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 : 조정 없이 가는 시나리오 1번 / 추가 조정 (-10% 수준) 받고 가는 시나리오 2번 코스피가 불안하기 때문에 추가 조정 -10% 정도 열어둠 (이전 저점 17500원 수준) 30% 이상 (수익률) 기본 반등으로 쉽게 주기 떄문에 저가 분할매수로 일정 수익 추구 가능하고 현재 대칭 수렴 변곡점에 도달하고 있음 (상방이냐, 하방이냐, 상방이면 급등, 하방이면 조정 이후 급반등) ※ 본...
결론 : 조정 없이 가는 시나리오 1번 / 추가 조정 (-5% 수준) 받고 가는 시나리오 2번 코스피가 불안하기 때문에 추가 조정 -5% 정도 열어둠 (이전 저점 21700원 수준) 10% 이상 (수익률) 기본 반등으로 쉽게 주기 떄문에 저가 분할매수로 일정 수익 추구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우상향 관점에서 이미 -12% 조정 수준은 주가가 매력적인 구간까지 하락했음 ※ 본 퍼블리쉬는 꾸준히 단기 수익(방향)을 잡아갈 예정입니다 (장기관점에 유효함)
안녕하세요 비트코인과 미국 나스닥은 매우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나스닥이 2% 상승시 비트코인은 5%~ 상승 나스닥이 2% 하락시 비트코인은 5%~ 하락 이런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매우 많습니다. 미국 나스닥 2배 추종QLD 3배 추종TQQQ ETF를 매수하는 사람들은 매우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하락이 시작되면 그들은 조용히 들어갑니다. 상승이 시작되면 그들은 조용히 나타납니다. 그들의 잔치 그들의 파티는 음악은 이제 끝났습니다.
21년 4월 연준은 M2 통화량 데이터 제공을 중단했음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큰 시대적 배경이 있었음 연준은 위기때마다 양적완화(08년 금융위기 당시 밴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활용했던)를 시도해왔음 연준은 양적완화 이후 단계적으로 테이퍼링을 실시했고 금리인상을 본격화했음 하지만 그럴때마다 위기가 반복되어 지난 20년 코로나 팬데믹에 대한 대응으로 양적완화를 시도, M2 통화량이 약 38% 급등했음 자산시장에 투자하고 있는 시장 참여자라면 연준이 돈줄을 쪼이는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을 두려워 할 것은 없다고 생각됨 왜냐하면 그들은 늘 위기때마다 돈을 풀었고 앞으로도 풀 것이기 때문인데 이로서...
11월 24일자 퍼블리쉬를 업로드 했었음 당시 1차 목표주가 31000원으로 설정, 2차 목표주가 37000원 설정 현재 달라진 것은 1차 목표주가 33000원 상향 조정 (전고점 돌파를 전제) 현재가 대비 업사이드 14% 수준이고 2차 목표주가는 그대로 유지함 21년 시세 분출이 있을거라고 생각했던 반도체 조정이 11월까지 이어졌고 11~12월 분위기가 잡히고 있음 개인들이 반도체를 계속 팔고 있는 수급 형태를 보면 1월 급등 랠리가 나올 수 있겠다 기대가 커지고 있음 원익QnC의 경우 대만 공급체인을 꽉 쥐고 있는 한미반도체와 몇 안되게 대만 반도체와 연관된 기업임 대만 TSMC도 본격적인 상승 초입 구간을 거치고 있다는 판단하에...
다날은 현재 -25% 수준의 조정을 받고 일정 수준 반등하고 있음 기본적으로 한 번 급등하고 시세가 끝나버리는 일반적인 급등주 형태보다 꾸준히 우상향 하는 주식으로 판단했음 따라서 현재 수준의 조정은 당연히 나타날 수 있는 단순 눌림 조정으로 판단하고 있음 이전 퍼블리쉬를 보면 알겠지만 거래량을 중요하게 보고 있는데 현재까지 거래량에 이상 징후는 전혀 없다는 관점 즉 12월 전체적인 주가 흐름에서 주가를 움직이는 주체의 물량은 일부 변동이 있었겠으나 흔히 말하는 "세력이 털고 나갔네"라는 관점이 결코 아님 우선 다날이라는 주식은 결제 시스템이라는 막강한 캐시카우가 있고 최근 K뱅크와 두나무 지분을 현금화 하면서 1100억이라는 현금성...
