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 6월10일 분석 안내.CRYPTO:ETHUSD
이더리움(ETH)의 문의가 많아지는 것을 보면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관심도가 많아지는 것은 결코 시장에 도움되지 않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더리움은 1,600달러에 보유 중에 있습니다. 숏 포지션을 유지중이신 분들도 , 없으신 분들도 계실텐데
여전히 아직 상방 돌파는 이뤄지지 않았기에 0.0252 돌파하지 않는 부분 익절한 비중 추가는 없습니다.
SHORT의 경우 대략 2,750 - 2,800 수준까지 열어두고 가져가면 손익비 좋은 구간이 되지 싶습니다.
이번 달 안에는 추가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이니 조금만 기다려 주시길 바랍니다.
이더리움도 마찬가지로 주봉에서는 하락다이버전스를 보이고 있고 현재는 주요 저항 구간에 위치해 있으며
해당 구간을 돌파할 경우에는 20% 수준 정도의 추가 상승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타겟은 대략 3,200불 정도며 BTC마켓 기준 0.029부근이 됩니다.
현재로서는 2,400불 구간을 지켜줘야 합니다.
정리 하나. 2,750 - 2,800불 (BTC마켓 기준 0.0252 저항)
정리 둘. 단기적으로 2,400불 지켜야하며 상방 돌파 시 타겟은 3,200불 (BTC 마켓 기준 0.029)
Ethlong
이더리움은 원래 "신"이였다.
안녕하세요, 봉영입니다.
어제 트럼프, 머스크 트위터 폭탄빔으로 롱 포지션 털리고 다시 잡았다가
뭔가 좋은 거 없나 찾던 도중 이더리움이 떡하니 눈에 들어왔습니다(이것은 운명).
비트코인의 강한 상승, 강한 하락(지지, 저항 개무시) 파동에 지친 저는
좀 건강한, 올바른 고레버리지들이 존재하지 않는 시장으로 가야겠다 판단.
이더리움 롱 포지션을 만들어보고 있는데요.
일단 보시다시피 비탈릭 생명선을 강한 3파(과거 중요 저항이었던 곳입니다.)
로 돌파한 후 아주 정직한 4파 조정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비트코인도 신고가를 가겠지만
한번 계산기를 두드려봤습니다. 비트코인이 10% 오를 확률과 이더리움이 10% 오를 확률,
그 속도, 조정의 길이 상태, 레버리지의 건강함. 다만 제임스 때문이 아니라, 저도 비트 롱을 꽤나 고레버리지로 모아가고 있었기에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비트코인의 신고가를 위해 무리한 포지션을 구축하고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있습니다.
또한 한 가지 힌트?처럼 다가온 점은 최근 비트코인 ETF의 유출량이 꽤 있는 반면에
이더리움 ETF는 단 하루도 유출이 되지 않고 있고, 오히려 매집 중인 기관 투자자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물론 비트코인이 흔들 때 이더리움도 하락하지만, 최소한 4파의 조정 느낌으로 하락과 상승을 반복하고 있는 모습을 보아.
시장의 돈은 한정적인 지금(금리 인하 진짜 죽어도 안 하려는 연준), 시장의 돈은 더 많은 수익을 위해 조정하지 않을까라는 매우 날카로운 분석으로... 비트코인만 코인이다 라는 저의 생각에 반대가 되는
비트 롱을 다 처분하고 이더리움으로 이사 왔습니다.
비트코인 ETF는 2024년 1월부터 지금까지 대성공, 대수익, 디지털 금, 선반영 마무리 시기.
이더리움 ETF는 "이 또 속 쓰레기, 너가 뭔데... 어? 잠깐만, 생각보다 괜찮나? 비탈릭 이 녀석?" 약간 이런 시기.
라고 판단하였습니다.
우리 같이 이더리움에 속아볼까요..?
아, 이미 다들 현물에 물려...
가보자 비탈릭! 유 캔 두 디스
위아더 이더리움!!
5월 19일 이더리움 지키면 간다.이더리움 변화의 모멘텀이 생기는 구간이 2,490 구간입니다.
해당 구간을 지속적으로 중장기 캔들 마감으로 가격을 방어했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더리움 금일 일봉 마감이 중요해졌고,
2,490 이하 종가 마감이 나온다면 중장기 흐름에 이어지던 모멘텀 변화가 나온 만큼 단기 움직임에 주의가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비트와 마찬가지로 종가로 가격 방어를 하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 흐름이 확실히 꺾였다고 판단하기는 섣부를 수 있습니다.
특이사항으로는 일봉상 거래량 발산이 어느 정도 나온 모습이고, 심리적인 캔들 발생이 나온 만큼 2,587 구간 위로 안착한다면 단기 고점 넘기는 상승 움직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아래 중요 구간이 2,310 구간이 중장기 지지 구간 직전 단기 최종 지지 구간입니다.
해당 구간 이탈 시 아래 중장기 지지 구간까지 눌릴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중요 구간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종합
- 이더리움 아직 중장기 모멘텀 변화가 없기 때문에 금일 일봉 캔들 마감 중요.
- 2,490 이하 종가 마감 시 움직임 주의.
- 거래량 들어온 만큼 2,587 삼킨다면 중장기 상승 움직임 가능.
- 단기 최종 지지 2,310
테더도미넌스(USDT.D) 25년 3월 곧 다가올 알트 시즌 불장에 대한 관점 안내.CRYPTOCAP:USDT.D
테더도미넌스(USDT.D)
1월 작도해 두었던 테더도미넌스 차트가 완성이 되어가는 모습입니다.
결국 하락 추세 상단에 도달한 모습으로
공교롭게도 추세의 고점은 각각 23년9월, 24년9월이 됩니다.
아무래도 이번에 9월까지는 어려울 모습이고 조금 더 빠르게 알트장이 시작되지 싶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이더리움의 실망, 알트들의 실망스러운 움직임으로
이제 시즌 아웃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는 대중적인 심리로 매우 긍정적인 매매 요인이 됩니다.
가장 시총인 큰 알트코인인 이더리움(ETH)을 예로 들겠습니다.
