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3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지지 구간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주의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23일 목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차트상 주요 내용을 정리 해보겠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전체적으로 음운이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이며
3주 차트 MACD 데드크로스 눌림구간까지 유지가 되고 있는 중 이기 때문에
강항상승의 자리는 어떠한 강한 힘이 없는 이상
다소 무리가 있는 자리로 보입니다.
3주봉차트는 다음 주 월요일에 새로운 캔들이 생성이 되면서 각인이 될 가능성이
높은 자리로 각 인 이 후 의 움직임이 중요 할 듯 합니다.
비트코인이 현재 구간에서 단기파동으로 각 시간대 음운의 구멍을 메워주는 구간은
108,943 구간으로 이 구간을 메운 후의 움직임이 중요 할 듯 합니다.
일목균형표상의 구멍을 메워 준 후 버텨 준다면 다음 저항은 109,826 자리이며
이 구간은 30분 1시간차트의 저항선 및 2시간 3시간 4시간 차트까지의 음운의 저항구간이
포함되어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이 구간을 넘겨줄 수 있을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움직이는 차트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저항을 맞고 무너지기 시작 한다면 주의하셔야 하는 자리들은
현재는 괜찮으나 지지구간이 무너지면서 차트의 움직임이 바뀌는 자리에서
12시간 차트까지 MACD 눌림구간이 출현 하면서 강하게 눌림이 나올 수 있는 구간들 입니다.
지지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104,464 구간의 각 시간대 지지선의 지지구간에서
반등여부를 확인 하셔야 하며 이 구간은 강하게 지지받지는 못하나 버틸 수 있는
힘은 제공이 되는 자리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지지여부를 체크 하셔야 합니다.
최대 바텀구간에서 전저점인 102,160 자리까지 꼬리 밀릴 수 있으며
이 구간은 주봉차트의 지지선이 포함되어 있는 구간입니다.
중요한 내용은 만약 106,108 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하락 추세의
위험까지 가지고 갈 수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지지 여부는 굉장히 중요한 자리입니다.
또한 지지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계속 말씀 드렸던 99K 까지도 열려 있는 구간이니
이 구간은 중요 지지구간으로 체크 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현재 전체적인 하락우위패턴을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이며
3주봉차트 MACD 및 12시간차트까지 MACD 눌림들이 지속 되고 있습니다.
3주봉차트는 다음주 월요일 새로운 캔들이 생성이되며 계속 괴롭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만큼 내렸음 올라가겠지??" 라는 생각은 버리시고
차트의 움직임에 따라서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아직까지 8시간차트까지 지지선이 살아있으며 전저점의 지지구간도 존재합니다
99K 까지는 지지라인이 두터운 자리이기 떄문에 급하게 보시는것보다는
여유를 가지고 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거래 아이디어
10월 21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저항에서 못버티면 하락파동이 생성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21일 비트코인 오전관점 공유 드립니다.
20일 비트코인의 움직임을 보시면 지지구간에서 지지 받으며
어느정도의 상승분은 나왔지만 시원한 움직임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상단에 음운이 두껍게 유지가 되고 있는 구간이며 이에따라 뚫고 올리기에는
많은 힘이 필요한 자리이지만 어제 설명에도 말씀 드렸지만 힘이 많이 빠진 상태 입니다.
현재 자리에서 주용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 해보겠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지지를 받는다면 상단에 저항구간으로는 111,958 구간의
6시간 저항선 및 4시간 양운이 두꺼워 지는 구간의 저항구간을 주목하셔야 합니다.
이 저항을 넘긴다 하여도 6시간8시간 12시간 일봉차트까지 음운 저항이 모여있는
탑구간의 114,155 구간은 강한 저항구간 이 될 수 있는 자리이니 주의 하셔야 합니다.
각 시간대 저항선 및 중앙선이 아직 버티고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상단에
저항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이 구간들을 하나씩 부시지 못한다면 다시 조정이 내려 올 수 있는 자리이며
다음과 같이 경우의 수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비트코인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109,856 구간에서 지지 받아야 합니다.
109,856 구간은 각 시간대 지지선 및 2시간 중앙선 3시간 양운의 지지구간이 뭉쳐있는
중요 구간 입니다 이 구간을 이탈하면서 눌림이 나온다면 비트코인은
각 시간대 MACD 눌림이 나오면서 하락에 대한 가속화가 이뤄질 수 있는 구간 입니다.
그 구간의 기준점을 108,628 자리로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4시간차트까지의 중앙선 및 모든 단기캔들의 양운이 모여 있는 구간이며
이 구간까지 눌림이 나오게 된다면 4시간차트부터 순차적인 MACD 눌림이
나오면서 최대 바텀구간까지 조정이 나올 수 있습니다.
106,102 구간의 바텀구간은 4시간차트까지의 지지선의 반등구간이기는 합니다만
12시간차트의 MACD 눌림이냐 각인이냐에 따라서 움직임이 달라 질 수 있는 구간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차트 흐름에 대해서.. (비트코인 차트)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하는 MASTER.P입니다.
오늘은 차트가 갖고 있는 흐름에 대해서 간략히 말씀 드려 보려고 합니다.
재밌게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차트에서 보여지는 캔들은 매수와 매도에 의해 그려지는 행적을 나타냅니다.
이 차트에 지표를 사용하며 흐름을 파악하는 트레이더도 있지만 저는 움직임으로 흐름을 파악하는 트레이더중 하나입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파동은 엘리엇파동과는 다른 사용목적의 내용입니다.
이것으로 대파동과 중파동 소파동을 찾아내어 작도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체크하여 현재부터 다음 파동을 예측하는 트레이딩을 하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말씀 드린다고 했는데 벌써부터 글자수가 많은거 같네요
대파동을 표현했습니다.
캔들은 삼각형의 파동의 형태로 움직이며 이것을 크게 나타내어지는 것을 대파동 그다음 중파동 그다음을 소파동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말이죠..
이런 기법을 사용하는 사람은 못봤지만.. 저는 이것을 눈으로 봤고 연구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에너지(파동)의 형태는 일정합니다.
대 중 소 전부다 존재합니다.
