘연준 피벗(Fed Pivot)’ 이 확정되고,
그 순간 시장의 머니플로우(Money Flow)는 채권(Bonds) → 리스크자산(Risk Assets, 주식·코인)으로 꺾일 거야.
8️⃣ 💰 1조 2천억 달러, 연금(Pension)의 블랙홀(Black Hole).
미국 주·지방 연금 부족액이 $1.2조야.
이건 단순한 부채(Debt)가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Promise to Future Generations)”이야.
결국 정부는 찍어내서(Money Printing)라도 메워야 해.
이게 바로 비트코인 같은 비중앙 통화(Decentralized Currency) 에 프리미엄(Premium)이 붙는 근본 이유야.
9️⃣ 🧩 공포탐욕지수(Fear & Greed Index) 42, 김치프리미엄(Kimchi Premium) 4.1%.
시장 전체는 ‘공포 모드(Fear Mode)’인데 한국 자금(Korean Capital)은 오히려 버티고 있어.
이건 재밌는 신호야.
한국이 글로벌 유동성(Global Liquidity)의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 역할을 할 때가 많거든.
‘폭풍 전의 고요(The Calm Before the Storm)’일 가능성이 크다.
🔟 🚀 내 결론(My Take): 지금은 ‘버티는 자가 이기는 게임(Hold to Win)’이야.
QT 종료(12/1) + 셧다운 해소(11월 중순) + CPI 둔화(11/13)
이 세 타이밍(Timing)이 겹치는 순간,
유동성의 방향(Direction)은 아래에서 위로 터질 거야.
지금은 돈이 없는 게 아니라, 아직 움직이지 않았을 뿐(It Just Hasn’t Moved Yet) 이야.
그리고 그 ‘움직임의 순간(The Moment of Motion)’을 견디는 게, 이번 사이클의 진짜 복리(True Compound Growth)야.
요약하자면 지금 시장은 ‘돈이 말라버린(Dried Up)’ 게 아니라 ‘돈이 갇혀 있는(Trapped)’ 상태야.
SRF·RRP·TGA 세 지표(Indicators)가 그걸 증명하고 있지.
유동성은 곧 터질 거고, 그때 코인은 다시 중앙은행(Central Bank) 의 거울처럼 움직일 거야.
“QT는 끝났고, 돈의 속도(Velocity)는 곧 방향(Direction)을 바꾼다.” 🚀
11월 3일 비트코인 10월 건강한 조정 11월 건강한 상승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비트코인 대알약 시나리오
11월의 시작 과연?
10월은 하락은 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미 파월은 QT 중단을 시사했다는게 중요하다, 그것은 결국 2026년도에도 비트코인의 하락을 보기보다
유동성의 확장이 되었다 결국 2026년도에서 큰 상승의 가능성은 매우 높아졌다
따라 + 골드도 5000달러까지도 갈 수 있는 근거도 되었지만 골드보다는 비트코인이 유리한 시점이다
CRYPTOCAP:BTC 4시간봉
주말동안은 박스권에서 횡보로 길게 이어지면서 중요한건 단기 변동성의 확률이 많이 높아졌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빨간색 시나리오로 보면서 형광색 박스 부근에서 지지받게되면 매수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결국엔, 중요한 자리가 될겁니다.
쉽게말해서 해당구간을 터치해줘야 좀 더 상승힘이 강해진다 라고 이해하시는게 쉬울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봐야하는 구간⁉️⁉️
단기저항 111.4K 돌파 유무 확인
해당구간 돌파 못한다면 주말까지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수 있음
중요저항 113.5K / 115.8K
둘중 어디서 눌리더라도 111.4K 지지받는게 포인트⭐️⭐️
주요지지 108K - 109K⭐️⭐️⭐️
106.9K - 107.5K 여기마저도 이탈하게되면 103.5K - 104.2K 이하까지도 이제는 봐야하기때문에 비중관리가 필요한 시점
⭐️⭐️⭐️ 트레이딩 관점 + 심리
주요지지라인 아랫꼬리로 108K 터치는 상승관점으로 볼때는 마지막 최후의 보루라고 생각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국에는 지금 상황에서 지겨운 횡보가 이어지고 있는데 꼭 본인 포지션에 신경써야 하는 부분입니다
중장기적으로 108K 핵심입니다
🔍🔍🔍 보유포지션
LONG 108,346 3만달러
(추가하락까지 나올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