위에서 말한 테더도미넌스의 상단 고점 구간이었던
23년 9월 이더리움의 가격은 1,500불 > 4,000불 = 기간 6개월로 24년 12월 마감. 약 170% 상승
24년 9월 이더리움의 가격은 2,180불 > 4,000불 = 기간 5개월로 25년 12월 마감. 약 90% 상승
현재 테더도미넌스 상단 고점인 25년 3월 이더리움의 가격은 2,000불 > +-4,000불(기간 3~6개월)의 가능성은
각자 판단하여 내가 지금 포지션을 정리하는 게 맞는 건지 시즌 종료가 맞는지
앞으로 모아가는 게 현명할지는
위 내용 참고하여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보유자산의 1/150 혹은 1/100 비중으로 안전하게 진행하시길 권장합니다.
위 정보와 안내는 교육 목적이며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매수, 매도는 본인 판단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투기적 수요 및 국내외 규제환경 변화 등에 따라 급격한 시세 변동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본 디지털 자산의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발생 가능한 손실도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이더리움(ETH) 2월01일 분석 안내.CRYPTO:ETHUSD
이더리움(ETH) 지난 일봉 기준 폴링웨지 패턴에 이어
큰 흐름으로는 컵 앤 핸들(Cup And Handle)의 패턴도 보이는 모습입니다.
무엇이 됐든 4,000달러 부근이 주요 저항 구간이 되겠고
해당 구간 돌파 시에는 4,700 - 7,000불을 타겟으로 가지고 가도록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하단은 2,100불을 깨트려서는 안됩니다.
4,000불 구간을 잘 지켜보도록 합니다.
보유자산의 1/150 혹은 1/100 비중으로 안전하게 진행하시길 권장합니다.
위 정보와 안내는 교육 목적이며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매수, 매도는 본인 판단하에 하시길 바랍니다.
디지털 자산 투자는 투기적 수요 및 국내외 규제환경 변화 등에 따라 급격한 시세 변동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본 디지털 자산의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발생 가능한 손실도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ETH] 난 이더 게임을 해봤어요!!!!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비트코인 솔라나를 비롯한 메이저 코인들이 엄청난 상승을 보여주고있는데
우리 이더리움은 왜이럴까요..??
오늘은 이더리움을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
이번 상승장에서도 노란색으로 표시한 24년 3월 11일부터 두달간 이어진 하락이후의 급반등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하얀색으로 표시한 구간이 진행된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렇게 이더리움은 프렉탈적인 접근이 참 잘 먹히는 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짜고짜 이 얘기를 왜하나면 지금 구간 역시 보다시다피 24년 5월 상승했던 이구간과 상당히 유사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아마 이때 매매를 하셨던분들은 시장분위기를 기억하실겁니다.
이때도 비트코인이 급등함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은 한참을 줄줄 흘렀고,
사람들이 이더리움은 망했다며 이더리움 민심이 나락가면서 매수심리가 완전 죽어있었습니다
그렇게 이더리움에 대한 조롱이 극에 달하고있던 찰나에
비트코인보다 3~4일정도 늦게 큰 상승을 보여주면서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에게 포모를 안겨주었는데요
-------------------------------
저는 이번에도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코인 시장을 보시면 메이저코인들이 상승할동안 이더리움은 지지부진 하면서 이더리움에 대한 민심이 매우 안좋은데요
심지어 트럼프쪽에서 이렇게 의도적인 기사를 내며 펌핑을 시도해도 쉽게 매수세가 붙지 않고있는 모습입니다
이런점들을 미루어보아 저는 이번에도 역시 비트코인보다 늦지만 폭발적인 상승을 보여줄것이라고 보고있으며
빨간색 하락추세가 돌파되는 시점이 그 거대한 상승의 트리거가 되는 구간이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저는 어떻게 대응을 할 생각인지 말씀드리자면
저는 개인적으로
초록색 매물대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에 이 매물대근처 까지 다시 하락이 나와준다면 매물대가 하방이탈 되지 않는한 매집을 계속해서 해볼 생각이고
매물대까지 하락하지 않고 빨간색 하락추세를 돌파한다면 돌파할 때 시장가매수로 대응해볼 생각입니다.
水滴石穿 수적석천 : 작은 힘이라도 지속적으로 꾸준히 노력을 하다보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안녕하세요 제노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또 인사를 드리는거 같은데요 .
현재 비트코인이 역사적인 신고점을 찍어준 가운데
하나 둘씩 알트들이 가기 시작하고
눌림도 크게 없다 보니
많은 분들이 FOMO 를 가친 채로 현재 시장에서
감질맛만 나는 상황으로 매매를 하고 계실거 같습니다.
심지어 최근들어서는 화끈하게 상승해주는게 아니라
찔끔찔끔 고점 돌파를 이어나가다 보니
이러한 생각이 드실거 같아요
" 여기서 그럼 또 고점 갱신하나 "
그래서 제가 그 의문을 해결 해줄 따끈따끈한 관점을 들고 와봤는습니다
BTC 30 MIN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비트코인의 고점 갱신의 가능성은
다소 적어보이며
만약에 고점 갱신이 되더라도 숏 진입의 기회로 보려고 하고 있어요.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에 대해서는 비트코인의 구조를 보면 알 수있습니다.
바로 웻지 구조이죠
다르게말하면 쐐기형태라고도 부릅니다.
이 웻지구조를 봤을때
볼륨이 명확하게 디클라인 되는 하락 추세를 띄고 있고
약세 다이버전스의 트리플 컨펌과 과열권 안에서의 컨펌을 보았을떄
저는 이 패턴이 유효하다 라고 개인적으로 판단하고 있는데요
그럼 또 궁금해 하실 질문을
제가 또 대답해드리겠습니다
바로 어디까지 떨어질까 겠죠
저는 패턴의 시작점 부근
바로 73300 부근을 보고있습니다. 그 이유 로는
피보나치 되돌림의 0.382 되돌림과
말씀드린 패턴의 시작점 그리고 과거 고점과 현재 상승을 하기전
지지를 해주었었던 OB ( 오더블럭 ) 이 있기 때문에
만약 패턴의 유효값으로 하락을 한다고 하면
해당 부근에서의 지지는 제 입장에서 가능성 높게 보고 있습니다.