이것을 시간봉 분봉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현재 보고 있는 차트에서도 대중소를 나눌수있다고 말씀드리는 것이죠.
이 방법을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 움직임을 파동의 크기로 예측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방법으로 비트코인 흐름을 파악해 보겠습니다.
대파동은 좀더 직관적으로 보여드리기 위해 원형으로 표시했습니다. 검정색은 하락파동
빨간색은 상승파동입니다.
그 안에 세부적인 지표지그재그같은 느낌의 선이 보이실텐데 이것을 저는 중파동으로 체크해 놓은 것이며 이것을 활용하여 저점을 높였는지 고점을 낮췄는지를 확인했습니다.
현재 파란색 중요 전저점을 하락돌파 하지 못하고 지지를 받아주면서 아직 고점이 낮아진 형태의 중파동이 완성이 되지 않았으니 상승추세가 꺾이지 않았다 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중파동을 소파동이 만드는 것이니 소파동을 체크하여 좀더 다이나믹한 움직임까지 파악할 수 있지만 신뢰도적인 면에서는 중파동이 가장 좋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현재 비트는 111.2K~111.7K의 전 중파동고점을 올라타고 저점을 올려준다면 한개의 파동(삼각형이 완성)은 다시 상승이라는 것을 알수 있게 됩니다.
TIP :
◆고점을 낮추는 하락추세 중일때 저점을 올리는 중파동이 나온다면 이것은 강력한 추세전환 신호로 봅니다.
◆저점을 올리는 상승추세 중일때 고점을 낮추는 중파동이 나온다면 이것은 강력한 추세전환 신호로 봅니다.
글 내용에서 도움이 되실 내용이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고생많으셨습니다.
10월 20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현재 중요한 자리 입니다!! 하락이냐 상승이냐의 갈림 길!!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20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현재 비트코인 움직임을 보시면 저번 주 금요일인 17일 남겨 드렸던 내용 중에
빠르게 터치하고 복구 파동에 대한 말씀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생각해던것 보다 하락파동이 덜 나와 주었고 이에따라
메인 지지구간을 터치 하지 못한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복구 파동이 나왔어도 안전하게 자리 잡지 못하면서
현재 위치에서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현재 8시간차트의 MACD 골든크로스 12시간차트 골큰크로스 대기 순서이지만
이 구간을 이탈하게 된다면 위험 할 수 있는 자리이기 입니다.
이에 따른 주요 내용을 정리 해보겠습니다.
1. 현재 볼린저밴드 4시간 저항선 및 6시간 중앙선의 저항구간에 걸려 있습니다.
현재구간에서 음운의 저항구간 및 볼린저밴드 저항선에 걸린 비트코인 입니다.
이 구간에서 버티면서 음운의 저항구간의 힘을 약하게 만들어야 하는 자리이기도 하지만
현재는 힘이 많이 빠진 상태라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2. 음운이 아직까지 유지가 되고 있는 시간대에서의 저항구간을 생각 하셔야 합니다.
상단에 110,195 구간은 각 시간대 음운의 저항구간 및 볼린저밴드 중앙선이 버티는 구간입니다.
비트코인이 버티면서 올린다 하여도 이 구간을 돌파 또는 버팀이 나올 수 있는지를
체크 해봐야 하는 중요한 자리가 됩니다.
3. 하단의 107,346 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다시 MACD 눌림구간이 형성이 되며
강한 조정이 다시 나올 수 있는 패턴을 만들게 됩니다.
107,346 구간이 무너지게 된다면 30분 지지선 1시간 중앙선의 볼린저밴드가 무너지게 되며
8시간차트 MACD 골든크로스까지가 다시 눌림상태로 바뀌게 되며 하락우위로 패턴 자체가
바뀌게 되는 구간이니 이 구간 참고 부탁 드립니다.
4. 하단에 메인 지지구간은 아직까지 99K 에 잡혀 있습니다.
하단에 메인 지지구간은 주봉차트 지지선 및 각 일별차트 양운의 지지구간인 99K 입니다.
이 구간을 터치하게 된다면 메인 지지구간을 터치 하게 되는 자리이니 이 구간을
기다리시는 자리도 좋아 보입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90~95k 를 보는 이유, 어느 쪽에 배팅 하시겠습니까?1. 불장을 위한 단순 가격조정이다 VS 2.역사대로 3년상승 후 조정의 시작이다.
2에 무게를 두는 근거를 이야기 해보자.
125.7K 부근의 고점상승이 ABC로 나오면서 엔딩의 마지막 5파라고 거의 확신하였다.
차라리 올라가지말고 ABC로 100K인근까지 떨어져 줬다면 임펄스 1파 이후 2파라고 봤을텐데
저 고점갱신의 의미는 엔딩다이아고날 완성파동으로 보고있다.
현재 하락파동은 ABC한 파동이고 임펄스는 아니다.
그래서 만약에 115K이상 상승하지못하고 다시 떨어진다면 리딩 다이아고날 하락1 파 또는
4시간봉 더블 다이버전스가 걸리면서 전체 하락 ABC파동에 대한 엔딩이 나올 수 있다.
여기서 공통 롱구간이 나올만 하다.
만약 여기서 엔딩 OR 리딩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엔딩이라면 새로운 임펄스가 포모가 올만큼 나올것이고, 휘청휘청 ABC가 나온다면
새로운 폭락을 위한 반등파동임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러나 저러나 좋은 롱타점은 한번은 줄 것같다.
이더리움 또한 상승 1사이클이 다 나왔으며 지그재그 조정중이다.
현재 수렴구간이 아닐까 추측중이고, 수렴후 하락했을때 0.5구간쯤에서 현물매수를 들어갈만하고,
여기까지 온다면 비트 또한 90K~95K 언저리가 될 것같다.
*저는 신이 아닙니다. 틀릴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
BTCUSD 10월 17일 비트코인 Bybit 차트분석입니다.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워"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제 분석글이 도움되는경우
비트코인 30분차트입니다.
오늘 나스닥 지표발표는 없구요.
비트는 어제 오늘 나스닥과 커플링되면서
강제 하락중입니다.
