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117]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7)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20일선 부근에서 저항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1월 7일 만들었던 장대음봉의 중심값이 21570을 중심으로 저항받은 모습인데, 작년 12월 16일 고점인 22450부터 이어지는 추세 상단 저항선이기도 합니다. 21500 부근에서 추세 상단 저항선을 돌파하며 상승하는 흐름이 나올지, 아니면 다시 하락추세의 중심값으로 회귀할지는 지켜봐야하겠습니다. 주봉상으로 매도시그널이 나온 상황에서 일봉상으로도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추가하락의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수요일 급등했던 장대양봉의 중심을 지지삼아 며칠간 횡보조정을 거친 이후 방향성을 잡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이 모두 0선 위로 올라왔기 때문에 박스권 조정을 거친 이후 MACD가 Signal선을 지지삼아 매수3파를 갈지, 바로 데드크로스가 나면서 매도로 전환될지는 다음주에 결정되겠습니다. 고점매도, 저점매수 위주의 박스권 대응이 오늘 유효하며, 금요일이기 때문에 더욱 혼조세가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오일은 월봉 상단 저항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으로 이동평균선들과 이격이 크기 때문에 고점에서 추격하기엔 리스크가 큰 구간입니다. 5일선을 이탈하여 조정받을 시 10일선이나 74~75불 라인이 지지라인이 될텐데, 해당 구간까지 내려와준다면 눌림 시 매수가 유효하겠습니다. 일봉상으로 최근 한달 간 급등하며 MACD와 Signal선을 0선에서 많은 이격을 띄워놓았기 때문에 조정 받을 때마다 눌림 시 매수 전략이 좋습니다. 다만 어제 말씀드렸듯 240분봉상 매도시그널이 발생하면서 MACD의 다이버젼스를 만들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하락이 나올 가능성이 크며, 79불까지 상승했던 구간이 헤드엔숄더 패턴의 머리 구간으로 단기적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주요 지지라인에서 반등 시 오른쪽 어깨 구간을 저항라인으로 염두해두면서 대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76불 이하 구간부터는 지지가 두터우니 주요 맥점에서 박스권 대응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국채금리 하락 속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매수추세가 완전히 만들어진 상황이라 무조건 눌림 시 매수만 대응하는 게 유리합니다. 또한 반대급부로 볼 수 있는 국채금리 차트도 매수시그널이 나오면서 국채금리 하락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골드는 강력한 매수 포지션으로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일봉상 2755구간을 돌파하게 되면 주봉상 상단라인인 2788라인까지 열려있게 되는데, 해당구간에서 저항받으면서 주봉상 MACD의 골든크로스를 만들지 못하는 그림이 향후 몇주간 펼쳐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40분봉상으로도 현재 강한 매수세가 나타나며 2625에서 2735까지 갔던 파동을 재현하는 매수3파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의 골드처럼 명확한 일봉 추세를 바탕으로 원웨이성 움직임이 나와주는 장세가 수익을 크게 내야하는 쉬운 구간입니다. 스윙트레이딩으로 대응한다면 계좌를 살찌울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주까지 CPI 지표발표를 비롯해 이벤트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다음주 월요일에는 드디어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는데, 과거 트럼프 대통령 시절 선물 시장은 큰 변동성을 경험한 바 있습니다. 앞으로 스펙타클한 변동성 장세가 예상되는데, 늘 손절값 지키시면서 리스크 관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번주도 잘 마무리하시면서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150 / 21090 / 21020 / 20940
매도 - 21330 / 21370 / 21420 / 21490
· 오일 - 매수장(3월물)
매수 - 77.50 / 77.00 / 76.20 / 75.70 / 74.90
매도 - 78.55 / 79.00 / 79.35 / 80.3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38 / 2729 / 2722 / 2715 / 2700
매도 - 2757 / 2765 / 2772 / 2780 / 2788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Nasdaq100
[250116]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6)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CPI 지표발표 소화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 5주선에서 저항받으며 윗꼬리 단 모습인데, 이번주 초반 하락세 이후 크게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일봉상 20일선 부근까지 상승했으나 아직 MACD가 Signal선을 돌파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으로, 상승세가 지속된다 하더라도 MACD의 골든크로스가 나타나기 전까지 매수를 확정짓기는 애매한 상황입니다. 아울러 앞선 저항 매물대가 많이 포진되어 있는 구간이니 고점에서는 매도 전략이 유효하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어제 말씀드렸듯 데드크로스 실패 후 반등하는 그림이 만들어지며 역헤드앤숄더 패턴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MACD가 상승으로 방향을 잡으며 Signal선과 이격을 만들어주고 있는데, 아직 Signal선이 0선 아래 있는 만큼 매수를 단정짓기보다 고점에서 횡보하며 기간조정 거치는 구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금일은 박스권 중심으로 대응하되 매도는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재고발표와 송유관 폐쇄 이슈를 소화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5일선을 지지받은 상황으로, 3월물 기준 월봉 상단인 78불 부근까지 강하게 돌파하는 모습입니다. 현재 일봉상 급등하면서 이동평균선들과 이격이 크게 발생하여 오늘은 조정을 거칠 수 있는 국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매수 신호를 만들어주며 급등하였는데, 아직 MACD가 앞선 MACD의 고점을 넘지 못했기 때문에 추가 급등없이 하락한다면 다이버젼스를 만들 수 있는 그림입니다. 만약 큰 조정을 거치고 지지를 받는다면 기존 저항라인이었든 74~75불라인까지 열어둘 수 있는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을 소화하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고, 해당구간까지 조정을 받아준다면 조정 시 매수 전략이 유효하겠습니다. 고점에서는 리스크 관리하며 매도 전략을, 저점에서는 눌림 시 매수 전략으로 박스권 대응이 필요한 구간입니다.
