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아이디어에서는 다이아몬드 천장형 패턴으로 33k부근에서 숏진입하는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다만 시간봉대에서 이평들이 지지하는 구간이 많아 32.5k부근에서 짧게 익절하고 32.2에서 롱으로 진입하려했으나 터치하지 않고 출발해버렸네요. 그럼 숏 잡는 구간을 잡아봐야겠죠,
오더블럭 상 1차 숏진입구간은 34500부근
2차 숏진입구간은 전고에 해당하는 353~35600 부근입니다.
다만 지금 상승의 힘으로 보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저배율로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하고, 비율은 1차 숏진입 시 물량의 1/4
2차 숏진입구간엔 75%~40%정도 잡는 게 좋아보이고,
혹시 모를 37.5k 불타기 시드를 남겨두시고 진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아마도 2차 숏진입구간인 35k부근이 오더블럭도 있고, 이평도 저항으로 작용할테니 가장 유력한 자리긴 합니다.
다만 시간봉대에서 이평들이 지지하는 구간이 많아 32.5k부근에서 짧게 익절하고 32.2에서 롱으로 진입하려했으나 터치하지 않고 출발해버렸네요. 그럼 숏 잡는 구간을 잡아봐야겠죠,
오더블럭 상 1차 숏진입구간은 34500부근
2차 숏진입구간은 전고에 해당하는 353~35600 부근입니다.
다만 지금 상승의 힘으로 보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저배율로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하고, 비율은 1차 숏진입 시 물량의 1/4
2차 숏진입구간엔 75%~40%정도 잡는 게 좋아보이고,
혹시 모를 37.5k 불타기 시드를 남겨두시고 진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아마도 2차 숏진입구간인 35k부근이 오더블럭도 있고, 이평도 저항으로 작용할테니 가장 유력한 자리긴 합니다.
코멘트:
익절 시/ 이평선, 일목균형, 매물대 등 종합적으로 고려해 자신의 그릇에 맞게 잘 드시면 됩니다.
급하면 손해보는 거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