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나리오: 지그재그 C 618-X-플랫or수렴 삼각형 지그재그가 C가 1:1에서 찍히면서 위 시나리오는 폐기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 제한 수렴 삼각형 지그재그-small X-플랫or수렴 삼각형 시나리오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셀프 피드백> 어제 새벽에 382 지점을 지나, 81 되돌림에서 숏 스퀴징이 발생하면서 거래량 분출과 함께 강하고 빠르게 튀어올랐는데 이 과정에서 0-B 추세선으로 추정했던 지점이 깨지면서 지그재그가 종료되었다고 잘못 판단했습니다. C로 추정했던 파동이 명백한 3파로 떨어졌다는 점에서 (추정)0-B가 연속적으로 급하게 깨지자 성급하게 지그재그 종료라고 생각했으나 81까지의 하락을 B의 large-X로 보고...
지그재그 1:1로 떨어진 비트 도미넌스가 평행채널 하단에 거의 근접한 다음 반등하고 있습니다. 조정파동, 특히 지그재그의 경우 평행 채널에 4개의 터치포인트가 생기면 1. 이후 small-X파가 발생하거나 2. C파가 세분화되며, 채널 하단을 터치한 파동이 C-1파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 파동은 채널 상단을 맞고 재차 하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 채널 상단 근처 2. 236 3. 382 세 가지 지점에서 알트 매집을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시나리오는 현재 진행중인 파동의 종점이 지그재그 618을 넘기면 무효화됩니다. 비트 삼각형 E파 진행 중이라는 시나리오가 맞다는 가정 하에 현재 진행중인 상승 랠리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평소엔 머릿속으로만 생각하던 건데, 글로 쓰려니 한참 걸리네요.. E파 이후 상방 돌파를 가정한 시나리오니까 롱입니다. 직전 절단 지그재그 D 아이디어에 이어서 E의 첫 움직임이 거의 조정 없이 빠르고 강하게 나온 상황에 기초하여 E파 시나리오를 구체화 해 봤습니다. 1. 제한 수렴 삼각형 E파의 종점은 일반적으로 가장 긴 레그의 382~618 사이에 놓입니다. 이 경우, 삼각형 이후의 돌파 범위는 0.75~1.25 사이로 제한됩니다. 2. E의 첫 번째 세그먼트 2-1. E 자체가 무제한 삼각형 : 현재 임펄스 4파 제한 삼각형이라고 보고 있기에 탈락 2-2. 플랫 : 플랫 A라고 보기에는 각도가 너무 가파르며, 81까지 마저 하락한다는...
삼각형으로 본 근거 1. 진행중인 4파가 2-4추세선을 살짝 깬 다음 반등함 2. 전체적으로 수렴하면서 줄어드는 거래량 3. 임펄스 2-4파 교대 지침 충족 4. 소거법 4-1. 4파를 큰 플랫으로 볼 경우, B의 C가 임펄스로 올라가야 하는데 올라가는 모양이 임펄스가 아님 4-2. 지그재그로 보기엔 A가 너무 명확한 조정파동으로 떨어짐 4-3. 4파에서 확장 삼각형은 잘 등장하지 않음 소거법으로 플랫, 지그재그, 확장 삼각형 지우고 나니 수렴 삼각형만 남았습니다. 5. 절단 지그재그는 삼각형 속에서 자주 나타남 숏 타점 진입 근거 1. 위 5가지 이유로 삼각형이라고 판단 2. 지그재그 C 종점 거래량 3. 1분봉 트리플 RSI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