또한 오늘 비트코인에 비해 이더리움이 크게 상승중에 있는데
말씀드린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이더를 포함하여 알트들에게 유동성이 공급되고 있는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제가 갑자기 이더리움을 다뤄드리는 이유가
굉장히 중요한 파이프 라인을 돌파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인데요
보통 이 파이프 라인 위로는 천국이라고 표현하고
아래로는 지옥이라고 표현하기 때문에
지옥 구간에서의 ACCUMULATE 구조를 그리고
해당 파이프 라인마저 돌파를 해주었다 라는것은
제 입장에서는 굉장히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리하자면
저는 비트코인의 LTF 상의 구조는 하락패턴을 보고 있기 때문에
저와 보는 뷰가 같다라면 약 조정을 염두에 두시는게 좋을거 같다 라고 받아들여져요
그래서
비트코인의 지지는 73300 달러 부근으로 보고있으니
이때 가격에 도달을 한다고 한다라면
비트도 좋지만 이미 상승추세로의 전환을 끝마친
이더리움도 한번 눈여겨 보시는것도 개인적으로 좋다고 판단하고 있어요
오랜만에 저의 관점이 마음에 드셨을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오랜기간 차트를 보면서 웻지패턴으로 많은 수익을 거뒀던거
같은데 이번에도 수익으로 연결 되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여담이지만
트레이딩뷰에서 많은 분들이 저를 찾으시더라구요
하지만 저는 요즘 유튜브에서 영상을 찍고 댓글에 답변해드리는 삶에
푹 빠져있습니다. 그러니 만약 오늘의 관점이 마음에 드셨다라면
유튜브로 저의 실시간 매매 관점과 그에따른 실제 매매를 확인해보시는게
어떨까요 ?
이상 제노였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모든 매매의 책임과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공부용, 관점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시고, 매수와 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님을 인지해 주세요
9월의 안전매매 완료! 10월의 첫 안전 전략! / Safety sale completed in September!
안녕하세요 게란입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하지만 저희는 열심히 달려야죠!
9월 한 달간은 몇 가지의 전략을 세웠고 많은 수익을 얻었습니다.
10월도 좋은 아이디어로 좋은 전략 소개해드리겠습니다!
#Kimegg #BTC
EP : 58100~57500 *58100 Main EP
TP 1 : 60800 (+4.6%)
TP 2 : 66500 (+14.4%)
SL : 56500 (-2.75%)
ETC
- 손익비 TP1 기준 1:1.7 입니다.
- 이번 전략은 58100을 중요한 EP로 보고, TP1 도달시 일부 매도 나가고 나머지를 TP2까지 끌고가며 본절로스로 인건비는 챙기고 끝까지 가보자는 전략입니다.
근거
- 삼각수렴 상단돌파 후 평행채널 상단에서의 저항 발생 → 리테스트 유력
- 되돌림 618구간과 삼각수렴 상단 중첩 됨
- SL은 평행채널 중단 이탈시 Price Line으로 설정
-----English Ver------
Hello, I'm Kimegg!
It's gotten a lot colder. But we have to run hard!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we set up some strategies and made a lot of profit.
I will introduce you to a good strategy in October with a good idea!
#Kimegg #BTC
EP : 58100~57500 *58100 Main EP
TP 1 : 60800 (+4.6%)
TP 2 : 66500 (+14.4%)
SL : 56500 (-2.75%)
ETC
- The profit and loss ratio is 1:1.7 based on TP1.
- This strategy sees 58100 as an important EP, and when TP1 reaches, some of it will be sold out, and the rest will be dragged to TP2, collecting labor costs and going all the way to the main course.
Basis
- Resistance occurs at the top of the parallel channel after triangular convergence top break → Retest likely
- Returning 618 section and triangular convergence top overlap
- SL is set to Price Line in case of parallel channel interruption
[ETH] 이더리움 인생저점 매수찬스 OR 저점갱신안녕하세요. 현실적인 전업투자를 하고있는 터틀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이 전저점을 깨리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는데 결국 전저점을 갱신하네요...
대부분의 시나리오가 폐기되어 신규 근거를 찾던중 이더리움에 괜찮은 근거가 포착되어 포스팅합니다.
1. 매물대
2. 상승추세
이 두 가지 근거로 꼬리에 손절을 걸고 롱 진입한다면 매우 손익비 좋은 스윙타점이 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더리움이 꼬리를 갱신한다면 폐기되는 관점입니다!
수익실현은 하락의 시발점인 2830쯤 리테스트 무빙이 나온다면 반익절하고 홀딩해볼 생각입니다.
이더리움의 아름다운 빗각 그리고 채널안녕하세요 터틀코인입니다.
괜찮은 이더리움 시나리오가 보여서 글을 작성합니다.
다섯 가지 근거로 이더리움이 단기 하락 후 상승할것이라는 관점으로 보고있는데요. 바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
1. 빗각의 저항
보시는것처럼 4시간봉 기준 빗각의 저항을 받고내려가고있습니다.
2. 채널의 하단
이미지처럼 채널의 하단에서 상승이 나오지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3. A : C피보나치 1:1구간
이미지처럼 플랫형태로 ABC가 나오고 있다고 보고 있는데 플랫조정은A:C의 비율이 1:1의 비율을 이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근거로 채택하였습니다.
4. 매물대의 지지
2720의 24년 1월 12일에 형성된 고점을 2월 14일날 돌파한 이후 4월 13일, 5월1일, 7월5일 지지받는 모습이 나와주었기 때문에 강력한 매물대가 형성돼있다고 판단하여 근거로 추가하였습니다.
5. 상승 다이버전스
급속으로 내렸다가 올릴것이라고 판단하고 있기때문에 급속으로 내린다면 4시간봉 RSI에 상승 다이버전스가 형성될것이라고 판단하여 근거에 추가하였습니다.
[23.09.22] 비트코인(BTC) 하락 예측 성공, 다음 방향성까지는 정해졌다!트레이딩뷰 규제로 인해 본이아니게
헷제가 되었지만 차트 작도 당시를 보시면
기존 작성된 글임을 알 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귀입니다.
어제 올려드린 TP는 정확하게 보았고
두가지 관점을 올려드렸는데 통수안치고
뻔한 관점으로 나와서 정확히 맞아 떨어졋네요.
다만 타이틀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엉뚱한 대처를 해서 저는 약손실이 났습니다.
역시.. 맞추는것 보다는 대응이 중요하다는!
각설하고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오늘은 단기 뷰이니 관점이 짧을 예정입니다.
1. 복기
\
< 비트코인, 15분봉 >
하얀 시나리오 노란 시나리오 두가지 관점을
말씀 드렸었고 TP는 같았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다이렉트로 빠지는
가장 쉬운 관점으로 결과가 나왔네요.
특징적으로는 예상보다는
한파동이 더 빠져서 쫌 많이 빠졋다 정도입니다.
저는 통수 칠거라고 생각해서 롱받다가
로스가 여러번나가고 수익은 안났고
되려 손실이 좀 났습니다!