추가 하락가능성이 높은자리에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하늘색손가락 이동경로시
양방향뉴트럴
숏->롱 스위칭 또는 최종 롱대기 전략
1. 106,728.7불 숏포지션 진입구간 / 핑크색 저항선 돌파시 손절가
2. 103,375.7불 롱포지션 스위칭 / 초록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3. 상단에 Top구간부터 순서대로 롱포지션 타겟가
106.7K 숏 진입자리 터치없이 바로 내려올경우
하단에 Bottom구간에서 최종 롱대기인데요
Bottom 자리는 전저점이 깨지는 쌍바닥구간이되며
제일 하단에 표시해드린 98514.5불까지
아래꼬리가 밀릴수있기때문에 지정가를 걸어두시는것보다
5분봉 추세전환 확인이후
롱포지션 스위칭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무엇보다 나스닥 움직임이 제일 중요해보이는데요.
중요한순간마다 폭락하는 나스닥과
커플링되는 비트가 야속하지만 지금까지 단 한번도
코인시장이 쉬웠던적은 없는거같습니다
적어도 실거래를 하신다면
누군가는 손실일때 다른누군가는 수익을 내는 시장에서
포기하면 나만 손해겠죠.
이럴때일수록 정신 바짝차려서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운영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번주도 고생많으셨어요
감사합니다.
반등하는 비트코인? 수요 없음 온체인 데이터 진짜 반전만 잡아라안녕하세요 반포자이입니다. 이번에 분석해드릴 내용은 온체인데이터
간략하게 먼저 말씀드리자면, ⚠️ “반등? 글쎄…” 지금 비트코인, 수요가 없다가 진짜 포인트
차트는 살짝 고개 드는데, 매수세(수요)가 비어 있다
데드캣 반등일 수도 있다는 경고등이 동시에 켜졌다
이번 주(데이터 흐름) 중요. 괜히 성급히 올인하지 말자
전저점 부근·피보 0.786~0.886 구간에서 기술적 반등만 확인
거래량 빈약, 수요 공백, 투심 냉각 → “진짜 바닥” 근거 부족
전저점 미이탈이라 추가폭락 단정은 이르다
다만 거래량 부재 + 오더북 하단(≈100K 아래) 매수 대기 위주 → “싸게 받자” 심리 강함
상승 전환 요건: 연속성 있는 매수 수급 + 거래량 확대 + 펀딩 정상화가 동시에 필요
📊 온체인 데이터
1. 고래 유입: 신규 고래 지갑 매집↑, 기존 장기보유(고령 고래) 분할 매도 → 손바꿈 진행
2. 단기보유자(SPR/155일 미만) 손실구간 진입(통상 반등 포인트) 이나, 수요가 붙지 않음
3. 거래소 평균 입금량(바이낸스) 10/10 이후 급증→최근 둔화(매도압 완화), 주말 후 재확인 필요
4. 순유출입 저점 부근 특유의 강한 출금(매집) 신호 부재 → 지쳐 있음
5. 펀딩비 글로벌 중립~약양수, 바이낸스만 지속 음수 → 파생 투심 붕괴, 롱 의지 약함
6. 미결제약정(OI) 크게 안 늘어남. 반면 레버리지 비율↑ → 투기성 비중↑·변동성 재확대 위험
7. ETF/펀드 흐름 최근 5영업일 중 4일 순유출 발생(이례적이진 않으나 탄력 상실 신호)
채굴자 MPI 10/10 변동 이후 안정, 대량 추가매도 흔적 미약
바이낸스 FUD 출금 피크(10/11~15) 후 진정. 파산 우려와 별개로 신뢰 · 투심은 아직 냉각
🎯 3가지 시나리오
A. 기술적 반등(데드캣) 후 재하락
조건: 펀딩 음수 지속(특히 바이낸스) + OI·현물 유입 미진
액션: 반등 시 저항대 분할청산, 신규매수는 지지 재확인 후
B. 박스권 재축적(시간 조정)
조건: 고래 순매집 유지 + 채굴·ETF 순유출 둔화 + 변동성 축소
액션: 현물 DCA 유지, 파생은 저레버
C. 추세 복구(진성 반전)
조건: 연속 양봉+거래량 확대, 펀딩 정상화(양수 전환·과열 아님), 거래소 순유출 증가
액션: 돌파-지지 전환 확인 후 추격(분할), 실패 시 즉시 손절
⚠️ 주의할 점
텅 빈 오더북 구간에서 휩쏘/스파이크 빈발 가능
레버리지 유동성 낙차 → 1~2캔들 급락/급등 함정
거래량 없는 양봉은 신뢰도 낮음(되팔이 반등 비율↑)
10월 17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조심하셔야 합니다!! 99k 까지 열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17일 금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공유 드립니다.
15일 설명 드렸지만 각 일별차트 캔들이 생성이 되면서 일목균형표 상 양운의
눌림은 더 가파르게 눌러 주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중요한 몇 가지를 나열 해보겠습니다.
현재 3일 차트의 양운이 유지가 되고 있으며 아직까지 버틸 수 있는
힘이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107,426 자리가 무너지면 안됩니다.
