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USDT 주캔들 3월7일에 최고가 간 이후로 고가와 저가가 낮아지면서 하락중 일캔들 이중천장 발생 후 하락 0.382 에서 피보나치되돌림 반등 0.618 에서 피보나치되돌림 반등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강해지는중 두번째 반등과 피보나치확장 1.618과 겹침 -> 다음 하락은 2.618(18.73달러) 예상 4시간캔들 이중천장 이후 대칭삼각형 -> 추세선 어디로 돌파하느냐에 따라 추세 변화 1시간캔들 일캔들의 이중천장 발생 -> 하락 -> 반등 -> 고가와 저가 올라가면서 상승 -> 가틀리곰 등장 -> 하락 -> 반등 종합 횡보하거나 하락 할 것 같다 대칭삼각형 추세선 깰 타이밍인데 안깨고 횡보하면 펀더멘탈이 좋아지지 않는이상...
참 차트라는 게 쉬운 게 없습니다. 이 시나리오인가? 하면 저 시나리오고, 이 시나리오가 틀렸나? 하면 이 시나리오가 맞아요. 위 그림에서 기존에 가틀리 시나리오가 있었고, 32500-32800에서 가틀리 PRZ가 발생하는 시각을 공유드렸습니다. 다들 너무 숏만 보길래 샤크패턴이 나올 가능성이 있으니 추세선 상단을 뚫는 경우 롱을 잡으시라고 말씀드렸고, 지금은 노란색 추세선을 깨고 다시 가틀리 시나리오로 복귀하는 그림이네요. 현재 삼각수렴 자체가 깨졌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지금 소위 '떨롱' 하시는 분들은 32500-32700 정도에서 잡아보실 만한 자리로 보입니다. 그 자리에서는 1. (아직은 예상이지만) 1시간봉...
달러인덱스 주봉차트입니다. 장기적 관점으로 달러인덱스의 하방 압력은 지속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상대통화(유달/파달/캐달 /엔화 기타 등등) 매매에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웨이입니다. 지난 아이디어에서 하락장은 보지않는다고 말씀드렸고, 12000달러 전후까지는 열려있다고 봤었는데 여기까지 바로 올줄은 몰랐습니다. 이제는 어떻게 시장을 해석해야할지가 관건입니다. 단기적으로, 그리고 앞으로 1-2개월 내에 수많은 대외변수들이 존재하고 채굴업계 사정이 언제 어떻게 변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 모든 복잡한 논의를 생략하고 일단 최종목표가만 생각해보겠습니다. 1. 2016~2017년 불장 2. 2018년 하락장 3. 2019년~2020년 상반기 쌍바닥 4. 2020년 상반기~ 대세상승장 19700달러까지 갔던 금융상품이 4천달러 아래로 두차례나 폭락이 나왔음에도 지금 이 위치에 있다는 사실 그 자체가...
1. Bearish Bat Pattern 의 PRZ : 12080$ 2. Bearish Gartley Pattern 의 PRZ : 11576$ + 이더리움 1. 380$ 2. 416$ 3. 468$
지금은 고가 횡보가 지속되는 시점에서 방향에 대한 단서를 찾기가 매우 힘듭니다. 타겟가를 설정해놓고 확률적 베팅을 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확정적인 단서를 기반으로 매매를 한다고 했을 때 단서를 찾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저는 일단 하모닉패턴을 찾아봤습니다. 지금까지 총 세개 정도가 보이는데 두개만 보겠습니다. 첫번째 하모닉패턴이 완성되고 되돌림이 나왔을 때 0.618에서 지지를 받지 못했습니다. 두번째 하모닉패턴이 완성됐을 때도 반등이 0.382 를 넘지 못하였습니다. 단편적인 부분이지만 이 두가지 단서만 놓고 봤을때는 이제는 더 이상 매수세가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없습니다. 단기 저항이 만들어지려고 하는 모습들이...
S&P나 나스닥은 하지는 않지만 비트코인과 코스피에 영향을 주고 있어 같이 유심히 관찰중입니다. 지금까지 생각하고 있는 것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매매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2600 근처에서 매수 자리를 모색해 볼만 합니다. 매매에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팔로우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