27070쯤 아닌거같다 생각하고 추격숏 쳤는데
그때 홀드했어야했지만 뇌동을 좀했습니다.
어찌되었건 제 뷰를 참고 하셨으면
꽤 괜찮은 구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3. 이후 단기 관점
< 비트코인, 4시간봉 >
우선 중기뷰로는 결국은 반등을 줬다가
한번은 더 눌릴것이라 생각합니다.
상승후 다음 파동을 내릴때 내리는
형태와 크기를 보고 그 다음 파동 해석해야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럼 단기적으로는?
반등롱이 나올거다 라고 생각합니다.
4. 단기 세부
단기적으로 되돌림 상승을 줄거라고 보고
저는 2가지 관점으로 보고있습니다
4-1) 저점 미갱신 조정
< 비트코인, 15분봉 >
저점갱신이 없을경우 0.382까지 갈것이냐
0.5까지 되돌릴것이냐 두가지의 방향입니다.
시간조정을 동반하면 0.382
주말내 혹은 차주 초반까지 0.5를 찍는다면
조정이 다 나왓다고 볼 생각입니다.
더불어 앞에서 통수없는 무빙이 나왔기에
이번에 조정을 많이 준다면 표시해둔
2차 숏진입자리까지 갈수있다고보고
숏은 열어두고 모을 예정입니다.
4-2) 저점갱신 상승다이버 생성 후 상승
< 비트코인, 15분봉 >
이 경우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혹시 저렇게 나온다면 다이버 확인 후
컨펌 시점에서 밑꼬리 달고
말아올릴때 꽤 고배율을 받아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상승 예상 TP는 아마 그렇게 되면
당시에 떨어진 파동까지를 보고
예측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혹시 보이는게 있다면
이글의 코멘트로 달아보겠습니다.
5. 요약
지금 상승하거나
한발 더 빠지고 상승할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승하더라도 고점갱신은 없으니
올라오면 숏을 칠 생각이다.
6. 마무리
어제 잘 봤음에도 아래위로 다 발라먹을 욕심에
너무 차트에 몰입해서 보고있다보니
작은 변화에도 뇌동매매가 발생했고
큰수익 구간에서 수익이 나지 못했습니다.
되려 손실을 입었네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고 저도 느끼지만
매매는 관점을 기반으로하되
수익을 만들어 주는것은 대응이란걸 느낍니다.
형님들도 대응 잘 하셔서 수익이 많이
생기시길 기원합니다.
---------------------------------------------------------
저는 저점을 안깨지않겠나 싶어서
26450쯤에 예약매수 걸어뒀는데
26451찍고 오르길래
오전 반등줄때 26510에서 추격롱 탓고
방금 눌림에 불타서 롱평단 26530입니다.
26730정도에서 반익절 설정 해두었고
위에 말씀드린대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23.09.18] 비트코인(BTC) 큰 상승, 기회를 놓친 뒤 멍청하게 대응한 사람.안녕하세요
멍청한 아귀입니다.
롱을 잘 보았고
멈춘 자리자리들이 전부 예상했던 자리였고
저는 털려서 얼마 못먹었고
숏치다 손실을 보았습니다.
기회를 제대로 살리지 못해 원통하네요.
잘 보았지만 대응을 잘못했을때 어떻게 되는지
몸소 보여드린 케이스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어떤 실수를 하였는지.
그리고 지금 상황에서 예상되는
다음 파동은 어떤것이 있을지
정리 해보겠습니다.
1. 복기
지난 상황에서 롱을 봤던 뷰는 2가지 였습니다.
1-1) 작은상승
<비트코인, 1시간봉 >
위 표기한 ABC로 한파동이 다나왔고
조정 후 더 가든 폭락이든 하락의 첫파동이 나왔고
첫파동의 0.618정도 자리는 되돌릴것 같다.
26700선까지 반등을 주지 않겠나 생각한다.
1-2)큰상승
< 비트코인, 4시간봉 >
앞파동의 ABC가 다나온것으로 보인다.
이후 조정이 0.382도 못돌렸지만
롱의 힘이 강하면 0.236만 눌리고 가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보지만 확률은 높지 않아보인다.
그러면 매물대 기준으로 볼때 27500정도까지도 보인다.
(뷰를 볼 당시 저점이 26410이었기때문에 저렇게 찍었습니다.
이후 저점을깼기 때문에 지금은 저기 저점을 찍으면 안됩니다.)
2. 매매복기
< 비트코인, 1시간봉 >
이 두가지 모두 20700선까지 공통구간이라고 생각해서
타점이 좋지않았지만 26410구간을 안깨면
롱을 받아볼만하지 않나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롱을 받은저는 처음에 26240정도
전저점을 로스라인으로 잡고 있었지만
저기까지 잡는건 너무 멀다고 느껴
손실을 줄이고자 26410정도로 한파동
하락 한파동 나왔다고 생각한 저점을 로스로 잡앗습니다.
늦은 롱이라평단도 안좋았는데
저점이 깨지면서 로스가 나갔고
다음 꼬리에서 잡았지만 한번더 깻고
2번 약손절 나가고 아침 마지막 저점에서야
롱 받아서 26650에서 전량 익절하고
숏으로 스위칭하였습니다.
이후 숏이 몇번 터지면서 롱으로 번것 다뱉고도
전체시드의 20% 정도의 손실을 맞았습니다.
그리고 고점을 기다렸다가
27354 숏진입 후 홀딩중입니다.
3. 추후 예상
우선 저는 한파동이 더 남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3-1) 작은 상승
< 비트코인, 4시간봉 >
이렇게 보시면 ABC 이후 ABC가 한번더 나와서
0.786 정도의 27700~800에 걸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유는 오늘의 파동이 너무 조정없이 힘차게 올랐고
그여파로 다음파동은 오히려 힘을 많이 못받거나
오늘 상승이후 많이 눌려서 1:1 정도 자리가
저정도 수준이 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31800부터 내올때 저항을 받았던
하락추세선에도 걸리고
직전 ETP 이슈의 상승 빔에도
올라갈때 저항 받았던 자리도
저정도 부분에보시면 있습니다.
