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아직도 42~45도전을 하지않고 저점을 갱신하지 않을 것 같다는 것에 대한 의문점이 있는사람이라
6월 8일쯤 31K찍고 바로 말아올렸을때의 패턴을 대입해 봤습니다.
상승후 저항선에 맞고 0.5K만큼의 되돌림을 준 후 역 헤숄패턴을 그리면서 올렸습니다.
비슷하게 간다면 33.3K저항선까지의 상승분의 0.5되돌림인 32.3K정도에서 롱을 받아볼만 할거같고, 33.3K를 뚫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익절
혹은 32.3K 를 뚫고 저점갱신을 하러 가는 경우 손절을 적당히 하면 될거같습니다.
만약 33.3K를 뚫고 올라가려는 모습이 보이면 이번엔 42~45K도전을 하고 떨어질 확률이 좀 높아질 것 같습니다. (물론 사이에 수많은 의미있는 저항선이 있겠지만..)
(숏에 물려있는사람들은 33.3K를 씨게 뚫으려고 하면 손절 나가야할듯)
6월 8일쯤 31K찍고 바로 말아올렸을때의 패턴을 대입해 봤습니다.
상승후 저항선에 맞고 0.5K만큼의 되돌림을 준 후 역 헤숄패턴을 그리면서 올렸습니다.
비슷하게 간다면 33.3K저항선까지의 상승분의 0.5되돌림인 32.3K정도에서 롱을 받아볼만 할거같고, 33.3K를 뚫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익절
혹은 32.3K 를 뚫고 저점갱신을 하러 가는 경우 손절을 적당히 하면 될거같습니다.
만약 33.3K를 뚫고 올라가려는 모습이 보이면 이번엔 42~45K도전을 하고 떨어질 확률이 좀 높아질 것 같습니다. (물론 사이에 수많은 의미있는 저항선이 있겠지만..)
(숏에 물려있는사람들은 33.3K를 씨게 뚫으려고 하면 손절 나가야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