카카오의 경우 지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부터 15개월간 578% 상승했음 기본적인 상승 수준부터 상당한 고평가를 거듭했고 현재 P/E 평가로는 합당한 주가 수준이 되지 못함 아무리 고밸류를 인정해줘야 하는 섹터의 주식이라도 큰 상승 이후에 일정한 가격 조정, 기간 조정은 필연적임 따라서 6월부터 -34% 수준의 가격 조정과 기간 조정이 나타나고 있는데 다가오는 22년 최소한 1년간 추가적인 조정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함 굳이 주가를 상방으로 다시 끌어올릴 이유가 없는 주식이라고 판단하고 (내재가치 대비 상당한 고평가, 현재 주가 수준이 카카오의 성장을 몇년 앞서갔나?) 특히 이미 15개월간 578% 수준의 상승을 했기 때문에 적어도...
지속적으로 신흥국 상승을 주장하며 의견을 표출, 특히 반도체 상승을 강하게 퍼블리쉬 하고 있음 따라서 대만 TSMC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는 주식에 해당함 지난 2020년 반도체 랠리 당시 11월 26일~2월 최고점까지 약 3개월 만에 주가는 59% 상승했음 시가총액 기준 490조 → 900조로 약 410조 증가한 수치임 현재 2021. 12. 13 기준 시가총액 747조이고 2월 최고점 대비 10개월 동안 기간 조정(박스권)을 받고 있음 TSMC 역시 한국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슬슬 상승 각을 잡아가고 있다는 판단 (현재 구간은 큰 변곡점) 지난해 연말~연초까지 상승 랠리를 감안했을때 현재가 대비 30% 수준의 상승 여력은...
동진쎄미켐은 대표적인 삼성전자 협력사임 (반도체 소재 : 포토레지스트) 최근 EUV PR(포토레지스트) 퀄 테스트 소식으로 상용화 기대감에 주가 급등 현재 ArF, KrF PR을 사용중인데 초미세공정(EUV)에 사용되는 EUV PR은 고난도 기술력이 필요해 그동안 개발중에 있었음 (국내 최초로 개발) 상용화되면 향후 삼성전자에 공급될 예정인데 TSMC와 EUV 경쟁에서 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음 무엇보다 삼성전자는 매해 ASML로부터 EUV 장비를 공급 받아야 하는 입장에서 공급 받는 EUV 장비에 EUV PR은 필수적으로 쓰일 수 밖에 없음 따라서 동진쎄미켐의 PR이 퀄 테스트를 끝내고 본격 공급된다면 22년, 23년,...
코인 거래소 빗썸코리아의 10.2% 지분을 보유한 비덴트는 코인 거래소 관련주임 업비트 지분을 보유한 두나무는 비상장 기업이라 비덴트가 확실한 상장 기업으로 현재 주가 평가를 받고 있음 지난 10월부터 현재까지 2개월 간 300%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고점 대비 -34% 조정을 보이고 있음 최근 암호화폐 시황에 따른(?) 여파가 주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데 실상 시황과 거래소는 무관하고 어쩌면 오히려 시황이 좋지 않으면 더욱 수혜를 봄 보통 암호화폐 시황이 좋지 않으니 시장 참여자들은 코인에 대한 중장기 보유보다 단타 거래, 즉 수수료가 매번 생기는 거래를 활발히 지속함 따라서 코인 거래소는 오히려 시황이 좋지 않을때...
다날 추가 퍼블리쉬, 1시간 차트임 이전 두 번의 아이디어를 확인해보면 알 수 있듯 세력이 여전히 빠지지 않은 물량을 쥐고 있는 주식 흐름임 이전부터 상승 추세 구간에서 23% 조정과 20% 조정, 그리고 가장 최근 12% 수준의 조정을 계속 주는 것을 보면 인위적인 주가 눌림임 주가가 상승 추세에서 이런 큰 변동폭을 보인다는건 세력이 물량을 터는게 아닌 일정하게 매집을 하면서 주가를 올리기 위한 작전임 현재 12% 수준의 조정은 큰 상승, 장대양봉(급등)이 잡히기 이전 마지막으로 주는 눌림 조정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임 얼마나 추가적으로 눌릴지는 모르겠으나 지지대 지지 수준에서 근시일 최소 목표주가 2만원을 돌파하는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지난 9월, 하반기부터 2차전지(배터리) 주식에 대한 고평가 관점을 확고히 유지하고 있음 상반기~8월 시점까지 천보,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엘앤에프 등 여러 관련주를 매수 관점과 실제 투자를 진행했었음 하지만 현재는 고평가 관점에서 결코 벗어나지 않으며 3개월간 관점이 지속 유지가 되고 있음 대표적으로 엘앤에프를 퍼블리쉬 하지만 이는 에코프로비엠도 해당하는 분석임 엘앤에프는 현재 -20% 수준의 조정을 받았지만 12월 말, 혹 1월 연초에 추가적인 -20% 수준의 조정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함 다수 투자자들은 성장주를 보면서 모멘텀만을 외치고 주가 상승을 바라지만 실제 성장주는 많은 조정을 받고 상승함 엘앤에프의 경우 23년 영업이익이...