3일차트 양운이 음운으로 바뀌기 위해선 최소 다음 캔들이 생성되거나 하방으로
강하게 눌림이 나와야 음운으로 바뀔 수 있는데 만약
음운으로 바뀌기 위해 강하게 눌림이 나온다면 최대 99k 까지도 눌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99k 에 위치한 지지구간들은 각 일별차트의 양운의 지지구간 및
주봉차트 지지선까지 포함이 되어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강한 지지구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이 구간까지 빠른시간에 터치 하게 된다면 비트코인은 복구 파동이
강하게 나오면서 강한 상승으로 바뀔 수 있는 자리이니
이 구간은 유심히 보셔야 하는 자리 입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107,426 구간을 지지 해준다면 상단에 저항구간인
110,168 구간의 단시간의 저항구간에서만 버텨 준다면 상승의 힘을 키울 수
있는 자리이니 이 구간을 주목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만약에 강하게 반등하면서 112,003 구간의 각 시간대 중앙선의
저항구간까지 올려 버린다면 조정이 강하게 나올 수 있는 자리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Kyu] 비트 싸이클 장기 관점 (비트 주봉 로그차트)| 사이클 | 시작~정점 | 상승률 | 소요기간 | 하락률 | 반감기 구간 |
| :-----------: | :------------------- | :------------: | :------: | :----: | :--------------- |
| 1차 사이클 | 2011.10 ~ 2013.11 | **+51,116%** | 770일 | -86.9% | 2012 반감기 |
| 2차 사이클 | 2015.01 ~ 2017.12 | **+12,838%** | 1,064일 | -84% | 2016 반감기 |
| 3차 사이클 | 2018.12 ~ 2021.11 | **+2,110%** | 1,064일 | -76.5% | 2020 반감기 |
| 4차 사이클 (진행 중) | 2022.11 ~ 2025.10 현재 | **+715%** (현재) | 약 1,050일 | ? | 2024 반감기 이후 진행 중 |
📈 패턴 요약
상승 사이클은 평균 약 1,000일(2.7년) 정도 지속
이후 약 1년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 후 새 상승장 진입
상승률은 점차 감소(지수적 성장률 둔화)
📅 반감기 기준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이후 고점까지 기간
1차 2012-11-28 210,000 약 370일 (2013 고점)
2차 2016-07-09 420,000 약 518일 (2017 고점)
3차 2020-05-11 630,000 약 546일 (2021 고점)
4차 2024-04-20 840,000 진행 중
💡 현재 사이클 전망
과거 패턴을 따를 경우,
→ 고점은 2025년 말~2026년 상반기 예상
→ 상승률은 이전보다 낮아 +600~1000% 범위 예상
→ 즉, $120k~$200k 구간이 4차 사이클의 정점 후보로 자주 언급됨
🧩 ① 과거 사이클 데이터 요약
사이클 기간 상승률 상승기간(일) 반감기~고점까지 일수
1차 2011.10 → 2013.11 +51,116% 770일 370일
2차 2015.01 → 2017.12 +12,838% 1,064일 518일
3차 2018.12 → 2021.11 +2,110% 1,064일 546일
🧮 ② 상승률 감소 추세 계산
1차 → 2차 : 12,838 / 51,116 = 약 0.25배 (75% 감소)
2차 → 3차 : 2,110 / 12,838 = 약 0.164배 (83.6% 감소)
➡️ 평균적으로 다음 사이클 상승률은 이전 대비 약 0.2배(80% 감소)
🔮 ③ 4차 사이클 예상 상승률
이전(3차) 상승률 2,110% × 0.2 = 약 422%
단, 현재(2025.10) 이미 약 +715% 상승 중이므로,
이번 사이클이 과거 평균보다 강세인 편이에요.
→ 따라서 현실적 예측 범위는 400~1,000% 상승 구간.
💰 ④ 가격으로 환산
2022.11 저점: $15,539
상승률 예상 고점(달러)
+400% 약 $77,700
+600% 약 $108,700
+800% 약 $139,800
+1,000% 약 $170,900
📍현재가가 $106,900 부근이라,
중간값(약 $120k~$180k) 범위가 4차 사이클 현실적 고점 구간으로 보임.
⏰ ⑤ 시점 예측 (주기적 패턴)
사이클 반감기 → 고점까지 기간 반감기 고점 예상
1차 370일 2012.11.28 2013.12
2차 518일 2016.07.09 2017.12
3차 546일 2020.05.11 2021.11
4차 평균 478일 적용 2024.04.20 2025.08~12 예상
즉, 이번 사이클 고점은 2025년 8월~12월,
가격은 $120,000~$180,000 구간이 가장 유력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예측
다음 고점 예상 시기 2025년 8월~12월
예상 고점 가격 $120,000 ~ $180,000
상승률 +700~1,000%
이후 조정폭 (예상) -75% 수준 (→ 약 $30,000~$45,000 저점 예상)
다음 반감기 예상 2028년 상반기
📅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 정리표 (2009~2032 예상)
반감기 차수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저점 시기 / 가격 고점 시기 / 가격 상승률 반감기→고점까지 기간 다음 반감기까지 기간 주요 특징
🟢 0차 (제네시스) 2009.01.03 0 - - - - 1,420일 비트코인 탄생 (보상 50 BTC)
🟢 1차 반감기 2012.11.28 210,000 2011.10 / $2 2013.11 / $1,163 +51,116% 370일 1,320일 최초 반감기, 알트코인 등장기
🟢 2차 반감기 2016.07.09 420,000 2015.01 / $164 2017.12 / $19,666 +12,838% 518일 1,403일 ICO 붐, 글로벌 관심 폭발
🟢 3차 반감기 2020.05.11 630,000 2018.12 / $3,122 2021.11 / $69,000 +2,110% 546일 1,441일 기관 진입, 코로나 유동성 랠리
🟢 4차 반감기 (현재) 2024.04.20 840,000 2022.11 / $15,539 ⏳예상: 2025.08~12 / $120k~$180k +700~1,000% (예상) ⏳약 480일 예상 ⏳예상: 1,450일 ETF 승인, 메이저 기관 본격 진입기
🟢 5차 반감기 (예상) 2028.05경 1,050,000 ⏳2026~27 / $30k~$45k 예상 ⏳2029~30 / $250k~$400k 예상 ⏳+600~800% 예상 약 500일 예상 ⏳예상: 1,450일 BTC 희소성 극대화, 채굴보상 1.5625BTC
🟢 6차 반감기 (예상) 2032.06경 1,260,000 ⏳2030~31 / $70k~$100k 예상 ⏳2033~34 / $500k~$800k 예상 ⏳+500~700% 예상 약 500일 예상
📈 요약 패턴 (주기별 통계)
구분 평균 상승률 평균 상승기간 평균 하락폭 반감기→고점까지 평균기간
과거 3회 평균 약 +22,000% → +2,000% → +800% (지속 감소) 약 1,000일 (2.7년) -80% 약 478일
예상 향후 패턴 +600~1,000% 상승 후 75% 조정 반복 반감기→고점 약 1.3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까지 약 4년
💬 핵심 요약
비트코인은 약 4년 주기로 ‘반감기 → 상승장 → 버블 → 폭락 → 축적기’ 반복
상승률은 점점 감소하지만, 고점은 여전히 3~4배 이상 상승 패턴 유지
반감기 이후 약 1년~1년 6개월 내 고점 형성
4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5년 하반기,
5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9~2030년 예상
🧩 1️⃣ 먼저, 역사적 사이클 복기 (상승률 / 하락률)
사이클 저점 → 고점 상승률 고점 → 저점 하락률 상승 대비 하락 비율
1차 (2011~2013) +51,116% -86% 0.86 / 511 = 0.00168
2차 (2015~2017) +12,838% -84% 0.84 / 128 = 0.00656
3차 (2018~2021) +2,110% -77% 0.77 / 21.1 = 0.0365
4차 (예상 2022~2025) +700~1,000% (예상) -75% 0.75 / 10 = 0.075
👉 상승률은 급격히 줄어들지만,
하락률은 거의 일정하게 -75~85% 범위로 수렴.