그리고 비트는 지금 상승세가 너무 강하고
노이즈가 많이 끼어 파동이 잘 안보이는데
3-2) 큰상승
< 이더리움, 4시간봉 >
현재 비트코인 차트는 제 기준에서는 노이즈가
너무많이 끼어서 솔직히 아리송한 부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이더를 참고하려고 좀 보았더니
이더는 훨씬 깔끔하게 파동이 나온것 같더라구요
그래서 이더를 기준으로 보자면 1:1 자리까지
갈 수 있을것으로 보이는 무빙입니다.
이더리움이 만약 저렇게 무빙이 나온다고하면
< 비트코인, 4시간봉 >
비트는 아마 28500 ~ 29200 얼마전
ETF 이슈로 상승이 나왔을때 이후에
조정뒤 간다고 생각했던곳 까지
갈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이더리움은 저렇게 못가는데 왜 비트는 그렇게 올라?
지금 보면 파동의 모양도 비트가 같은구간에서
훨씬 많이 오른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현재 비트의도미넌스가 높은 상황으로
상승시 돈이 몰리고 오버페이스로 빔이
나올수 있을것으로 보이 기때문에
이더보다는 같은 파동에서도 더 크게
쏠수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 요약
눌림이 나오더라도 크던 작던
한번의 상승이 더 남은것 같다.
비트기준 짧게는 27700~800 정도?
길게는 28500~29200 정도?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5. 마무리
참 뷰를 잘 봤음에도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뇌동을해 큰 수익구간을 되려 손실구간으로 만든
제 손에 너무 화가납니다.
하지만 여기서 흥분해서 뇌동을 한다면
더 큰손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의 숏이 터진다면
저는 눌림이 나올때까지 관망하거나
한파동이 더 나오면 그때나
숏을 치던지 해야겠습니다.
"분석보다 대응이 중요하다"
격언을 한번더 사무치게 느낀 하루 였습니다.
모쪼록 저처럼 대응 하시지 않고
현명하게 대응하셔서 수익이 나셧으면 좋겠습니다.
-------------------------------------------------------
꽤 많은분들이 뷰를 보시고 참고해 수익이 났다고
고맙다고 말씀해주시는 분들이 계시는 반면
드럽게 못보고 돈도 못버는거 같은데
개똥같은글 싸지른다고 뭐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저는 굉장히 잘해서 수억 수십억 번 트레이더는 아닙니다.
또한 관점을 단기/중기를 지속적으로 올려야한다고
생각하다보니 조금 자꾸 차트에 몰입해 오류가 생기거나
안좋은 매매를 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관점을 작성하면서
제 머리속으로도 정리가 한번더 되는 느낌이고
제가 댓글로 본인들의 아이디어를 전달 주셔서
저도 그걸보고 "오 그럴수도 있겠다"
미처 캐치하지 못했던 부분도 보완할 수 있어서
글을 계속적으로 쓰고 있습니다.
그럴 분은 없겠지만 제 글을 보고 매수/매도를
하시는 일은 절대 없어야하며 아직 완벽하지는
열심히 한다고 응원해주시는 분들께
많이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항상 봐주셔서 감사하고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3.09.17] 비트코인(BTC), 다이렉트로 27500 갈수도 있겠는데?안녕하세요 아귀차트입니다.
최근 자만에 늪에 빠져 호되게 혼나고
다시 마음을 다지며 매매하고 있는 아귀입니다.
오늘은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주말에 저는 매매를 잘 하지 않습니다.)
차트도 좀 보고 이전에 올렸던 글을보며
반성도 좀 하고 호된 질타의 댓글도 좀 보고
현재의 비트코인 움직임을
다시한번 되돌아 보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중간정리겸
현재 추가된 관점을 공유드리려고합니다.
1. 복기
직전글에서 계속 갖고있던 숏관점을 버리고
작던 크던 한번의 상승사이클이 나온뒤
23K~21K를 가능 무빙이 나올것으로 말씀 드렸습니다.
단기적으로 26700정도 선까지 상승이 있을것 같다.
그리고 눌리는 모양을 봐야겠지만 좀더 힘이 모인다면
27500~27700선까지도 큰 한번의 상승이 보인다.
라고 말씀 드렸고 27600보다 조금더 오른
27880정도 선까지 파동이 나와줬습니다.
다만 26850 까지 나왔던 상승에서 파동이 다나왔고
27500까지 가려면 적어도 한번은 눌리고 가거나
그냥 이자리에서 하락하거나 둘중 하나라고 판단하고
26680 정도에 숏을 진입했습니다.
그리고 전고점 26850에 스탑로스를 걸어두었는데
스탑로스는 터져서 손실을 좀 보았습니다.
그리고 현재 26630 정도에서 숏친것을
38% 수익으로 반익절, 19% 나머지 풀익절
그리고 롱스위칭 해서 조금 늦은 롱이지만
평소 배율보다 좀 낮춰서 26557 롱진입했습니다.
손절라인은 26421 정도의 직전 저점꼬리입니다.
로스가 터진다면 위에 숏으로 익절한 부분의
80% 정도 뱉아내는 세팅을 하였습니다.
2. 단기 관점
< 비트코인, 4시간봉 >
세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 아무리봐도 한파동이 나온걸로 보여진다
(차트상 ABC로 표기)
- B파동 저점을 깨지않은상태에서
일부 되돌림만주고 고점을 갱신했고 그로인해
RSI는 하락다이버전스가 잡혔음에도
시원한 하락을 보여주지 못했다.
- 약간의 하락은 있었지만 횡보하는 박스권
횡보구간의 위치가 너무 상단이다.
그래서 두개의 시나리오를 짜 보았습니다.
2-1) 첫 하락의 되돌림을 더 줄수도 있겠다.
< 비트코인, 15분봉 >
제 생각엔 직전 고점이 한파동의 끝이건
직지금 고점이 한파동의 끝이건
눌림이 나오고 27500을 간다면
보시는것과 같이 흰색 ABC작은 하락이후
핑크색 ABC의 큰하락으로 되돌림 0.5구간
즉, 25900정도까지 가야 정상적이라고 봤고
4시간 하락 다이버전스가 걸린상황이면
적어도 첫파동이 직전 저점 26240정도
선까지는 빼주거나 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곳을 가지 못했기때문에
< 비트코인, 15분봉 >
위 차트와같이 추가적 첫 하락에 대한 되돌림이
더 나올 수 있을것 같다.
예상수치는 26645 정도 (피보나치 1:1)
혹은 직전하락 되돌림의 몸통이었던
26720정도 선까지 되돌릴 수도 있지않겠나
하는게 작은 상승의 기대값입니다.
2-2) 27500을 다이렉트로 갈 수도 있겠다.
