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 웨이브는 랄프 넬슨 엘리엇이 발견한 되풀이 패턴 시스템입니다. 엘리엇은 모두 13 패턴을 발견했으나, 8 웨이브로 이루어진 5-3 패턴이 기본입니다.
엘리엇 웨이브 이론데 따르면 웨이브는 "모티브” 와 "코렉티브” 로 나뉩니다. 모티브 웨이브는 메인 트렌드와 일치하는 프라이스 방향이며, 코렉티브 웨이브는 메인 트렌드를 거스르는 움직임입니다. 위의 스크린샷에서는 (1), (3), (5), (a) 및 (c) 가 모티브 웨이브, (2), (4), 및 (b) 가 코렉티브 웨이브입니다. 또한 엘리엇에 따르면 베이직 모델의 모든 모티브 웨이브는 다섯 개의 작은 웨이브로 나타낼 수 있으며, 모든 코렉티브 웨이브는 세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베이직 모델 5-3 는 2 개의 더 높은 웨이브 레벨의 2 웨이브 및 더 낮은 레벨의 34 웨이브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차트 패턴 엘리엇 웨이브 인디케이터는 가장 평범한 웨이브 패턴으로 구성되며, 다음 룰에 따라 만들어 집니다:
임펄스 (모티브 웨이브):
지그재그 (코렉티브 웨이브):
이 인디케이터는 지난 600 바를 서치하여 패턴을 찾아 최대 길이에 따라 조건별로 3 레벨로 나눕니다. 찾은 패턴에 나오는 웨이브의 스타트/엔드 포인트는 가장 알맞은 피봇 포인트에 묶입니다. 전체 패턴의 스타트/엔드 포인트에 대한 마땅한 피봇이 없다면 이 인디케이터는 각각 가장 높은 하이 및 가장 낮은 로우 밸류를 씁니다. 그리고 나서는 이 인디케이터는 임펄스 및 지그재그에 대한 룰을 체크하여 알고리즘이 처음 찾아 낸 것들 가운데서 가장 길고 가장 잘 핏되는 (서브 웨이브 패턴에 기초하여) 패턴을 그립니다.
일단 찾고 나면 이 인디케이터는 그 포인트들이 패턴 룰 및 지정된 최대 허용 편차를 따르는 지 체크합니다: 처음과 마지막 포인트 사이에서 프라이스는 가로줄을 '하이' 및 '로우' 가 뚫을 수는 있으나 '클로즈' 나 '오픈'은 그러하지 못합니다. 찾은 패턴 가운데 위 설명에 맞는 가장 커다란 넌-인터섹팅 렉탱글을 차트에 보여줍니다.
다음 마킹은 웨이브가 들어 가는 레벨을 나타내는데 쓰입니다:
Level | Five (Motive wave) | Three (Corrective wave) |
Large | I, II, III, IV, V | A, B, C |
Medium | (1), (2), (3), (4), (5) | (a), (b), (c) |
Low | 1, 2, 3, 4, 5 | a, b, c |
이 마킹은 엘리엇 웨이브 이론의 히스토리 레벨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조건부이며, 패턴의 길이 또는 네스팅 레벨을 디스플레이합니다.
인풋:
인버트 패턴- 이 플래그는 패턴 디렉션을 바꿀 수 있도록 해 주며 다운 트렌드에서 임펄스 서치, 업트렌드에서는 지그재그 서치합니다
소스 - 프라이머리 서치 소스.
길이 타입 - 패턴 컨스트럭션의 룰 체크시 웨이브 렝쓰 셈하는 법:
절대값 - 웨이브렝쓰는 웨이브의 스타트/엔드 포인트 프라이스 차이로 셈합니다.
퍼센트 - 웨이브렝쓰는 웨이브의 스타트/엔드포인트 사이에서 프라이스의 퍼센티지 체인지로 셈합니다.
새 아이디어를 받으며 인디케이터는 앞서 찾은 패턴들을 업데이트 및 확인합니다. 인디케이터 세팅을 조금이라도 바꾸면 완전한 재계산을 하게 됩니다. 결과는 기대한 것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