골드
골드는 CPI 지표 소화하며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MACD와 Signal선이 0선위로 올라온 상황으로 매수추세가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일봉의 삼각수렴의 상단 저항선마저 돌파한 모습입니다. 가급적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효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매수시그널을 발생시킨 후 추가상승하는 상황으로, 추가적인 급등으로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을 확대하는 과정이 나타나준다면 매수에 더욱 확신을 가질 수 있겠습니다. 만약 골드가 추가적인 상승을 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Signal선이 0선 위에 위치하고 수평의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횡보하며 박스권에서 매물소화 과정을 거치는 것이라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채 10년물 채권금리도 현재 고점을 찍고 내려가는 그림을 만들어가고 있기에 골드의 강한 추세상승에 주목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지표발표가 많으니 주의하시기 바라며,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325 / 21270 / 21190 / 21140
매도 - 21440 / 21500 / 21550 / 21590
· 오일 - 매수장(3월물)
매수 - 78.10 / 77.50 / 76.90 / 76.30
매도 - 79.70 / 80.10 / 80.80 / 81.30
· 골드 - 매수장
매수 - 2717 / 2709 / 2700 / 2696 / 2690
매도 - 2726 / 2732 / 2738 / 2745 / 2754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15]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5)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5일선에서 저항맞고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듯 이동평균선 활용 방법에 따라 5일선 매도 대응이 유효했고, 프리장에서 5일선을 터치하였기 때문에 이후에는 매도 위주로 대응이 수월했던 날이었습니다. 일봉상 매도세가 지속되면서 현재 6연속 음봉이 나와주고 있으며, 어제 말씀드렸듯 120일선 지지여부와 하방으로 오버슈팅 시 20300부근까지도 열어두고 체크하는 게 중요한 상황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였으나 매도세가 나와주는 모습으로, 아직 다시 한번 데드크로스를 하지는 못한 상황입니다. 데드크로스를 발생시키면 매도 3파의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데드크로스 실패 후 반등하는 그림이 만들어지면 역헤드엔숄더 패턴을 형성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매도 추격은 주의하면서 박스권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아울러 오늘 CPI 발표가 있기 때문에 아래꼬리 달고 양봉반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고점에서 저항맞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79불 부근이 강한 저항라인이고, 이동평균선들과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쉽게 돌파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어느정도 조정이 필요한 구간이었고, 고점에서 하락해주었으나 아직 5일선과도 이격이 많이 남아있는 상황이라 추가적인 하락도 가능해보입니다. 일봉상으로 지지라인은 75~76불라인이 될 전망인데, 해당 구간까지 하락할 가능성은 열어두는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MACD의 매도시그널이 발생한 상황이지만 아직 0선과 이격이 있는 상황이라 주요 맥점에서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으며, 79불 부근에서는 고점매도가 유효하겠습니다. 또한 오일은 오늘 재고발표를 앞두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골드
골드는 PPI 지표 소화하며 작은 박스권을 만들며 도지캔들로 마감하였습니다. 오늘 CPI 발표를 기점으로 또 한번의 추세 방향을 잡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최근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골드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즉, 오늘의 물가지표에 따른 국채금리의 움직임과 그에 따른 골드의 방향성이 결정되는 날일텐데, 오늘 양봉을 만들어낸다면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위로 올라오면서 매수 추세를 이어갈 수 있는 그림이 될 전망입니다. 반대로 오늘 음봉으로 하락한다면 당분간은 2625 ~ 2725 박스권을 유지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2680 부근을 기점으로 지지반등하면서 MACD가 다시 Signal선을 돌파하려는 상승 시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골든크로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재차 밀리는 흐름이 만들어질텐데, 지표발표 이후 흐름이 중요하겠습니다. 오늘은 지표발표 전까지 단기적으로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도장
매수 - 20840 / 20780 / 20745 / 20570
매도 - 21015 / 21070 / 21120 / 21190 / 2132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7.50 / 76.90 / 76.50 / 75.70
매도 - 78.60 / 79.10 / 79.65 / 80.1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83 / 2674 / 2666 / 2661 / 2654
매도 - 2704 / 2712 / 2717 / 2723 / 2729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14]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4)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아래꼬리 달고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어제 말씀드렸듯이 주초반 하방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20700 이하부터는 지지반등하면서 추세를 돌릴 가능성이 높은 구간이었고, 반등에 성공한 모습입니다. 일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까지 0선 아래로 내려오면서 작년 9월 이후 MACD가 처음 0선 아래로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어제 3일선에서 대응하는 자리였기 때문에 오늘은 5일선에서 매도 대응이 가능한 날입니다. 3일선과 5일선 박스장이 오늘 예상되는데, 프리장에서 먼저 5일선을 터치하러 가준다면 매도대응하는 게 더욱 수월한 장세가 될 전망입니다. 하방으로는 120일선 부근의 지지라인을 테스트할지가 불확실한 상황이나, MACD가 0선 아래로 떨어진 만큼 매도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열어두시기 바랍니다. 만약 하방으로 오버슈팅이 나오는 경우 20300부근까지도 열어두는 게 좋겠습니다. 