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를 하시면 새로운 아이디어와 업데이트를 실시간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퍼블리셔에게 아주 큰 힘이 됩니다. 좋아요 눌러주시고 읽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 📝 오늘은 멈추지 않는 열차, 코스피의 조정 가능성에 대해서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0️⃣. 왜 추가적인 조정 가능성을 보고 계시나요? - 현재 코스피는 공매도가 금지된 상태입니다. 따라서 조정은 1) 차익실현 2) 손절 두 가지 요소에 의해서...
안녕하세요. 정모입니다. 매매하다가 한숨 돌릴겸, 미 10년물 국채 금리 차트 분석으로 찾아뵈었습니다. 2012년 7월 23일의 저점과, 2013년 4월 29일의 저점을 이은 상승 추세선은 다음과 같이, 2014년 10월~ 12월 지지를 받았으나, 이후 붕괴되었습니다. 이후, 2016년 7월 5일의 저점과, 2017년 9월 5일의 저점을 이은 상승 추세선을 형성했습니다. 이로인해, 기존 2015년 초에 하방이탈하였던 상승 추세선을 상단으로, 그리고 신규로 형성한 상승 추세선을 하단으로...
크루도 오일 (US OIL) 장기적 관점 분석입니다. - 단기적으로 단기하락추세 이 임박해 있습니다. (57.3USD) 예상 - 이후, 저항맞고 눌릴 시 40~43불까지 열어봅니다 - 추가 상승시 (전고점 돌파시 향후) 다음 매물대 및 피보저항 값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 63USD // 76USD - 장기적인 관점으로 상승프렉탈적 관점이니, 지켜봅니다.
안녕하세요, Finsight입니다. 이전 Part.1에서 비트코인과 달러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금일은 비트코인과 세계 증시의 움직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금리 제로금리 상황에 더불어, 코로나 사태로인한 추가적인 유동성 공급으로 시장에는 유동성이 풍부해졌습니다. 소비시장에는 큰 타격을 입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러한 유동성이 자산 시장에 투입되면서 자산 시장은 엄청난 거래량을 만들어내며 상승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미국 나스닥과 비트코인은 코로나빔의 폭락 이후로 지속적인 상승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위험 자산군에 분류됩니다. 비트코인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미국 나스닥 지수 3일봉 차트입니다. ...
비트코인 가이드입니다. 오늘도 수익낼수있게 매매전략을 가져왔으니 잊지마시고 , "팔로우" , "좋아요" 하나씩 부탁드리구요 1월14일 XAUUSD 금 ZeroMarket 차트분석 시작하겠습니다. 어제는 개인 사정으로인해서 , 분석글을 올려드리지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상단에는 XAUUSD 금 30분봉 차트이구요 숏포지션 전략입니다. 숏포지션 진입타이밍 / 진입가격 확인해주시구요 추세가 죽지않을경우 최종 우측 빨간색 손가락 구간은 보너스 구간입니다. 숏포지션 진입구간은 , 페러렐라인 저항선을 돌파하지않는것이 ...
안녕하세요. "팔로우" "좋아요" 하나씩 눌러주시고, 12월 3일 XAUUSD 금 차트분석 시작하겠습니다 상단에는 어제 남겨드린 USDJPY 달엔 30분봉 차트입니다. 롱포지션 매매전략이었는데 , A - > B 이동경로를 크게 이탈하였습니다. 하단에 B경로 이탈시 짧게 손절 또는 무포지션 종료였는데 아래쪽으로 추세가 강하게 나왔네요 최근에 GBPUSD 파달 포함해서 상단에 파란색 월봉 페러렐라인 저항선 근처 / 월봉 상승시그널에 속임수가 많이 들어가있습니다. 보시는것과같이 차트는 주봉까지만 참고하시는게...
미국 정부 10년 채권 주봉입니다. 반년이상 저가권에서 횡보를 거친 후, 지난 2018년 10월부터 시작된, 주황색의 단기 추세선 저항을 상방 돌파 한 모습을 보입니다. 기술적 분석에 의거하여 추세 전환의 가능성을 야기하고 있으며, 위로 노란색 수평선인 플립구간의 저항이 있으며, 빨간색 장기 추세선 저항이 있습니다. 해당 저항 테스트 및 돌파 시도를 위해 단기적으로 1.4이상의 가격 부근까지 상승에 대해서 열어 둘 수 있습니다. 월봉 라인차트 첨부. 기술적 분석 외, 기본적 분석을 통하여 미국 10년 채권에 대한 생각 또한 가격 상승에 무게가...
Entry ~51.42 SL 52.31 TP#1 49.27 TP#2 43.69 캔들과 매물대를 활용한 매매전략. 돌파시 상승 추세추종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현재까지는 상승추세라고 확신할 수 없다는 점에 기초하여 유연한 사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