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션타임 분석팀 Han입니다. 오늘 보실 차트는 크루드 오일 (WTI) 입니다. 크루드 오일은 매도 추세를 형성하고 있으며, 최근 저점에서 반등 이후 추세선 저항에 한 차례 눌림이 나왔었습니다. 하지만, 하단 추세선 부근에서 다시 지지를 받아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추세대 저항을 앞두고 있습니다. 두 차례 저항을 돌파하는데 실패했던 저항이기 때문에, 이번에도 저항 돌파를 실패할 경우 매도 추세를 하단으로 연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롱 포지션을 잡는다면 전 고점(81.500)을 돌파한 이후에 잡는게 리스크 측면에서 보다 안정적이며, 숏 포지션을 잡을 경우 88.000 라인 부근이 가장 유리한 가격이 되겠습니다. 이번주...
에너지/금속/농축산 Key Point 유가, 美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했다는 소식과 달러화 약세 흐름, 중국 재개방에 따른 원유 수요 증가 기대에 상승세를 이어감. 이날 종가는 지난해 12월 30일 이후 최고치를 경신해 연초 하락분을 모두 상쇄. 금, 미국의 작년 말 물가상승률 둔화 소식에 급등하는 모습을 보임.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면서 연준의 긴축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증폭.
금리/통화 Key Point 미 국채 가격이 급등함.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대로 완화되면서 국채 매수세가 이어짐. 달러 인덱스, 약 6개월 만에 최저치로 하락하며 약세 흐름 유지. 美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 전망과 일본은행이 초완화적인 통화정책의 일부를 변경할 것이라는 전망이 달러화 약세의 원인.
지수 Key Point 뉴욕증시,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대로 둔화했다는 소식에 상승. 다만 이날 시장에는 '뉴스에 팔자' 흐름이 나오면서 장 초반 주가는 약세를 보임. 고용 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모습.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1천 명 감소한 20만5천 명으로 집계.
반갑습니다. 션타임 분석팀 Han 입니다. 오늘 보실 차트는 골드입니다. 인플레이션 둔화 기대에 따른 달러 약세와 금 수요량 증가로 인하여 골드의 가격 상승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 골드 차트를 보면, 이전에 매도 추세를 이탈한데에 이어 매수 추세로 이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전 박스권의 중심 라인과 현 추세의 중심선까지 돌파한 것이 확인됩니다. 상승 흐름이 상당히 강하게 나오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2000 라인 상단까지도 상승 흐름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때문에, 롱 포지션을 잡는게 현 상황에서는 유리한 대응이 되겠으며, 1870 라인 부근과 1825 라인 부근이 강한 지지선으로 확인됩니다. 숏 포지션을 잡는다면, 1940 라인...
에너지/금속/농축산 keypoint - 유가, 중국의 수요 회복 기대에 반등세 이어감. 이날까지 3거래일 연속 오름. 유럽과 미국 등 주요국들이 중국 여행자에 대한 방역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나, 춘절을 앞두고 중국 내 여행 수요 증가와 경제활동 재게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유가가 반등. - 금, 8개월 만에 최고치 마감. 달러 약세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23년 금 가격 전망 양호.
금리/통화 keypoint - 美 국채가 상승, 지난주에 발표된 美 12월 비농업 고용지표의 여파가 남아있는 가운데 이번주에 나올 소비자 물가지수로 시선이 이동, 시장 참여자들은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에 따른 국경개방의 영향과 경기 둔화 우려, 인플레이션 정점에 대한 전망을 다시 점검 中. - 달러 인덱스 약세와 함께 주요국 통화선물이 상승세를 이어감
지수 keypoint - 뉴욕증시, 개장 전부터 상승세를 보였으나 금주에 발표되는 물가와 기업들의 실적발표를 앞두고 하락하며 혼조로 마감 - 세버스찬 래들러 BofA 유럽 주식 전략헤드는 올해 상반기 유럽과 미국의 경제가 매우 약하겠지만 중반에 바닥을 칠 것이라며 중국이 상반기에 글로벌 사이클의 걸림돌이 되고, 하반기에는 순풍이 될 것이라는 경제학자들의 견해에 강하게 동의한다고 말함.
장기 뷰는 이전뷰 참조 월봉 5일선이 위치하며 하모닉 사이퍼 패턴이라고 볼수 있는 93불 라인에서 저항을 받고 38.2% 조정을 받은 지점에서 힘의 균형을 지키고 있는 상황. 만약 93불을 돌파 마감하게 될 경우 사이퍼의 연장선상인 샤크패턴의 목표치 98.78 을 잠재적 반전영역으로 볼수 있음. 이전글과 마찬가지로 월봉5일선을 기준으로 디테일을 설정하기 떄문에 매도 대기자들의 경우 93불을 돌파하는 파동이 나오게 될 경우 월봉 5일선 기준 상단 오버슈팅으로 인식하고 PRZ 인 98불을 기준으로 상하단 오차범위 1~2불을 감안하여 분할진입 전략 샤크 패턴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사우디의 바이든에 대한 도전으로 봐야할 것이며 개인적으로...
n자 파동 1:1자리 썸머랠리 이전 채널 상단 저항 숏 노림 4시전 상승으로 생각중입니다. 현재 상승 0.382확인 했으나 추가하락 10950 하프 눌림까지 생각하고 있고 이후 상승 11200라인 트라이 보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1PERCENT입니다. 지난 아이디어로 한국에 거주하고 원화를 벌면 골드와 실버로 원화가치 하락에 대한 헷지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구독자분들께 선 공개했던 실버 단기전망 공유드립니다. 현재 실버는 2년째 $21 ~ $28 사이 레인지에 갇혀있습니다. 2주 전 시장과 함께 '급락'했으나 빨간색 장기 지지구간에서 좋은 반등을 보이며 다시 레인지내로 복귀했습니다. 첫번째 시나리오 : $22 부근 저항구간 돌파시 레인지 중앙 ($26), 이후 상단 ($28.5)까지 노려볼 수 있겠습니다. 두번째 시나리오 : 다시 레인지를 하단으로 돌파 할 경우 빨간색 $19 - $21 장기 지지구간에서 계속 매집할 기회를...
트랜드 어낼리시스 및 차트패턴을 활용하여 방향성 체크해봅니다.
에너지/금속/농축산 Key Point 국제유가, 러시아 감산 경고에 상승 러시아 국영 RIA 통신, 노박 부총리 “유가 상한제 정책 준수하느니 감산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으며 내년 초 석유 생산을 5~7%가량 줄일 수 있다.”, “유가 상한제 도입 국가에 대한 수출 금지 정책을 내놓을 수 있다.” 고 예고 금 가격, 성탄 연휴 앞두고 상승 마감
금리/통화 Key Point 美 국채가 하락, 美 1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예상보다 덜 둔화 영향 美 1년 기대인플레이션 4.4%로 예비치인 4.6%에서 추가 하락...기대 인플레이션 전월 보다 낮아졌으나 연준의 긴축은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 상존 달러화 보합권을 중심으로 혼조 마감, 인플레이션 지표 예상 부합 영향
지수 Key Point 뉴욕증시, 물가 둔화 속에 상승 마감 美 11월 근원 PCE 가격지수 전년비 4.7% 상승...전달보다 둔화 美 11월 내구재 수주 전월비 2.1% 감소...감소세 전환 美 11월 신규주택판매 전월비 5.8% 상승...예상 밖 깜짝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