< 비트코인, 1시간봉 >
이 관점은 확률이 높아보이지 않지만
직전 고점이 한파동이고 강한 상승세
(일봉 다이버전스를 동반한 매수세)
로인해서 0.382도 되돌리지 않은채
다음파동의 상승이 시작 되었을 가능성
사실 이부분은 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지만
전혀 없었던 케이스는 아니기 때문에
(제 기억에 정말 강한 파동들은 0.236만 되돌리고
그냥 원웨이로 밀어버리는 경우들이 종종 있었습니다.)
그렇게 되돌림없이 그냥 쭉쭉 쏴 올린다면
< 비트코인, 1시간봉 >
확장 피보나치로 찍어보았을때 직전 고점의
각 상단 매물대에 구간별로 걸리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저는 저렇게 올라간다면 1:1을 못채우고
미달이 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27500 수준 혹은 27780
즉 1: 0.618(극최소치) 27500 수준
혹은 1:0.786(최소치) 27780~800 수준
정도가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1:1 자리까진 아마 바로 눌림없이
바로 올라갔기에 채우지 못할거라고 생각합니다.
4. 요약
작은상승으로는 27645, 27720 정도 상승
적은 확률이지만 크게가면 27500 수준으로
롱을 노려볼만하다고 생각해서 숏 전량익절후
롱스위칭을 하였다. 입니다.
다만, 15분봉의 작은 봉을 가지고 분석했기에
조금 정확도가 떨어질 수 도 있고
요즘 파동이 개인적으로는 좀 지저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참고만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5. 마무리
그래서 저는 두가지,
첫 하락의 되돌림을 주더라도
직전 갖고있던 숏포지션의 평단 근처가 오거나
되려 평단을 넘어기때문에
위 시나리오가 맞다면 현재 스위칭해서
조금이라도 벌고 더 위에서 숏을 들어가도
지금 숏보다 거의 비슷하거나 더 좋아질 것이며
만약 큰 상승이 일어난다면
지금 스위칭한 롱포지션으로 꽤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을것이라 판단했습니다.
여러분들도 각자의 시나리오에 맞춰 잘 대응하셔서
큰 손해없는 매매 하시길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3.09.14] 비트코인(BTC), 제가 틀렸던것 같습니다. 조금은 더 오를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귀입니다.
아직 확정적으로 패배한것은 아니지만
패색이 짙어져 트뷰에 내용을 올려야 할 것
같아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우선 단기 숏포지션을 약 2일간
각 슈팅 꼬리마다 잡고 로스컷이 나가도
본전이 되도록 본전 세팅을 위해
하락마다 반익절하면서 계속
큰 손해 없이 숏을 잡아왔지만
이제는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숏포지션을 유지하고 있지만
고점 갱신의 확률이 더 높아 보입니다.
저 역시 이 숏포지션이 터지는 순간
고점갱신을 한 위치에서 숏을 잡을 예정입니다.
1. 복기와 포지션
< 비트코인, 1시간봉 >
지난 관점은 지금의 상승이 단순 B파든
앞 파동 저점에서 시작된 익스팬디드 플랫이든
조정은 다 나왔고 하락이 시작 될것이다.
라고 뷰를 올리고 이후 숏을 들고있다가
25900정도 라인에서 반익절 후
반등롱을 받고 26.k 3 0.382구간 근처에서
롱 전량 익절 했습니다.
이후 그때부터 꼬리마다 숏을 잡았고
서두에 말씀드린대로 꼬리잡고 급하락에
부분익절 본절컷, 약손절, 수수료컷
10번도 넘게 난것 같습니다.
2. 현재의 관점
지금 숏이 26484에 잡혀있고 양전중인데
위에 말씀드린것 처럼 이 숏을 익절 하진 않았고
이대로 내려주면 제포지션이 살아있으니
저는 좋겠지만 이자리에서 내려가는 그림이
너무 부자연스러운 차트 모양이 나와서
터질때 까지 두더라도 단기 뷰는
롱이 확률이 더 높아보인다.
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롱으로 가는 시나리오에 대해서 보면
1) 큰 상승
< 비트코인, 1시간봉 >
위 차트로 보시면 ABC로 크게 올라오게되면
1:1 자리가 27.5 근방 정도 나옵니다.
이자리는 기존 좌측 매물대를 보시면
계속 지지 저항을 받았던 저항라인인게
보이실껍니다.
그래서 첫 롱시나리오는 이대로 올라가서
27.5k 까지 1:1 로 가는 시나리오입니다.
2) 작은 상승
< 비트코인, 15분봉 >
15분봉으로 보이는 마지막 파동의 1:1 자리
해당 자리를 보시면
마지막 파동의 1:1 자리이기도하고
좌측 주르륵 흘렀던 중에 중간에
아주 약간 꼬리가 말렸던 저항이 있는
자리기도합니다.
그래서 아마 1:1 반등을 준다면 저기서
한번 걸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3. 롱 이후 움직임
< 비트코인, 4시간봉 >
저는 위 두가지의 작게나오던 크게나오던
롱이 나오더라도 결국 저갱을하고
23k~ 21k를 갈것이라는 관점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상승이 나와서
제포지션을 터트리고 올라간다면
위 말씀드린 롱파동이 도착 하는
구간에서는 숏 트라이를 할 예정입니다.
4. 요약
< 비트코인, 15분봉 >
요약하자면 지금의 자리는 결국 롱이
훨씬 자연스러운 자리까지 왔고
TP는 짧게가면 26.7k 정도 자리
길게가면 27.5k 정도의 자리까지
상승여력이 있어 보인다.
정리될 것 같습니다.
5. 마무리
자만 했다는 글을 쓴 이후로도
어느정도 고집을 피우며
고점 갱신의 가능성이 없다고 계속 생각을 내면서
차트를 계속 돌려보고 작도를 하다
결국 롱관점의 차트가 더 자연스럽구나
라는 생각이 불현듯 들어 제 관점이
현재로는 틀릴 수도있고, 틀릴 가능성이
높다는것을 제 보잘것 없는 아이디어를
팔로우하고 봐주시는 분들께 대한 예의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늦은 시간이지만
급하게 또 짧게나마 글을 전달드립니다.
저는 숏을 치면서도 큰손실은 안보고
트라이를 하고있지만,
제 관점을 봐주시는 분들중 혹시라도
제 의견에 동요되어 대응없이 숏으로
손실을 보시는 분들이 게실까봐 걱정이됩니다.
