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utersReuters

DSR 1%p 상승시 가계소비 평균 0.37% 감소 - 한은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p 상승할 때 가계소비가 평균적으로 약 0.37%씩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오태희 과장 등 4인은 'BOK 이슈노트'에 발표한 '금리 상승 시 소비 감소의 이질적 효과' 자료에서 DSR이 1%p 상승할 때 가계소비는 평균적으로 약 0.37% 감소했다고 밝혔다. 다만, DSR 수준이 특정 임계치(20%)를 상회하더라도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가 소비에 미치는 추가적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부채가 많은 저소득 가구의 경우 DSR이 1%p 상승할 때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 감소 폭을 크게 상회했다. 부채가 많은 중·고소득 가구 역시 DSR이 1%p 상승할 때 소비가 0.46% 감소해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 제약 정도가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진은 "동일한 수준의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에 대해 고부채-중·고소득 가구는 이를 재량적 소비의 조정을 통해 흡수하는 반면, 필수적 소비 비중이 높은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상당 수준의 필수적 소비 감소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특히, 고부채-저소득 가구에 집중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부채가 많으면서도 주택을 보유하지 않은 가구는 DSR이 1%p 상승할 때 소비가 0.42% 감소해 그룹 내 여타 범주에 속한 가구와 비교할 때 소비 위축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채소득비율(DI)이 200%를 넘는 상황에서 DI가 10%p 오를 경우 고부채-저소득 가구의 소비는 0.31% 감소하는 반면, DI가 100% 미만 또는 100~200%인 경우 소비가 각각 0.31%와 0.07% 증가했다.

연구진은 "가계의 금융 부담이 가중될 경우 취약계층의 소비는 필수적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둔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구별 차이를 감안해 정책을 설계할 때 정책 효과가 제고될 것"이라며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은 금융안정뿐만 아니라 소비 평활화를 통한 경기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 뉴스를 읽으려면 로그인하거나 평생 무료 계정을 만드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