어느정도 지지라인에서 횡보하면서 바닥권을 형성하고 추세를 돌리는 과정이 필요한데, 추세 전환의 시점은 분봉상 이동평균선의 배열을 확인하시면서 대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도세가 지속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 하지 못한 상황으로, 만약 강하게 골든크로스하는 경우 주가가 강하게 반등할 수 있겠으나, 다시 MACD가 하방으로 향하면 추가하락도 가능하니 양방향 열어두고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러시아기업 원유수출 제재에 힘입어 상승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79불 전고점 라인까지 상승해주었고, 현재 구간에서 5일선과 이격이 큰 상황이라 언제든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구간입니다. 월봉상으로도 볼린저밴드 상단까지 온 상황이라 매수 추격보다는 고점에서 리스크 관리하면서 매도대응하는 것이 유효하겠습니다. 다만 240분봉상으로도 RSI가 과매수에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현 추세가 강하게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서, 매도대응은 짧게 대응하는 게 좋겠습니다. 또한 240분봉상 MACD와 Signal선의 이격과 각도가 크기 때문에 현재 구간에서 조정을 주더라도 계단식으로 상승해왔던 만큼 주요 맥점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물이 많이 모여있는 주요 맥점에서만 눌림 시 매수가 유리하겠으나 언제든 급락이 나올 수 있으니 보수적 관점을 가지는 게 좋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매물대 저항받으며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주봉상으로 MACD가 하방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매도세가 강하게 나오는 모습이며, 일봉상 MACD는 0선을 올라탔으나 Signal선이 아직 0선위로 올라오지 못하였기 때문에 MACD가 Signal선에 붙으려는 조정을 보이는 상황입니다. 범위를 크게 잡고 박스권 상황이라 볼 수 있으며, 오늘 PPI와 내일 CPI를 앞두고 주가가 박스권 횡보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도시그널이 출현한 상황이지만 MACD와 Signal선이 0선 위에 존재하며 이격을 보이고 있어서, 하방으로의 급락보다는 2680을 중심으로 한 지지반등 및 횡보의 흐름을 가져갈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박스권 대응을 중점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겠으나 PPI 지표 발표 시간 때 리스크는 주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시장이 빅테크 기업들의 조정과 트럼프 취임, 그리고 양자컴퓨터 관련주들의 하락으로 어수선한 모습입니다. 또한 VIX 지수도 급등하는 추세를 만들어주고 있는 상황이니,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성공투자하세요!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도장
매수 - 20990 / 20890 / 20840 / 20740
매도 - 21160 / 21200 / 21300 / 2135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7.70 / 76.60 / 75.70 / 74.50
매도 - 79.45 / 79.9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77 / 2672 / 2666 / 2661 / 2654
매도 - 2692 / 2705 / 2712 / 2717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13]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13) 시장 분석
나스닥
나스닥은 비농업고용지표 발표에 따라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전일 분석글을 통해 240분봉상 매도3파의 급락 가능성이 높았다고 말씀드렸는데, 어느정도 적중하였습니다. 또한 이번달 월봉상 5일선(20880)을 지속 강조드렸는데, 해당 구간에서 지지받으며 아래꼬리를 만들어주었습니다. 먼저 주봉을 보자면 MACD가 Signal선을 데드크로스하면서 매도신호가 발생하였습니다. 위로는 3일선과 5일선, 10일선을 두고 있고, 아래로는 20일선을 두고 있어서, 이번주 박스권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즉 주초반 상방으로 먼저 가면 주후반 하방으로 갈 수 있으며, 주초반 하방으로 먼저 진행 시 주 후반 상방으로 반등하는 그림이 만들어지겠습니다. 상방의 기점은 21360~21400이 될 전망이며, 하방의 기점은 20880 이하의 가격이 될 전망입니다. 주초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한데, 이번주 수요일 CPI지표발표가 기점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일봉으로 오늘 분석해본다면 현재 MACD와 Signal선이 0선 아래로 이탈하였기 때문에 반등하더라도 3일선, 5일선에서 매도대응 하는게 유리하겠습니다. 아래로는 120일선까지 열려있는데, 주간 시나리오에 따라 아래꼬리달고 반등할 가능성이 높으니 매도 추격은 유의하는 게 좋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도 매도가 강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매도3파가 나오는 상황이니 추가하락이 가능한데, 20700 이하 부근에서는 지지반등하면서 추세를 돌릴 가능성도 높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전반적으로 오늘은 반등 시 매도 전략이 유리하겠습니다.
오일
크루드 오일은 미국의 러시아 원유수출 제재 가능성에 따라 급등마감하였습니다. 지속 말씀드리듯 오일은 바닥권에서 추세를 반전시켜 급등하는 패턴을 현재 보여주고 있습니다. 프리장에서 벌써 78불을 넘어서는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데, 현재 5일선과의 이격이 굉장히 큰 상황이라 오늘은 조정에 유의하는 게 좋겠습니다. 주봉상으로도 현재 5주선과의 이격이 크고 78불대에 전고점이 있는 상황이라 추가 상승을 하더라도 추격매수에 유의해야 하는 구간입니다. 이번주는 5주선에서 눌림 시 대응하는 게 가장 유리한 시나리오인데, 73.4~74불 수준까지 조정받을 수 있으니 추격매수보다 고점매도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일봉상으로도 20일선과 60일선 등의 이동평균선을 끌어올리는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가 Signal선을 골든크로스하는 매수시그널을 발생시켰으나, 추가적인 급등을 하지 못하면 MACD의 다이버젼스를 만드는 구간입니다. 매도시그널 발생 시 추가하락에 유의하는 게 좋겠고, 다만 급등에 따른 조정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오늘 프리장에서는 78불을 기점으로는 횡보할 가능성이 높으니 박스권대응하는 게 유리하겠습니다.
골드
골드는 고용 충격에 따른 금리인하 기대함 후퇴로 급등마감하였습니다. 현재 주봉상 양봉을 만들며 주요 단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한 모습이지만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크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을 하더라도 2760부근의 전고점을 넘어서는 급등은 쉽지 않아보입니다. 다만 일봉상으로 MACD가 0선을 상회하고, Signal선을 0선위로 끌어올리는 매수추세를 보여주고 있어서 눌림 시 매수 위주의 대응이 단기적으로 유리하겠으며, 5일선과 60일선이 위치하는 2690라인이 강한 지지라인이 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추가적인 상승이 현재로서는 가능한 상황이니 매수위주의 대응을 하되 이번주 화요일 PPI, 수요일 CPI를 기점으로 변동성 확대될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40분봉상으로도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며 RSI도 과매수권을 형성하고 있어 섣부른 매도는 위험해보입니다.
