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하고 싶다면 당장 AI 섹터에 주목하자

1 626
안녕하세요. 세상에 모든 차트를 탐구하는 bigshort23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알트코인 글을 업로드 하게 되었네요.

🤖 왜 AI 섹터에 투자해야 할까요?

1. AI와 블록체인의 시너지 효과
AI는 데이터 분석과 예측에 강점을 가지며,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투명성과 보안을 제공합니다.
이 두 기술의 결합은 금융, 의료, 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2. 높은 성장 잠재력
연평균 27.67%의 성장률을 보이며, 2030년까지 $8,260억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AI 기반 알트코인의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AI 기반 알트코인은 금융, 의료, 물류,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에게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1. TAO
* 시가총액: 약 $38.5억
* 특징: 탈중앙화 머신러닝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AI 모델 개발자들이 협업할 수 있는 생태계를 제공합니다.
* 머신러닝: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GPT와 같이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스냅샷
주봉 차트에서 MIXMASTER의 오실레이터 정배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73$ 저항을 주봉 캔들로 돌파해서 마감해주었으며 주봉의 5일 60일의 이평 골크를 앞두고 있습니다.
신규 분할 매수 구간으로 373$의 주봉 지지와 433$의 일봉 지지와 주봉 5와 60이평의 지지가 있습니다.

2. RNDR
* 시가총액: 약 $30.3억
* 특징: GPU 렌더링 파워를 분산형으로 제공하여
AI 기반 그래픽 처리와 콘텐츠 제작을 지원합니다.

스냅샷
주봉 차트에서 MIXMASTER의 오실레이터 정배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1$의 저항을 돌파한 이후 리테스트까지 확인한 이후에 6$의 저항을 앞두고 있습니다.
신규 매수 구간으로는 하락 되돌림 0.236 + 주봉 5와 120이평의 지지 중첩 근거로 4.7$이 있습니다.

3. FET
* 시가총액: 약 $14.1억
* 특징: 자율 에이전트를 활용한 AI 기반 데이터 처리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스냅샷
주봉 차트에서 MIXMASTER의 오실레이터 정배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봉 120이평의 저항을 맞고 약조정을 주고 있습니다.
0.686~0.79$ 분할 매수 구간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주봉의 120이평을 돌파하면서 1$ 위에 안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ICP
* 시가총액: 약 $8.7억
* 특징: 웹 속도와 보안을 갖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AI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스냅샷
주봉 차트에서 MIXMASTER의 오실레이터 정배열이 아직 되진 않았습니다.
주봉 5이평을 벗어나지 않는 구간에서 매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혹여라도 5이평 아래로 캔들이 내려간다면 흰색 지지 추세선 하단까지 하락을 열어두시기 바랍니다.

5. AI16Z
스냅샷
0.265~0.32$을 분할 매수 구간으로 생각하며 매수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판단됩니다.
일봉으로 5와 120이평의 골크 직전에서 저항을 받고 있습니다.
혹여라도 분할 매수 구간이 오지 않았지만 5이평 위로 캔들이 올라가면서 120이평과 골크가 될 때
매수하면 좋아보이며 0.44$의 저항에서 단기 수익을 실현해보시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6. VIRTUAL
스냅샷
5월 1일에 방송을 할 때 1.33~1.86$을 분할 매수 구간으로 말했습니다.
1.33$의 지지와 일봉 120이평의 지지와 함께 하루 50%의 상승 캔들을 보여주며 저항을 돌파했습니다.
지금부터 1.86$을 근거로 매수와 손절을 고려하시면 매수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노트
스냅샷
추가로 wld 코인까지 보시면 1.35$를 돌파하고 매수해야 합니다.
노트
첫 번째로 생각하는 관점은 98.5~99.2k의 지지입니다. ★★★★★
돌파했던 채널 상단을 지지 해주는 모습입니다.
24년 3월에 시작해서 10월까지 나왔던 횡보 채널과
같은 방식의 패턴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저점에서 나온 상승의 되돌림 0.236 구간과도 중첩되어 있는 매우 중요한 구간입니다.
테더 도미넌스의 주봉 차트를 통해서
주봉의 5와 60이평의 데드 크로스 발생과
추세선에서의 약반등 이후 이평의 저항을 확인하며
추세를 이탈하는 모습을 저번 영상에서와 마찬가지로
진행될 확률을 높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높게 보는 관점은 이미 조정은 끝나고 ★★★★
횡보를 통한 개미 털기 이후 저항 돌파입니다.
작년 12월 고점과 올해 1월 고점을 연결한 추세선을
차트를 보시면 장대로 돌파한 이후 계속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정이 끝이 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추가적인 조정을 원할 때
그리고 전에 올렸던 방식대로 약횡보 후
추가 상승을 할 가능성도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106.2k를 돌파했을 경우 돌파 매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 관점은 96~97.3k 지지입니다. (1,2번 관점 깨졌을 경우) ★★★
주봉의 5이평 지지와 96.6~97.3k에 존재하는 cme갭의 중첩 구간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하는 관점은 92~92.5k 지지입니다. ★★
21년도 4월과 11월의 고점을 연결한 추세선의 주봉 지지와
일봉 120이평의 지지와 92~92.5k에 존재하는 cme갭까지 중첩된 구간입니다.

결국 우리는 지지를 지지하냐 저항을 돌파하냐에 따라서
106.2k 위에서 매수를 하냐 각 지지 구간이 왔을 때 매수하냐가 정해져있습니다.

아무런 근거가 없는 구간에서 여러분들의 소중한 돈을 모두 매수하지 마시고
근거 있는 구간에서 매수하고 각각의 시나리오를 생각하면서 매수하시기 바랍니다.

면책사항

이 정보와 게시물은 TradingView에서 제공하거나 보증하는 금융, 투자, 거래 또는 기타 유형의 조언이나 권고 사항을 의미하거나 구성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