즉, “상승폭은 줄고, 하락폭은 일정한 로그형 구조”가 나타납니다.
🧮 2️⃣ 로그 변환으로 본 ‘감쇠율 패턴’
사이클마다 상승률을 로그 스케일로 보면
log₁₀(51,116%) ≈ 4.7
log₁₀(12,838%) ≈ 4.1
log₁₀(2,110%) ≈ 3.3
log₁₀(1,000%) ≈ 3.0
➡️ 거의 0.6~0.8씩 감소하고 있음.
👉 이 비율 0.618과 매우 근접합니다.
즉, “이전 상승 강도의 약 0.618배로 약화되는 사이클 감쇠” 패턴이 존재합니다.
🌕 3️⃣ ‘황금비 사이클 감쇠 모델’ 예시
비트코인 상승률이 다음처럼 줄어드는 패턴을 보입니다:
사이클 상승률 비율(이전 대비)
1차 51,000% -
2차 12,800% 0.25 (≈ 1/φ²)
3차 2,100% 0.16 (≈ 1/φ³)
4차 (예상) 850% 0.40 (≈ 1/φ².5)
→ φ(황금비, 1.618) 의 거듭제곱 역수를 따라
대략적으로 “감쇠하는 비율 구조”를 따르고 있어요.
즉,
상승률 ≈ 첫 사이클의 1/φⁿ 형태로 줄어드는 로그 감쇠 패턴
📉 4️⃣ 하락률도 일정 비율로 수렴 (수축비율)
사이클 하락률 이전 사이클 대비 하락 강도
1차 -86% -
2차 -84% 약 0.97 (φ⁻¹)
3차 -77% 약 0.92 (φ⁻¹)
4차 (예상) -75% 약 0.90 (φ⁻¹)
→ 하락폭 역시 완만히 줄면서 φ⁻¹ ≈ 0.618~0.9 사이에서 수렴.
🔮 5️⃣ 요약하면
구분 값 비율 관계
상승률 감쇠 1/φⁿ (n=2~3) 상승 강도는 황금비의 거듭제곱에 따라 약화
하락률 수렴 φ⁻¹~φ⁻⁰·⁵ 하락 강도는 일정하게 황금비 비율로 완화
상승→하락 비율 log-scale로 0.618~0.65 자연감쇠 곡선과 유사
패턴 형태 로그·피보나치 구조 사이클이 길어지고, 진폭은 줄어드는 형태
⚙️ 결론:
비트코인 사이클은 완벽히 피보나치 수열은 아니지만,
“상승률 감소”와 “하락률 완화” 모두 황금비(φ≈1.618)의 로그적 감쇠 패턴과 매우 유사합니다.
뀨 비트 싸이클 장기 관점| 사이클 | 시작~정점 | 상승률 | 소요기간 | 하락률 | 반감기 구간 |
| :-----------: | :------------------- | :------------: | :------: | :----: | :--------------- |
| 1차 사이클 | 2011.10 ~ 2013.11 | **+51,116%** | 770일 | -86.9% | 2012 반감기 |
| 2차 사이클 | 2015.01 ~ 2017.12 | **+12,838%** | 1,064일 | -84% | 2016 반감기 |
| 3차 사이클 | 2018.12 ~ 2021.11 | **+2,110%** | 1,064일 | -76.5% | 2020 반감기 |
| 4차 사이클 (진행 중) | 2022.11 ~ 2025.10 현재 | **+715%** (현재) | 약 1,050일 | ? | 2024 반감기 이후 진행 중 |
📈 패턴 요약
상승 사이클은 평균 약 1,000일(2.7년) 정도 지속
이후 약 1년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 후 새 상승장 진입
상승률은 점차 감소(지수적 성장률 둔화)
📅 반감기 기준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이후 고점까지 기간
1차 2012-11-28 210,000 약 370일 (2013 고점)
2차 2016-07-09 420,000 약 518일 (2017 고점)
3차 2020-05-11 630,000 약 546일 (2021 고점)
4차 2024-04-20 840,000 진행 중
💡 현재 사이클 전망
과거 패턴을 따를 경우,
→ 고점은 2025년 말~2026년 상반기 예상
→ 상승률은 이전보다 낮아 +600~1000% 범위 예상
→ 즉, $120k~$200k 구간이 4차 사이클의 정점 후보로 자주 언급됨
🧩 ① 과거 사이클 데이터 요약
사이클 기간 상승률 상승기간(일) 반감기~고점까지 일수
1차 2011.10 → 2013.11 +51,116% 770일 370일
2차 2015.01 → 2017.12 +12,838% 1,064일 518일
3차 2018.12 → 2021.11 +2,110% 1,064일 546일
🧮 ② 상승률 감소 추세 계산
1차 → 2차 : 12,838 / 51,116 = 약 0.25배 (75% 감소)
2차 → 3차 : 2,110 / 12,838 = 약 0.164배 (83.6% 감소)
➡️ 평균적으로 다음 사이클 상승률은 이전 대비 약 0.2배(80% 감소)
🔮 ③ 4차 사이클 예상 상승률
이전(3차) 상승률 2,110% × 0.2 = 약 422%
단, 현재(2025.10) 이미 약 +715% 상승 중이므로,
이번 사이클이 과거 평균보다 강세인 편이에요.
→ 따라서 현실적 예측 범위는 400~1,000% 상승 구간.