이번주는 전반적으로 지난주 만들어주었던 추세를 주초반 이어가다가 CPI를 기점으로 변곡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리스크 관리하시면서 이번주도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매도장
매수 - 20945 / 20900 / 20780 / 20740 / 20680
매도 - 21110 / 21210 / 2131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6.55 / 76.00 / 75.60 / 74.60
매도 - 78.35 / 78.85 / 79.45 / 80.0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713 / 2703 / 2695 / 2685 / 2677
매도 - 2726 / 2735 / 2742 / 2753 / 2759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50109] 나스닥, 오일, 골드 프리장 분석■금일(1/9) 시장 분석
전일 나스닥은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MACD가 0선 아래로 이탈하면서 매도세가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60일선 지지라인이 이탈되면 아래로 월봉상 5일선까지 열어두는 게 좋으며, 이슈에 따라 120일선까지도 열어둬야 하겠습니다. 다만 오늘 미국증시가 휴장이고, 선물시장이 조기종료함에 따라 오늘은 거래량 없는 날을 보낼 것으로 전망되며, 추세 여부는 금요일 비농업고용지표와 함께 확실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MACD와 Signal선 모두 0선 아래로 하향이탈하며 추가 매도압력이 강해지는 상황이니 매도위주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오늘 조기종료이니 짧게 수익실현하는 게 좋겠습니다.
전일 오일은 전고점에서 저항받으며 음봉마감하였습니다. 일봉상 전고점까지 빠르게 급등하였기 때문에 단기적인 조정이 불가피해보입니다. 일봉상 240일선에서 지지받아주는 움직임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 20일선이나 60일선 등 이동평균선을 끌어올리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격조정과 기간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40분봉에서는 현재 위꼬리를 길게 달며 헤드엔숄더 패턴의 머리 부분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240일선 부근에서 넥라인을 형성하고 오른쪽 어깨를 만들어주는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겠고, 현재 MACD와 Signal선이 0선과 이격이 크기 때문에 재차 상승시도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락하더라도 최대한 아래에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습니다.
전일 골드는 상승마감하였습니다. 현재 일봉상 박스권을 유지하고 있고, 수급이 굉장히 꼬인 상황입니다. 내일 미국증시 휴장은 건너뛰고 금요일 비농업고용지표를 통해 추세가 확실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일봉상 매수시그널이 나와있는 상황이라 매도를 가려면 급락하는 수밖에 없는데, 비농업고용지표나 다음주 CPI 지표 등을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240분봉상으로는 매수시그널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으로, 눌림 시 매수 대응이 유리하겠으나 MACD와 Signal선의 이격이 그리 크지 못하기 때문에 급등하며 장대양봉을 하나 만들어주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단기적으로 오늘은 박스권 대응이 유리하겠으며, 고점 추격매수보다는 고점매도 대응이 더 좋겠습니다.
오늘 미국 주식시장은 휴장이고, 선물 시장은(나스닥 23:30, 오일/골드 정상거래) 조기종료입니다. 변동성이 낮아지면 혼조세와 횡보가 나타나니 유의하시기 바라며, 오늘도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 나스닥 - 박스장
매수 - 21270 / 21190 / 21155 / 21065 / 20990
매도 - 21410 / 21500 / 21550
· 오일 - 매수장
매수 - 72.80 / 71.90 / 71.00
매도 - 73.60 / 74.40 / 74.80 / 75.20
· 골드 - 박스장
매수 - 2670 / 2665 / 2661 / 2654 / 2649
매도 - 2686 / 2693 / 2704 / 2710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 기준이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요 지지, 저항 라인에서는 나스닥은 5pt, 오일/골드는 5틱 이내 진입가능 구간으로 체크합니다.
※익절과 손절 기준 : 나스닥 10~15pt, 오일/골드 15~20틱
※당일 프리장 분석 체크포인트는 프리장(10:30 ~ 22:00) 까지만 적용합니다. 주요 지표가 발표되는 21:30 이후로는 체크포인트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보수적인 관점을 견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퓨처가드의 해외선물이야기 콘텐츠를 통한 투자권유는 없으며,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비트코인 추세, 기술적 분석을 넘어서비트코인이 8만을 코 앞에 둔 시점이다.
비트코인에 상당히 우호적인 트럼프 때문에 급 발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가 뒷통수를 치지는 않을까 살짝 걱정이 되지만,
견해는 비트코인은 미국 주식시장의 펫이며 스토커이다. 조금 전문적인 표현을 쓴다면 미국 주식시장이 비트코인의 바로미터이다.
혹자는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고 하거나 위험 헷지 수단이라고 한다. 아주 국한된 사용으로 본다면 맞는 말이지만 과거의 미국 주식시장과 비트코인을 비교하면 펫, 그 자체이다. (심리와 레버리지 흐름)
비트코인의 조정을 불러 오는 요인으로 좀 웃기지만 거래소 파산, 횡령 등과 국가의 규제 등이 제한적 영향을 미치고 가장 큰 요인으로는 미국 주식시장의 조정이다.
비트코인의 큰 흐름을 보고자 한다면 미국 주식시장을, 주인의 행동을 모니터링, 추적, 연구해야 한다.
미국 주식시장 조정 = 비트코인 조정이다.
나스닥100 인덱스, 추세 기술적 분석2024년 들어서 지수의 조정 및 지지는 2023년 고가 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태를 고려할 때 추세 상승에 대해서 긍정적이지만 (이전과 앞으로) 조정을 기술적 분석이나 기타 경제, 정책 등의 변수로 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조정 감지는 매우 특별해야 한다, 절대 공개된 정보로 감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라플라스의 악마라도 불러 온다면 모를까.
나스닥100은 이전 7월의 고점을 회복하지 못했지만 8월 5일 급반등하고 조정이 이루어진 8월의 고점을 돌파하며 작은 이전 저항, 현재 지지의 패턴을 보이고 있다.
8월 5일 저점을 기준으로 상승 추세선을 만들었고 이탈할 경우 기술적 대응, 주식 포지션 축소 및 하락 베팅(헷지)를 고려한다.