부디 대응 잘 하시어 큰 손실은
피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3.09.05]비트코인(BTC), 롱충이의 최후! 하지만 포기 할 수 없지!
안녕하세요 아귀입니다.
거..걱정 마세요..
저.. 괜ㅊ..찮습니다.
우선 현재 저의 상황부터 말씀드립니다.
상방을 보던 저는 롱포지션을 들고있었으며
어제의 저점꼬리에 로스컷을 걸어두었고
아침 수익중이던 제 포지션은 점심을 먹으며
사라졌습니다.
로스컷이 나왔고 하방 꼬리에서 재진입해
롱포지션을 새로 세팅해 두고 있습니다.
아직도 롱은 살아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롱숏이 5:5 인 상황이
되어버린것 같습니다.
차트를 보며어제의 복기와 오늘의
추가된 부분들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더,비트 상승다이버 각각 잡혔고!
2) 아직은 되돌림 구간이고!
3) 상승후 첫 조정저점을 깨지 못했고!
4) 상승 추세선을 깨지 않았고!
5) 박스권 저항라인 몸통을 깨지 않았고!
네 맞습니다 두가지는 또 삭제되었습니다.
결국은 살아 남은것은 3가지입니다!
1. 현재상황
< 비트코인, 4시간봉 >
첫 눌림점 B파 저점 스탑로스 당연히 안깨졌구요.
하지만 4시간봉 몸통 박스권은 하방 이탈 하였습니다.
이 부분이 이제는 롱 7 : 3 숏을 보던 제가
이제는 롱 5 : 5 숏 으로 보는 부분중 하나입니다.
사실 저 하단을 깰때
저는 저점을 깰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깨지 못했습니다.
이 부분도 최소한 저점을 깨기전에
반등 한번은 나온다고 생각하는 근거중 하나입니다.
2. 삼지창
< 비트코인, 15분봉 >
비트코인 15분봉상 보시면
삼지창 패턴이 보였고
다이버도 한번 보였습니다.
(과매도 -> 정상은 아니라 조금 아쉽)
고점/저점의 끝에 보여지는 삼지창 패턴과
다이버는 굉장히 높은 확률로 추세의 전환을
의미 해왔습니다.
이부분으로 적어도 이 부분이 단기적
저점이라고 예상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하락채널
< 비트코인, 15분봉 >
지금 보이시는 하락 채널을
계속 저항 받으며 떨어지고 채널안에서
저항을 받아가며 진행 되었으나
3번째 트라이를 통해 살짝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시원하게 뚫고 채널 위 지지가 아닌
살짝 뚫엇다 다시 채널안으로 들어오긴 하였지만
지속적으로 비비며 안떨어지고 버텨지는 모습을 보면
하방보단 상방의 힘이 조금은 더 강하다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앞의 맥도날드 패턴을 보시면
상방으로 기세좋게 쏘아 올렸다가
결국 지지받지 못하고 흘렀는데
3번째 상승에서는 지지받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이 부분은 이더리움 차트에는 더 명확하게 보입니다.
(이더와 비트는 같은 방향성과 흐름을 보임)
위 차트를 보시면 눌림도 훨씬 적었고
명확하게 직전 고점을 돌파하였고
채널 돌파 이후 채널 위에 안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4. 조정파 카운팅
< 비트코인, 15분봉 >
이번 하락에 저점을 깨지 않았고
피보나치 비율을 볼때 각 파동의 수치를
대부분 채워서 나오는 ABC가 다 나온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이 파동은 끝난것으로 봅니다.
< 비트코인, 15분봉 >
조정파 카운팅으로 본다면 이런 카운팅이 될것입니다.
5. 상승한다면 어디까지?
저는 오늘 글 서두에 이제는 상방에 대한
"확률을 5:5로 본다" 라고 했습니다.
이 부분은 상승과 하락이 5:5 확률이다.
도 있겠지만 그 외 저는 다른 부분도
포함하여 말씀 드렸습니다.
"그것은 롱이라고 하더라도 고점을
갱신 할 수 없을 확률이 높아졌다."
저는 높은 확률오 이번상승은
직전 ETF 이슈로 인해 찍은 28100이상을 넘어
눌린뒤라도 28500~29200까지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시나리오는 확률이
많이 낮아진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위 시나리오가 아직 살아있긴 하지만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3가지 롱 TP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약반등
< 비트코인, 1시간봉 >
1:1 피보나치 되돌림자리 이자
이번 상승분을 모두 되돌린 하락의 382부근
그리고 수직 하락하다가 지지를 받기 시작한
지지/저항 첫 매물대가 겹치는 자리입니다.
가장 보수적이게 보이는 자리이며
최소 저곳까지는 도달 할것이라고
생각하는 시나리오입니다.
2) 중반등
< 비트코인, 1시간봉 >
조금더 강력한 상승 파동을 동반해 뚫고 올라갔던
매물대의 지지를 받아서 재차 상승하여
0.618 되돌림 부근의 상단 매물대 저항까지
도달해서 27K의 1K단위의 저항까지 겹쳐받고
하락하는 시나리오입니다.
3) 초강반등
< 비트코인, 4시간봉 >
335 조정파든, 535 조정파든
지그재그 형태의 조정파동이 나와
전고점을 돌파하여 28500~29200정도까지
올라가주는 시나리오 입니다.
가장 확률은 낮아보입니다.
6. 마무리
이번 롱포지션을 유지하면서 스트레스는
좀 받긴했지만 그래도 최근 롱자리중
가장 근거들이 많은 롱자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번 저점을 깨면 더이상
롱을 잡지 않을것 같습니다.
마지막 롱자리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셨을 롱충이분들
끝까지 화이팅하시고 한파동 먹어봅시다!
(한파동 다 먹으면 최소치가도 시드+@)
마지막으로 앞으로 왠만하면 데일리로
아무리늦어도 2~3일 안에 관점 하나씩은
올릴 생각입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리며 제 관점이
마음에 드신다면 팔로우와 부스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BTC), 저는 아무리 보아도 롱밖에 안보입니다.안녕하세요 아귀입니다.
제가 프로젝트를 한번 해보려고하는데
최대한 주 5일 관점 올리기 첼린지를 해보려합니다.
(옆치기 횡보를 굉장히 길게하면 그땐 패스해야할지도..)
관점이 맞든 틀리든 지속적인 의견을 드리고
반대로 저도 관점에 대해 보완할점 등
의견을 수용해서 성장하기 위함 입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오늘의 관점 시작해볼까요?
