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의 전반적인 중장기 관점입니다. 미국 실업자 그래프(UNRATE): 중장기 상승 예상 코스피: 중장기 하락 예상 미국 다우: 중장기 하락 예상 신흥국 주식시장: 중장기 하락 예상 금, 은: 중장기 우상향 암호화폐 시장: 중장기 우상향 참고로, 제 글은 항상 중장기 관점으로 주로 이야기 하므로, 단기 매수매도 정보를 찾는 분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여유로운 자금으로, 고배율 선물보다는 현물로, 비트+대형알트로 중장기 투자 하라고 친한 친구라면 지난 겨울부터 권해 왔습니다. --- 오늘은, 현재 완전 고용상태를 보이고 있는 미국 실업자(UNRATE: Unemployment Rate) 그래프 와 와사비의 미국 장단기 금리차 지표 를...
미 대선 결과 발표 일자를 한국시간으로 정리해봤습니다. --------------------------------------------------------------------------------------------------------------------------------------------------------------- 미국시간 (동부 UTC-5) 한국시간 (UTC+09) 2012 투표시작 2012-11-06 0:00 2012-11-06 14:00 투표종료 2012-11-07 1:00 2012-11-07 15:00 2016 투표시작 2016-11-08...
최근에 주식시장 스타 펀드가 실종 되었다는 기사를 보고 유동성의 힘으로 시장이 올라가기는 쉽지 않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한국 시장이 박스피라는 오명을 쓰고 있는데 과연 이 밴드를 벗어 날 수 있을까에 대한 좋은 글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post.naver.com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를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거 같습니다. 1. 국내 주식형 ‘스타펀드’ 가 사라짐 : 재작년 1.7조, 작년 1.3조, 올해는 500억 수준이 1등 2. OECD 국가 중 배당이 제일 낮음 : 한국...
출처 : 파우스님 블로그 1. 시장은 시간이 지나면 평균으로 되돌아오는 경향이 있다. 2. 한 방향으로의 과잉은 다른 방향으로의 과잉을 만들어 낸다. 3. 새로운 시대란 없다 - 과잉은 결코 영원히 지속되지 못 한다. 4. 급격한 상승장이나 하락장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더 오래가지만, 이런 장세는 횡보세만으로 진정되지는 않는다(즉, 급격한 하락이나 상승으로 이어진다). 5. 대중은 고점에서 가장 많이 사고, 저점에서 가장 적게 산다. 6. 공포와 탐욕은 장기적인 의지보다 더 강하다. 7. 강세장을 평가할 때, 소수의 우량주만 강세를 보일 때가 가장 약한 강세장이며, 전반적인 시장이 강세를 보일 때가 가장 강한...
다음 기사에 따르면 자금유입 상위 국내 액티브 주식형 펀드 현황이 암울합니다. news.mt.co.kr 2015년에는 1조 정도 자금유입이 되는 펀드가 있었는데 올해는 500억대가 최고라니... 뭔가 엄청난 변화가 있지 않는 이상 코스피 신고점 갱신하기가 요원해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