2024.08.01 해외선물 나스닥 복기➡️기존 관점 복기
원웨이로 쉼없이 목표가까지 달성해준 모습입니다.
역시 BJ파월 형님의 힘은 대단합니다.
전날 숨도 안쉬고 내렸던것처럼 이번엔 반대로 숨도안쉬고 올려줬네요.
만약 포지션을 잡았고 평단이 가장 '고점'이라고 가정하고 '최소목표가'까지만 달성했다고 가정해도
약 150불의 수익으로, 1계약 기준 약 $3000의 수익자리였습니다.
현재 차트가 좀 더 그려져야 다음 그림이 보일 것 같습니다.
그래서 기존 관점 복기만 하고 추가 신규관점은 캔들이 좀 더 그려지면 브리핑 드리겠습니다.
현재 전적 : 6승 2무
(무승부는 관점대로 흘러갔으나 무빙상 홀딩하기 어려웠던 것을 말함)
#해외선물 #나스닥 #해선 #파생상품 #선물옵션
[2024-07-26]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OX, SOXX, SOXL) 조정 및 매수 시그널독자적으로 구축된 "블랙스완 밀도" 지표를 통해서 사전에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감지
- 6월 13~18일, "과열 경고" 시그널 발생
- 6월 25~27일,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7월 18일, "과열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18일, 기준으로 매수 세력의 수치가 년 중 MAX 상태를 유지 중
- 7월 22일, "과열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년 중 MAX 상태였던 매수 세력의 수치가 급감 (여전히 평균보다 높음)
- 7월 25일, "과열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매도 세력 수치 (초급등) > 매수 세력 수치 압도
- 시그널은 다음과 같이 한 세트이다.
* 과열 경고 <---> 경고 해제
* 비중 축소 <---> 분할 매수
* "과열 경고" 구간에서는 몰빵, 신규 진입 자제, SOXL 3배 레버리지를 SOXX 변경
* "비중 축소" 구간에서는 몰빵, 신규 진입 자제, SOXL 3배 레버리지를 SOXX 변경 후 비중 축소
*** "비중 축소" 구간에서 SOXS 3배 인버스 50%, UPRO 3배 레버리지(또는 2배) 50% 로 장단기 포지션 구축
[2024-07-22]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SOX, SOXX, SOXL) 조정 및 매수 시그널독자적으로 구축된 "블랙스완 밀도" 지표를 통해서 사전에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감지
- 6월 13~18일, "과열 경고" 시그널 발생
- 6월 25~27일,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7월 18일, "과열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18일, 기준으로 매수 세력의 수치가 년 중 MAX 상태를 유지 중
- 7월 22일, "과열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년 중 MAX 상태였던 매수 세력의 수치가 급감 (여전히 평균보다 높음)
- 시그널은 다음과 같이 한 세트이다.
* 과열 경고 <---> 경고 해제
* 비중 축소 <---> 분할 매수
* "과열 경고" 구간에서는 몰빵, 신규 진입 자제, SOXL 3배 레버리지를 SOXX 변경
* "비중 축소" 구간에서는 몰빵, 신규 진입 자제, SOXL 3배 레버리지를 SOXX 변경 후 비중 축소
*** "비중 축소" 구간에서 SOXS 3배 인버스 50%, UPRO 3배 레버리지(또는 2배) 50% 로 장단기 포지션 구축
[2024-07-08] 필라델피아 반도체 (SOX, SOXX, SOXL) 조정 및 매수 시그널독자적으로 구축된 "블랙스완 밀도" 지표를 통해서 주식시장의 사전 변동성을 감지한다.
- 지난 6월 18일에 올렸던 "과열 경고"에 호응하듯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짧은 시간 동안 큰 하락 변동성을 보였다.
- 6월 25일, 27일 "과열 경고 해제" 시그널 발생
- 지난해 12월 12~16일 , 5월 23~24일 유사한 시그널이라 말한 이유는 매도 세력과 매수 세력의 수치가 강대강 상태였기 때문이다. 제한적 하락
- 시그널은 다음과 같이 한 세트이다.
* 과열 경고 <---> 경고 해제
* 비중 축소 <---> 분할 매수
- 7월 8일 코멘트, 시그널 no
이아이디 (2차전지에서 나도 한따까리 할거여~)트러스트입니다. 추천한 종목의 적중으로 조금씩 독자분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보겠습니다. ㅎ
A. 기대수익
120%
B. 투자포트폴리오에 포함해야 하는 기간 (지나면 폐기)
보름
C. 선정 이유
1.
사실상 지금 주식장을 이끌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 2차전지 관련 자회사가 2개이다. 테마주 흐름에 따라 지금 라인에서 또 다른 급등이 나와도 전혀 이상할 것이 없음.
2.
2차전지 활물질설비 물류제어 장치의 KIT 및 디스플레이 그리고 반도체 후 공정 제품을 Amkor(엠코테크놀로지)에 공급하고 있다. 참고로 Amkor는 세계 2위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기업.
3.
2차전지 물류자동화 설비를 제조하는 (주)지이와 당기중 합병을 하였다. 최근 2차전지 자회사인 이큐셀의 급성장으로 2차 전지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넓혀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캐나다의 노람리튬과 미국 네바다 리튬광산의 광산채굴권의 확보를 통해 시장 경쟁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4.
주주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전환사채 물량을 최근에 거의 소화 시켰다.
5.
급등 테마주의 전형적 차트를 보여주고있다. 급등주의 차트분석은 사실 거의 의미가 없지만, 거래량 붙은 상승과 하락은 이 종목의 관심도가 전혀 식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D. 끝맺으며
이아이디 종목은 제가 정한 포트폴리오 기간 (보름)을 확실히 지켜주는게 필요합니다. 반드시 보름내에 수익을 확보하고 털어주세요. 세금포탈 혐의 및 최근에 거래정지 해제된 이화전기 쪽 영향으로, 장기투자에는 큰 리스크를 보유하고 있는 종목입니다.