뷰를 올린 후 머리통이 깨질뻔 한 롱스톤입니다만
아무리 찾아봐도 저는 롱밖에 안보입니다.
1. 복기
< 비트코인, 4시간봉 >
지난번 글을 기준으로 아직 롱시나리오의
근거들이 아직 살아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 해볼께요
1) 이정도 뺏으면 반등은 줘야하고!
2) 월봉이 최종 하락이라도 윗꼬리는 만들어야 할꺼고!
3) 일봉 몸통기준 하락후 쌓은 직전 매물대를 뚫지 못했고!
4) 이더,비트 상승다이버 각각 잡혔고!
5) 상승 추세선을 아직은 지키고있고!
6) 아직은 되돌림 구간이고
7) 상승후 첫 조정저점을 깨지 못했고!
자 직전 글의 총 7가지 롱의 근거중
폐기된 기준은 단 2가지 입니다.
그중 1),2) 는 뇌피셜이죠?
그럼 보수적으로 바라 보아도
결국 총 3가지 기준은 아직 깨지지 않았습니다.
자 그럼 추가적으로 롱으로 보이는 근거가 있을까요?
2. 롱의 추가적 근거
< 비트코인, 4시간봉 >
우선 제가 그려놓은 4시간봉기준 박스권 매물대를 보면
매물대 안에 많은 몸통들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몸통의 의미를 굉장히 크게 생각합니다.
꼬리는 순간적인 무빙으로 만들 수 있지만
몸통은 추세의 이탈, 지지/저항 등을 볼 때
컨펌의 기준으로도 많이 사용 할 만큼
중요한 의미로 작용합니다.
그렇게 볼때 저는 저 몸통을 이은 박스권 매물대를
저항받고 내려오느냐
혹은 뚫어내고 위로 안착하느냐
이 부분이 굉장히 중요해보입니다.
또!
< 비트코인, 15분봉 >
저는 최근 차트에서 이렇다할 눌림이 잘 나오지 않고 있다.
위 부분을 굉장히 롱충이의 입장에서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자리에서 조금더 눌리더라도
일반적으로 저점이 계속 높아지면서 올라가는 경우는
둘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매수세가 강하거나?
매도세가 약하거나?
둘다 롱의 입장에서는 긍정적인 부분으로 작용하겠죠
실제 눌려야하는자리에서 눌리지 못한다면 힘을모아서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차트를 돌려보면
종종 찾아 볼 수 있는 차트의 모양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관점 요약
그래서 결론적으로 오늘의 관점은
기존에 근거중 뇌피셜 제외한 기준으로 3가지의 근거가
아직은 살아있고, 추가적으로 2가지 근거를 포함하면
아직도 총 5가지의 롱관점의 근거들이 살아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무리 그래도 롱밖에는 안보입니다.
실제로 저는 이더리움 1,626에 롱을 재진입해
현재에도 롱을 유지중입니다.
더불어 저점꼬리가 안꺠진다면
롱을 계속 모아보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4. 마무리
상승분을 모두 뱉으며 저 역시 손실을 좀 보았고
아마 대상승장에 대한 기대들이 많이 꺾여
현물을 받으신분들, 롱복회로 돌리신분들 모두
상심이 크셨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 짜증이 좀 났지만,
차트와 좀 멀어지고
주말에 바람쐐고 휴식을 하면서 환기를 시켰습니다.
차트가 마음대로 가지 않을땐 잠시 쉬엇다 가는것도
좋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우리 모두 멘탈관리를 잘해서 뇌동매매 하지않고
잘 대응 하셔서 이 시장에서 살아 남았으면 합니다.
제 관점이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와 부스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더리움] 상·하방 중기 시나리오 (2023.07.28.금)
1. 이더리움 주봉 입니다.
2. 이더리움은 현재 저점 및 고점을 높이며 반등하고 있습니다.
3. 라이징웻지(쐐기형) 패턴이 관찰되며, 일목균형표상 변동성 확대 구간은 10월 23일경으로 추정됩니다.
4. 고점을 더 높일 시 빨간색 추세선 상단인 2,235달러까지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하지만 1번, 2번, 3번처럼 반등하면 고점을 높이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6. 이에 3번 구간(약 2,235달러)은 주요 변곡점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7. 라이징웻지 패턴 돌파 시 피보나치를 기준으로 약 2,435달러까지 반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8. 반면, 추세가 전향되면 1,600달러 부근까지 하락해 큰 박스권(파란색 네모)을 그리며 횡보가 연장되리라 생각합니다.
9. 개인적인 관점으로 올해 2,915달러(약 375만원)까지 반등을 기대하고 있으며
10. 라운드 피겨(Round Figure)인 3,000달러 도달 전 수익 매물 출회로 큰 낙폭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더리움] 2,000달러 돌파 가능성 (2023.06.04.일)⭐ 서 론 ⭐
안녕하십니까?!!😊 차티스트랩팀 입니다.🚀
이더리움 현재 가격은 약 1,890달러이며 라운드피겨인 2,000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오늘은 2,000달러 돌파 가능성이 보이는 이더리움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 본 론 ⭐
•이더리움(일봉)
이더리움 일봉 입니다.
이더리움은 작년 6월 881달러까지 폭락한 후 2,030달러까지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반등했습니다.
이후 조정이 진행되었고 다시 1,085달러 저점을 만들었습니다.
한편, 검은색 화살표를 참고할 때 꾸준히 저점을 높이고 고점을 높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년 8월에 형성했던 이전 고점(2,030달러)을 높인 사례가 있기에 반등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습니다.
현재는 직전 고점(2,141달러)에서 내려오는 주황색 하락 추세선의 영향에서 벗어났고 캔들은 움츠려 있습니다.
이에 조만간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며 그 방향은 상방으로 진행되리라 예상합니다.
피보나치 및 매물대를 고려할 때 저항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항구간:(1차) 2,030달러 / (2차) 2,160달러 / (3차) 2,227달러 / (4차) 2,407달러
상방 시 2,227달러에서는 조정이 예상되며 화살표처럼 흘러간다면 중기 목표값은 2,407달러가 되겠습니다.
⭐ 결 론 ⭐
✔ 개인적인 관점으로 2,000달러 위로 반등할 것으로 생각하고 선물보다는 현물 홀딩이 유리해 보입니다.
※ 본 포스팅의 정보는 투자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항상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