💰 ④ 가격으로 환산
2022.11 저점: $15,539
상승률 예상 고점(달러)
+400% 약 $77,700
+600% 약 $108,700
+800% 약 $139,800
+1,000% 약 $170,900
📍현재가가 $106,900 부근이라,
중간값(약 $120k~$180k) 범위가 4차 사이클 현실적 고점 구간으로 보임.
⏰ ⑤ 시점 예측 (주기적 패턴)
사이클 반감기 → 고점까지 기간 반감기 고점 예상
1차 370일 2012.11.28 2013.12
2차 518일 2016.07.09 2017.12
3차 546일 2020.05.11 2021.11
4차 평균 478일 적용 2024.04.20 2025.08~12 예상
즉, 이번 사이클 고점은 2025년 8월~12월,
가격은 $120,000~$180,000 구간이 가장 유력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예측
다음 고점 예상 시기 2025년 8월~12월
예상 고점 가격 $120,000 ~ $180,000
상승률 +700~1,000%
이후 조정폭 (예상) -75% 수준 (→ 약 $30,000~$45,000 저점 예상)
다음 반감기 예상 2028년 상반기
📅 비트코인 반감기 사이클 정리표 (2009~2032 예상)
반감기 차수 반감기 날짜 블록 높이 저점 시기 / 가격 고점 시기 / 가격 상승률 반감기→고점까지 기간 다음 반감기까지 기간 주요 특징
🟢 0차 (제네시스) 2009.01.03 0 - - - - 1,420일 비트코인 탄생 (보상 50 BTC)
🟢 1차 반감기 2012.11.28 210,000 2011.10 / $2 2013.11 / $1,163 +51,116% 370일 1,320일 최초 반감기, 알트코인 등장기
🟢 2차 반감기 2016.07.09 420,000 2015.01 / $164 2017.12 / $19,666 +12,838% 518일 1,403일 ICO 붐, 글로벌 관심 폭발
🟢 3차 반감기 2020.05.11 630,000 2018.12 / $3,122 2021.11 / $69,000 +2,110% 546일 1,441일 기관 진입, 코로나 유동성 랠리
🟢 4차 반감기 (현재) 2024.04.20 840,000 2022.11 / $15,539 ⏳예상: 2025.08~12 / $120k~$180k +700~1,000% (예상) ⏳약 480일 예상 ⏳예상: 1,450일 ETF 승인, 메이저 기관 본격 진입기
🟢 5차 반감기 (예상) 2028.05경 1,050,000 ⏳2026~27 / $30k~$45k 예상 ⏳2029~30 / $250k~$400k 예상 ⏳+600~800% 예상 약 500일 예상 ⏳예상: 1,450일 BTC 희소성 극대화, 채굴보상 1.5625BTC
🟢 6차 반감기 (예상) 2032.06경 1,260,000 ⏳2030~31 / $70k~$100k 예상 ⏳2033~34 / $500k~$800k 예상 ⏳+500~700% 예상 약 500일 예상
📈 요약 패턴 (주기별 통계)
구분 평균 상승률 평균 상승기간 평균 하락폭 반감기→고점까지 평균기간
과거 3회 평균 약 +22,000% → +2,000% → +800% (지속 감소) 약 1,000일 (2.7년) -80% 약 478일
예상 향후 패턴 +600~1,000% 상승 후 75% 조정 반복 반감기→고점 약 1.3년 -75~85% 조정 다음 반감기까지 약 4년
💬 핵심 요약
비트코인은 약 4년 주기로 ‘반감기 → 상승장 → 버블 → 폭락 → 축적기’ 반복
상승률은 점점 감소하지만, 고점은 여전히 3~4배 이상 상승 패턴 유지
반감기 이후 약 1년~1년 6개월 내 고점 형성
4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5년 하반기,
5차 사이클의 고점은 2029~2030년 예상
🧩 1️⃣ 먼저, 역사적 사이클 복기 (상승률 / 하락률)
사이클 저점 → 고점 상승률 고점 → 저점 하락률 상승 대비 하락 비율
1차 (2011~2013) +51,116% -86% 0.86 / 511 = 0.00168
2차 (2015~2017) +12,838% -84% 0.84 / 128 = 0.00656
3차 (2018~2021) +2,110% -77% 0.77 / 21.1 = 0.0365
4차 (예상 2022~2025) +700~1,000% (예상) -75% 0.75 / 10 = 0.075
👉 상승률은 급격히 줄어들지만,
하락률은 거의 일정하게 -75~85% 범위로 수렴.
즉, “상승폭은 줄고, 하락폭은 일정한 로그형 구조”가 나타납니다.
🧮 2️⃣ 로그 변환으로 본 ‘감쇠율 패턴’
사이클마다 상승률을 로그 스케일로 보면
log₁₀(51,116%) ≈ 4.7
log₁₀(12,838%) ≈ 4.1
log₁₀(2,110%) ≈ 3.3
log₁₀(1,000%) ≈ 3.0
➡️ 거의 0.6~0.8씩 감소하고 있음.
👉 이 비율 0.618과 매우 근접합니다.
즉, “이전 상승 강도의 약 0.618배로 약화되는 사이클 감쇠” 패턴이 존재합니다.
🌕 3️⃣ ‘황금비 사이클 감쇠 모델’ 예시
비트코인 상승률이 다음처럼 줄어드는 패턴을 보입니다:
사이클 상승률 비율(이전 대비)
1차 51,000% -
2차 12,800% 0.25 (≈ 1/φ²)
3차 2,100% 0.16 (≈ 1/φ³)
4차 (예상) 850% 0.40 (≈ 1/φ².5)
→ φ(황금비, 1.618) 의 거듭제곱 역수를 따라
대략적으로 “감쇠하는 비율 구조”를 따르고 있어요.
즉,
상승률 ≈ 첫 사이클의 1/φⁿ 형태로 줄어드는 로그 감쇠 패턴
📉 4️⃣ 하락률도 일정 비율로 수렴 (수축비율)
사이클 하락률 이전 사이클 대비 하락 강도
1차 -86% -
2차 -84% 약 0.97 (φ⁻¹)
3차 -77% 약 0.92 (φ⁻¹)
4차 (예상) -75% 약 0.90 (φ⁻¹)
→ 하락폭 역시 완만히 줄면서 φ⁻¹ ≈ 0.618~0.9 사이에서 수렴.