차트에 대한 맹목적인 맹신보다는 , 재빠른 정보캐치와 적절한 차트분석의 조화로 시장에 대응하는 트레이더 '트러스트'입니다.
1일 1종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BTCUSDT(23.02.22) 고점횡보지속 대응방안안녕하세요 👋
WansT 입니다. 😀
높은 시간대 -> 낮은 시간대로 비트코인 분석하고
아래 TOTAL 차트와 비트 도미넌스 그리고 테더 도미넌스
나스닥 분석을 참고용으로 올려두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주봉입니다.
2일전 마감된 주봉이 거래량이 꽤나 증가된 장악형 양봉으로 마감되었습니다. 😀
주봉에서 볼수있는점은
1) 거래량이 동반된 장악형 양봉
2) 23년 1월말의 주봉종가를 상회하여 마감
3) 다만 22년 8월 중순의 주봉종가는 넘어서지 못하고 마감하였습니다.
일봉 차트입니다.
일봉차트에서는
1) 직전 고점저항에 대한 R -> S
21.5K 구간에 빨간박스영역이 돌파된 이후에 21.5K구간은 강력한 지지구간이되어 추가적인 고점을 갱신한 상태입니다.
2) 고점 횡보 채널이 눈에 보이는데
현재 눈에 보이는것은 고점상단에 대한 추세각입니다.
하단은 추세선보다는 수평지지저항으로 보는것이 좋을 것 같고
때문에 현재 진행중인 파동이 좀 더 시간적 가격적으로 연장되어 쐐기 형태의 모습을 그릴가 능성 또한 배제 할 수없다고 생각됩니다.
4H 차트에서는 일봉차트에서의 채널을 좀더 상세하게 지지저항으로 볼수 있습니다.
-> 수평지지저항과 위 관점을 토대로한 대응 방안
⭐ 저항구간
1) 25K~25.2K
2) 25.3K~25.6K ( 채널 상단각저항 + 4H 다이버 중첩가능구간) - 미리숏을 대놓진않고 왓을경우 작은 프레임 (EX- 5분~15분) 윗꼬리 터지는 음봉으로 떨어지는 저항이 확인될경우 숏진입가능구간)
2번 구간이 상방돌파가 강하게 일어날경우 일봉프레임에서 LOW VOLUME NODE 즉 매물대가 빈구간이기때문에 상승의 탄력이 빠르게 진행될수있습니다.
3) 26.5K~26.8K
4) 28K
5) 28.8K
⭐ 지지구간
1) 23.8K~23.7K - 채널 중단 + 1월 주봉의 종가라인
2) 22K~22.2K 채널하단
⭐ 3) 21.5K - 최근 상승의 저점과 R->S 직전고점에서 지지구간으로 바뀐 지지구간 ⭐ 중요구간
4) 20.2K - 1월 횡보박스의 하단구간
5) 18.7K - 22년7월~22년10월까지의 박스권하단구간 ⭐ 이구간을 돌파하며 현재 강한 상승파동이 진행중이므로 하방이탈시에는 주의 필요
TOTAL CAP
1.03T 의 수평저항을 돌파하고 지지가 나올수있는지 체크여부
비트코인차트와 다르게 1.03T의 지지구간이 확인된다면 전체 크립토시장이 상승여력이 남아있다고 판단
-> 비트코인의 강세보다 알트코인이 좀더 남아있을수 있다?
혹은
-> 비트코인 또한 25.4K 구간을 강하게 돌파하여 LVN 구간으로 돌입할경우 빠른상승으로 전체 크립토 시장의 상승을 견인할수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 44% 상향돌파이후 윗구간의 지지여부
비트코인 44% 지지이후 비트코인도미넌스의 채널의 상단까지 열려있다고 생각됩니다.
비트가 상승하며 도미넌스를 끌어올린다면 비트코인의 독주로 시장에 좋은 영향을 가져올수있지만
비트가 하락하며 도미넌스가 올라가며 채널중단까지 하락한다면 최근의 알트강세장이 종료될수있으므로 주시필요
USDT.D
장기상승추세와 수평구간인 6.3% 의 지지확인필요
나스닥
추세확장 피보1.13 구간까지 상승이후 하락하여
최근상승이 첫번째 반등 ABC 파동의 고점이 될수있습니다.
다시 조정이 시작된다면
618 구간과 수평지지구간이 겹치는 11500 언저리까지 조정이 나올수있습니다.
⭐ 전체적인 설명을 토대로 요약해보자면
15.5K 저점에서 상승한 상승파동에 대한
조정의 시작점이 25.2K가 나온것인지
아직 쐐기형의 고점이 남은것인지
애매한 상황이고
조정이 나오더라도 메인파동의 허리점인 18.7K 에 대한 하방이탈이 없을경우에는 지속 상승을 보는 편이 유리해보입니다.
현재 구간이 24K 정도인데 최대 18.7K 구간까지 조정을 본다면 아직 눌림의 레벨이 한참 남아있기때문에
적당한 조정에 각 지지저항구간으로 단기 선물 대응으로 매매하며
장기 현물은 매집하여 30K 오버구간에서 수익실현하면 좋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16 수)
1. 지난 분석 복기
1) 2022.11.15일 포지션
① 시나리오 (하락)
-매도 진입: 11,807
-손절: 11,900 (전고점)
-청산: 11,318 (20일선)
2) 결과
-11,824 저항선을 뚫고 약상승 후 하락
-손실: 104 포인트
-종가: 11,904
-분석: 시가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생산자물가지수 발표 후 피보나치 되돌림 0.5 부근 터치한 뒤 하락
랠리가 펼쳐질 것을 알고있었고, 과매수 인상황에서 조정을 노리고 숏 들어갔으나
강한 매수세에 큰 조정없이 상승 중
2. 시장 주요일정
- 11월 15일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 11월 16일 산업, 제조업 생산
- 11월 17일 실업수당청구건수
3. 시장 분석
- 6월 QT조기종료에 의한 상승과 유사하다고 봄.