인터플렉스는 3년 동안 바닥권을 횡보하던 주식임 대표적인 PCB 관련주이고 최근 갤럭시Z폴드 시리즈와 내년에 출시될 갤럭시S22 관련주임 (실제 PCB가 탑재됨) 과거 08~12년 실적이 상당 좋았을때 주가 상승률이 1086%였고 이후 17년에는 실적이 적자에서 흑자 턴어라운드 하면서 721% 상승했음 주가가 과거를 회귀하여 똑같이 움직일 것으로 볼 수는 없겠지만 향후 주가를 조금 더 합리적으로 파악하는데에는 확실히 도움이 될 것 현재 인터플렉스는 4년간 실적이 적자였고 올해 3~4분기 실적으로 턴어라운드 전망이 되고 있음, 그런데 시기가 이미 연말임 따라서 실적보다 주가가 선행하면 연말 혹 연초에 일정 주가가 가파르게 반등할 가능성이...
마이크로스트레티지(MSTR)는 마이클 세일러가 CEO로 있는 기업임 주가는 사측이 영위하고 있는 사업보다 비트코인 움직임과 거의 동일하게 움직이고 있음 MSTR은 시가총액 7조 3559억으로 생각보다 시총 규모가 크지 않은 미국 회사임 (미국 BI 플랫폼 사업 영위) 그런데 최근까지 알려진 BTC 보유량은 12만 2478 BTC로 한화로 6조 9502억 수준임 평단가는 2만 9861달러로 현재 2조 넘는 차익을 내고있는 상황임 (비트코인이 48000달러까지 급락했음에도 2조원의 수익을 유지중임) 기업 가치가 7조원 규모인데 BTC 규모가 6조원이라면 주가가 비트코인 시세와 흡사하게 움직이는 것은 합당하다고 볼 수 밖에 없음 시총 1/3...
오늘 처음 주가를 확인해본 로블록스(RBLX) 주가 흐름은 매우 긍정적임 메타버스 대장주라고 흔히 듣긴 들었는데 주가 흐름을 보니 아직도 상승 시작 구간 대비 84% 상승했음 시가총액 84조, 전고점 돌파하면 100조 수준을 돌파할 것으로 보이는데 올해 11월부터 본격 시세 분출이 시작됐음 따라서 최소 22년 상반기까지는 주도주 역할을 충분히 할 것으로 기대하고 우선 연말까지 전고점 돌파, 업사이드 16% 수준을 바라봄 테마라는 것은 흔히 생각하길 사람들의 일상에 얼마나 접근해있느냐로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것이 아니라는 관점임 기대감과 투자 심리가 매우 중요한데 메타버스의 경우 단순 게임사의 기술력이 아닌 하나의 플랫폼(게임을 벗어난 여러...
일본 소프트뱅크(9984) 주가는 3월 고점 대비 -50% 수준의 하락을 보이고 있음 최근 주가 하락 요인은 중국 알리바바 구조조정, 디디추싱 뉴욕 상장 폐지와 ARM 엔비디아 매각 제동이 원인임 소프트뱅크 주가는 코로나 이전부터 꾸준한 우상향 하는 흐름이었지만 그렇게 재미있는 주가 흐름은 아니었음 한편으로 기술주라면 기술주라고 할 수 있는데 (비전펀드 자체가 기술 회사 집합체) 일본 주식이라 그런지 지지부진했음 그러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급락을 시작으로 창사 이래 최대 적자를 냈고 이후 올해 2월 순이익 6배 증가를 보였음 (전년 대비) 워낙 작년 팬데믹으로 인한 적자가 사상 최대치였기 때문에 지난 4분기 순이익 6배 증가는 충분한...
금일 다날 11%대 급락이 있었음, 전체적으로 NFT 관련주들이 약세 흐름을 보였음 이전 위메이드는 숏 포지션으로 퍼블리쉬 했었지만 다날의 경우 롱 포지션으로 매수 관점을 언급했었음 지금도 같은 관점이지만 대장주는 순환한다는 생각이 여전하고 위메이드는 텐버거 주식에 해당했지만 다날은 저점 평균 가격대에서 3배 수준 밖에 오르지 않았음 위메이드는 위믹스(코인) 시세와 주가가 거의 동일하게 연동되는데 다날은 페이코인과 일정 연동은 되지만 완벽히 따라가는 흐름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음 금일 거래량이 터지지 않으면서 주가가 쉽게 11%까지 급락했는데, 장 초반에 신고가를 경신하면서부터 주가가 하방으로 쭉 밀리기 시작했음 (고가 대비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