🔮 5️⃣ 요약하면
구분 값 비율 관계
상승률 감쇠 1/φⁿ (n=2~3) 상승 강도는 황금비의 거듭제곱에 따라 약화
하락률 수렴 φ⁻¹~φ⁻⁰·⁵ 하락 강도는 일정하게 황금비 비율로 완화
상승→하락 비율 log-scale로 0.618~0.65 자연감쇠 곡선과 유사
패턴 형태 로그·피보나치 구조 사이클이 길어지고, 진폭은 줄어드는 형태
⚙️ 결론:
비트코인 사이클은 완벽히 피보나치 수열은 아니지만,
“상승률 감소”와 “하락률 완화” 모두 황금비(φ≈1.618)의 로그적 감쇠 패턴과 매우 유사합니다.
10월 15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오늘만 잘 버텨 준다면 한발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10월 15일 수요일 비트코인 오전관점 공유 드립니다.
금일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각 시간대 저항선을 터치 한 후
버틸 수 있냐 없냐에 따라서 움직임이 달라 질 수 있는 자리 들 입니다.
현재 6일차트 지지선까지 터치 한 비트코인이며 이에따라 각 시간대 중앙선 및
저항선은 지지구간이 될 수 도 있지만 반대로 저항구간이 될 가능성도 높은 구간들 입니다.
14일 화요일의 움직임도 마찬가지 입니다.
오전 코멘트로 4시간차트 중앙선의 저항구간까지 터치 한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저항을 맞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며 이에따라 13일의 관점을
유지한다라고 설명을 드렸습니다 이 후 움직임은 조정이 강하게 나와 주었습니다.
그러면서 각 시간대 음운이 얇게 또는 양운으로 얇게 바뀌었던 비트코인이
음운이 두꺼워 지면서 다시 한번 조정이 나왔고 3시간 저항선에서 지지선까지
터치 한 후 반등이 나온 자리들 이었습니다.
현재 자리에서 보시면 112,264 구간에서의 지지 여부를 판단하셔야 합니다.
112,264 구간은 각 시간대 음운의 지지구간이지만 이 구간이 무너진다면
음운이 하방으로 열리면서 미끄럼틀을 탈 수 있는 조건을 가진 자리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지지 여부를 체크 하셔야 합니다.
이 구간에서 지지를 받아 준다면 비트코인은 상단에 일목균형표상 음운의 저항이
몰려 있는 구간 114,174 구간에서의 저항여부를 체크 하셔야 합니다.
이 구간에서 음운의 저항구간이 버티면서 양운으로 바뀌어야 상승할 수 있는
조건들이 생성 될 수 있기 때문에 비트코인은 우상향 하면서 버텨야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 잘 버텨 준다면 내일 생성되는 각 일별차트 캔들에서 상승캔들이 나오면서
비트코인은 상승의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아직까지 각 시간대 캔들의 중앙선 들을 터치 하지 못한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의 저항도 체크 하는 구간이 114,174 구간 이니 중요구간으로 생각 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금일은 횡보장의 가능성이 높은 자리들로 생각이 들며 이에따라 횡보장의 관점을 전달 드립니다.
제가 생각하는 관점에서 여러분의 매매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10월 13일 일일관점 비트코인(BTCUSD) 아직 안심하기에는 좀 불안한 자리 입니다.
언녕하세요 차트무당 마코 입니다.
추석명절 다들 잘 보내셨는지요??
10월 13일 월요일 비트코인 오전 관점 및 주간 관점 공유 드립니다.
지금 현재 상황에서 간단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지난 금요일 업로드 해드린 분석 내용을 보시면 추세가 변하는 구간에서
상승하기엔 다소 힘든 구간을 설명 드리고 하단의 지지라인을 설명 드렸습니다.
이 후 움직임에서는 바텀구간을 지나 102,170 자리까지 터치 한 후
현재는 어느정도 패턴을 복구 시켜 준 자리들 입니다.
하단에 꼬리는 6일차트까지의 지지선 및 2주봉차트의 중앙선까지
터치 한 구간으로 반등하기에 충분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는 자리들 이었습니다.
전에 99k 까지 말씀 드렸는데 생각보다는 빠르게 눌럿고 생각보다는 덜 눌린구간이었습니다.
99k 까지의 지지라인은 주봉차트 지지선까지 터치 하는 구간으로 이 구간을 터치 했다면
지금 현재 상황보다 더 상승할 수 있는 힘이 있는 자리이기 였기에
아쉬움이 남는 구간이기도 합니다.
현재 구간에서 살펴 본다면 금일 가장 중요한 구간은 113,242 구간 입니다.
이 구간은 각 시간대 음운의 지지라인이 겹쳐지는 구간 및 뚫리게 된다면
음운이 다시 두꺼워 지면서 하방의 압력을 강하게 받을 수 있는 구간이기 때문에
113,242 구간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우상향하는 자리가 가장 좋은 자리라고 판단이 됩니다.
강하게 올려서는 안되고 우상향 해야 합니다. 음운에서 양운으로 바뀌는 구간이기 때문에
강하게 올린다면 과매수가 걸릴꺼고 그럼 다시 저점보다 더 눌림이 나올 수 있으니
과매수 구간을 주의 하셔야 합니다.
상단에 저항구간 및 하단에 지지구간은 현재는 크게 저항 받거나 지지 받는 구간은 아니니
이 구간에서의 강한 반등이나 강한 하락이 나오는 경우 되돌림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각 저항선 지지선 남겨 드리고
금일은 간단하게 남겨 드렸습니다.
제 분석 글은 단순히 공부용 관점 참고 정도만 부탁 드리며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게 아닌 점 부탁 드립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고
감사합니다.
하락은 예견되어 있었다 : 주식, 코인시장에서 뉴스는 1도 쓸모가 없다.공부용 아이디어 업로드입니다.
요약
1. 3억을 가기위한 새로운 임펄스 파동이라도 2파 조정이 올만한 위치였다.