- 기업들은 여전히 직원을 해고하고 있음. (아마존 1만명 해고, 아마존 전세계 직원 대비 비율 1%)
- 빅테크 기업 광고수익 적자가 굉장히 심함.(유튜브, 트위터 등 )
- 3분기부터 직원감축이 본격화 되었기에 미 기업들의 4분기 실적 또한 좋을 수가 없음.
- 따라서 현재 시장의 기대처럼 12월까지 끌어올리고 급락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
4. 금일 분석
- 생산자물가지수가 낮게 나왔으나 눌림.
- 일봉 차트상 강한 상승추세라인을 지지받고 있음.
- 22년 3월 경 바닥대비 18% 조정없이 상승한 것과 비교했을 때, 상승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음.
- 지금 하락한다해도 과매수 구간이므로 이상하지 않음.
- 12,000에서 저항을 받고 하락하거나 뚫는다면 12,110까지 올릴 것.
- 손실을 적게 가져갈 수 있는 매수로 진입하는 것이 유리
5. 2022.11.16 포지션 제안
1) 시나리오 (상승)
-매수 진입: 10,912
-손절: 11,882 (시가)
-청산: 12,000 (45도추세 저항라인) or 12,110 (전고점)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15 화)
1. 지난 분석 복기
1) 2022.11.14일 포지션
① 시나리오 (하락)
-매도 진입: 11,774
-손절: 11,824 (저항선)
-청산: 11,437 (5일선)
2) 결과
-11,824 저항선을 뚫고 약상승 후 하락
-손실: 50 포인트
-종가: 11,734
-분석: 11.67%상승 했으나, 매수세가 강함.
횡보하다 끌어올리려했지만 올리지못하고 하락.
2. 시장 주요일정
- 11월 15일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 11월 16일 산업, 제조업 생산
- 11월 17일 실업수당청구건수
3. 시장 분석
- 6월 QT조기종료에 의한 상승과 유사하다고 봄.
- 기업들은 여전히 직원을 해고하고 있음. (아마존 1만명 해고, 아마존 전세계 직원 대비 비율 1%)
- 빅테크 기업 광고수익 적자가 굉장히 심함.(유튜브, 트위터 등 )
- 3분기부터 직원감축이 본격화 되었기에 미 기업들의 4분기 실적 또한 좋을 수가 없음.
- 따라서 현재 시장의 기대처럼 12월까지 끌어올리고 급락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
4. 금일 분석
- 바닥대비 11.67% 상승
- 상승을 더 끌어올릴만한 소스가 부족하다고 판단
- 15분봉 차트상 쌍봉 발생
4. 2022.11.15 포지션 제안
1) 시나리오 (하락)
-매도 진입: 11,807
-손절: 11,900 (전고점)
-청산: 11,318 (20일선)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14 월)1. 지난 분석 복기
1) 2022.11.11일 포지션
① 시나리오 (하락)
-매도 진입: 11,657
-손절: 11,740 (저항선)
-청산: 11,261 (20일선과 지지선)
2) 결과
-11,740 저항선을 뚫고 상승
-손실: 83 포인트
-종가: 11,848
-분석: 연말까지 상승랠리를 펼칠 것이라는 기대감에 의한 상승.
2. 시장 주요일정
- 11월 15일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 11월 16일 산업, 제조업 생산
- 11월 17일 실업수당청구건수
3. 시장 분석
- 6월 QT조기종료에 의한 상승과 유사하다고 봄.
- 기업들은 여전히 직원을 해고하고 있음.
- 빅테크 기업 광고수익 적자가 굉장히 심함.(유튜브, 트위터 등 )
- 3분기부터 직원감축이 본격화 되었기에 미 기업들의 4분기 실적 또한 좋을 수가 없음.
- 따라서 현재 시장의 기대처럼 12월까지 끌어올리고 급락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
4. 금일 분석
- 바닥대비 11.67% 상승
- 상승을 더 끌어올릴만한 소스가 부족하다고 판단
- 바닥부터 잡은 트레이더들의 수익실현이 언제 나올지가 중요함.
- 눈에 띄는 매도세가 나오면 위해 급락할 것이라고 봄.
- 손실라인을 짧게 잡을 수 있으므로 숏이 유리. 현 상황에서 롱을 잡는 건 너무 리스크가 큼.
4. 2022.11.14 포지션 제안
1) 시나리오 (하락)
-매도 진입: 11,774
-손절: 11,824 (저항선)
-청산: 11,437 (5일선)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11 금)1. 지난 분석 복기
1) 2022.11.10일 포지션
① 시나리오 1 (관망)
-매도 포지션 청산: 11,864
-관망
2) 결과
-10,840~10,900 박스권 횡보
-CPI발표후 급등
-양봉 6% 마감
-분석: cpi 둔화로 인한 급등, 2000년 이후 15위 내에 드는 상승률
2. 시황
- 11월 12일 미국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발표
3. 금일 분석
- 과거 데이터를 보면 5%이상 상승한 다음 날은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음. 수익실현으로 인한 하락으로 보임
- 실업률이 낮고, 경제가 탄탄한 것으로 보아 인플레이션이 둔화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관점.
- 결론은 1 ~ 3% 이상 빠질 것으로 예상.
4. 2022.11.11 포지션 제안
1) 시나리오 (하락)
-매도 진입: 11,657
-손절: 11,740 (저항선)
-청산: 11,261 (20일선과 지지선)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10 목) /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날1. 지난 분석 복기
1) 2022.11.10일 포지션
- 매도 진입: 11,100
- 손절: 11,158
- 청산: 11월 10일까지 오버나잇
2) 결과
- 매도 진입: 11,100
- 현재 지수: 10,864
- 차익: 236 포인트
- 분석: 분석대로, 수익실현을 하기 위한 매도세와 cpi발표를 앞둔 매수 심리 악화가 주요했다고 보임.
2. 시황
- 11월 10일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예정
3. 금일 분석
- 물가지수 정점론과 경기침체론은 여전히 대립하고 있음.
- 소비자물가지수 여부와 상관없이 엄청난 혼조세가 보일 것.
- 차트상으로는 상승보다 하락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임
4. 2022.11.10 포지션 제안
1) 시나리오 1 (관망)
-매도 포지션 청산: 11,864
-관망
2) 시나리오 2 (반등)
-매도 포지션 청산: 11,864
-매수 진입: 11,864
-손절: 10,830
-청산: 10,939(5일선) or 11,013(저항선)
3) 시나리오 3 (하락)
-매도 포지션 유지
-손절: 11,100
-청산: 10,715 (1차 지지선) or 10,481(2차 지지선)
어제 수익이 높았고,
오늘은 어떤 움직임도 가능하기 때문에
관망하는 것을 추천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9 수)1. 지난 분석 복기 (2022.11.8)
- 시나리오 1 :지지라인 테스트(11,940) 터치
11,022매도후 10,940에 청산. 손절가는 11,061
애매한 구간이므로 추가 진입은 자제.
#10,955까지 하락한 후 반등.
예상과 비슷했으나, 목표가에 정확히 도달하지 못함.
2. 시황
- 11월 10일까지 특별한 지표 발표가 없음
- 11월 10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예정
3. 분석
- 이동평균선과 지지/저항선, 캔들모양 등의 차트 분석이 애매한 상황
- 바닥대비 5.6%상승. 반등은 충분히 한 상태
- 미국의 탄탄한 고용현황과 경제상황으로 인해 단기렐리를 예상하는 분석도 적지 않음.
- 다만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매수할 트레이더들이 많을지 의문
- 결론은 바닥대비 5.6%가 상승한 상황에서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전에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매도세가 강할 것으로 보임.
4. 2022.11.9 시나리오
매도 진입: 11,100
손절가: 11,158
매도 포지션 진입 후 청산하지 않고 11월 10일까지 오버나잇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8 화)
1. 지난 분석 복기 (2022.11.7)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0,951) 터치
5일선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임.
10,865매수 후 10,951 매도가 안정적으로 보임.
#시나리오 1처럼 목표가까지 상승하고 10,850까지 하락,
새벽 2시부터 반등, 종가 11,014
11월 7일 분석과 마찬가지로 일시적 상승중.
2. 시황
- 11월 10일까지 특별한 지표발표가 없음
- 11월 10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예정
3. 분석
- 5일선, 10일 선이 벌어져 있고, 10일 선이 20일 선 데드크로스를 만들기 직전
- 이동평균선으로 예측하기 애매하므로, 저항 지지선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 상승추세였기 때문에 지지라인(11,940)을 테스트할 것으로 보임.
4. 2022.11.7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지지라인 테스트(11,940) 터치
11,022매도후 10,940에 청산
손절가는 11,061
애매한 구간이므로 추가 진입은 자제.
--------------------------------------
폭풍설이 곧 옵니다 안녕하세요 감론입니다
8월29일 나스닥 두번째 고점 근처에서 하락 아이디어 공유했는데요
예상대로 큰 하락으로 진행 되었었고 이제 떨어질 만큼 떨어졌고 바닥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꽤 있더라고요
ㅎㅎㅎ저는 거시경제 뭐고 바닥이라고 뭐고. 무엇보다 차트에 구조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추세 반전 일으키려면 우여곡절이고 시장이 늘 가던 방향으로 가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나스닥 추세 괴리 발생하기 전에 늘 매도 대응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주식 및 비트코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스닥 현황 :
일봉 레벨에 하락 중추 하단 라인 부근에서 낮은 4 시간 레벨에서 또 하나 4시간 하락 중추 A 만들었습니다
본 레벨 중추 하단 라인에서 또 하나 낮은 레벨에서 중추 만든다는 것은 본 레벨 중추 하방으로 벗어나려고 중비중이라는 얘깁니다
(중추는 역시 중추로 파괴시킨다--감론 선생)
분할 매도 전략 :
4시간 레벨 하락 중추 A 의해서 베가스 저항 및 중추 상단 라인 위치 진입
1차 매도 11149
2차 매도 11473
3차 매도 11722
( 가격상 손절 범위는 크다 보니 본인의 자금 비율에서 분할 진입 조정 부탁드립니다)
손절 11700 이상 돌파 및 지지 확인
익절9730 부근
모두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투자는 본인에게 책임 있습니다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아이디어 도움 되신다면 팔로우 및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UpDown] 나스닥 선물 분석 (2022.11.7 월)1. 지난 분석 복기 (2022.11.1)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1,442) 지지받으며 상승, 목표가 (11,560)
- 시나리오 2 :일봉 10일선(11,400) 지지받으며 상승, 목표가 (11,560)
- 시나리오 3 :일봉 20일선(11,254) 종가
11월 1일 종가 11,332
11월 3일 종가 10,728
11월 4일 종가 10,849
11,254까지 하락하고, 12,000까지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와 급락
쌍바닥을 찍은 상태.
2. 시황
- 11월 10일까지 특별한 지표발표가 없음
- 11월 10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예정
3. 분석
- 11월 10일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까지 일시적 상승 예상
- 과매도로 인해, 11월 7일 기준, 5일선 10일선의 거리가 벌어져 있음.
- 악재는 다 반영되었고, 바닥이라는 기대감에 의한 매수세와 경기둔화로 인한 매도세로 인해 횡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4. 2022.11.7 시나리오
- 시나리오 1 :일봉 5일선(10,951) 터치
5일선 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임.
10,865매수 후 10,951 매도가 안정적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