2. 또는 엔딩다이아고날 완성이 되었으므로 하락이 있을만한 가격대 였다.
3. 리플 또한 대단위 1사이클이 끝났으며, Descending triangle 이 출현하였다.
4. 전고를 갱신했지만 올라온 파동이 abc였다.
즉, 이전 아이디어 업로드대로 비트는 105k 까지 공통 하락구간이 발생한다.
트럼프가 무슨 말 했는지 사실 아무 관심도 없다.
차트는 이미 힌트를 줬었다.
그래서 항상 큰 프레임으로 시나리오를 3개는 짜둬야 대응이 된다고 생각한다.
BTCUSD 10월 2일 비트코인 Bybit 차트분석입니다.안녕하세요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팔로워" 를 해두시면
실시간 이동경로 및 주요구간에서 코멘트 알림을 받을수있습니다.
제 분석글이 도움되는경우
하단에 부스터 버튼 하나씩 부탁드릴게요.
비트코인 30분차트입니다.
좌측 하단에는 어제 롱포지션 재진입구간
116,914.7불 보라색 손가락으로 표시해드렸구요.
추세추종 그대로 전략 이어나가보겠습니다.
*빨간색 손가락 이동경로시
롱포지션 전략
1. 118,668.2불 롱포지션 진입구간 / 초록색지지선 이탈시 손절가
2. 119,161.2불 롱포지션 1차타겟 -> Top부터 Miracle까지 순서대로 타겟가
전략에 성공시 1번구간은 롱포지션 재진입 활용구간이며
Great 돌파부터는 신고가 갱신이구요.
2번구간까지는 최종 롱포지션 진입구간인데
2번구간까지 초록색지지선 이탈없이 유지되는경우
우상향 횡보장이됩니다.
주말 + 다음주까지 하늘색지지선이 유지되는경우
중기 상승추세선이기때문에 계속해서 상승할수있으니
참고해주시구요.
Bottom -> 최대 3번구간까지 남겨드렸고
남겨드린 작도구간이나 드래그를통해
위아래 주요 지지선 저항선 가격을 확인하실수있습니다.
여기까지 제 분석글은 단순히 참고 및 활용정도만 부탁드리고
원칙매매 , 손절가 필수로 안전하게 운영하시길 바랄게요.
다음주 금요일까지 연휴 잘보내시고
저도 금요일날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BTC) 내년 2-3분기 까지의 플랜.CRYPTO:BTCUSD
비트코인(BTC) 관점 정리 안내드리겠습니다. 대략 기간은 내년 2-3분기 정도까지 계획한 플랜입니다.
개인적으로 엘리엇 파동은 큰 흐름에서만 참고하고 있으며 이번에 적용을 해봤습니다.
2015년부터의 상승 추세를 나타내는 차트입니다.
지난 주말 103K 부근까지 하락하며 오랜만에 큰 하락이 발생하였지만 아직 2015년부터의 상승 추세를 이탈하지 않았다는 점은 명확합니다.
다만 이것이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점은 인지해 주셔야 합니다.
따라서 아직 상방으로는 134 -150K 부근까지 열려 있으나 최근 고점이었던 126K 돌파가 없고 현재의 118K 언저리에서 횡보가 이뤄진다면 2015년도부터 이어온 추세선을 테스트할 가능성이 커지게 될 것이며 해당 구간 도달 시에는 이제 큰 흐름상 헤드 앤 숄더의 패턴을 예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이제 매매 계획을 안내드리겠습니다. 98K - 88K 자리를 준다면 적극적으로 LONG 포지션을 진입하여 단기 101K - 107K 부근 타겟으로 진행합니다.
다시 76K - 70K 자리를 준다면 94K - 88K를 타겟으로 진행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플랜으로 진행을 할 예정이며 모든 과정에서의 우리 비트코인 SHORT 포지션은 76K - 70K가 올 때까지 홀딩합니다.
76K - 70K 자리를 준다면 집을 팔아서라도 매수를 해도 좋을 상황으로 보고 있으며 만일 70K가 무너질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있는 돈 없는 돈 다 끌어와 풀 SHORT을 오픈할 생각입니다.
해당 관점은 150K 까지 열어 두고 계획 기간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정리 하나. 134K - 150K 열려 있음, 단 118.8K 돌파가 이뤄져야 함. (언제든지 SHORT 오픈 가능 115K - 118K)
정리 둘. 2015년부터 이어 온 상승 추세 이탈 가능성 > 98K - 88K LONG 오픈 목표 101K - 107K
정리 셋. 76K - 70K LONG 오픈 목표 94K - 88K / 70K 이탈 시 SHORT 오픈
(모든 과정에서 SHORT 121K에 잡은 혹은 잡을 SHORT은 홀딩)
이미 시작된 조정.. 그렇다면 이번 조정의 끝은 어디?이미 시작된 조정.. 그렇다면 이번 조정의 끝은 어디?
최근 비트코인의 흐름을 보시면 지난 3년간 반복되어온 하나의 패턴이 다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바로 지지선을 노리는 조정과 매도 유동성 흡수 과정입니다.
📌 과거 패턴 복기
상승이 나올 때마다 시장은 추세선을 깨려는 움직임을 보여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손절 매물과 숏 포지션이 몰리며 매도 유동성이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 매도세는 흡수되었고, 이후 더 강한 상승이 이어졌습니다.
📌 현재 상황
차트상 마지막 붉은 원 구간은 또 한 번의 유동성 흡수 지점으로 보입니다.
이번 매도 유동성 흡수 구간은 105K 내외에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지선 부근에서 매도세가 집중되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큰손들의 매집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패턴의 반복성을 고려할 때, 이번 조정이 끝나면 비트코인은 올해 마지막 상승 사이클에 진입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앞으로의 시나리오
단기적으로는 110K 부근에 있는 지지선을 깨는 흐름이 나올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 부근에서 흔들림(페이크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중기적으로는 100~105K 내외 부근에서 매도세가 고갈되며 강한 반등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연말까지는 새로운 고점을 향한 상승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결론
조정은 종말이 아니라, 다음 상승을 위한 준비 과정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하락은 투자자들의 불안을 자극하지만, 역설적으로는 올해 마지막 상승 랠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